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193B1 -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 Google Patents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193B1
KR100644193B1 KR1020000054886A KR20000054886A KR100644193B1 KR 100644193 B1 KR100644193 B1 KR 100644193B1 KR 1020000054886 A KR1020000054886 A KR 1020000054886A KR 20000054886 A KR20000054886 A KR 20000054886A KR 100644193 B1 KR100644193 B1 KR 10064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resistant
fiber
cushio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087A (ko
Inventor
타케우치데츠오
타카쿠라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가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과제] 제조되는 제품에 맞추어서 단위면적당 무게와 두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 성형 프레스용 쿠션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나 또는 복수의 다중직물구조를 갖는 기재층과, 하나 또는 복수의 섬유층으로 되고 상기 적층된 층 사이를 접속수단에 의해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재층과 섬유층을 적층순이나 기재층 및 섬유층의 각각의 단위면적당 무게와 두께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Heat-resistant cushion material for forming press}
도 1은 본원 쿠션재의 일예(기재층+섬유층)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원 쿠션재의 다른 예(기재층+섬유층+필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 예(필름+기재층+기재층+섬유층+필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 예(섬유층+기재층+섬유층)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 예(필름+섬유층+기재층+섬유층)의 개략적
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 예(필름+섬유층+기재층+섬유층+필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예(기재층+기재층+섬유층)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원 쿠션재의 또 다른예(섬유층+기재층+기재층+섬유층)의 개략적
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원 쿠션재 및 비교 쿠션재의 부분 단면도로, 도 9a는 실시예 1,
도 9b는 실시예 2, 도 9c는 비교예 1, 도 9d는 비교예 2,
도 10은 본원 및 비교 쿠션재의 시험결과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
는 신품, 도 10b는 열화(劣化)후 이고,
도 11은 본원 및 비교 쿠션재의 성형후의 프리플레그의 평가결과표를 나타내
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재층 2 : 섬유층
3 : 접속수단 3a : 접착제에 의한 접착
3a' : 접착재 3b : 니들 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
4 : 통기 저해층 A : 본원 쿠션재
B : 비교 쿠션재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화장판(化粧板)등의 적층판의 제조시에 적합한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트 기판, 화장판(化粧板)등의 적층판을 열반(熱盤)프레스로 제조하는 경우 내열 쿠션재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내열 쿠션재가 제조되는 적층판의 종류, 성형시의 온도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사용되어 지지만, 그 대표적인 내열 쿠션재로서는 특개평(特開平)4-197299호가 알려져 있다. 또한, 고무시트와 섬유층을 열프레스에 의해 일체화시킨 내열 쿠션재 혹은 지지포에 섬유층을 니들 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결합 일체화 한 니들펠트도 쿠션재로서 사용되어 졌다.
그러나 상기 특개평 4-197299호의 내열 쿠션재는 3~5중의 단독 다중직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단위면적당 무게변형이 적기 때문에 평활성(平滑性) 및 열이동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프린트 기판의 얇은 적층판에 존재하는 요철(凹凸)대책이나 공극발생 방지에 특히 유효하지만 다중직물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적은 프리플레그(prepreg)의 성형에는 유효하지만, 유동성이 큰 프리플레그(prepreg)의 경우에는 쿠션성이 나쁘기 때문에, 수지 흐름이 많은 제품의 단부에 백점(白点)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다중직물 단독의 쿠션재에 수지 비드(resin bits)등의 먼지가 부착한 경우에는 쿠션성이 나쁘기 때문에 먼지 부착의 볼록부(凸部)가 흡수되지 않고 제품에 그대로 전사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더구나, 다중직물 단독이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무게나 두께의 조정이 곤란하고, 그 때문에 승온속도(昇溫速度), 도달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고, 직물이 전사될 가능성이 있고, 제조되는 제품의 원료에 대한 비율이 나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고무를 사용한 내열 쿠션재는 열에 의해 고무가 열화하기 쉽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열에 강한 불소고무를 사용한 내열 쿠션재도 제안되였지만 불소고무는 가격이 비싸고 비용이 더 들어가는 요인으로 되었다. 더욱이, 고무는 일반적으로 전체의 물성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상기 니들펠트에 의한 쿠션재는 단위면적당 무게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고 균압성이 나쁘고 최악의 경우에는 프린트 기판에 요철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되는 제품에 맞추어서 단위면적당 무게와 두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균압성이 양호하고 단위면적당 무게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없고 유동성이 큰 프리플레그(prepreg)의 성형에도 수지 흐름의 흐름을 규제할 수 있고, 더욱이 프린트 기판 등의 제품의 표면에 요철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성형 프레스용 쿠션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열섬유사를 사용한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적층한 내열섬유층을 접속수단에 의해 일체화한 복합층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재층 및 섬유층의 각각의 단위면적당 무게나 두께 및 승온성의 제어도 용이하고 사용자로부터의 광범위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이 상기 기재층과 섬유층과의 단위면적당 무게 비율을 50∼90 : 5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절대쿠션량이나 승온특성 등의 주기능의 조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다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을 구성하는 내열섬유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의 높은 내열성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다시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이 통기저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진공흡착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시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접속수단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접속수단으로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선택한 경우에는 양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접착층이 통기저해층으로 되는 진공 흡착성을 부여하도록 구성하고, 접속수단으로서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을 선택한 경우에는 열 등에 의해 열화하는 일없이 강고한 접속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발명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A는 쿠션재로, 이 쿠션재 A는 내열섬유사를 사용한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과 내열섬유층(2)을 접속수단(3)에 의해 일체화한 복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중직물구조로는 3중직(三重織) 이상의 직물조직을 말한다. 상기 기재층(1)을 다중직물구조로 한 것은 기재층(1)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 절대 쿠션량이 적게 되는 것 ② 승온속도가 너무 이르게 되는 일이 있고, 다중직물구조의 것은 이것들 ⓛ, ②의 점을 미연에 방지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특성 을 갖는 한, 2중직물 같은 비다중직물을 복수매 중첩하여 일체화 한 것도 「다중직물구조」라고 하고 할 수 있다.
상기 본원 쿠션재(A)는, 복합층을 구성하는 기재층(1)과 섬유층(2)과의 단위면적당 무게 비율이 50∼90 : 5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대쿠션량이나 승온특성 등의 주 기능을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에 부담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섬유층(2)은, 배트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지지포에 배트섬유를 적층시켜서 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킨 니들펠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층을 구성하는 기재층(1)과 섬유층(2)의 내열섬유에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를 이용하면 좋다. 사용자의 높은 내열성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원 쿠션재(A)는, 진공흡착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합층에 통기저해층(4)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이 통기저해층(4)은, 상기 접속수단(3)으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선택한 경우에는, 그 접착층이 그대로 통기저해층(4)으로 되지만, 접속수단(3)으로서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을 선택한 경우에는 통기저해층으로 되는 접착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본원 쿠션재(A)의 표면(내지 중층)에 비통기성필름(5)을 구성하면 좋다.
상기 접속수단(3)으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3a)인 경우는, 상기 기재층(1)과 섬유층(2)과의 접속이 간단하게 된다. 이 접착(3a)에 사용되는 접착재(3a')로서는 글라스섬유로 되는 지지포에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플레그를 사용하면 좋다. 물론, 프리플레그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3)이 니들펀칭에 의한 상기 기재층(1)과 섬유층(2)의 섬유간의 결합(3b:종선 으로 표시한다)인 경우에는, 접착제와 같이 열에 의한 열화의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보다 높은 본원 내열 쿠션재(A)가 얻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접속수단(3)은 접착재에 의한 접착(3a)과 니들펀칭에 의한 결합(3b)을 병행하는 것도 있고, 접착과 결합이외의 수단(예, 재봉 기타)을 선택하는 것도 있다.
상기 니들펀칭에 의해 기재층(1)과 섬유층(2)을 결합(3b)시키는 것에 의한 본원 쿠션재(A)를 얻는 경우는, 그 후에 열을 가하여 치수를 안정시키는 것이 긴요하다. 한편, 상기 접속수단(3)으로서는 접착과 결합의 2가지 수단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그 외의 적당한 수단(예, 재봉 기타)이 있으면 그것에 의한 것도 있다.
상기 본원 쿠션재(A)의 표면(내지 중층)에 형성한 통기저해층(4)으로서 사용되는 비통기성필름(5)은 예를 들어 내열종이, 불소계고분자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등의 내열성이 높은 소재가 사용되어 진다.
상기 내열종이를 섬유층(2)의 표면에 점착시키는 경우는 미리 본원 쿠션재(A)의 표면{섬유층(2)의 표면)에 미신연(未伸延)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를 주체로 하는 섬유 웨브(web)를 배치하고 니들펀칭에 의해 섬유층(2)에 결합 일체화 하고, 이것에 내열종이를 중첩하여 열 프레스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즉, 상기 미신연(未伸延)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는 글라스 전이점 이상 분해온도이하의 온도영역에서 연화하기 때문에, 이 열 프레스 작업에 의해 내열 쿠션재와 내열종이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불소계고분자계 필름 또는 우레탄계 필름을 섬유층(2)의 표면에 점착시키는 경우에는 이들 필름이 열에 의해 연화하는 성질을 갖고있기 때문에 열 프레 스 또는 열 롤(heat roll)에 의해 섬유층(2)에 용이하게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원 쿠션재의 사용조건에 의하여 불소계고분자계 필름 또는 우레탄계 필름이 사용중 연화하지 않도록 고려하는 일도 있다. 예를 들어 그 표면측에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되는 부직포로 피복 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층(2)의 표면에 비통기성필름(5)을 점착시키는 것은, 진공장치에 의한 자동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섬유층(2)의 탈모방지 성능이나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유출한 수지가 본원 쿠션재(A)에 침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본원 쿠션재(A)에는 도 3의 구성의 것도 포함한다. 즉,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과 섬유층(2)을 접속수단(3)에 의해 접속함과 동시에, 이 섬유층(2)의 표면에 비통기성필름(5)을 점착시켜서 되는 유니트 A1, A2를, 그 기재층(1)들을 합쳐 그사이에 접착층(3a')을 내장하여 접착 일체화 한 것이다. 이 접착층(3a')은 글라스 섬유로 되는 지지포에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플레그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원 쿠션재(A)에는 도 4 내지 도 8의 구조의 것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본원 쿠션재(A)는,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의 표리 양면에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섬유층(2)을 접속하여 된다. 이 접착재(3a')는 글라스 섬유로 되는 지지포에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플레그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본원 쿠션재(A)는,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의 표리 양면에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섬유층(2)을 접속함과 동시에, 표리측의 섬유층(2) 의 표면에 만 필름(5)을 점착시켜 된다. 이 필름(5)의 점착은 접착재(3a')가 진공장치에 의해 자동운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표면층의 섬유층(2)에 탈모방지 기능 등을 부여하는 데에 유효이다.
다시, 도 6에 도시하는 본원 쿠션재(A)는,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의 표리 양면에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섬유층(2)을 접속함과 동시에, 표리측의 섬유층(2)의 각각의 표면에 필름(5)을 점착시켜 된다. 이 필름(5)의 점착은 접착재(3a')가 진공장치에 의해 자동운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표면층의 섬유층(2)에 탈모방지 기능 등을 부여하는 데에 유효이다.
다시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본원 쿠션재(A)는,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을 복수(2매) 겹쳐서, 그 겹친면을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일체화 하고, 기재층(1)의 한쪽 표면에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섬유층(2)을 접속하여 된다. 이와 같이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을 복수매 겹쳐서 두껍게 한 경우는 기재층(1)에 본원 쿠션재(A)의 절대쿠션량이나 승온특성 등의 주기능을 갖게 하는 이점이 있다.
다시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본원 쿠션재(A)는,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을 복수(2매) 겹쳐서, 그 겹친면을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일체화하고, 기재층(1)의 쌍방의 표면에 각각 접착재(3a')를 개재하여 섬유층(2)을 접속하여 된다. 이와 같이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1)을 복수매 중첩한 경우는, 중간에 섬유층을 내장하여 다시 두껍게 하고, 본원 쿠션재(A)의 절대쿠션량이나 승온특성 등의 주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게 하는 것도 있다.
[실시예 1]
도 9a와 같이,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사를 사용한 3중직물구조의 기재층(단위면적당 무게 ; 960g/㎡)의 표리 양면에 직경크기 5d, 길이 76㎜의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섬유층(단위면적당 무게 ; 150g/㎡의 부직포)을 적층하고, 접속수단(3)의 하나의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하여 본원 쿠션재(A)를 얻었다.
[실시예 2]
도 9b와 같이,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사를 사용한 3중직물구조의 기재층(단위면적당 무게 ; 960 g/㎡)을 2매 중첩하고 중간에 직경크기 5d, 길이 76㎜의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섬유층(단위면적당 무게 ; 300g/㎡의 부직포)을 내장하여 니들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한 후, 다시 상측 기재층의 표면과 하측 기재층(1)의 표면에 직경크기 5d, 길이 76㎜의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섬유층(단위면적당 무게 ; 150g/㎡의 부직포)을 각각 적층하여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함과 동시에, 섬유층(2)의 표면에 필름을 점착시켜 본원 쿠션재(A)를 얻었다.
[비교예 1]
도 9c와 같이,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사를 사용한 3중직물(단위면적당 무게 ; 960g/㎡) 단독층으로 되는 비교 쿠션재(B)를 얻었다.
[비교예 2]
도 9d와 같이,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사를 사용한 평직의 지지포의 양면에 직경크기 5d, 길이 76㎜의 메타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섬유층 을 적층하여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 일체화 함과 동시에 양 섬유층의 표면에 불소계 고분자 필름을 점착하여 단위면적당 무게 1800g/㎡로 조정하여서 되는 비교 쿠션재(B)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2에서 보인 본원 쿠션재(A)와 비교예 1, 2에서 보인 비교 쿠션재(B)를 사용하여 열특성, 쿠션성, 균압성의 각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보였다.
「열특성」은 15㎏/㎠과, 50㎏/㎠ 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80℃에서 120℃ 까지 온도가 상승하기까지의 속도(승온속도)와 열반을 180℃로 유지하면서 60분 후의 온도(도달온도)이고, 「쿠션성」은 압력이 15㎏/㎠ 부터 50㎏/㎠로 증가했을 때의 변위량이고, 「균압성」은 감압필름(후지필름제 「프레스케일<상품명>」)을 사용하여 감압에 반응하여 발색한 상태이다.
도 10a는 실시예 1, 2에서 보인 본원 쿠션재(A) 및 비교예 1, 2에서 보인 비교 쿠션재(B)의 신제품시의 시험결과 이지만, 본 표에 의하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공히 감압필름의 발색(發色)변형이 없고, 가압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0b는 실시예 1, 2에서 보인 본원 쿠션재(A) 및 비교예 1, 2에서 보인 비교 쿠션재(B)의 열화후의 시험결과이다. 여기에서 「열화후」라는 것은 열반의 온도가 180℃ 프레스 압력이 100㎏/㎠ 라고 하는 조건을 1시간 계속시킨 후의 본원 및 비교 쿠션재를 말한다.
도 10b에 의하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균압성은 양호했다. 그러나, 비교예 2는 감압필름에 발색(發色)변형이 나타나고, 균압성능이 불량하게 되는 것이 판명됐고, 비교예 1은 쿠션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이 판명됐다. 이것에 비하여 실시예 1, 2는 균압성, 쿠션성 공히 균형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도 9c와 도 9d에서 보인 비교예 1, 2의 비교 쿠션재(B)(특히 다중직물 만으로 되는 비교예 1의 것)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승온특성에 대응시킨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한 것에 비해, 도 9a와 도 9b에서 보인 실시예 1, 2의 본원 쿠션재는 섬유의 소재, 단위면적당 무게 등을 용이하게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광범위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글라스 에폭시적층판용 프리플레그(1060×1060㎜)를 열반온도 30℃부터 190℃로 승온시켜 프리플레그의 승온속도가 3 ℃/min, 초기압력 7 ㎏/㎠, 이차압력 20 ㎏/㎠, 가열시간 90 min, 냉각 30 min의 조건으로 가열가압성형을 행하였다. 이 경우, 열반과 쿠션재(본원 쿠션재A 및 ·비교 쿠션재B)와의 사이에 이물질의 혼입을 상정하여 두께 150㎛의 내열필름대를 삽입하고 성형후의 프리플레그의 요철, 공극, 수지흐름에 대하여 성형후의 외관과 수지흐름 상태에 대하여 평가하여 도 11의 결과를 얻었다.
성형후의 외관에 대하여
O : 요철, 공극 없음
△ : 약간의 요철 있음, 공극 없음
X : 요철, 공극 있음
수지흐름 상태에 대하여
O : 소
△ : 중
X : 대
도 11의 표에 의하면, 비교 쿠션재(B)중 쿠션성이 열등한 비교예 1은 180℃, 100㎏/㎠, 1시간의 프레스 후의 외관(이물질 흡수능력), 수지의 흐름(단부긁힘)의 성능이 열등한 것으로 판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내열섬유사를 사용한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적층한 내열섬유층을 접속수단에 의해 일체화한 복합층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재층 및 섬유층의 각각의 단위면적당 무게나 두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승온특성의 제어도 용이하고 사용자로부터의 광범위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이 상기 기재층과 섬유층과의 단위면적당 무게 비율을 50∼90 : 5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절대쿠션량이나 승온특성 등의 주기능의 조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을 구성하는 내열섬유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높은 내열성능의 요구에 부응할 수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시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복합층이 통기저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진공흡착성이 얻어질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시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접속수단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접속수단으로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선택한 경우에는 양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접착층이 통기저해층으로 되는 진공 흡착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접속수단으로서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을 선택한 경우에는 열 등에 의해 열화하는 일없이 강고한 접속이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열섬유사를 사용한 다중직물구조의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적층한 내열섬유층을 접속수단에 의해 일체화하여 복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층이 상기 기재층과 섬유층과의 단위면적당 무게 비율을 50∼90 : 5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층을 구성하는 내열섬유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층이 통기저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니들펀칭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KR1020000054886A 1999-09-20 2000-09-19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KR100644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663 1999-09-20
JP26633199A JP2001093387A (ja) 1999-09-20 1999-09-20 コラムスイッチレバーの構造
JPJP-P-1999-00266383 1999-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087A KR20010070087A (ko) 2001-07-25
KR100644193B1 true KR100644193B1 (ko) 2006-11-10

Family

ID=1742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886A KR100644193B1 (ko) 1999-09-20 2000-09-19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093387A (ko)
KR (1) KR100644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29B1 (ko) * 2007-10-04 2012-01-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8901B2 (ja) * 2017-09-29 2022-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29B1 (ko) * 2007-10-04 2012-01-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087A (ko) 2001-07-25
JP2001093387A (ja)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9899B2 (ja) 成形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KR100777548B1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적층판의 제조 방법
EP0488071B1 (en) Press-cushion sheet
KR100551390B1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적층판의 제조 방법
US4461800A (en) Press pad for forming press
WO2010007917A1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KR101798351B1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7532785A (ja) 製紙機械用プレスフェルト、および前記フェル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EP1084821B1 (en) Heat resistant cushion material for forming press
JP2003103552A (ja)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9582A (ko) 성형 프레스용 쿠션재
KR100644193B1 (ko) 성형 프레스용 내열 쿠션재
JP2001088156A (ja) 成型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KR20210070268A (ko) 열 프레스용 쿠션재 및 열 프레스용 쿠션재의 제조 방법
KR19990066235A (ko)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방법
JP3154908B2 (ja) 耐熱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778347B2 (ja) 積層板成形用クッション材
JP2002011747A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3121175B2 (ja) 耐熱クッション材
TWI766945B (zh) 熱壓用緩衝材及熱壓用緩衝材之製造方法
TWM501941U (zh) 熱壓用緩衝墊
JP3964997B2 (ja) 畳用芯材および畳
JP2004243728A (ja) 成形プレス用耐熱クッション材
JP7442164B2 (ja)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JP2000027080A (ja) ノンハロゲン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