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983A - 수동펌프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수동펌프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983A
KR20010071983A KR1020017000819A KR20017000819A KR20010071983A KR 20010071983 A KR20010071983 A KR 20010071983A KR 1020017000819 A KR1020017000819 A KR 1020017000819A KR 20017000819 A KR20017000819 A KR 20017000819A KR 20010071983 A KR20010071983 A KR 2001007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ainer
cylinder
valve
interna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685B1 (ko
Inventor
쓰지이노리히로
쓰바키다쓰오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다카하시 미치나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다카하시 미치나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노 쇼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7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 용기 본체내의 부압방지를 위해 받아들여진 외기가 바이패스관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용액이 정상적으로 원활한 배출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수동펌프(1)로의 내부 용액의 공급을, 용기 본체(50)를 바로 세운 자세와 거꾸로 세운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전환하는 전환밸브(20)를 설치함으로써,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내부 용액의 가압배출을 가능하게 한 수동펌프부착용기에 있어서, 부압방지를 위해서 외기를 용기 본체(50)내로 도입하는 통로의 용기 본체(50) 안쪽 개구를, 캡체(40)의 뒷부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전환밸브(20)를 앞쪽 아래로 경사시켜서 캡체(40)의 하부에 장착하여, 내부 용액속을 기포가 되어 떠오르는 외기가, 전환밸브(20)의 내부 용액 흡입을 위한 관통구멍(26)에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전환밸브(20)의 역지밸브의 밸브시트로의 착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쉽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수동펌프부착 용기{CONTAINER WITH MANUAL PUMP}
노즐헤드를 눌러 내리거나 레버조작 등에 의해 용기 본체내의 화장액, 세제, 살충제 등을 배출 혹은 분무하는 종류의 수동펌프부착 용기에 있어서, 뒤집어서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표적인 예로서, 일본 특공평2-15264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8-33242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수동펌프를 조립하여 부착함과 동시에, 이 수동펌프의 실린더와 연이어 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바로 세운 자세에서 역지밸브 기능을 발휘하는 밸브구(球)로 구성되는 보조밸브(또는 역지밸브)가 부착된 보조밸브케이싱(또는 바이패스)을 가진 바로 세움·거꾸로 세움 겸용 밸브를 장착하고, 이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에는, 보조밸브(역지밸브)의 탈락을 방지하는스토퍼와 밸브시트 사이의 벽부분에 슬릿(또는 가로구멍)을 형성하여, 밸브의 하단에 흡입관(또는 흡입 파이프)을 부착하고, 더욱이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의 위쪽에 외기를 흡입함으로써 내부 용액의 감소에 의한 용기 본체내의 부압화를 방지하는 부압방지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세워 사용할 때에는, 수동펌프의 노즐헤드 또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흡입관(흡입 파이프)을 통해 내부 용액을 빨아올려 가압배출하고, 또한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는, 수동펌프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상태가 된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의 슬릿(가로구멍)으로부터 내부 용액을 흡인하여 가압배출하며, 또한 어느 경우나, 내부 용액의 감소에 따른 용기 본체내의 부압화를 부압방지기구에 의해 외기를 받아들임으로써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 있어서, 부압방지기구에 의해 받아들인 공기가 내부 용액속을 상승하여, 이 부압방지기구의 대략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의 슬릿(가로구멍)으로부터,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내에 내부 용액과 함께 흡입되는 결과, 수동펌프의 조작에 의해 가압배출되는 내부 용액에 이 공기가 혼입하기 때문에, 내부 용액의 가압배출이 불량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이 대략 수평자세가 된 상태에서는, 구형상의 역지밸브가 경사한 밸브시트면을 굴러 밸브시트에 착석할 수 없고, 이 상태에서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의 슬릿(가로구멍)이 공기중에 노출하면, 이 슬릿(가로구멍)을 지나서 공기를 펌프기능부분내에 흡인하여, 내부 용액의 배출이 불량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노즐헤드를 눌러 내리거나 레버 조작 등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부 용액을 빨아 올려 가압 배출하는 수동펌프부착 용기, 특히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수동펌프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 용기 본체내의 부압방지를 위해 받아들인 공기가 펌프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며, 더욱이 내부 용액의 정상적이고 원활한 배출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내의 역지밸브를 경사한 밸브시트면을 구르는 일이 없이 밸브시트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며, 더욱이 보조밸브케이싱(바이패스)이 대략 수평자세가 된 상태에서도 역지밸브의 밸브시트로의 착석을 확실히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내부 용액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를 가진 것,
이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조립부착통을 통해 장착되고, 수동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흡입 파이프를 통해 빨아 올려, 가압배출하는 수동펌프를 가진 것,
이 수동펌프의 조립부착통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동펌프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형상의 도입통을 설치한 캡체를 가진 것,
이 캡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단에 흡입 파이프를 연결한 기초관의 상부에,캡체의 도입통에 연이어 통하는 도입관과, 관벽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단을 닫은 바이패스관을 병설하여, 내부에 설치한 역지밸브의 작용에 의해 도입관과 바이패스관 사이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차단하고,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는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전환밸브를 가진 것,
수동펌프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이 실린더의 일부에서 외기를 받아들여, 수동펌프의 조립부착통내의 비어 있는 곳을 거쳐, 캡체의 뒷부분 위치로부터 용기 본체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부압방지용 통기로를 설치하는 것,
전환밸브를 앞쪽 아래로 경사시켜서 캡체하부에 장착하는 것에 있다.
용기를 바로 세워 사용할 때에는, 전환밸브내의 역지밸브가 바이패스관과 기초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으며, 수동펌프의 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분출시킨 후, 피스톤의 복귀에 의해 실린더내부가 부압화하면, 용기 본체내의 내부 용액이, 흡입 파이프 및 전환밸브의 기초관과 도입관을 지나서 실린더내로 빨아 올려지고, 동시에 부압방지용 통기로에서 외기가 용기 본체내에 흡인되어, 용기 본체내의 부압화가 방지된다.
이 때, 전환밸브는 역지밸브에 의해 바이패스관과 기초관의 사이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된 외기가 바이패스관으로부터 기초관내에 침입하는 일이 없어, 수동펌프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는, 전환밸브내의 역지밸브가 바이패스관과 기초관의 사이를 연이어 통하기 때문에, 수동펌프의 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분출시킨 후, 그대로 피스톤을 복귀시켜 실린더내를 부압화시키면, 용기 본체내의 내부 용액은, 관통구멍으로부터 바이패스관과 기초관을 지나 실린더내로 흡인된다.
이 때, 내부 용액의 실린더내로의 흡입과 동시에, 부압화방지를 위해 부압방지용 통기로에서 용기 본체내에 흡인된 외기는, 캡체의 뒷부분 위치로부터 용기 본체내의 내부 용액속을 기포상태로 하여 떠오른다.
이 기포상태로 떠오르는 외기에 대하여, 전환밸브는 앞쪽 아래(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는 전방 위쪽)에 경사한 자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내의 내부 용액속을 기포상태로 떠오른 외기는, 떠오름에 따라서 전환밸브의 바이패스관에서 멀어지게 되고, 이 때문에 떠오르는 도중의 외기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바이패스관내에 흡인되는 일이 없어, 수동펌프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내부 용액의 감소에 의해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로 하면, 흡입 파이프의 하단이 내부 용액속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패스관의 관통구멍이 공기중에 노출하는 상황이 되는데 바이패스관은 앞쪽 아래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역지밸브는 밸브시트에 착석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공기를 바이패스관을 통해 기초관측으로 흡인하는 일은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캡체의 하부에 도입통과 연이어 통하는 동시에, 앞쪽 아래로 경사진 접속통을 설치하여, 이 접속통에 전환밸브의 도입관 상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캡체에 접속통을 설치하여, 이 접속통에 전환밸브를 조립하여 부착함으로써 전환밸브를 캡체에 대하여 앞쪽 아래로 경사진 자세로 조립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캡체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조립부착하기 위한 기능부분을 전환밸브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전환밸브와 흡입 파이프와의 조합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내부 용액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를 가진 것,
이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조립부착통을 통해 장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흡입 파이프를 통해 빨아올리고, 가압배출하는 수동펌프를 가진 것,
이 수동펌프의 조립부착통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동펌프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형상의 도입통을 설치한 캡체를 가진 것,
이 캡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단에 흡입 파이프를 연결한 기초관의 상부에, 캡체의 도입통에 연이어 통하는 도입관과, 관벽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상단을 닫고, 내부 하단에 밸브시트를 형성한 바이패스관을 병설하여, 이 바이패스관의 내부에 설치한 구형상의 역지밸브의 작용에 의해 도입관과 바이패스의 사이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차단하고,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는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전환밸브를 가진 것,
수동펌프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이 실린더의 일부에서 외기를 받아들이고, 수동펌프의 조립부착통내의 비어 있는 곳을 거쳐, 캡체의 뒷부분 위치로부터, 용기 본체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부압방지용 통기로를 설치하는 것,
역지밸브의 직경보다도 큰 내직경의 바이패스관의 안둘레면에, 적어도 3개의 세로의 돌출조형상의 가이드리브를, 역지밸브를 바이패스관의 중앙에 규제하여 위치시키는 배치관계로 설치하고, 각 가이드리브의 돌출 높이를, 가이드리브의 돌출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직경이, 역지밸브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값으로 설정한 것,
역지밸브는, 가이드리브에 의해 항상 바이패스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시트의 밸브시트면의 경사에 영향받지 않고, 가이드리브위를 굴러서 그대로 밸브시트에 착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만일 바이패스관이 대략 수평한 가로로 쓰러뜨린 자세가 되어, 공기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바이패스관내에 침입할 수 있는 용기의 사용상태가 되더라도, 작용하는 약간의 힘(기초관측의 부압에 의한 힘등)에 의해 역지밸브는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밸브시트에 착석하여, 공기가 바이패스관으로부터 기초관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펌프부착 용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주요부확대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캡체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중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거꾸로 세워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동펌프부착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주요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캡체에 전체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중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중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의 거꾸로 세워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7, 도 8, 도 9는 분무기로서 구성되어 있는 수동펌프(1)를 부착캡(30)에 의해 용기 본체(50)의 입구부에 나사맞춤하여 조립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커버(4)로 덮은 본체(2)의 선단에는 노즐입구를 가진 노즐헤드(3)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2)는 도 2,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캡(30)에 의해 용기 본체(50)의 입구부 상단의 조립부착통(5) 상부에, 중간의 적소에 밸브기구를 설치한 유로를 내부에 가진 세로통(6)을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이 세로통(6)과 조립부착통(5)를 외부에서 삽입하고, 또한 앞부분에 실린더(7)를 일체로 설치한 외통체 (8)를 설치하여, 세로통(6)내의 유로를 실린더(7)내 및 노즐헤드(3)내, 또한 캡체(40)와 전환밸브(20)와 흡입 파이프(25)를 통해 용기 본체(50)내에 연이어 통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2)의 앞부분에는, 도시를 생략한 스프링에 의해 복귀방향으로 가압된 조작레버(9)가 피봇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이 레버(9)에는 실린더(7)내를 전진 및 후퇴하는 피스톤(10)의 선단부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7)와 조립부착통(5) 사이의 일부에는 틈새(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실린더(7)와 조립부착통(5)에는, 틈새(14)를 통해 외기와 조립부착통(5)내의 비어 있는 공간(13)을 연이어 통하게 할 수 있는 통기구멍(11,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립부착통(5)내에 비어 있는 공간(13)의 한 쪽에는, 세로통(6)이 연이어 설치된 형태로 내통편(15)이 수직방향 아래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비어 있는 공간 (13)의 하부에는 조립부착통(5)에 끼워맞춤하며, 비어 있는 공간(13)의 하단을 닫는 형태로 캡체(40)가 조립부착되어 있다.
이 캡체(40)는 도 4, 도 5,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벽(41)의 윗면에, 내통편(15)에 끼워 맞춤하는 관통형상의 도입통(42)과, 내통편(15)에 외부 삽입하는 내통(43)과, 조립부착통(5)에 끼워맞춤하는 외통(44)이 각각 세워져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캡체(40)의 뒷부분에는, 외통(44)의 바깥둘레면과 바닥벽(41)의윗면에 걸쳐서 통기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외부와 용기 본체(50) 내부는, 피스톤(10)이 실린더(7)의 속부분으로 이동시킨 상태(내부 용액을 분무한 상태)에 있어서, 통기구멍(11), 틈새(14), 통기구멍(12), 비어있는 공간(13)의 상부 및 통기홈(45)으로 형성되는 부압방지용 통기로에 의해 연이어 통한다(도 2, 도 3, 도 8, 도 9, 도 10 참조).
또한, 캡체(40)의 바닥벽(41)의 아랫면에는 도입통(42)에 연이어 통하는 동시에, 수직에 대하여 앞쪽 아래로 경사하여, 안둘레면의 앞쪽 하부에 위치맞춤용 키홈을 형성한 접속통(4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는 접속통(46)을 수직으로 하강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캡체(40)의 하부에 경사진 상태로 조립부착되어 있는 전환밸브(20)는 기초관 (21)의 상부에, 윗부분이 접속통(46)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지고, 바깥둘레면의 앞쪽에, 접속통(46)의 키홈에 걸어맞춤하는 위치맞춤용 키돌기를 설치한 긴 도입관 (22)과, 상단 개구부가 덮개로 닫혀진 짧은 바이패스관(23)을 병열설치하여 구성되며, 기초관(21)내에 고정된 내관(24)의 하부에는 흡입 파이프(25)의 상단이 밀접하게 끼워 넣어지고 있다.
바이패스관(23)의 관벽에는 도 6, 도 14에 나타낸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 내부 용액을 펌프(1)에 받아들이기 위한 관통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안둘레면 하단에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된 밸브시트(27)의 위쪽에는 구형상의 역지밸브(28)가 수납되어 있다.
전환밸브(20)의 앞쪽 아래로의 경사정도는, 용기 본체(50)의 크기 및 형상의차이에 따라 변동폭은 있으나, 수동펌프(1), 전환밸브(20), 흡입 파이프(25) 그리고 부착캡(30)의 조합물의 용기 본체(50)에 대한 조립부착을 무리 없이 원활하게 달성시키기 위해서 약 20°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바이패스관(23)의 안둘레면에는 한 쌍의 관통구멍(26)을 피하여,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같은 간격(도 13 참조)으로 배치된 네 개의 가이드리브(29)를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접속통(46)을 앞쪽 아래로 경사한 자세로 설치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환밸브(20) 전체가 앞쪽 아래로 경사한 자세로 조립부착되기 때문에, 내부 용액의 감소에 의해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로 하면, 흡입 파이프(25)의 하단이 내부 용액중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패스관(23)의 관통구멍(26)이 공기중에 노출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역지밸브(28)는 밸브시트(27)에 착석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바이패스관(23)을 통해 기초관(21)측에 흡인되는 일이 없다.
접속통(46)을 수직자세로 설치한 실시예(도 9 참조)에 있어서는,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로 하였을 때에, 바이패스관(23)도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가 되어, 역지밸브(28)가 밸브시트(27)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지므로 전환밸브(20)의 구조를 도입관(22)에 대하여 바이패스관(23)이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고, 이에 따라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로 하여도 내부 용액이 많이 감소하지 않으면 바이패스관(23)이 공기중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내부 용액의 감소에 의한 용기 본체내의 부압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외기를 받아들이는 부압방지용 통기로의 용기 본체내로의 개구부를, 캡체의 뒷부분 위치에 형성하는 동시에, 전환밸브를 앞쪽 아래로 경사시켜 캡체 하부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용기를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 있어서, 용기 본체내에 흡입된 외기는 바이패스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내부 용액속을 기포상태로 떠올라, 바이패스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바이패스관내에 유입할 우려는 전혀 없고, 가압배출하는 내부 용액에 공기가 혼입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거꾸로 세워 사용하는 상태에서 내부 용액의 정상적인 가압배출동작을 확실하게 또한 원활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렇게 거꾸로 세워 사용할 때에는, 조작의 용이함 때문에, 용기를 수직형상으로 하는 것보다도, 앞부분 즉 배출구가 약간 하향이 되도록 약간 기울여서 배출조작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흡입된 외기는 용기 본체의 뒷벽 내면을 따라 떠올라, 바이패스관의 관통구멍으로부터는 더 멀어지기 때문에, 관통구멍으로부터의 외기의 흡인은 확실하게 회피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부착캡의 한 구성부분인 캡체에 접속통을 경사시켜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전환밸브를 부착캡에 일정한 경사자세로 조립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환밸브를 기존의 구조대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를 전환밸브의 바이패스관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자세로 사용하여, 그 때, 내부 용액의 감소에 의해 바이패스관이 공기중에 노출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바이패스관에 설치한 역지밸브의 역지작용이 확실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공기가 바이패스관을 지나서 펌프 기능부분측에 흡인되는 일이 없고, 내부 용액이 감소하더라도,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에서의 확실하고 안정적인 배출동작을 얻을 수 있다.
전환밸브의 바이패스관 안둘레면에 복수개의 가이드리브를 설치할 뿐인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 용액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50)와, 이 용기 본체(50)의 입구부에 조립부착통(5)을 통해 장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흡입 파이프(25)를 통해 빨아 올려, 가압배출하는 수동펌프(1)와, 상기 조립부착통(5)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동펌프(1)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형상의 도입통(42)을 설치한 캡체(40)와, 이 캡체(4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단에 상기 흡입 파이프(25)를 연결한 기초관 (25)의 상부에, 상기 도입통(42)에 연이어 통하는 도입관(22)과, 관벽에 관통구멍 (26)을 형성하여 상단을 닫은 바이패스관(23)을 병열설치하고, 내부에 설치한 역지밸브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도입관(22)과 바이패스관(23) 사이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차단하고,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는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전환밸브(20)로 구성하여, 상기 수동펌프(1)에 피스톤(10)이 실린더(7)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해당 실린더(7)의 일부에서 외기를 받아들여, 상기 조립부착통(5)내의 비어있는 공간(13)을 거쳐, 상기 캡체(40)의 뒷부분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50)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부압방지용 통기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환밸브(20)를 앞쪽 아래로 경사시켜 상기 캡체(40) 하부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수동펌프부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캡체(40)의 하부에, 도입통(42)에 연이어 통하는 동시에, 앞쪽 아래로 경사한 접속통(46)을 설치하여, 해당 접속통(42)에 전환밸브(20)의 도입관(22) 상부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수동펌프부착 용기.
  3. 내부 용액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50)와, 이 용기 본체(50)의 입구부에 조립부착통(5)을 통해 장착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내부 용액을 흡입 파이프(25)를 통해 빨아 올려, 가압배출하는 수동펌프(1)와, 상기 조립부착통(5)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동펌프(1)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형상의 도입통(42)을 설치한 캡체(40)와, 이 캡체(4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단에 상기 흡입 파이프(25)를 연결한 기초관 (21)의 상부에, 상기 도입통(42)에 연이어 통하는 도입관(22)과, 관벽에 관통구멍 (26)을 설치하여 상단을 닫고, 내부하단에 밸브시트(27)를 형성한 바이패스관(23)을 병열설치하여, 해당 바이패스관(23)의 내부에 설치한 구형상의 역지밸브(28)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도입관(22)과 바이패스관(23) 사이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차단하고,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는 연이어 통하게 하는 전환밸브(20)로 구성하고, 상기 수동펌프(1)의 피스톤(10)이 실린더(7)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해당 실린더(7)의 일부에서 외기를 받아들여, 상기 조립부착통(5)내의 비어있는 공간(13)을 거쳐, 상기 캡체(40)의 뒷부분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50) 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부압방지용 통기로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역지밸브(28)의 직경보다도 큰 내직경의 바이패스관(23)의 안둘레면에, 적어도 3개의 세로의 돌출조형상의 가이드리브(29)를, 상기 역지밸브(28)를 바이패스관(23)의 중앙에 규제하여 위치시키는 배치관계로 설치하고, 상기 각 가이드리브(29)의 돌출 높이를, 해당 가이드리브 (29)의 돌출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직경이, 상기 역지밸브(28)의 직경보다도 약간 커지는 값으로 설정한 수동펌프부착 용기.
KR1020017000819A 1998-07-24 1999-07-23 수동펌프부착 용기 KR10059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542 1987-08-21
JP20885298 1998-07-24
JP20885598 1998-07-24
JP208852 1998-07-24
JP208855 1998-07-24
JP20751999 1999-07-22
JP20754299 1999-07-22
JP207519 1999-07-22
PCT/JP1999/003974 WO2000004997A1 (fr) 1998-07-24 1999-07-23 Conteneur a pompe manu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983A true KR20010071983A (ko) 2001-07-31
KR100594685B1 KR100594685B1 (ko) 2006-06-30

Family

ID=2747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819A KR100594685B1 (ko) 1998-07-24 1999-07-23 수동펌프부착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86399B1 (ko)
EP (1) EP1101536B1 (ko)
JP (1) JP4379760B2 (ko)
KR (1) KR100594685B1 (ko)
CN (1) CN1089646C (ko)
AU (1) AU741507B2 (ko)
CA (1) CA2338369C (ko)
DE (1) DE69937240T2 (ko)
WO (1) WO2000004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9489B2 (en) * 2002-12-23 2011-05-10 Avon Products, Inc. Oil absorbent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IT1391100B1 (it) * 2008-08-06 2011-11-18 Spray Plast S P A Ora Mwv Vicenza S P A Spruzzatore per liquidi
ITBS20110167A1 (it) * 2011-11-30 2013-05-31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JP6161388B2 (ja) * 2013-04-30 2017-07-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ィスペンサの吸引パイプ連結用アダプター
ITMI20130976A1 (it) * 2013-06-13 2014-12-14 Mwv Vicenza S P A Spruzzatore per liquidi con dispositivo usd utilizzabile anche in posizione orizzontale
US20160311921A1 (en) 2013-06-20 2016-10-27 Morphotek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ovarian cancer
JP6456687B2 (ja) * 2014-06-30 2019-01-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EP3503792B1 (en) * 2016-08-29 2023-10-04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Inline vacuum spring sustained duration sprayer
CN108889482B (zh) * 2018-05-15 2020-06-26 孙健春 一种喷枪的水壶结构
US10981187B2 (en) * 2018-06-21 2021-04-20 Melissa McGarry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directional fluid pumping
EP3718642B1 (en) * 2019-02-28 2021-12-29 OP-Hygiene IP GmbH Invertible hand held trigger spray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4360A (en) * 1957-12-23 1960-02-09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Aerosol dispensers and like pressurized packages
US3794202A (en) * 1971-03-26 1974-02-26 Seagram & Sons Inc Non-refillable pouring closure for liquor bottles
JPS61899Y2 (ko) * 1978-11-07 1986-01-13
JPS55167466U (ko) * 1979-05-16 1980-12-02
DE3045565C2 (de) * 1980-12-03 1983-01-20 Deutsche Präzisions-Ventil GmbH, 6234 Hattersheim Vorrichtung zum Versprühen einer Flüssigkeit aus einem Behälter
JPS5996191U (ja) * 1982-12-20 1984-06-29 関西熱化学株式会社 塔槽類補修用金具
US4775079A (en) * 1985-11-05 1988-10-04 Hans Grothoff Upright/inverted pump sprayer
JPH06363Y2 (ja) * 1987-10-29 1994-01-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US4993214A (en) * 1988-03-08 1991-02-19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assembling a trigger sprayer device
JPH0642062B2 (ja) 1988-07-04 1994-06-01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4942985A (en) * 1989-02-02 1990-07-24 Emson Research Inc. 360 degree valve for atomizing pump dispenser
JP2526873Y2 (ja) * 1990-06-05 1997-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CN1067946A (zh) * 1991-06-20 1993-01-13 弗里茨·麦肯斯多克有限公司 喷射泵
US5341967A (en) * 1993-05-26 1994-08-30 Dowbrands Inc. Trigger sprayer for upright or inverted dispensing without leakage
US5462209A (en) * 1994-05-13 1995-10-31 Contico International, Inc. Trigger sprayer operable in upright, downturned and inverted positions
JPH08332423A (ja) 1995-04-04 1996-12-17 Canyon Corp 手動式ディスペンサ−の正立・倒立兼用バルブおよび手動式ディスペンサ−
JP3491392B2 (ja) 1995-06-28 2004-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交差コイル型指針装置
JP3327448B2 (ja) * 1995-12-18 2002-09-24 花王株式会社 スプレー容器
US5803319A (en) * 1996-01-19 1998-09-08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Invertible spray valve and container containing same
NL1005189C2 (nl) * 1997-02-05 1998-08-06 Airspray Int Bv Afgeefsamenstel voor het afgeven van twee vloeibare componenten.
JP3741859B2 (ja) * 1998-04-08 2006-02-01 ライオン株式会社 注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9760B2 (ja) 2009-12-09
EP1101536A1 (en) 2001-05-23
EP1101536B1 (en) 2007-10-03
WO2000004997A1 (fr) 2000-02-03
KR100594685B1 (ko) 2006-06-30
CN1310646A (zh) 2001-08-29
DE69937240T2 (de) 2008-07-10
AU4800699A (en) 2000-02-14
EP1101536A4 (en) 2005-01-12
DE69937240D1 (de) 2007-11-15
CN1089646C (zh) 2002-08-28
AU741507B2 (en) 2001-12-06
US6386399B1 (en) 2002-05-14
CA2338369C (en) 2005-04-05
CA2338369A1 (en) 200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685B1 (ko) 수동펌프부착 용기
US7413134B2 (en) Trigger type fluid dispenser
US7182869B2 (en) Fuel filter arrangement
US4371098A (en) Atomizer usable in both normal and inverted orientations
US7066153B2 (en) Jet pump with improved start-up properties and fuel delivery system equipped with such jet pump
SK6932001A3 (en) A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US6722855B2 (en) Oil pumping device
GB2413171A (en) Float activated fuel tank valve
EP2121368A1 (en) Fuel tank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010031772A (ko) 정립과 도립 겸용 트리거식 액체분출 용기
US20050286103A1 (en) In-tank fuel supply unit with attachable jet pump assembly and filter
EP1068980B1 (en) Fuel tank
KR200438751Y1 (ko)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CA2249932A1 (en) Multi-level fuel pickup
US20050129527A1 (en) Jet pump device
JP3760852B2 (ja) 燃料タンク内の燃料供給装置
EP0396118A2 (en) Delivery fitting for hydromassage bath tub
JP439218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GB2390122A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JP2004036449A (ja) 燃料タンク用統合バルブ
JP3710617B2 (ja) 泡噴出ポンプ
JP3771068B2 (ja) 正倒立両用ポンプ
JP3883757B2 (ja) 正倒立両用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H07304341A (ja)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JP3550145B1 (ja) 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