KR20010075550A -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550A
KR20010075550A KR1020017004204A KR20017004204A KR20010075550A KR 20010075550 A KR20010075550 A KR 20010075550A KR 1020017004204 A KR1020017004204 A KR 1020017004204A KR 20017004204 A KR20017004204 A KR 20017004204A KR 20010075550 A KR20010075550 A KR 2001007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update
program information
information
progra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917B1 (ko
Inventor
스가이토요카즈
후지타유카
카토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7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편집부(31, 32) 각각은,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그것과 동시에 그 갱신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한다. 테이블 생성부(21)는, 그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테이블을 재생성하면 좋은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테이블만을 재생성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Program guide providing device}
종래의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11-69319호에 기재된 프로그램 정보 제공 장치가 있다. 이 프로그램 정보 제공 장치에서는, 편집부인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입력 단말이 EPG 정보를 편집하여 본 장치에 입력하고, 입력된 EPG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하며, EPG 테이블 생성부가 그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EPG 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를 구성하는 NIT(Net work Information Table)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의 각종 테이블을 소정 주기로 생성하고, TS(Transport Stream) 패킷으로서 외부로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서는, 일부의 EPG 정보만이 갱신된 경우에도, NIT, SDT, EIT 등의 각종 테이블 전부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생성하여 외부로 송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안내를 구성하는 각종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가 크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종 테이블의 생성 시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의 방송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생성하여 이것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 의해서 갱신된 EIT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실시되는 테이블 갱신의 일 예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테이블 생성부에 의해 실시되는 테이블 갱신의 일 예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실시예 10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테이블의 생성 및 송신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도.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수단과, 해당 편집수단이 편집한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과, 해당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경우, 그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상기 편집수단이 생성한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이다.
이로써, 갱신 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갱신하고,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생성 시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편집수단이 생성한 갱신 정보를 기억하는 갱신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경우, 그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하며,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갱신 정보를 기초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갱신하고,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생성 시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이, 프로그램 정보의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이다.
이로써, 갱신 정보를 기초로 재생성의 필요가 있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여 제공하고,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생성 시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이다.
이로써, 각 시간 간격 내에 몇 회 편집수단으로부터의 갱신 정보가 통지되더라도, 1회의 테이블 재생성으로 원하는 갱신을 끝낼 수 있어,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가장 송출 빈도가 큰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갱신하는 경우이더라도, 각 테이블의 갱신 내용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각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갱신 및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복수의 편집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각 편집수단은,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다른 편집수단의 갱신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다.
이로써, 다른 편집수단의 갱신 내용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편집수단의 갱신 내용에 대하여 저촉이나 모순되는 갱신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갱신 정보 기억 수단이, 편집수단으로부터의 갱신 정보의 이력을 축적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축적된 갱신 정보의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원래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로써, 갱신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편집자는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규격 상의 제한에 위반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는 것이다.
이로써, 편집자는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규격 상의 제한에 위반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는 한편,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축적된 갱신 정보의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원래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로써, 원래의 프로그램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동시에, 편집자는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규격 상의 제한에 위반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분담하여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로써,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이,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갱신을 행한 경우는, 그것과 동시에 갱신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테이블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는 경우에도, 갱신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그 갱신 후의 테이블을 빠른 시기에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1은 후술하는 편집부(편집수단; 31, 32)에 의해 편집 또는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 21은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미국의 ATSC 규격(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and Cable)이나, 일본의 ARIB 규격(디지털 방송에 이용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배열에 관한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제공 포맷의 프로그램 안내(EPG)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종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테이블 생성 수단), 31, 32는, 각각, 편집자에게 새롭게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하여 이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함과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편집 또는 프로그램 정보 갱신의 결과 발생하는 프로그램 편집 또는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 생성부(21)에 제공하는 편집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시에 2명의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 또는 갱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2개의 편집부(31, 32)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편집부를 가지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3개 이상의 편집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 테이블 생성부(21), 편집부(31, 32)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회선에 의해 따로 따로 설치되고, 그 통신회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이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이하에서는, 테이블 생성부(21)는, 예를 들면, 일본의 ARIB 규격에 의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종 테이블을 출력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ARIB 규격으로 규정되는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은, 각각 「테이블」이라고 불리고 정보의종류가 다른 복수의 정보 단위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제공로 네트워크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NIT, 방송사업자가 편성하는 채널(서비스)에 관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SDT, 채널 내의 각 프로그램(이벤트)에 관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EIT라고 불리는 각종 테이블이 존재한다.
또한, EIT에 관해서는, 「현재 방송 중인 이벤트와 다음에 방송 예정인 이벤트」 등의 현재와 다음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테이블과, 「오늘(또는 며칠)부터 X 일 후까지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각각 별도로 생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를 EIT[현재/다음], 후자를 EIT[스케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EIT[스케줄]에 대해서는, 이 실시예 1에서는, 예를 들면, 1일째(오늘)로부터 4일째까지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테이블인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 5일째로부터 8일째까지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테이블인 EIT[스케줄] 5 내지 8일째와 같이, 4일분마다 구분되어 별개의 테이블로서 생성된다.
다음에,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어떤 정보가 어떤 테이블에 저장되는 것인지를 설명한다.
도 2는, 지상파 네트워크에 있어서 예를 들면 3개의 채널(서비스; X 내지 Z) 에 있어서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의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종 테이블의 정보로 구성되고, 「네트워크명」이나 「네트워크 ID」 등 네트워크에 관련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NIT에 저장되어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명」이나 「방송사업자명」, 「서비스 ID」 등의 서비스에 관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SDT에 저장되고, 「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 내용」,「장르」, 「이벤트 ID」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EIT에 각각 저장되어 제공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는, 편집부(31, 32)가 편집하여 입력되었거나 또는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테이블 생성부(21)는,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고, NIT, SDT, EIT 등의 테이블을 생성한다.
편집자가 편집부(31) 또는 편집부(32)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신규 추가하거나 이미 입력한 프로그램 정보를 변경, 삭제하는 등으로,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편집부(31) 또는 편집부(32)는, 편집자의 입력에 따라서 원하는 갱신을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실시함과 동시에, 갱신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어떤 이벤트(프로그램) ID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 등의 어떤 정보를 갱신하였는지, 또는 이벤트(프로그램)를 신규 추가한 것인지, 또는 이벤트(프로그램)내용의 수정이나, 이벤트(프로그램)의 삭제인지 등의 어떠한 내용의 갱신을 행하였는지에 대한 갱신 정보를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한다.
그렇게 하면, 테이블 생성부(21)는, 통지된 그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프로그램 정보가 어떻게 갱신되고, 어떤 테이블을 재생하면 좋은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은, 어떤 테이블을 재생하면 좋은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을 신규 추가하는 갱신의 경우, 테이블 생성부(21)는, NIT, SDT에 대해서는 재생성의 필요는 없지만, EIT에 대해서는 재생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도 3은 EIT의 갱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EIT의 이벤트 정보는, 서비스 단위로 정리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서비스 ID=0x000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군이 정리되어 있다. EIT[현재/다음]에 대해서는, 현재 방송 중의 이벤트와 다음에 방송될 이벤트의 2종류가 저장되고, EIT[스케줄]에 대해서는, 4일마다, 예를 들면 오늘의 날짜로부터 4일째까지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 또는 5일째로부터 8일째까지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EIT[스케줄] 5 내지 8일째와 같은 상태로 일괄로 저장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서비스명 「채널(X)」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벤트 ID=0x1003, 방송 시간 20:00 내지 21:00의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2에 도시하는 프로그램표가 오늘 날짜이고, 현재 시각을 18:00이라고 하면, 추가되는 이벤트는, 오늘 날짜의 이벤트이지만, 현재 방송 중인 것도, 다음에 방송될 예정의 이벤트도 아니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부(21)는,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에 대해서는 내용을 갱신하여 재생하지만, EIT[현재/다음]에 대해서는 갱신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다른 서비스 ID를 가지는 EIT에 대해서도, 갱신을 행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 ID=0x0001의 EIT[스케줄], 또한 1일째로부터 4일째의 분만을 재생하면 좋은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부(21)는, 그것에 해당하는 EIT만을 재생성하고, 재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테이블 생성부(21)는,편집부(31, 32)로부터 통지되는 갱신 정보를 기초로, 재생성의 필요가 있는 테이블만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테이블만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어, 테이블 생성 시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부(21)가 필요한 테이블만을 재생하는 것에 의해, 테이블 생성 처리량을 삭감하도록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부(21)가 일정 시간 내에 접수한 편집부(31, 32)로부터의 갱신 정보를 기초로 테이블의 재생성의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 2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부(21)의 기능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것과 약간 다를 뿐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참조하여, 테이블 생성부(21)의 특징 있는 처리만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테이블 생성부(21)에 있어서의 시간적인 처리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도이다.
테이블 생성부(21)는,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면 10초마다, 갱신해야 할 테이블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갱신해야 할 테이블이 존재하면 그 테이블을 재생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R1 내지 R5)에 상당하는 타이밍으로, 테이블 생성부(21)는 테이블의 갱신을 행한다.
결국,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T1)에 있어서 편집부(31)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되고, 더욱이 시각(T2)에 있어서 편집부(32)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된 경우에는, 시각(R1 내지 R3)에 있어서는, 편집부(31, 32)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되지 않기 때문에, 갱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시각(T1, T2)에 있어서, 각각, 편집부(31, 32)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되면, 테이블 생성부(2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만 테이블의 갱신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갱신 정보에 의한 테이블의 재생성을 시각(R4)에 있어서 정리하여 실시한다. 예를 들면, 편집부(31)에 의한 갱신의 내용과, 편집부(32)에 의한 갱신의 내용이, 함께 테이블 ID=0x0001에 대한 이벤트(프로그램)의 추가이었다고 하면, 시각(R4)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부(21)가 재생해야 할 테이블의 대상은, 양쪽의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대하여 「테이블 ID=0x0001의 EIT」인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편집부(31, 32)로부터의 갱신 정보의 도착에 맞추어서 테이블을 재생하면, 그 때마다(상기 예에서는, 2회이다) 테이블 재생성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 실시예 2에 따르면, 1회의 테이블 재생성으로 원하는 갱신을 끝낼 수 있어,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블 생성부(21)에 있어서의 테이블 생성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테이블 생성부(2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시간 간격 내에 몇 회 편집부로부터의 갱신 정보가 통지되더라도, 1회의 테이블 재생성으로 원하는 갱신을 끝낼 수있어, 불필요한 갱신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블 생성부(21)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 생성부(21)가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접수한 편집부(31, 32)로부터의 갱신 정보를 기초로 테이블의 재생성의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갱신 정보를 접수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 즉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을, 각 테이블 중에 가장 테이블의 송신 간격이 짧은 테이블의 송신 간격 즉 가장 송출 빈도가 큰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모든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규격으로 정해진 송출 빈도를 달성할 수 있다.
결국, ARIB 규격으로 규정되는 테이블은, 그 규격에 따라 테이블의 종류마다 테이블의 송출 빈도의 하한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의 송출에 있어서는, 이 하한 이상의 송출 빈도를 유지하도록 반복하여 송출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갱신 내용이 각 테이블에 반영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각 테이블 중에 가장 테이블의 송신 간격이 짧은 테이블은, EIT[현재/다음]이고, EIT[현재/다음]에서는 2초에 1회 이상으로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EIT[현재/다음]을 2초에 1회의 주기로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으로 하면, 테이블 생성부(21)에 있어서의 각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도 적어도 2초에 1회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통지가 있었는데도, 그 갱신이 반영되어 있지 않는 EIT[현재/다음]를 송신하여 버린다는 사태가 생긴다. 그래서, 이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갱신하지만, 그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각 테이블 중에 가장 테이블의 송신 간격이 짧은 테이블을 EIT[현재/다음]의 송신 간격에 맞추어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갱신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테이블의 갱신 내용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갱신할 때, 그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각 테이블 중에 가장 테이블의 송신 간격이 짧은 테이블을 EIT[현재/다음]에 맞추어서 설정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테이블을 갱신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테이블의 갱신 내용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비교하여, 각 테이블을 효율 좋게 갱신 및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갱신 정보를 기초로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 즉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을, 각 테이블 중에 가장 테이블의 송신 간격이 짧은 테이블의 송신 간격에 맞추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각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 즉 각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을, 각 테이블의 송신 빈도 즉 송신 간격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RIB 규격으로 규정되는 테이블 송출 빈도의 하한은, 테이블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예를 들면, EIT에 대해서는 그 송출 빈도가 2초에 1회로 정해지고 있는 한편, NIT는 그 송출 빈도가 10초에 1회 이상으로 정해지고 있고, 테이블마다 다르다. 따라서 이 실시예 4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테이블 생성부(21)는, 각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을 각 테이블에 대하여 정해진 송출 빈도 즉 소정의 송신 간격에 따라서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즉, NIT, SDT, EIT 등의 각 테이블마다, 각 테이블의 송신 빈도에 따라서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도 5는 이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각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의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테이블 생성부(21)는, EIT[현재/다음]에 대해서는 2초에 1회로 R1 내지 R6과 같은 테이블 갱신 타이밍을 잡고, 한편, NIT에 대해서는 10초에 1회로 R1 및 R6과 같은 테이블 갱신 타이밍을 잡는다. 또한, 시각(T1)에 있어서 편집부(31)로부터, 또한 시각(T2)에 있어서 편집부(32)로부터 각 테이블로 갱신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된 것으로 한다.
테이블 생성부(21)는, 편집부(31)로부터의 갱신 정보에 의해 EIT[현재/다음]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 EIT[현재/다음]의 다음 테이블 갱신 타이밍인 R4에 있어서 EIT[현재/다음]의 갱신을 행한다. 한편, 편집부(32)로부터의 갱신 정보에 의해 NIT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 NIT의 다음 테이블 갱신 타이밍인 R6에 있어서 NIT의 갱신을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르면, 각 테이블의 갱신 타이밍을, 각 테이블에 대하여 정해진 송신 빈도 즉 송신 간격에 따라서 설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테이블을 효율 좋게 갱신 및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편집부(31, 32)의 각각이 직접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편집부(31, 32)의 각각이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직접, 프로그램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통지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41은, 편집부(31, 32)로부터 출력된 갱신 정보를 기억하는 갱신 정보 기억부(갱신 정보 기억 수단)이다. 편집부(31, 32)의 각각은,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액세스하여,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다른쪽의 편집부에 의해 이루어진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더욱이,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집자가 편집부(31) 또는 편집부(32)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신규 추가하거나 이미 입력한 프로그램 정보를 변경, 삭제하는 등으로,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편집부(31) 또는 편집부(32)는,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갱신 정보를 기록한다.
테이블 생성부(21)는,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액세스하고,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록된 갱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같이 재생성해야 할 테이블을 판단하고,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필요한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하는 테이블을 재생성한다.
그 때, 편집부(31, 32)의 각각도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액세스하고, 다른쪽의 편집부에 의해서 갱신 정보 기억부(4)에 기록된 갱신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다른쪽의 편집부에 의해 생성된 갱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르면, 편집부(31, 32)의 각각은 갱신 정보 기억부(4)를 통하여 다른쪽의 편집부에 의해 생성된 갱신 정보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부간에서의 갱신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다른쪽의 편집부의 갱신 내용에 맞추어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편집부의 갱신 내용에 대하여 저촉이나 모순되는 갱신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블 생성부(21)와는 별도로 갱신 정보 기억부(11)를 설치하는 대신에, 테이블 생성부(21) 중에 갱신 정보 기억부(11) 내지는 갱신 정보 기억부(1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메모리나 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갱신 정보 기억부(11)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편집부(31, 32)로부터 출력된 갱신 정보를,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하고, 테이블 생성부(21) 뿐만 아니라 편집부(31, 32)의 양쪽 모두 다른쪽의 편집부가 저장한 갱신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편집부간에서의 갱신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더욱이,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갱신 정보의 이력을 축적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 6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갱신 정보 기억부(41)가, 편집부(31, 32)에 의해 발행된 갱신 정보를 순차 과거의 것으로부터 누적하여 「갱신 이력」으로서 기억한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편집부(31, 32)에 의해서 이루어진 갱신을 복원하는 데 필요한 정보, 즉 예를 들면 그 갱신이 프로그램 정보의 삭제인 경우는 그 삭제된 내용, 프로그램 정보의 변경이면 변경전의 내용과 같은 정보도,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로부터 그 편집부(31, 32)에 판독하여 송신시키고, 아울러 「갱신 이력」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편집부(31, 32)의 각각은, 필요에 따라서, 이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르면,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올라가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등에 있어서는, 테이블 생성부(21)가 테이블의 생성 또는 재생성을 행할 때, 미리 정해둔 규격, 예를 들면 ARIB 규격 등에 있어서 정해진 테이블의 정보량의 상한 등의 제한을 넘는 경우에는 테이블의 생성 또는 재생성을 행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테이블 생성부(21)가 편집부에 대하여 통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로 하거나 또는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여,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시예 7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테이블 생성부(21)는, 편집부(31, 32)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통지된 갱신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그 갱신이 ARIB 규격 상의 제한, 예를 들면 1개의 프로그램 내의 프로그램 내용에 요하는 문자수의 제한이나, 1종류의 EIT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수의 제한 등에 위반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의 체크를 행한다.
그리고, 테이블 생성부(21)는, 그 갱신에 의한 테이블 생성이 제한에 위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갱신 정보의 통지원인 편집부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금지)로 하거나, 또는,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도록, 각각 대하여 정당성 체크 통지를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해당하는 편집부는, 그 정당성 체크 통지를 받아,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로 하거나 또는 갱신이 무효인 취지를 편집자에게 통지한다. 후자의 경우, 편집자 스스로 갱신을 무효로 하고, 재편집을 행할 수 있다. 이것 대신에, 편집부는, 정당성 체크 통지를 받으면, 즉시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도록 편집자에 대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르면, 편집부(31, 32)의 각각이 ARIB 등의 규격에 만족하지 않는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한 경우에도, 테이블 생성부(21)가 편집부(31, 32)의 각각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로 하거나 또는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여, 편집자에게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에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시킬 수 있으며, 규격 상의 제한에 위반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상기 실시예 6에 있어서, 또한, 테이블 생성부(21)가,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그 갱신이 ARIB 등의 규격의 제한에 위반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 체크를 행하고, 그 갱신에 의한 테이블 생성이 제한에 위반하는 경우에는, 갱신 정보를 무효로 하고,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복원하도록 하는것이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그 갱신 정보의 통지원인 편집부에 대하여 정당성 체크 통지를 송신하고, 프로그램 정보가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여,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르면, 편집부(31, 32)의 각각이 ARIB 등의 규격에 만족하지 않는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한 경우에는, 테이블 생성부(21)가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원래의 프로그램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편집부(31, 32)의 각각에 대하여 프로그램 정보가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통지를 행하는 것에 의해, 편집자에게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여 규격 상의 제한을 만족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수정시킬 수 있고, 규격 상의 제한에 위반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편집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단일의 테이블 생성부(21)가 갱신 정보 기억부(41)를 참조하여, 각종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부(21 내지 25)는, 각각 프로그램 정보 기억부(11)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 및 갱신 정보 기억부(41)에 기억된 갱신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테이블 생성부마다 할당된 종류의 테이블의 생성 및 재생성을 행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테이블 생성부(21)가 NIT, 테이블 생성부(22)가 SDT, 테이블 생성부(23)가 EIT[현재/다음], 테이블 생성부(24)가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 테이블 생성부(25)가 EIT[스케줄] 5 내지 8일째를 각각 생성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편집부(31, 32)의 어느 한쪽이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을 변경한 경우, 그 변경에 의해 EIT[현재/다음]과,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의 양쪽을 재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테이블 생성부(23) 및 테이블 생성부(24)만이 각각의 테이블 재생성을 행하여, 테이블 생성부(21, 22, 25)는 테이블 재생성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편집부(31)가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기술을 변경하고, 편집부(32)가 1주간 후의 프로그램을 추가한 경우에는, EIT[현재/다음]과, EIT[스케줄] 1 내지 4일째와, EIT[스케줄] 5 내지 8일째를 재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테이블 생성부(23), 테이블 생성부(24) 및 테이블 생성부(25)만이 각각의 테이블 재생성을 행하는 것에 의해,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블 생성부(21, 22)는 테이블 재생성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르면, 테이블 생성 시의 부하를 분산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각각이 1개의 특정한 테이블만을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부를 설치하는 대신에, 각각이 2개 이상의 특정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또한, 이 실시예 9의 구성을, 상기 실시예 5 이외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나, 상기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에 적용하여도 좋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나, 상기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의 어느 하나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각각이 적어도 1개의 특정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 있어서는, 테이블의 생성 상황에 기초하여 테이블의 송신 타이밍을 바꾸는 경우는 없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테이블의 생성 상황에 기초하여 테이블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이 실시예 9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블의 생성 및 송신의 일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도이다. 도 9a는 어떤 테이블의 생성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b는 상기 실시예 2 등에 따른 그 테이블의 10초마다의 송출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c는 이 실시예 10에 따른 그 테이블의 변경 후의 테이블 송출의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T1)에 있어서 예를 들면 편집부(31)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가 테이블 생성부(21)에 대하여 통지된 것으로 하면, 테이블 생성부(21)는, 해당하는 테이블의 생성을 행하고, 시각(T2)에 있어서 테이블의 생성을 종료한다. 그렇게 하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T2)은, 이 테이블의 송출 타이밍인 R3와 R4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2 등의 경우라면, 다음 테이블 송출의 타이밍은 R4로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 10에서는, 다음의 송출 타이밍(R4)이 도래하고 나서 그 테이블을 송출하는 것은 아니고, R4=T2로서 R4 이후의 테이블 송출의 타이밍을 앞당겨서 그 테이블을 송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다 조기에 갱신 후의 테이블의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관한 EIT[현재/다음]의 테이블과 같이, 조기의 송신이 요구되는 테이블의 송출이나, 테이블 송출 간격이 긴 테이블 등의 송출에 대하여, 이 실시예 10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빠른 시기에 갱신 후의 테이블의 정보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4=T2로서 R4 이후의 테이블 송출의 타이밍을 전도하여 그 갱신 후의 테이블을 송신한 후, 새로운 갱신이 없으면 그 소정의 시간 간격을 유지하여 10초마다 그 갱신 후의 테이블을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르면, 테이블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는 경우에도, 갱신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그 갱신 후의 테이블을 빠른 시기에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광범위한 다른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클레임에 있어서 규정된 것 이외는, 그 특정한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의 방송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갱신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빠르게 생성할 필요가 있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19)

  1. 프로그램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수단과, 해당 편집수단이 편집한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과, 해당 프로그램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 수단을 가지고,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경우, 그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상기 편집수단이 생성한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편집수단이 생성한 갱신 정보를 기억하는 갱신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행하는 경우, 그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정보를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은, 프로그램 정보의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은, 프로그램 정보의 종류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만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가장 송출 빈도가 큰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가장 송출 빈도가 큰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의 송출 빈도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편집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각 편집수단은,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다른 편집수단의 갱신 정보를 열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갱신 정보 기억 수단은, 편집수단으로부터의 갱신 정보의 이력을 축적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축적된 갱신 정보의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원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재편집을 재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 생성을 행할 때에, 편집수단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이 원인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생성에 불량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이 생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수단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하는 한편, 갱신 정보 기억 수단에 축적된 갱신 정보의 이력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의 갱신을 원래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분담하여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분담하여 생성하는 복수의 테이블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갱신을 행한 경우는, 그것과 동시에 갱신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수단은, 생성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의 갱신을 행한 경우는, 그것과 동시에 갱신된 프로그램 안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KR10-2001-7004204A 1999-08-04 1999-12-27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KR100526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08299A JP4250817B2 (ja) 1999-08-04 1999-08-04 番組案内提供装置
JP99-221082 1999-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550A true KR20010075550A (ko) 2001-08-09
KR100526917B1 KR100526917B1 (ko) 2005-11-09

Family

ID=1676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204A KR100526917B1 (ko) 1999-08-04 1999-12-27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208760A1 (ko)
JP (1) JP4250817B2 (ko)
KR (1) KR100526917B1 (ko)
CN (1) CN1166178C (ko)
CA (1) CA2345548A1 (ko)
GB (1) GB2356759B (ko)
HK (1) HK1040866B (ko)
WO (1) WO20010118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42B1 (ko) * 2007-10-19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장치와,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 수신 방법 및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0396B2 (en) * 2000-04-14 2006-07-18 Lg Electronics Inc. Event overrun and downstream event shift technology
US8695039B2 (en) 2000-04-17 2014-04-08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descriptor and extended information descriptor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7877769B2 (en) * 2000-04-17 2011-01-25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descriptor and extended information descriptor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7770195B2 (en) * 2001-05-07 2010-08-0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0449713B1 (ko) * 2002-01-11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에서 업데이트 된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40010548A1 (en) * 2002-07-11 2004-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ro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voicemail functionality with conferencing capabilities
BR0317540A (pt) * 2002-12-18 2005-11-22 Nokia Corp Método e aparelho para anunciar e acessar as sessões através da rede, sistema para entregar e apresentar os dados do cronograma do programa para os terminais dos usuários finais, e, programa de computador
US20040123317A1 (en) * 2002-12-19 2004-06-2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electronic program guide
JP4308546B2 (ja) * 2003-02-20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JP2005064719A (ja) * 2003-08-08 2005-03-10 Toshiba Corp デジタル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5214779A (ja) * 2004-01-29 2005-08-11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US20060174271A1 (en) * 2004-07-20 2006-08-03 Chen An M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 guide state information to a device
GB0420814D0 (en) * 2004-09-18 2004-10-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anaging stored service information
US20060174270A1 (en) * 2005-02-02 2006-08-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pproximated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KR100747824B1 (ko) * 2005-09-07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100824321B1 (ko) * 2007-02-16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US7882525B2 (en) * 2007-04-23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Data collection for a comprehensive program guide
JP5145863B2 (ja) * 2007-10-25 2013-02-2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996422B2 (en) 2008-07-22 2011-08-09 At&T Intellectual Property L.L.P.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edia playback based on destination
US8990848B2 (en) 2008-07-22 2015-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lly adaptive media playback
US8931023B2 (en) * 2012-05-21 2015-01-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based on monitoring of channels at a customer premise
JP2012227952A (ja) * 2012-07-10 2012-11-15 Toshiba Corp 放送送信装置、放送送信方法
CN103237261B (zh) * 2013-03-27 2017-11-10 河南有线电视网络集团有限公司 一种信息更新方法及系统
JP6290109B2 (ja) * 2015-01-19 2018-03-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による表示方法
CN107172495B (zh) * 2017-04-26 2020-01-3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针对电子节目指南epg的视图生成方法及智能电视
US11838596B2 (en) * 2020-05-28 2023-12-05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ver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on a menu or guide
US11265613B2 (en) 2020-06-10 2022-03-01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while a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is online
US11523172B2 (en) 2020-06-24 2022-12-06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etadata to play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8604B2 (ja) * 1992-09-07 1999-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選択装置
US6239794B1 (en) *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GB9400101D0 (en) * 1994-01-05 1994-03-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sumer interface for a satellite television system
US5635978A (en) * 1994-05-20 1997-06-03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channel system and method
US5576755A (en) * 1994-10-28 1996-11-19 Davis; Bruce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data
JP4001942B2 (ja) * 1995-02-06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方法
US5666645A (en) * 1995-04-26 1997-09-09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US5630119A (en) * 1995-05-05 1997-05-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listings in an intera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US5682511A (en) * 1995-05-05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view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network system
US5652613A (en) * 1995-06-07 1997-07-29 Lazarus; David Beryl Intelligent electronic program guide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5801753A (en) * 1995-08-11 1998-09-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guide to events available on an information network
JPH0963443A (ja) * 1995-08-21 1997-03-07 Toshiba Corp タイマー予約装置
JP3491431B2 (ja) * 1996-02-20 2004-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JPH1042212A (ja) * 1996-07-24 1998-02-13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H1063497A (ja) * 1996-08-16 1998-03-06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ム更新方法
JP3524706B2 (ja) * 1996-12-16 2004-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H10257447A (ja) * 1997-03-14 1998-09-25 Sanyo Electric Co Ltd 複数放送サービス受信装置
JP3800267B2 (ja) * 1997-07-18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H11112946A (ja) * 1997-09-29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方法およびデータ放送自動受信装置
JPH11146393A (ja) * 1997-11-07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伝送方法,並びにそ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H11196342A (ja) * 1997-12-26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出装置および端末
JPH11205705A (ja) * 1998-01-13 1999-07-30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US6337719B1 (en) * 1998-03-30 2002-01-08 U. S.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s during power-off (stand-by) mode
US6763522B1 (en) * 1998-06-30 2004-07-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elevision electronic program guide
JP2000115102A (ja) * 1998-08-07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放送システム
JP2000101525A (ja) * 1998-09-21 2000-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番組案内データ集配信システムおよび番組案内データ集配信装置
US6446082B1 (en) * 1998-09-21 2002-09-03 Impress Corporation Method of receiving time-specified program contents
KR20000044758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이아이티 정보 수신 방법
US6904609B1 (en) * 1999-03-18 2005-06-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services
US6961955B1 (en) * 1999-10-13 2005-11-0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ser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42B1 (ko) * 2007-10-19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장치와,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 데이터 수신 방법 및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45548A1 (en) 2001-02-15
GB2356759B (en) 2004-03-03
HK1040866B (zh) 2005-04-08
JP2001045446A (ja) 2001-02-16
GB0105901D0 (en) 2001-04-25
JP4250817B2 (ja) 2009-04-08
HK1040866A1 (en) 2002-06-21
CN1166178C (zh) 2004-09-08
CN1321388A (zh) 2001-11-07
WO2001011871A1 (fr) 2001-02-15
KR100526917B1 (ko) 2005-11-09
US20030208760A1 (en) 2003-11-06
GB2356759A (en) 200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917B1 (ko) 프로그램 안내 제공 장치
JP2840755B2 (ja) プログラム送出装置
US72840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users in a network
CN101854500B (zh) 用于交互式电视节目指南系统的方法和交互式电视指南系统
RU2000126743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ещательной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объектов
EP1536362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terminal unit, advertising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advertising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dvertising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contents data reproducing program, advertising information distribution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9980081731A (ko) 다중채널 방송시스템
EP0876015B1 (en) Data base for storing audio-visual data, and for supplying this data to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KR100582310B1 (ko) 프로그램 방송 시스템
JP3595687B2 (ja) 録画制御装置、放送局、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媒体
JP2009182629A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
US9264745B2 (en) Video server apparatus, video edi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video server apparatus
US6778222B2 (en) Data broadcast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timing of additional data with high precision
JP3704090B2 (ja) 番組案内情報生成送出システム
JP4275980B2 (ja) 放送番組編成制作支援システム,編成端末装置,制作端末装置,放送番組編成制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762018B (zh) 在交互盘播放器之间交换用户消息的方法
JP2006209541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制御端末、コンテンツ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アクセス制御方法
CN101238726A (zh) 数据记录装置、数据重放装置、程序以及记录介质
JP2000217093A (ja) デ―タ受信端末、デ―タ送信部及びデ―タ送受信システム
JP3737664B2 (ja) 番組情報送出装置、番組情報送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デジタル放送送信システム
JP7273767B2 (ja) 番組編成管理装置、番組編成管理プログラム
JP4184374B2 (ja) 受信機及び受信方法
CN101102449A (zh) 电子业务指南调度系统及方法
JP4138207B2 (ja) 番組案内情報生成装置
JP2002261715A (ja) 番組関連情報テーブル構成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29

Effective date: 200507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