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995A - 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4995A KR20010074995A KR1020017002966A KR20017002966A KR20010074995A KR 20010074995 A KR20010074995 A KR 20010074995A KR 1020017002966 A KR1020017002966 A KR 1020017002966A KR 20017002966 A KR20017002966 A KR 20017002966A KR 20010074995 A KR20010074995 A KR 200100749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case
- lens array
- transparent plat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화상판독장치(A)는,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원(6)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공간부(14)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S)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부(14)는, 복수의 구획벽(15))에 의해 복수의 구획영역(14a)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양단부와 중앙부와의 조도가 균일화된다.
Description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 11에 도시한다.
도시된 화상판독장치는, 복수의 광원(91)을 탑재한 기판(92), 렌즈어레이(93), 및 복수의 수광소자(94)를 케이스(90)내에 조립해 넣은 것이다.
케이스(90)의 상면에는 투명판(97)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투명판(97)의 일부가 라인형상의 판독영역(Sa)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91)은,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케이스(90)에는, 복수의 광원(91)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판독영역(Sa)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간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는, 각 광원(91)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판독영역(Sa)으로 조사되면, 그 광은 원고(D)에 의해 반사된다.
그러면, 그 반사광은 렌즈어레이(93)의 각 렌즈에 의해 집속(集束)되고 나서 복수의 수광소자(94)에 의해 수광(受光)된다.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94)는, 그 수광량에 알맞은 출력레벨의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원고(D)의 화상을 1라인씩 판독할 수가 있다.
상기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판독화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판독영역(Sa)의 길이방향의 각 개소의 조도를 될 수 있는 대로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판독영역(Sa)의 조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부(96)가 복수의 광원(91)의 열 방향으로 뻗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불과하였다.
이 때문에, 복수의 광원(91)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판독영역(S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대해서는 서로 중첩되도록 조사된다.
이에 대하여, 판독영역(Sa)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해서는, 이 부분에 대향하는 광원(91)의 수가 적기 때문에, 많은 광이 중첩되도록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판독영역(Sa)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조도가 길이방향 중앙부의 조도보다 낮게 되어 있었다.
또,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케이스(90)가 흑색의 수지제로 되어 있으며, 공간부(96)를 규정하는 복수의 면의 모두가 광을 흡수하는 흑색의 면으로 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복수의 수광소자(94)의 주변에 있어서 광의 산란반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산란반사광이 복수의 수광소자(94)에 입사(入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공간부(96)의 길이방향 양단을 규정하는 두 개의 벽면(96a)에 광이 도달하여도, 이 광은 판독영역(Sa)을 향해 반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도, 판독영역(Sa)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조도가 길이방향 중앙부의 조도보다 낮게되는 요인으로 되어 왔다.
또한, 기판(9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점퍼, 콘덴서, 저항기, 또는 기타 종류의 부속부품(도시생략)이 탑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그 부속부품의 광의 반사율이 기판(92) 표면의 광의 반사율과 상이한 경우가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91)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그 전부가 판독영역(Sa)을 향해 직접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기판(92)의 표면에 반사되고 나서 판독영역(Sa)을 향하는 광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기판(92)의 표면과 상기 부속품의 표면에서는 광 반사의 방식이 상이한 것으로 되어, 판독영역(Sa) 가운데, 상기 부속부품에 대향하는 부분의 조도가, 다른 부분의 조도와는 서로 다른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각종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판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의 단면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화상판독장치에 사용되는 보조부재의사시도.
도 1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VII-VII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판독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열(列)형상으로 배열시켜 표면에 탑재하고 있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 광원의 열 방향으로 뻗은 도광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판독영역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소자 위에 결상(結像)시키기 위한 렌즈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구획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상기 복수의 구획영역 내를 진행하고 나서 상기 판독영역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길이방향 양단부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중첩정도가 크게 상이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각 개소의 조도의 균일화를 기할 수 있으며, 판독화상의 질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획벽은, 상기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구획벽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각 구획벽은, 상기 케이스의 리브(rib)로서의 형태를 갖는 것이 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이는 것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동일한 개수씩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구획영역의 치수 및 상기 각 구획영역 내에 있어서의 발광량을 대략 동일한 조건으로 맞출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의 각 개소의 조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구획벽의 각각의 표면은, 받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구획벽에 의해 광이 흡수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판독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의 감소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백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구획벽의 광의 반사율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면의 전체 및 상기 기판의 표면 가운데 상기 공간부에 대면하는 영역도, 역시 백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상기 각 개소의 면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반사시켜 상기 판독영역으로 유도할 수가 있으므로, 조명효율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백색의 수지제품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간부를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케이스의 각 개소를 광의 반사율이 높은 백색으로 하는 것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주위를 에워싸는 광 반사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광원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 기판의 표면에 탑재할 수가 있으며, 그 탑재작업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판독영역의 원고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향해 진행해 온 광이,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주위에 있어서 산란반사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에는, 산란 반사한 광이 노이즈로서 입사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며, 판독화상의 질을 보다 높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의 정면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차폐하는 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그 정면을 향해 발광된 광이 그대로 상기 판독영역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판독영역 가운데, 상기 복수의 광원의 정면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밝게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며, 판독영역의 조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는, 부속부품이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속부품을 덮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부속부품에는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속부품의 표면과 상기 기판의 표면과의 광의 반사율이 크게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을 원인으로 하여, 상기 판독영역의 상기 부속부품에 대응하는 부분의 조도가 그 이외 부분의 조도와 크게 상이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속부품은,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벽 가운데 상기 부속부품을 덮는 부분에는, 상기 부속부품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부속부품을 상기 구획벽에 의해 적절하게 은폐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구획벽과 상기 부속부품과의 부당한 간섭을 회피하면서, 상기 기판의 표면을 상기 구획벽에 맞접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판의 위치결정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어레이가 끼워 삽입되는 홈 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투명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투명판의 표면이 상기 판독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투명판의 이면에는, 상기 렌즈어레이를 상기 홈 부의 저부 방향으로 압박이 가능하게 상기 렌즈어레이에 맞접하는 볼록(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독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투명판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상기 렌즈어레이의 고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어레이는, 일정한 방향으로 뻗는 홀더에 복수의 렌즈가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유지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볼록형상부는,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상기 홀더에 맞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렌즈어레이의 길이방향의 각 개소를 상기 볼록형상부에 의해 눌러 압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어레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만곡하는 것과 같은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렌즈어레이의 각 렌즈와 상기 수광소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판독화상의 초점이 흐리지 않게 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투명판을 끼워 삽입하는 개방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투명판과 상기 개방구부의 주벽부에는, 상기 투명판이 상기 렌즈어레이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투명판을 상기 케이스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적어도 1세트 이상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투명판을 상기 케이스에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판독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열 형상으로 배열시켜 표면에 탑재하고 있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 광원의 열 방향으로 뻗은 도광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판독영역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소자 위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규정하는 한 쌍의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 한 쌍의 벽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받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광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진행하는 광이 상기 광 반사면에 도달하게 되면, 그 광은 반사되어 상기 판독영역을 향해 진행한다.
이 경우, 그 광은 주로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향해 진행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양단부로의 조사광의 양이, 길이방향의 중앙부와 비교하여 부족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판독영역의 균일화를 기할 수 있으며, 판독화상의 질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면은, 백색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반사면의 광의 반사율을 높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용의 공간부는, 상기 판독영역과 상기 렌즈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그 영역에 대하여 상기 광 반사면이 대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상기 광 반사면을 접근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조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체로 형성되며, 또한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백색으로 된 보조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조립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조부재의 일부가 상기 광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상기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광 반사면을 소정의 개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어레이를 끼워 삽입시키는 홈 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렌즈어레이가 상기 홈 부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렌즈어레이와 상기 판독영역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상판독장치의 전체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상기 렌즈어레이의 고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또는 상기 렌즈어레이의 고정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 더욱 확실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판독장치(A)는, 케이스(1), 투명판(2), 렌즈어레이(3), 광 반사방지부재(4), 기판(5), 복수의 LED칩(6), 복수의 수광소자(7), 및 복수의 부속장치(5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는,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케이스(1)의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산화티탄을 함유시킨 합성수지이며, 그 수지의 색채는 백색이다.
따라서, 이 케이스(1)의 각 부의 면은 모두 백색이다.
이 케이스(1)의 표면의 광 반사율은 높으며, 예를 들면 90∼98%이다.
투명판(2)은, 투명도가 높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의 합성수지제이며, 전체적인 형상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투명판(2)의 짧은 방향의 양측 테두리부(20a, 20b)에는, 복수의 결합용 돌기(21a, 21b)가 투명판(2)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투명판(2)의 이면(하면)에는, 이 투명판(2)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뻗어있는 하향의 볼록형상부(22)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투명판(2)은, 케이스(1)의 상면부에 형성된 개방구부(10b)를 폐쇄하도록 이 개방구부(10b)에 끼워 삽입되어 있다.
개방구부(10b)의 둘레 벽부에는, 복수의 결합용 구멍(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판(2)의 복수의 결합용 돌기(21a, 21b)는, 복수의 결합용 구멍(11a, 11b)내로 진입하여, 그들 복수의 결합용 구멍(11a, 11b)의 내벽부분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투명판(2)은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투명판(2)을 케이스(1)에 장착할 때에는, 예를 들면 케이스(1)의 상부에 힘을 가하여, 개방구부(10b)의 폭이 넓어지도록 케이스(1)를 탄성 변형시킨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결합용 돌기(21a, 21b)를 결합용 구멍(11a, 11b)의 내벽부분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투명판(2)의 표면(상면)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플래튼롤러(P)가 배치되며, 원고(D)는 이 플래튼롤러(P)에 의해 투명판(2)의 표면에 접촉하여 반송된다.
렌즈어레이(3)는, 합성수지제의 가늘고 긴 블록형상의 홀더(30)내에, 복수의 렌즈(31)를 열 형상으로 배열하여 유지시킨 것이다.
각 렌즈(31)로서는, 예를 들면 원고화상을 정립등배(正立等倍)로 결상 가능한 자동초점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단, 렌즈(31)의 구체적인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볼록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렌즈어레이(3)는, 케이스(1)에 형성된 홈 부(10)에 끼워 삽입되어 투명판(2)의 이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어레이(3)의 상면에는 투명판(2)의 볼록형상부(22)가 맞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렌즈어레이(3)는, 그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영역이 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볼록형상부(22)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지고 있다.
볼록형상부(22)는, 홀더(30)의 상면 가운데, 이 홀더(30)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한 측의 가장자리 부에만 맞접하고 있으며, 자동초점렌즈(31)를 덮지 않도록 되어 있다.
투명판(2)의 표면 가운데, 렌즈어레이(3)의 바로 위의 영역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S)이다.
복수의 수광소자(7)는, 광전변환기능을 갖는 것이며, 광을 받으면 그 수광량에 대응한 출력레벨의 신호(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7)는, 기판(5)의 상향표면에 기판(5)의 길이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하여 실장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저부에는 공간실(1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광소자(7)는 기판(5)이 케이스(1)의 저면부에 조립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공간실(11)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렌즈(31)를 통과한 광을 받을 수가 있게 되어 있다.
기판(5)은, 복수의 부속부품(59)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저부에 조립되어 있다.
복수의 부속부품(59)은, 케이스(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볼록부(12)에 걸어 고정됨으로서, 기판(5)의 이면을 항상 위쪽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 반사방지부재(4)는, 예를 들면, 흑색의 ABS수지제이며, 그 각 개소의 표면의 광 반사율은 낮다.
이 광 반사방지부재(4)는, 복수의 수광소자(7)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하여 공간실(11)내에 장착되어 있다.
단, 이 광 반사방지부재(4)에는, 각 렌즈(31)를 통과해 온 광을 복수의 수광소자(7)를 향해 진행시키기 위한 슬릿(4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에 대한 광 반사방지부재(4)의 장착은, 예를 들면 이 광 반사방지부재(4)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40)를 공간실(1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3)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실시되고 있다.
복수의 LED칩(6)은, 광원의 일예에 상당하는 것이며, 기판(5)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기판(5)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5)은, 예를 들면 세라믹제 또는 유리에폭시수지제이다.
이 기판(5)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칩(6)이나 복수의 수광소자(7)로의 전력공급이나 각종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배선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기판(5)에는 커넥터(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LED칩(6)이나 복수의 수광소자(7)는, 이 커넥터(50) 및 상기 배선패턴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기판(5)의 표면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부속부품의 한 예에 상당하는 복수의 점퍼(51)가 실장되어 있다.
각 점퍼(51)는, 상기 배선패턴 중, 서로 거리를 둔 부분 끼리를 도통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판(5)의 표면에는, 흑색영역(52a)(도 5의 크로스 해칭을 한 부분)과 백색영역(52)(도 5의 크로스 해칭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복수의 점퍼(51)에 크로스 해칭이 되어 있지 않으나, 이들의 표면은 흑색계이다.
백색영역(52b)은, 복수의 LED칩(6)의 근방에 한정되어 있으며, 기판(5)의 표면의 그 이외의 영역은 흑색영역(52a)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공간실(11)에 대향하는 기판(5)의 표면은 흑색영역(52a)이다.
케이스(1)에는, 공간부(14), 복수의 구획벽(15) 및 복수의 볼록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14)는, 케이스(1)의 저부로부터 상면부까지 관통하며, 또한 케이스(1)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공간부(14)의 상부는 투명판(2)에 의해 폐쇄됨과 동시에, 공간부(14)의 저부는 기판(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공간부(14)는, 복수의 LED칩(6)에서 발광된 광을 판독영역(S)으로 유도하기 위한 부분이며, 이 공간부(14)의 저부에 복수의 LED칩(6)이 배치되어 있다.
공간부(14)를 규정하는 복수의 벽면으로서는, 이 공간부(14)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두 개의 벽면(17a, 17b)과, 공간부(14)의 길이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벽면(17c, 17d)이 있다.
이들 벽면(17a)∼(17d)은, 모두 광 반사율이 높은 백색면이다.
벽면(17a, 17b)은 복수의 LED칩(6)에서 발광된 광을 판독영역(S)을 향해 진행시키는데 적당하도록 그들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기판(5)의 표면 중, 공간부(14)에 대향하는 영역은, 백색영역(52b)이다.
복수의 구획벽(15)은, 케이스(1)와 일체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구획벽(15)의 각 개소의 표면도 백색이다.
이들 복수의 구획벽(15)은, 벽면(17a)에서 공간부(14)의 짧은 방향으로 돌출한 평판형상이며, 공간부(1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간부(14) 가운데, 복수의 LED칩(6)의 측방 및 상방의 영역이,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획벽(15)에 의하여 복수의 구획영역(14a)으로 구획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구획영역(14a)의 각각의 폭(L, 공간부(14)의 길이방향의 폭)은, 각 개소가 대략 동일하다.
또, 복수의 구획벽(15)은, 복수의 구획영역(14a)의 각각의 폭 방향중앙부에하나의 LED칩(6)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획벽(15)은, 그들 전부 또는 일부가 복수의 점퍼(51)를 덮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점퍼(51)는,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공간부(14)와 공간실(11)을 구획하는 벽부(18)에서 공간부(14)로 비어져 나와 있으며, 이 비어져 나온 부분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구획벽(15)에 의해 덮여있다.
각 점퍼(51)를 덮는 구힉벽(15)의 하면부에는,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5a)내에 점퍼(51)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5a)는, 구획벽(15)의 하면부 만이 아니라, 벽부(18)에도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점퍼(51)를 구획벽(15)만으로 덮을 수가 있는 경우에는, 오목부(15a)를 벽부(18)에 걸쳐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퍼(51) 대신에, 콘덴서, 저항기, 앰프, 또는 그 이외의 부속부품이 기판(5)상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태에 의해, 그 부속부품을 구획벽(15)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볼록부(16)는, 복수의 구획벽(15)과 동일하게 케이스(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17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는, 이들 복수의 볼록부(16) 및 복수의 구획벽(15)의 존재에 의해, 그 기계적 강도가 강화되고 있다.
복수의 볼록부(16)의 각부의 표면도 백색이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6)는, 복수의 구획부(15)보다 짧은 치수의 평판형상이며, 그 하향의 선단면(16a)은, 복수의 LED칩(6)과 간격을 두고 그 정면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화상판독장치(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복수의 LED칩(6)에서 발광된 광은, 공간부(14)내를 판독영역(S)을 향해 진행한다.
이 광 가운데에는, 판독영역(S)을 향해 직접 진행하는 것, 벽면(17a)∼17(d)에 의해 반사되면서 판독영역(S)으로 진행하는 것, 복수의 구획벽(15) 및 복수의 볼록부(16)의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것, 및 기판(5)의 백색영역(52b)에 의해 반사되는 것이 있다.
이들 면은, 모두 광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이들 면에 많은 광이 흡수되는 일이 없으며, 판독영역(S)으로의 광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한편, 복수의 LED칩(6)에서 발광된 광은, 복수의 구획영역(14a)마다 판독영역(S)을 향해 진행한다.
단, 복수의 구획영역(14a)은, 각각의 치수나 내부에 배치된 LED칩(6)의 수나 위치가 대략 동일한 조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어느 구획영역(14a)에도 표면이 흑색계의 점퍼(51)가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획영역(14a)내에 있어서의 광의 발광량이나, 광의 반사상태를 각 개소가 동일한 상태로 할 수가 있으며,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각 개소의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복수의 LED칩(6)으로부터 그 바로 위로 향하는 광은, 복수의 볼록부(16)의 선단면(16a)에 의해 차폐되어, 그대로 판독영역(S)으로 직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각 개소 가운데, 각 LED칩(6)에 대향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조도가 높게되는 일도 없게 할 수가 있으므로, 판독영역(S)의 조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가 있다.
판독영역(S)에 진행한 광은, 투명판(2) 위의 원고(D)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그 후의 렌즈어레이(3)의 각 렌즈(31)를 투과하고 복수의 수광소자(7)에 의해 수광하게 된다.
복수의 수광소자(7)는, 광 반사방지부재(4)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복수의 수광소자(7)의 주변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이 산란반사를 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 화상판독장치(A)에 있어서는, 수광소자(7)로의 산란광의 입사방지효과, 판독영역(S)의 조도의 균일화, 및 원고(D)에 대한 조명효율향상의 상승효과에 의해, 질 높은 판독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획벽(15)의 구체적인 수나 간격의 치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구획영역(14a)내에 설치되는 광원의 수도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구획벽(15)은, 케이스(1)와는 별개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구획벽(15)을 갖는 부재를 케이스(1)에 조립해 넣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복수의 구획벽(15)은, 백색 이외의 색채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1)의 색채를 백색 이외의 흑색이나 그 밖의 색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1)를 흑색수지로 하는 한편, 복수의 구획벽(15)이나 그 밖의 소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장(塗裝)에 의해 백색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6∼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판독장치(Aa)는, 케이스(1)에 구멍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14')내에 보조부재(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부재(14')내에 보조부재(8)가 수용된 구조를 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부재(8)는, 일정한 방향으로 뻗는 측면(82a)을 가지고 있고, 이 보조부재(8)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측면(8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측벽부(80)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한 쌍의 측벽부(80)의 각각은, 광의 반사율이 높은 광 반사면(81, 81a)을 가지고 있다.
단, 보조부재(8)는, 케이스(1)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산화티탄을 함유시킨 백색의 수지제이며, 광 반사면(81, 81a) 이외의 표면에 있어서도 광 반사가 가능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부재(8)는, 그 길이방향 양단의 하부영역(8a)이, 구멍(14')의 길이방향 양단의 좁은 폭의 영역(14b)에 끼워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케이스(1)에의 위치결정을 도모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화상판독장치(Aa)에 있어서는, 케이스(1)의 구멍부(14') 가운데, 보조부재(8)의 측면(82a)과 그에 대향하는 케이스(1)의 벽면(17b) 사이의 영역이, 도광용 공간부(14)로 되어 있다.
측면(82a) 및 벽면(17b)은, 복수의 LED칩(6)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판독영역(S)으로 유도하는데 적당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공간부(14)는, 렌즈어레이(3)의 상면과 투명판(2)의 하면 사이의 공간영역도 포함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부재(8)의 각 측벽부(80)는, 그 광 반사면(81)이 공간부(14)의 길이방향 양단을 규정하도록, 케이스(1)의 두 개의 벽면(17c, 17d)과 대략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부재(8)의 각 측벽부(80)의 작은 돌기형상의 선단부(80a)는, 렌즈어레이(3)의 길이방향 단부와 투명판(2)의 길이방향 단부의 사이에 진입해 있으며, 렌즈어레이(3)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있다.
따라서, 렌즈어레이(3)의 고정이 보다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선단부(80a)의 측면에 해당되는 광 반사면(81a)은, 렌즈어레이(3)와 투명판(2) 사이에 있어서 공간부(14)에 대면하고 있다.
다음에, 화상판독장치(A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LED칩(6)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공간부(14)내를 판독영역(S)을 향해 진행한다.
이 경우,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은 공간부(14)의 길이방향으로도 확산하면서 진행한다.
공간부(14)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향해 진행한 광은, 광 반사면(81, 81a)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반사되며, 그 반사광의 일부는 판독영역(S)에 도달한다.
이 경우, 그 반사광의 대부분은,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진행한다.
특히, 광 반사면(81a)은, 렌즈어레이(3) 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이 광 반사면(81a)을 향해 진행되어 온 광은,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효율좋게 반사된다.
따라서, 판독영역(S)의 길이방향 양단부로의 광의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가 있으며, 그 부분의 조도가 길이방향 중앙부의 조도와 비교하여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 화상판독장치(Aa)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의 화상판독장치(A)와 동일하게, 판독영역(S)의 조도를 균일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판독화상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실시형태의 화상판독장치(A)도, 그 공간부(14)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규정하는 벽면(17c, 17d)은 광의 반사가 가능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화상판독장치(Aa)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가 있다.
화상판독장치(Aa)에 있어서의 상기한 효과는, 보조부재(8)의 광 반사면(80, 81a)이 광을 반사함으로서 얻어지는 것이며, 그래서 케이스(1)를 백색 이외의 색채로 하는 경우에도 얻어질 수가 있다.
따라서, 이 화상판독장치(Aa)의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스를 예를 들면 흑색수지제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 반사면은, 케이스와는 별개 체의 보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에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를 흑색수지제로 하였을 경우에, 그 케이스의 소정의 부분에 백색도장을 실시하는 수단, 또는 백색도료 이외의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 또는 부재를 형성하는 수단에 의해, 광 반사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사항 이외에도 여러 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LED칩 이외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영역의 길이방향 양단부와 중앙부의 조도가 균일화 된 화상판독장치가 이루어진다.
Claims (20)
- 복수의 광원을 열 형상으로 배열시켜 표면에 탑재하고 있는 기판과,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에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의 열 방향으로 뻗은 도광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상기 판독영역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소자 위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판독장치로서,상기 공간부를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구획영역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획벽은, 상기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이 동일한 개수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구획벽의 각각의 표면은, 받은 광을 반사 가능한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구획벽은 백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공간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면의 전체 및 상기 기판의 표면 가운데 상기 공간부에 대면하는 영역도, 또한 백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백색의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주위를 에워싸는 광 반사방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의 정면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차폐하는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의 표면에는, 부속부품이 탑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속부품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부속부품은,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벽 가운데 상기 부속부품을 덮는 부분에는, 상기 부속부품을 내부에 배치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어레이가 끼워 삽입되는 홈 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투명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투명판의 표면이 상기 판독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상기 투명판의 이면에는, 상기 렌즈어레이를 상기 홈 부의 저부방향으로 압박 가능하게 상기 렌즈어레이에 맞접하는 볼록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렌즈어레이는, 일정한 방향으로 뻗는 홀더에 복수의 렌즈가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유지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볼록형상부는,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홀더에 맞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투명판을 끼워 삽입하는 개방구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투명판과 상기 개방구부의 주벽부에는, 상기 투명판이 상기 렌즈어레이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투명판을 상기 케이스에 걸어 고정시키는 적어도 1세트 이상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복수의 광원을 열 형상으로 배열시켜 표면에 탑재하고 있는 기판과,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라인형상의 판독영역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복수 광원의 열 방향으로 뻗은 도광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상기 판독영역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수광소자 위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판독장치로서,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양단을 규정하는 한 쌍의 벽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 한 쌍의 벽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받은 광을 반사 가능한 광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광 반사면은, 백색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도광용 공간부는, 상기 판독영역과 상기 렌즈어레이 사이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그 영역에 대하여 상기 광 반사면이 대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와는 별개체로 형성되며, 또한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백색으로 된 보조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조립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상기 보조부재의 일부가 상기 광 반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어레이를 끼워 삽입시키는 홈 부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렌즈어레이가 상기 홈 부에서 탈출하는 것을방지하도록 상기 렌즈어레이와 상기 판독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어레이가 끼워 삽입되는 홈 부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투명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투명판의 표면이 상기 판독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상기 투명판의 이면에는, 상기 렌즈어레이를 상기 홈 부의 저부방향으로 압박 가능하게 상기 렌즈어레이에 맞접하는 볼록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255602 | 1998-09-09 | ||
JP25560298A JP3850998B2 (ja) | 1998-09-09 | 1998-09-09 | 画像読み取り装置 |
JP10-282664 | 1998-10-05 | ||
JP28266498A JP3727785B2 (ja) | 1998-10-05 | 1998-10-05 | 画像読み取り装置 |
JP10-282640 | 1998-10-05 | ||
JP28264098A JP3810928B2 (ja) | 1998-10-05 | 1998-10-05 | 画像読み取り装置 |
JP10-295004 | 1998-10-16 | ||
JP29500498A JP3774071B2 (ja) | 1998-10-16 | 1998-10-16 | 画像読み取り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4995A true KR20010074995A (ko) | 2001-08-09 |
KR100445400B1 KR100445400B1 (ko) | 2004-08-21 |
Family
ID=2747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02966A KR100445400B1 (ko) | 1998-09-09 | 1999-09-06 | 화상판독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6917453B1 (ko) |
EP (1) | EP1111901A4 (ko) |
KR (1) | KR100445400B1 (ko) |
CN (1) | CN1157926C (ko) |
TW (1) | TW448678B (ko) |
WO (1) | WO20000149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26498B1 (en) * | 2000-04-03 | 2002-07-30 | Hewlett-Packard Co. | Optics module for optical scanning device |
TW527817B (en) * | 2000-08-11 | 2003-04-11 | Canon Kk |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US7212317B2 (en) * | 2001-07-05 | 2007-05-01 | Canon Kabushiki Kaisha | Original scanning apparatus |
EP1492324A4 (en) | 2002-03-29 | 2006-08-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IMAGE READER |
TW571560B (en) * | 2002-07-05 | 2004-01-11 | Veutron Corp | Image capture light-focu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TW562371U (en) * | 2002-09-24 | 2003-11-11 | Veutron Corp | Carriage device of scanner |
CA2646498C (en) * | 2002-12-27 | 2012-01-10 | Japan Cash Machine Co., Ltd. | Optical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optical features of valuable papers |
JP2005295113A (ja) * | 2004-03-31 | 2005-10-20 | Canon Inc | 画像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
JP2007221360A (ja) * | 2006-02-15 | 2007-08-30 | Rohm Co Ltd |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TWI304772B (en) * | 2006-11-02 | 2009-01-01 | Avision Inc | Scanning device and optical module thereof |
JP2009205027A (ja) * | 2008-02-29 | 2009-09-10 | Kyocera Mita Corp |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
JP2010032744A (ja) * | 2008-07-29 | 2010-02-12 | Ricoh Co Ltd | 照明装置 |
JP5542756B2 (ja) * | 2011-08-31 | 2014-07-09 |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900795B2 (ja) * | 2012-03-14 | 2016-04-0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発光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JP6355446B2 (ja) * | 2014-06-16 | 2018-07-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US20170318180A1 (en) * | 2014-12-02 | 2017-11-02 | Canon Components, Inc. | Image sensor unit,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1553846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7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2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8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3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7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414S (ko) * | 2015-06-18 | 2016-07-11 | ||
JP1553845S (ko) * | 2015-06-18 | 2016-07-11 | ||
US20170295287A1 (en) * | 2016-04-08 | 2017-10-12 | Canon Components, Inc. | Manufacturing method of sensor unit and read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8068A (ja) | 1991-09-26 | 1993-04-09 | Canon Inc | 撮像装置 |
JPH0588068U (ja) * | 1992-04-28 | 1993-11-26 |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 |
JP2760386B2 (ja) * | 1992-06-11 | 1998-05-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
DE69324406T2 (de) * | 1992-06-11 | 1999-11-11 | Canon K.K., Tokio/Tokyo | Kontaktbildsensor, Verfahren zur dessen Herstellung und Informationsverarbeitungsgerät |
US6014231A (en) * | 1992-09-09 | 2000-01-11 | Rohm Co., Ltd. | Image sensor |
DE69435168D1 (de) * | 1993-01-19 | 2009-01-02 | Canon Kk | Längliche Beleuchtungsvorrichtung und Informationsauslesevorrichtung, die eine solche Beleuchtungsvorrichtung aufweist |
JPH06276355A (ja) * | 1993-03-23 | 1994-09-30 | Canon Inc |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
JPH0746374A (ja) * | 1993-07-30 | 1995-02-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
JP3202856B2 (ja) * | 1993-12-28 | 2001-08-27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読み取り装置 |
JPH08125814A (ja) * | 1994-10-28 | 1996-05-17 | Canon Inc | 光電変換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
JPH08340419A (ja) * | 1995-06-14 | 1996-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ー |
JPH09200432A (ja) * | 1996-01-24 | 1997-07-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イメージセンサー |
US6496285B1 (en) * | 1998-02-25 | 2002-12-17 | Rohm Co., Ltd. | Image reading apparatus |
JPH11284796A (ja) * | 1998-03-30 | 1999-10-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イメージセンサ |
TW417380B (en) * | 1998-05-29 | 2001-01-01 | Rohm Co Ltd | Unified pick-up head for image reading and writing and the image processor comprising the same |
CN1164071C (zh) * | 1998-07-31 | 2004-08-25 | 罗姆股份有限公司 | 图象读写一体头以及具有该头的图象处理装置 |
US7085023B2 (en) * | 2003-10-14 | 2006-08-0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Image-reading apparatus |
-
1999
- 1999-09-06 WO PCT/JP1999/004845 patent/WO2000014949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9-09-06 KR KR10-2001-7002966A patent/KR1004454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9-06 CN CNB998107530A patent/CN115792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9-06 EP EP99940698A patent/EP1111901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9-09-06 US US09/786,680 patent/US69174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9-08 TW TW088115497A patent/TW448678B/zh active
-
2005
- 2005-04-13 US US11/104,464 patent/US721544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7926C (zh) | 2004-07-14 |
TW448678B (en) | 2001-08-01 |
KR100445400B1 (ko) | 2004-08-21 |
EP1111901A1 (en) | 2001-06-27 |
CN1317195A (zh) | 2001-10-10 |
US6917453B1 (en) | 2005-07-12 |
EP1111901A4 (en) | 2006-05-10 |
US7215448B2 (en) | 2007-05-08 |
WO2000014949A1 (fr) | 2000-03-16 |
US20050179965A1 (en) | 2005-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5400B1 (ko) | 화상판독장치 | |
KR100290011B1 (ko) | 밀착형이미지센서 | |
US6724503B1 (en) | Image sensor substrate and image sensor employing it | |
US6469808B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lluminator used for the same | |
JP4104064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KR20150084904A (ko) | 화상 판독 장치 | |
US6496285B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US6612730B1 (en) | Rod-shaped light guide and illuminating device incorporating rod-shaped light guide | |
WO2019003480A1 (ja) | 導光体及び画像読取装置 | |
US6081351A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JP3964899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6479286B2 (ja) | 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
JPH1155456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US20010024299A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JP4096421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6395988B1 (ja) | 導光体及び画像読取装置 | |
JPH11215301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3850998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H10271278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3727785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6735958B1 (ja) | 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
JP3810928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4047507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3774071B2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H11331497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