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076A -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 Google Patents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076A
KR20010070076A KR1020000054265A KR20000054265A KR20010070076A KR 20010070076 A KR20010070076 A KR 20010070076A KR 1020000054265 A KR1020000054265 A KR 1020000054265A KR 20000054265 A KR20000054265 A KR 20000054265A KR 20010070076 A KR20010070076 A KR 20010070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sistant
cushioning material
felt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다히로유끼
타카무라히로유끼
타카쿠라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마쓰마루 가즈오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마루 가즈오,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마루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1007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0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1Cush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07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적층판에 요구되어지는 고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쿠션량이 풍부하고 장시간 프리플레그(prepreg)에 대하여 균압성(均壓性)과 안정적인 승온성(昇溫性)을 유지할 수 있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제공함과 동시에 직접 쿠션재가 수지제 프리플레그(prepreg)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기포(基布)마크에 의한 가압변형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에서 니들펀칭(needle punching)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felt-like)의 쿠션재에 의하여 감싸넣도록 하는 심재(芯材)가 공극을 분산 형성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Heat-resistant cushion material for forming press}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용 종이페놀 적층판이나 글라스 에폭시(glass epoxy) 적층판, 또는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등의 건축용 화장합판(化粧合板)등 피성형재료에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평판상시트{수지제 프리플레그(prepreg)}의 성형에 사용되어지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기판용 종이페놀 적층판이나 글라스 에폭시 적층판등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는, 열반(熱盤)이나 경면판(鏡面板)의 요철(凹凸), 변형, 두께변형 등을 흡수하여 성형 프리플레그(prepreg)(B단계 상태)의 전체면에 균등한 압력과 열을 전달한다고 하는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는 것이였다. 즉 열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프리플레그는 가열에 의해 일단 점도가 하강하여 액체상태로 돌아온 후 서서히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성형시 프리플레그시트의 전체면에 열반(熱盤)으로부터 열과 압력이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프리플레그시트 면에 접하여 금속경면판이 배치되고 열반(熱盤)과 금속경면판 사이에 쿠션재가 개재하고 있다.
종래 이 쿠션재로서 크라프트지 등의 쿠션지를 성형조건에 마추어서 복수매 중첩하여 사용하고 있었지만, 사용 중에 열과 압력을 받기 때문에 펄프가 손상을 받아 취화(脆化)하여, 성형조건이 까다로운 것은 1회 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매회 크라프트지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또한 성형조건에 맞는 필요매수를 계산하여 준비하여 놓을 필요가 있고, 더욱이 프레스기계로의 셋팅도 기계로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인원을 감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많은 크라프트지를 비축해 놓을 필요가 있고 비축하고 있는 동안에 외기(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공조(空調)할 필요가 있어서 상당히 노력이 들었다. 크라프트지의 절단면으로부터 작은 가루가 비산하여 제품에 악영향을 주는 일도 있었다.
이 때문에, 크라프트지 대신에 고무를 주체(主體)로 한 쿠션재나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를 적층하고 니들펀칭(needle punching)으로결합 일체화한 쿠션재가 개발되어 성형조건에 따라 사용회수는 다르지만, 수백회의 사용이 가능해 졌다.
상기한 고무를 주체(主體)로 한 쿠션재나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를 적층하고 니들펀칭(needle punching)으로 결합 일체화한 쿠션재는 고온 고압하에서 반복사용에 견딜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가전제품의 소형화 고성능화 및 개인용 컴퓨터 등의 급격한 보급과 소형화에 의한 프린트기판에 요구되어지는 성능, 품질이 점점 더 엄격해져 왔다.
이것에 따라 고무 주체(主體)의 쿠션재는 사용초기에 있어서는 쿠션재 성능으로 양호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고온, 고압하에서의 반복사용에 의해 고무가 급격하게 취화(脆化)하기 때문에 쿠션양도 급격하게 저하하고 적층판에 불량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문제로 되지 않았던 품질이 최근에서는 핀사이의 배선수(配線數)의 증가 등에 의한 요구품질의 레벨 업을 만족시킬 수 없고 사용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를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쿠션재는 고온 고압하에서 반복사용에 견디지만, 사용회수를 거듭함에 따라 기판을 성형할 때에 발생하는 성형품의 수지 흐름에 기인하는 쿠션재로의 오목모양(凹狀)의 생성 및 펠트모양의 쿠션재 자체의 쿠션량의 저하로 인해, 성형시에 프리플레그에 대하는 균압성(均壓性)이 서서히 악화되고 종래에는 문제로 되지 않았던 적층판의 근소한 표면의 요철(凹凸)등이 최근의 배선판의핀사이의 배선수의 증가등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고 이것이 원인으로 쿠션재가 수명이 다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열프레스공정에 있어서 프리플레그는 가열에 의해 일단 점도가 하강하여 액체상태로 돌아온 후 서서히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성형시 프리플레그 시트 전체면에 열반(熱盤)으로부터 열과 압력이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프리플레그 시트면에 접하여 금속경면판이 배치되고 열반(熱盤)과 금속경면판 사이에 쿠션재가 개재하고 있지만,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 쿠션재로서 공극(空隙)을 갖는 고무 등의 탄성재를 펠트사이에 넣어 여러개를 합한 구조를 시행했다. 그러나 이 경우 경면판(鏡面板)인 금속판을 개재하여 수지제 프리플레그와 쿠션재가 위치하지 않고 쿠션재가 직접 회로기판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에 접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기포(基布)의 교종점(交終点)에서 압력이 과다하게 되고 기포(基布)마크가 회로기판상으로 나와서 가압의 균일성이 부족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적층판에 요구되어 지는 고품질을 달성하기 위한 쿠션양이 풍부하고 장시간 프리플레그에 대하여 균일성과 안정한 승온성(昇溫性)을 유지할 수 있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제공함과 동시에 직접 쿠션재가 수지제 프리플레그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기포(基布)마크에 의한 가압변형이 없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접착하기 전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종래제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2 : 공극이 분산 형성되고 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내열성고무 등의 탄성
2' : 공극이 분산 형성되고 기포를 갖는 미가류(未加硫)의 스폰지형태의 내
열성고무 등의 탄성재
3 : 내열성 접착시트
4 : 펠트모양의 쿠션재 내열성 기포
5 : 펠트모양의 쿠션재 내열성 배트섬유층(vat fiber layer)
6 : 펠트모양의 쿠션재
7 : 공극이 적당히 유지되도록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부직포에 수지를 함침
(含浸)한 수지가공품
8 : 내열성직포, 내열성 종이, 내열성필름 등의 내열성시트재
8a : 내열성직포
8b : 내열성부직포
9 : 공극이 없는 고무
10 : 금속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열성이 있는 섬유를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의 쿠션재에 의하여 심재(芯材)를 감싸도록 하는 구조로 하고, 이 심재는 공극을 분산 형성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제공한다.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구성하는 심재에 적당한 공극이 분산 유지되어지도록 가압하에서 장기간 충분한 쿠션량이 유지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심재의 양면에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형성되는 펠트모양의 쿠션재를 배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승온속도(昇溫速度)의 조정이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칭량(稱量)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는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한면에 형성하는 심재는 성형면에 위치하는 쪽이 평탄면(平坦面)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공극을 분산하여 형성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펠트모양의 쿠션재 및 심재의 양표면 또는 상기 심재만의 표면에 내열종이, 내열직포, 내열필름등의 내열성 시트재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구성하는 심재가 적층판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를 가열성형을 하는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고, 상기 심재중의 공극을 유지하고 적층판에 요구되어지는 고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쿠션량에 상당히 장시간 프리플레그에 대하여 균압성(均壓性)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는 공극이 크기 때문에 칭량(稱量)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열이동량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반내의 온도변형을 시정하고프리플레그 시트에 균일한 열량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심재의 글라스 전이점(轉移点)이 실온 이하인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가열성형 과정중의 전온도영역에 있어서 부두러운 고무상태가 유지되어 지기 때문에, 열반이나 경면판의 요철, 변형, 두께변형 등을 흡수하여 성형 프리플레그(B단계 상태)의 전체면에 균등한 압력을 장기간 전달할 수 있고, 또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는 공극이 크므로 칭량(稱量)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열이동량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반내의 온도변형을 시정하고 프리플레그 시트에 균일한 열량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가 얻어질 수 있다.
다시 또한, 상기 심재의 공극이 분산 유지되고 있는 독립기포 혹은 연속기포 또는 독립기포와 연속기포의 조합한 스폰지형태의 고무 공극을 분산 형성한(다공성)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 또는 공극이 적당히 유지되도록 내열성직포 또는 부직포에 수지를 함침한 수지가공품이기 때문에, 종래 공극이 없는 고무에 비하여 쿠션량이 많고 또한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 부직포의 수지가공품을 심재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펠트모양의 쿠션재 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쿠션량이 많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쿠션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는 공극이 크므로 칭량(稱量)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열이동량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반내의 온도변형을 시정하고 프리플레그 시트에 균일한 열량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가 얻어질 수 있다. 심재의 공극을 형성하는 기포에 관해서는, 저압에서의 프레스(가압)성형시에는 기포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으므로 독립기포 또는 연속기포 어느것도 좋고, 고압에서의 프레스(가압)성형에서는 기포가 찌그러지는 일이 있으므로 독립기포가 바람직하다.
다시 또한, 상기 심재를 내열성이 있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등의 섬유를 주된 원료로 한 배트섬유층을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 쿠션재로 감싸 넣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심재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쿠션성과 펠트모양 쿠션재 부분의 압력변화에 따른 쿠션성에 의해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는 공극이 크므로 칭량(稱量)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요구되는 열이동량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반내의 온도변형을 시정하고 프리플레그 시트에 균일한 열량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또한, 공극이 분산 유지되고 있는 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고무 등의 소재로 되는 상기 심재와 펠트모양 쿠션재의 결합은, 심재가 고무로 유황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의 것에 대해서는 고무에 가류(加硫)를 겸하여 평반 프레스로 접착가공한다. 이미 심재의 고무가 가류(加硫)되어 있는 것 또는 공극이 적당히 유지되어 지도록 내열성 직포 또는 부직포에 수지를 함침한 심재에 대해서는 내열성 접착시트를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으로 접착한다.
다시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표면에 내열성 종이, 내열성직포, 내열성필름 등의 내열성 시트재를 내열성 접척제 또는 가열가압에 의한 자기접착성(自己接着性)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 종이, 내열성직포, 내열성필름 등의 내열성 시트재가 막(膜)으로 되어 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기계화에 대응하는 흡인패드(suction pad)에 의한 자동운송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펠트표면의 구릉및 탈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단면도이고,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독립기포 혹은 연속기포 또는 독립기포와 연속기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스폰지형태의 내열성 고무 등의 탄성재(2)[본예에서는 내열성 고무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내열성 고무대신에 내열성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 라도 좋다]의 양면에 내열성 접착시트(3)를 사용하여 내열성기포(4)와 배트섬유층(5)의 주원료가 방향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되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접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이다.
도 2도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단면도이고,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부직포의 수지가공품(7)의 양면에 내열성 접착시트(3)을 사용하여 내열성기포(4)와 배트섬유층(5)의 주원료가 방향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되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접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이다. 상기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부직포의 수지가공품(7)은 함침수지(含浸樹脂)에 의해 공극이 분산되어 형성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단면도이고,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스폰지형태(독립기포를 갖는다)의 미가류(未加硫) 내열성고무 등의 탄성재(2')의 양면에 내열성기포(4)와 배트섬유층(5)의 주원료가 방향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되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놓고 가류(加硫)을 겸해 프레스 가공으로 접착시키고, 다시 도 3a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양표면에 내열성접착시트(3)를 개재하여 내열성부직포(8b)를 접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이고, 도 3b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한쪽 표면에만 내열성부직포(8b)를 접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이다.
심재는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스폰지형태 내열성고무 등의 탄성재(2)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재질은 적층판의 성형온도에 충분히 견딜 필요에 의하여 스티렌(styrene), 부틸(butyl), 니트릴(nitrile), 클로로필렌(chloropyrene),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클로로황산화폴리에틸렌(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에피크로하이드린 (epichlorhydrin), EPDM, 수산화 아크릴(hydrogenated acryl), 에틸렌아크릴(ethyleneacryl), 불소아크릴(fluoroacryl), 실리콘, 변성실리콘, 불소의 1종류 또는 이것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재질에 의한 공중합체(共重合體), 혼합체가 바람직하고, 이것들 중에서 성형온도에 견디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독립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내열성고무의 두께는 0.5㎜∼5㎜의 범위로 공극율은 5∼80%, 바람직하게는 10∼60%의 범위로 열반의 두께정밀도나 프리플레그의 두께정밀도, 성형하는 동장적층판(銅張積層板)에 요구되어지는 두께정밀도에 따른 필요 쿠션량으로 부터 선택되어진다. 공극율이 5% 미만인 경우, 그것자체의 두께변형을 흡수할 수 없고 균일성이 나뻐지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반대로, 공극율이 80%를 초과하면,가압에 대하여 변형도가 지나치게 크게되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단면도이고,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수지함침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부직포의 수지가공품(7)의 양면에, 내열성기포(4)와 배트섬유층(5)의 주원료가 방향폴리아미드섬유 등의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되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놓고 가류(加硫)를 겸해 프레스 가공으로 접착시키고, 다시 도 4a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양표면에 내열성접착시트(3)를 개재하여 내열성시트재(8)인 내열성직포(8a)를 접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이고, 도 4b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한쪽 표면에 내열성접착시트(3)를 개재하여 내열성시트재(8)인 내열성직포(8a)를 접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이다.
심(芯)은,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수지의 종류는 적층판의 성형온도에 충분히 견딜 필요에 의하여 스티렌(styrene), 부틸(butyl), 니트릴(nitrile), 클로로필렌(chloropyrene),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클로로황산화 폴리에틸렌(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에피크로하이드린 (epichlorhydrin), EPDM, 수산화 아크릴(hydrogenated acryl), 에틸렌아크릴(ethyleneacryl), 불소아크릴(fluoroacryl), 실리콘, 변성실리콘, 불소의 1종류 또는 이것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재질에 의한 공중합체(共重合體), 혼합체가 바람직하고, 이것들 중에서 성형온도에 견딜 수 있는 탄성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에틸렌, 아크릴은 내열성 및 가격면에서 적합하다.
또한, 심재로 되는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 부직포의 재질은 고온고압의 성형프레스 조건(예를 들어, 글라스섬유포와 에폭시수지를 조합한 적층판의 성형조건, 온도: 180∼210℃, 압력 30∼50㎏/㎠, 종이페놀 적층판의 성형조건, 온도: 160∼190℃, 압력 80∼120㎏/㎠)하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내열성이 있는 섬유면 좋다.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에틸렌 데레프타레이트 섬유(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폴리에틸렌 황섬유(polyethylene sulfite fiber), 폴리에테르 에테르 켄톤섬유(polyether ether ketone fiber),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중에서 임의 선택 가능하다.
또한 다시,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 부직포의 면적당 무게는 100∼5000g/㎡, 두께는 0.1∼5㎜의 범위로 직포의 직조직은 평직물 또는 다중직물이고, 수지의 부착량은 공극율로 5∼80%가 되도록 수지의 비중에서 산출한다(열반의 두께정밀도나 프리플레그의 두께정밀도, 성형하는 동장적층판(銅張積層板)에 요구되어지는 두께정밀도에 따른 필요 쿠션량으로 부터 선택되어진다).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구성하는 내열성기포(4)와 배트섬유층(5)의 주원료가 고온고압의 성형프레스 조건(예를 들어, 글라스섬유포와 에폭시수지를 조합한 적층판의 성형조건, 온도: 180∼210℃, 압력 30∼50㎏/㎠, 종이페놀의 성형조건, 온도: 160∼190℃, 압력 80∼120㎏/㎠)하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내열성이 있는 섬유면 좋다.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에틸렌 데레프타레이트 섬유(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폴리에틸렌 황섬유(polyethylene sulfite fiber), 폴리에테르 에테르 켄톤섬유(polyether ether ketone fiber),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중에서 임의 선택이 가능하다.
펠트모양의 쿠션재(6)는 내열성이 있는 섬유를 주원료로 한 배트섬유층(5)을 내열성기포(4)의 양면에 100∼5000g/㎡ 정도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하고, 두께는 0.5∼25㎜인 조직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의 열프레스의 반복에 비교적 양호하게 견디고, 유해한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없으므로 장시간 안정사용이 가능하다.
내열성직포(8a) 또는 내열성 부직포(8b)를 펠트모양의 쿠션재(6)상에 부치는 내열성접착시트(3)는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고 가열하에서 접착성이 발현하고 다시 경화에 의하여 접착성이 없어지는 수지라면 특별히 특정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우레탄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 또는 실리콘수지면 좋다. 또한, 내열성접착시트(3)는 너무 두꺼우면 펠트의 공간이 수지에 의하여 막혀져서 쿠션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얇은 것이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면 좋고, 두께 50∼200㎛, 면적당 무게 100∼300g/㎡ 이라면 충분하다.
펠트모양의 쿠션재(6)상에 접착하는 내열성직포(8a)의 재질은 성형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있으면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섬유, 폴리에틸렌 데레프타레이트 섬유(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폴리에틸렌 황섬유(polyethylene sulfite fiber), 폴리에테르 에테르 켄톤섬유(polyether ether ketone fiber),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중에서 임의 선택 가능하다.
도 5는 도 4a의 내열성직포(8a)의 표면에 자동운송용 금속판(10)을 프레스 가공으로 접착한 것이다. 이 경우 내열성직포(8a)의 밀도(간극률)는 어느 정도 거칠고 사용 중에 내열성직포(8a)와 금속판(10)이 벗겨지지 않으면 좋고 거꾸로 쿠션재의 구릉, 탈모방지에 내열성직포(8a)만을 접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성형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때에 수지가 내열성직포(8a) 표면에 흘러나오지 않도록 내열성직포(8a)의 무계 및 구조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쿠션재의 구릉, 탈모방지에 내열성직포(8a)만을 접착하는 경우에는 수지가 표면에 흘러나오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특히 내열성직포(8a)에 한정하지 않고, 내열성부직포(8b), 예를들어 가벼운 니들 펠트라도 좋다. 또한, 내열성접착시트(3)의 두께로도 조정할 수 있다.
내열성접착시트(3)를 개재하여 펠트모양의 쿠션재(6)와 내열성직포(8a)를 붙여 합치는 방법은 열롤(hot roll) 또는 열반 프레스(hot plate press)에 의한 열압착법에 의해지지만, 열롤(hot roll)의 경우의 접합조건으로서 온도 100∼250℃, 속도 0.5∼5m/분, 압력은 펠트밀도가 0.6∼0.7g/㎤ 가 되도록 게이지(gauge)를 사용하여 조정했다.
열반 프레스에 의한 접합은 배치처리(batch process)로 되기 때문에 실용적은 아니지만, 조건으로서는 온도 100∼250℃, 압력은 펠트밀도가 0.6∼0.7g/㎤ 가 되도록 조정한다.
도 6은 회로기판 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와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와의 사이에 경면판이 개재하지 않고, 직접 회로기판 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와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가 접촉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한면에 형성되는 심재의 성형면(프리플레그)에 접촉하는 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심재는 공극이 분산되어 형성된 탄성재(2)로 이루워진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와 공극이 분산되어 형성된 탄성재(2)로 형성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이다. 도 7b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및 공극을 분산하여 형성한 탄성재(2)로 형성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펠트모양의 쿠션재(6)의 표면에만 내열성접착시트(3)을 개재하여 표층재(내열성시트재)(8)를 붙여서 성형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이다. 도 7c는 펠트모양의 쿠션재(6)및 공극을 분산하여 형성한 탄성재(2)로 형성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의 양면에 내열성접착시트(3)을 개재하여 내열성시트재(8)를 붙여서 성형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1)이다.
도 8은 종래 성형 프레스용 내열쿠션재의 단면도이다. 공극이 없는 고무(9)의 양면에 내열성기포(4)에 배치섬유층(5)를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6)를 고무 가류(加硫)시에 붙여 접합한 것이다.
(실시예1)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재질이 에틸렌아크릴이고 미가류(未加硫)상태의 두께 1.5㎜, 단위면적당 무게 930g/㎡의 공극율이 40%인 독립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고무 양면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400g/㎡, 두께 1.5㎜)로 감싸고 200℃·10㎏/㎠·30분의 조건으로 가류을 겸해 평반(平盤)프레스로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실시예2)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재질이 불소아크릴인 공극율이 40%인 독립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고무이고, 두께 1.5㎜로 단위면적당 무게 1300g/㎡의 양면에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고 가열하에서 접착성이 발현하는 열경화성의 단위면적당 무게 100g/㎡의 우레탄필름을 개재하여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400g/㎡, 두께 1.5㎜)로 감싸고 200℃ 열프레스로 0.5m/분의 속도로 통과,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실시예3)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재질이 에틸렌아크릴 고무이고, 그 에틸렌아크릴 고무중의 공극율이 20%이고, 가류(加硫)상태의 두께 1.5㎜가 단위면적당 무게 1250g/㎡의 독립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고무 양면에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고 가열하에서 접착성이 발현하는 열경화성의 단위면적당 무게 100g/㎡의 우레탄필름을 개재하여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750g/㎡, 두께 3.0㎜)로 감싸고, 다시 그 양면에 동일하게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고 가열하에서 접착성이 발현하는 열경화성의 단위면적당 무게 100g/㎡의 우레탄필름을 개재하여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적재하고 200℃·10㎏/㎠·30분의 조건으로 평반(平盤)프레스로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실시예4)
심재로 어떤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당 무게 100g/㎡의 3중직(三重職)의 직포에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형광아크릴을 공극율이 40%가 되도록 부착시키고 그 양면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500g/㎡, 두께 2.0㎜)로 감싸고, 다시 그 양면에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없고 가열하에서 접착성이 발현하는 열경화성의 단위면적당 무게 100g/㎡의 우레탄필름을 개재하여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적재하고 200℃·10㎏/㎠·30분의 조건으로 고무의 가류를 겸해 평반(平盤)프레스로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실시예5)
공극이 분산되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에서 가열성형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재질이 에틸렌아크릴이고 미가류(未加硫)상태의 두께 1.5㎜, 단위면적당 무게 930g/㎡의 공극율이 20%인 독립기포를 갖는 스폰지형태의 고무 등의 탄성재의 한면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1500g/㎡, 두께 3.0㎜)로 감싸고 200℃·10㎏/㎠·30분의 조건으로 고무의 가류을 겸해 평반(平盤)프레스로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비교예1)
가류 후의 공극이 없는 에틸렌아크릴 고무이고, 두께가 4.0㎜, 단위면적당 무게 4100g/㎡인 쿠션재이다.
(비교예2)
메타계 방향족의 기포 양면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이다(단위면적당 무게 :1600g/㎡, 두께 6.0㎜).
(비교예3)
두께 1.5㎜, 단위면적당 무게 1550g/㎡의 공극이 없는 미가류(未加硫) 에틸렌아크릴 고무의 양면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훼브(webs)를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되는 칭량 100g/㎡의 기포상에 적층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펠트모양의 쿠션재(단위면적당 무게 :550g/㎡, 두께 2.2㎜)로 감싸고 200℃·10㎏/㎠·30분의 조건으로 고무의 가류을 겸해 평반(平盤)프레스로 접착 가공하여 본 발명의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실시품인 실시예 1∼5와 기존품인 비교예 1∼3에 대하여 성능평가를 실시했다.
실 시예 1 실 시예 2 실 시예 3 실 시예 4 실 시예 5 비 교예 1 비 교예 2 비 교예 3
가압압축량(㎛) 140 140 180 160 185 0 150 110
가열팽창량(㎛) 60 60 68 60 70 200 0 75
승온속도(℃/min) 3.0 3.0 3.0 3.0 3.0 3.0 3.0 3.0
판두께표준편차(б) 0.08 0.08 0.06 0.06 0.07 0.19 0.17 0.16
외관 중앙
단부
* 가압압축량: 압력을 7 →20㎏/㎠로 변화시킨 때의 쿠션재의 두께 변화량
* 가열팽창량: 온도를 30 →120℃로 변화시킨 때의 쿠션재의 두께 변화량
* 승온속도: 성형품의 온도가 90 →140℃로 도달하기까지에 걸린 시간으로
뺀 수치
* 판두께 표준편차: 1m *1m의 성형품의 두께를 10㎠ 간격으로 81개소 측정한
경우의 편차
*외관: O···요철, 공극 없음
△···약간의 요철 있음, 공극 없음
X···요철, 공극 둘다 있음
상기 테스트 결과로부터 공극이 적당히 있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인 재질을 심재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압력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의 양쪽에 대하여 쿠션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열팽창이 있는 물질을 펠트체로 복합하는 것에 의하여 가압력에 의한 압축량 만큼의 쿠션량에 가해, 가열에 의한 팽창량의 쿠션성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열반이나 SUS판, 프리플레그 등의 물리적 왜곡을 보다 높은 레벨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공극이 없는 팽창체에서는 X,Y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한 압축작용은 생기지 않고 균일한 압력에는 한계가 있지만 열팽창이 있는 물질에 적당한 공극을 유지시키므로, 가압 과다의 부분에서는 공극이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열팽창 밖에 없는 압축작용으로, 다시 성형중의 균일한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팽창체에 공극이 존재하는 것에 의해 그것 자신의 두께변형도 커버하고, 보다균일한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하여 펠트 단체(單體) 또는 열팽창체 단체(單體) 펠트와의 공극이 없는 열팽창체의 복합품에 비해 높은 두께 정밀도의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다. 특히 근년의 적층판은 두께가 얇고 보다 높은 두께 정밀도 요구되고 있어, 그것들의 적층판 성형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 졌다.
특히 청구항 1에서는, 공극이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사용조건하에서의 가열가압시에 압축하고 가압 과다의 부분에서 균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수지제 프리플레그와 성형프레스용 내열쿠션재와의 사이에 경면판(鏡面板)이 개재되지 않고, 직접 회로기판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와 성형프레스용 내열쿠션재가 접촉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포(基布)의 교종점(交終点)에서 가압력이 과다하게 되지 않고, 기포(基布)마크 등의 가압변형이 회로기판 등의 프리플레그로 나오는 일없이 균일하게 가압되어 진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펠트모양의 쿠션재 및 심재의 양표면 또는 상기 심재만의 표면에 내열 공이, 내열직포, 내열필름등의 내열성 시트재를 고착한 것이므로 자동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서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심재가 존재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하에서의 가열가압시에 팽창하고 가압 과소의 부분에서 균압성을 향상시 수 있다.
청구항 5에서는, 쿠션재로서 사용되어지는 것은 실온이상의 온도이고,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이하인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 전반의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서 안정적인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청구항 6에서는, 팽창체가 되는 심재에 직포 또는 부직포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조건하에서의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에서는, 심재를 펠트층이 피복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하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서는, 심재와 펠트부분이 접착가공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하에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에서는, 표면에 통기가 없는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조건하에서의 흡인패드에 의한 자동운송이 가능하게 되고 취급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에 있어서,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의 쿠션재에 의하여 심재(芯材)를 감싸도록 한 심재는 공극을 분산하여 형성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2.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에 있어서,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한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한면에 형성하는 심재는 성형면에 위치하는 쪽이 평탄면(平坦面)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심재는 공극을 분산하여 형성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3. 제 2 항에 있어서, 펠트모양의 쿠션재 및 심재의 양표면 또는 상기 심재만의 표면에 내열 종이, 내열직포, 내열필름등의 내열성 시트재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재가 적층판등의 수지제 프리플레그를 가열성형을 하는 과정중의 온도상승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고, 심재중의 공극을 유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쿠션재로 사용되고 있는 고무, 수지등 탄성재의 글라스 전이점이 실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기포를 함유하는 내열성고무 또는 공극이 형성된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 또는 내열성직포 또는 내열성부직포에 수지를 함침시킨 수지가공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펠트모양의 쿠션재를 구성하는 내열성기포와 이 기포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형성한 배트섬유층의 주 원료가 내열성이 있는 섬유로 되고, 니들펀칭으로 결합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재와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접착은 열용착, 접착제접착, 또는 내열성 접착시트를 개재하여 열접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9.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펠트모양의 쿠션재의 표면에 내열 종이, 내열직포, 내열필름등의 내열성 시트재를 내열성 접착제 또는 가열 가압에 의한 자기접착성으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KR1020000054265A 1999-09-17 2000-09-15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KR20010070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631 1999-09-17
JP26317999 1999-09-17
JP??2000-126627 2000-04-26
JP2000126627 2000-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076A true KR20010070076A (ko) 2001-07-25

Family

ID=2654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265A KR20010070076A (ko) 1999-09-17 2000-09-15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84821B1 (ko)
KR (1) KR20010070076A (ko)
CN (1) CN1132729C (ko)
AT (1) ATE294702T1 (ko)
DE (1) DE60019863T2 (ko)
ES (1) ES2238973T3 (ko)
MY (1) MY130444A (ko)
SG (1) SG93893A1 (ko)
TW (1) TW5247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2642B2 (en) 2014-06-30 2019-04-30 Yamauchi Corporation Hot press cushion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6872B2 (ja) * 2001-06-19 2007-06-27 イチカワ株式会社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DE10337403B3 (de) * 2003-08-13 2004-12-16 Rheinische Filztuchfabrik Gmbh Presspolster
JP4843396B2 (ja) * 2006-07-18 2011-12-21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6523B2 (ja) 2006-11-28 2011-08-10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26141B2 (ja) * 2012-08-17 2015-05-27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JP5521018B2 (ja) * 2012-10-31 2014-06-11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TWI549778B (zh) * 2015-08-06 2016-09-21 智勝科技股份有限公司 研磨設備之吸附墊及研磨系統
JP6417497B1 (ja) * 2015-09-29 2018-11-07 プリマロフ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吹き込み可能な綿状物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342835A (zh) * 2017-01-21 2018-07-31 侯林君 一种废旧衣物再生纤维板无胶制板工艺
JP6920756B2 (ja) * 2017-06-02 2021-08-18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9000828U1 (de) * 2019-02-20 2020-02-24 Rolf Espe Presspolster mit hoher Federwirkung auf metallischer Basis für die Beschichtung von Holzwerkstoffplatten und Herstellung von Kunststoffplatten in hydraulischen Ein- und Mehretagenheizpressen.
DE202021003665U1 (de) 2021-12-02 2022-12-07 Hueck Rheinische Gmbh Druckausgleichskörper, insbesondere Presspolster zur Ausrüstung von hydraulischen Ein- und Mehretagenheiz- und Kühlpressen
TWI830480B (zh) * 2022-11-04 2024-01-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緩衝墊結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217U (ja) * 1981-11-27 1983-06-03 ヤマウチ株式会社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US4836871A (en) * 1986-12-02 1989-06-06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an expanded laminated sheet
JP2816865B2 (ja) * 1989-07-25 1998-10-27 市川毛織株式会社 研磨用ニードルフェルト
JP3021778B2 (ja) * 1991-06-07 2000-03-15 市川毛織株式会社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H05116161A (ja) * 1991-10-29 1993-05-14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ツシヨン材
JP3121175B2 (ja) * 1992-07-29 2000-12-25 市川毛織株式会社 耐熱クッション材
JP2649899B2 (ja) * 1994-09-21 1997-09-03 ヤマウチ株式会社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JP3154908B2 (ja) * 1994-12-16 2001-04-09 市川毛織株式会社 耐熱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58473A (ja) * 1996-08-19 1998-03-03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2642B2 (en) 2014-06-30 2019-04-30 Yamauchi Corporation Hot press cushion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4821B1 (en) 2005-05-04
MY130444A (en) 2007-06-29
ATE294702T1 (de) 2005-05-15
ES2238973T3 (es) 2005-09-16
DE60019863T2 (de) 2005-11-17
DE60019863D1 (de) 2005-06-09
TW524749B (en) 2003-03-21
SG93893A1 (en) 2003-01-21
CN1288807A (zh) 2001-03-28
EP1084821A3 (en) 2002-01-02
EP1084821A2 (en) 2001-03-21
CN1132729C (zh)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0076A (ko)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KR100551390B1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적층판의 제조 방법
JP2649899B2 (ja)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KR100777548B1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적층판의 제조 방법
TWI235710B (en) Cushion material for hot pres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394720B (en) Holding material of ground workpiece
EP2042287B1 (en) Cushioning material for heat pr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220118732A1 (en) Laminated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plate
JP2002011747A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CN110785274B (zh) 热压用缓冲件及其制造方法
TW592928B (en) Elastic body and heat proof cushion material for molding press containing the same
CN214563551U (zh) 一种采用激光切割的压合工艺用缓冲垫
CN214522367U (zh) 一种压合工艺用缓冲垫
KR20200005252A (ko) 친환경 매트 및 친환경 매트 제조방법
KR100412096B1 (ko) 저용량 필름의 부직포 라미네이션 합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44193B1 (ko)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JP2004243728A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7140379B2 (ja)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
CN112918053A (zh) 一种丝印的压合工艺用缓冲垫及其使用方法
KR20090042163A (ko) 프레스 성형용 쿠션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레스성형방법
JP2001088156A (ja) 成型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H03368Y2 (ko)
JP2509987Y2 (ja) 接着作業に用いるプレス用クッション
JP2023050591A (ja) 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発泡体
JPH09262856A (ja) 積層板の成形用クッショ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