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968A - 스피닝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968A
KR20010061968A KR1020000070900A KR20000070900A KR20010061968A KR 20010061968 A KR20010061968 A KR 20010061968A KR 1020000070900 A KR1020000070900 A KR 1020000070900A KR 20000070900 A KR20000070900 A KR 20000070900A KR 20010061968 A KR20010061968 A KR 2001006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pinning reel
inner cylinder
cylinder member
bobbin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643B1 (ko
Inventor
히토미야스히로
다키쿠라고지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431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12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9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21037A/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6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스피닝릴의 스풀이 개시되어 있다. 스피닝릴의 스풀(4)은, 줄감기몸체부(7a)와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큰 직경의 통형상의 스커트부(7b)와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7c)를 갖는 스풀 본체(7)와,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장착된 지름이 큰 앞플랜지부(8)와, 앞플랜지부(8)를 스풀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 고정부재(9)를 가지고 있다. 줄감기몸체부(7a) 및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통형상의 부재로서, 내통부재(7c)는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Description

스피닝릴의 스풀{Spool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특히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릴은, 핸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릴본체와, 로터와,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하며,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의 후방에 마련된 통형상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앞플랜지부는 앞플랜지 고정부재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에서는,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가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박판에 의해 일체성형된 것이,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49-578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50-6888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강도가 저하한다. 특히 줄감기몸체부에는 큰 힘이 걸리므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가 저하하면 줄감기에 의해 줄감기몸체부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그 변형을 억제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피닝릴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피닝릴의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피닝릴의 스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상기 스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또 다른 변형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또 다른 변형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또 다른 변형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또 다른 변형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 릴본체
4 스풀
7a 줄감기몸체부
7b 스커트부
7c 내통부재
7d 홈부
7e 절곡부
8 앞플랜지부
9 앞플랜지 고정부재
16a 오목부
19 내측플랜지부
65 관통부
발명 1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로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며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된 스커트부와,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 장착된 내통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가 금속박판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므로,스풀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는 내통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금속박판에 의해 상기 줄감기몸체부와 일체성형된 지름이 큰 통형상의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와 스커트부가 금속박판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으므로, 스풀을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앞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낚시줄이 전방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합성수지제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을 경량화하면서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경금속제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스풀은, 발명 5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풀은, 발명 2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후단부로부터스커트부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원판형상이나 통형상으로 형성된 내측플랜지부에 의해 내통부재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함과 동시에, 내측플랜지부를 스커트부에 고정함으로써 내통부재의 회전방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줄감기에 의해 스커트부의 세워올려진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내측플랜지부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줄감기몸체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플랜지부는 내통부재와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압입, 접착, 나사고정 및 홈붙이고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적어도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압입인 경우에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줄감기몸체부에 압입함으로써 내통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접착인 경우에는, 내통부재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예컨대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 접착함으로써 내통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사고정인 경우에는, 예컨대 스커트부의 세워올려진 부분에 내통부재의 내측플랜지부를 나사고정함으로써 내통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홈붙이고정인 경우에는, 예컨대 줄감기몸체부에 내통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와 내통부재에 동시에 홈을 형성하여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발명 10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합금인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저렴한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합금인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티타늄합금인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인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11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줄감기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의 강도가 높아진다.
발명 12에 따른 스풀은, 발명 1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외주홈부는 절삭가공, 프레스가공 및 전조(轉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삭가공인 경우에는, 홈부를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프레스가공인 경우에는, 프레스가공의 하나인 도로오잉(drawing)가공이나 스피닝가공에 의해 홈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전조인 경우에는 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3에 따른 스풀은, 발명 11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며, 줄감기몸체부의 외주홈부는 오목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의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형상에 맞도록 줄감기몸체부를 스피닝가공 등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내통부재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통부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발명 14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내통부재와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부는 내통부재와 일체성형되어 있으므로, 앞플랜지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플랜지부와 내측플랜지부로 내통부재를 끼워 지지하도록 하여 줄감기몸체부에 내통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5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내통부재에 별체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앞플랜지부와 내통부재를 다른 부재로 형성하거나, 착탈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발명 16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합금인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저렴한 가격으로형성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합금인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티타늄합금인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인 경우에는 앞플랜지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17에 따른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컬링(curling)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발명 18에 따른 스풀은, 발명 15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나사고정에 의해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부를 내통부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9에 따른 스풀은, 발명 15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앞플랜지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고정부재와 내통부재로 앞플랜지부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앞플랜지부를 내통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발명 20에 따른 스풀은, 발명 19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고정부재는 나사고정에 의해 앞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고정부재를 앞플랜지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21에 따른 스풀은, 발명 19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 고정부재는 나사고정에 의해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고정부재를 내통부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앞플랜지부에 나사를 관통시켜 앞플랜지 고정부재와 내통부재를 나사고정하여도 좋다.
발명 22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의 후단부는 스커트부의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커트부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발명 23에 따른 스풀은, 발명 22의 스풀에 있어서 절곡부는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간단한 소성가공인 컬링가공에 의해 절곡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24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을 더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커트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고, 게다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비교적 저렴하게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발명 25에 따른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금속박판의 두께는 1.5mm이하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께가 1.5mm이하이므로 프레스가공을 행하기 쉽다. 또한, 이 두께로서는 0.6mm이상 1.0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6mm이상 1.0mm이하인 경우에는 경량화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그러나,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에서는, 예컨대 줄감기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강한 압압력이 부가되면 줄감기몸체부와 함께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발명 26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발명 4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에 장착된 금속제의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발명 4에서는,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하여,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에서는, 예컨대 줄감기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강한 압압력이 부가되면 줄감기몸체부와 함께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여기서는 내통부재에 금속제의 보강부재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와셔 등의 보강부재에 의해, 내통부재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줄감기몸체부에 강한 압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스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27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와셔부재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링형상이면서 판형상의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평와셔 등의 와셔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 28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내통부재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내통부재의 전단부의 고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29에 따른 스풀은, 발명 28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앞플랜지부와내통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줄감기몸체부와 앞플렌지부 사이에서 줄물림을 발생하였을 때 앞플랜지부에 큰 압압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압압력에 의해 앞플랜지부가 내통부재를 변형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앞플랜지부와 내통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보강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내통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30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내통부재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내통부재의 후단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31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는 전방이 개구된 공간을 생성하는 바닥부를 더 가지며, 보강부재는 내통부재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드래그기구 등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의 바닥부에 보강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내통부재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발명 32에 따른 스풀은, 발명 31의 스풀에 있어서, 공간에는 스풀을 제동하기 위한 드래그기구가 수납되며, 보강부재는 드래그기구의 와셔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드래그기구의 와셔와 보강기구를 겸용할 수 있다.
발명 33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압입, 접착, 용착, 나사고정 및 푸쉬너트에 의한 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보강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발명 34에 따른 스풀은, 발명 26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에는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의줄감기몸체부에 대한 강도가 높아진다.
발명 35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며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와 일체성형되며 전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는, 금속박판제의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의 전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내측플랜지부가 줄감기몸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줄감기몸체부에 강한 압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스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36에 따른 스풀은, 발명 35의 스풀에 있어서, 내측플랜지부는 결합부를 가지며, 내통부재는 결합부가 결합하여 내측플랜지부와의 회전방지를 행하는 피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내측플랜지부의 결합부로서 관통공을 형성하고, 내통부재의 피결합부로서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내통부재의 위치결정 및 회전방지를 행할 수 있다.
발명 37에 따른 스풀은, 발명 35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내측플랜지부 및 내통부재 모두에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릴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시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서,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본체(2)는, 릴몸체(2a)와, 릴몸체(2a)로부터 대각선 위쪽 전방으로 연장되는 낚시대장착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몸체(2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간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회전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기구(6)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구동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기어(11)와, 이 페이스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기어(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13)에 의해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해 릴본체(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사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중간기어(23)는 피니언기어(12)에 서로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제1 및 제2 로터아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두 로터아암(31, 32)은 예컨대 알루미늄합금제이며 일체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부분에는 앞벽(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앞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을 피니언기어(12)의 앞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앞벽(33)의 앞부분에 너트(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13)의 내부에 스풀(15)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로터아암(31)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원통부(30)와의 접속부분은 원통부(30)의 둘레방향으로 확대되어 만곡되어 있다. 제1 로터아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베일지지부재(40)가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지지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확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은, 선단부로부터 원통부(30)와의 접속부분을 향해 두갈래로 분기되어 있으며, 원통부(30)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2곳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의 선단내주측에는 제2 베일지지부재(42)가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라인롤러(41)와 제2 베일지지부재(42)와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형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베일지지부재(40,42), 라인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해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아암(44)이 구성된다. 베일아암(44)은, 도 2에 나타낸 줄안내자세와 그로부터 반전된 줄개방자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아암(31)과 제2 로터아암(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7a)와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큰 직경의 통형상의 스커트부(7b)와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7c)를 갖는 스풀본체(7)와,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장착된 지름이 큰 앞플랜지부(8)와, 앞플랜지부(8)를 스풀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 고정부재(9)를 가지고 있다.
줄감기몸체부(7a) 및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통형상의 부재이다. 이 박판의 두께는 1.5mm이하, 바람직하기로는 0.6mm이상 1.0mm이하이다.
내통부재(7c)는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내통부재(7c)는, 도 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기구(60)가 수납되는 본체통부(16)와, 본체통부(16)의 내주측에 일체성형된 원판부(17)와, 원판부(17)의 내주측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부(18a, 18b)와, 본체통부(16)의 후단부에 형성된 내측플랜지부(19)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18a, 18b)의 내주부에는 베어링(56, 57)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두 개의 베어링(56, 57)에 의해 스풀본체(7)는 스풀축(15)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체통부(16)의 외주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6a)는 외주에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7a)를 장착하고, 스피닝가공 등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오목부(16a)의 형상에 맞추어 복수의 홈부(7d)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줄감기몸체부(7a)에 홈부(7d)를 형성함으로써, 줄감기몸체부(7a)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통부(16)의 전단부측에는 앞플랜지부(8) 및 앞플랜지 고정부재(9)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구멍이 각각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플랜지부(19)는 본체통부(16)의 후단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스커트부(7b)의 세워올려진 부분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내측플랜지부(19)에는 스커트부(7b)에 내측플랜지부(19)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구멍이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커트부(7b)에 내측플랜지부(19)를 나사고정함으로써, 내통부재(7c)의 회전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스커트부(7b)는,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도록 줄감기몸체부(7a)와 일체로 프레스가공되어 있다. 스커트부(7b)의 후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7e)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7e)는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7e)를 형성함으로써 스커트부(7b)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앞플랜지부(8)는, 스테인레스합금제의 프레스판을 컬링가공하여 형성된 환상(環狀)부재이다. 앞플랜지부(8)는 본체통부(16)에 나사고정되어 있으며, 이 앞플랜지부(8)와 내측플랜지부(19)가 내통부재(7c)를 끼워 지지함으로써,내통부재(7c)의 축방향의 고정이 이루어져 있다.
앞플랜지 고정부재(9)는 앞플랜지부(8)를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본체통부(16)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플랜지 고정부재(9)의 암나사구멍은, 앞플랜지부(8)의 암나사구멍과 위치가 다르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4)에서는, 줄감기몸체부(7a) 및 스커트부(7b)가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으므로, 스풀(4)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는 내통부재(7c)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7a)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a)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줄감기몸체부(7a) 및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테인레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에 의해 줄감기몸체부(7a) 및 스커트부(7b)를 형성하여도 좋다.
(b) 제1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재(7c)는 합성수지제였으나, 알루미늄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의 경금속으로 내통부재(7c)를 형성하여도 좋다.
(c)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홈부(7d)는 스피닝가공 등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절삭가공이나 전조 등에 의해 홈부(7d)를 형성하여도 좋다.
(d)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앞플랜지부(8)는 스테인레스합금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에 의해 앞플랜지부(8)를 형성하여도 좋다.
(e) 제1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재(7c)는 나사고정되었으나, 압입, 접착 및 홈붙이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f)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앞플랜지부(8)는 내통부재(7c)와 별체로 장착되었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플랜지부(28)와 내통부재(27c)를 일체성형하고, 본체통부(36)와 내측플랜지부(39)를 별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앞플랜지부(8)에 앞플랜지고정부재(9)를 나사고정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부(46)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고 매끄러운 원주면을 형성하여줄감기몸체부(27a)의 내주면에 압입,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부(27b)의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복수의 관통공(65)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의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 줄감기몸체부(7a)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내통부재(7c)를 마련하였으나, 제2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재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보강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풀(64)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67a)와 줄감기몸체부(6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지름이 큰 통형상의 스커트부(67b)와 줄감기몸체부(67a)의 내주측에 장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67c)를 갖는 스풀본체(67)와, 줄감기몸체부(67a)의 전단부에 장착된 지름이 큰 앞플랜지부(68)와, 앞플랜지부(68)를 스풀본체(6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고정부재(69)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재(67c)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68) 사이에는 금속제의 보강부재(70)가 장착되어 있다.
줄감기몸체부(67a) 및 스커트부(67b)는,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통형상의 부재이다.
내통부재(67c)는, 줄감기몸체부(67a)의 내주측에 장착되며, 드래그기구(60)가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부재이다. 내통부재(67c)의 전단부에는 앞플랜지부(68) 및 앞플랜지 고정부재(69)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구멍이 각각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재(67c)의 전단부에는 환상의 오목부(67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67d)에 보강부재(70)가 외주면과 바닥면을 오목부(67d)에 밀착시켜 장착되어 있다.
앞플랜지부(68)는, 스테인레스합금제의 환상부재로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컬링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앞플랜지부(68)는 내통부재(67c)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앞플랜지 고정부재(69)는, 앞플랜지부(68)를 줄감기몸체부(67a)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내통부재(67c)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플랜지 고정부재(69)의 암나사구멍은, 앞플랜지부(68)의 암나사구멍과 위치가 다르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재(70)는, 예컨대 와셔 등의 링형상이면서 판형상의 금속제의 와셔부재이다. 보강부재(70)에는, 내통부재(67c), 앞플랜지부(68) 및 앞플랜지 고정부재(69) 고정용 암나사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64)에서는, 내통부재(67c)의 오목부(67d)에 금속제의 보강부재(7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내통부재(67c)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a)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는 내통부재(67c)에 나사고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압입, 접착,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b)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는 내통부재(67c)의 전단부에 장착되었으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70a)를 내통부재(67c)의 후단부에 볼트(80)에 의해 나사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내통부재(67c)의 후단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푸쉬너트(81)에 의해 보강부재(70b)를 고정하여도 좋다.
(c)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부재(67c)의 내주바닥부에 보강부재(70c)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드래그기구(60)의 와셔로서 겸용시켜도 좋다. 한편, 보강부재(70c)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주부에 걸림용 돌기를 갖는 귀붙이 와셔이다.
(d)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플랜지부(68)에 환상(環狀)의 결합공(68a)을 형성하고, 결합공(68a)에 줄감기몸체부(67a)의 전단부를 결합시켜도 좋다. 한편, 줄감기몸체부(67a)의 두께가 1.5mm이하, 바람직하기로는 0.6mm이상 1.0mm이하인 경우, 결합공(68a)의 홈깊이를 0.5mm정도, 홈폭을 0.6mm이상 1.0mm이하, 예컨대 0.8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를 마련하여 합성수지제의내통부재(67c)를 보강하고 줄감기몸체부(67a)를 더 보강하였으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줄감기몸체부(77a)의 선단에 플랜지부(77e)를 형성하여 줄감기몸체부(77a)의 강도를 높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풀(74)은, 도 11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77a)와, 줄감기몸체부(7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지름이 큰 통형상의 스커트부(77b)와 줄감기몸체부(77a)의 내주측에 장착된 내통부재(77c)를 갖는 스풀본체(77)와, 줄감기몸체부(77a)의 전단부에 장착된 큰 직경의 앞플랜지부(78)와, 앞플랜지부(78)를 스풀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고정부재(79)를 가지고 있다.
줄감기몸체부(77a) 및 스커트부(77b)는,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통형상의 부재이다.
줄감기몸체부(77a)는,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통형상부(77d)와, 통형상부(77d)의 전단부에 일체성형된 내측플랜지부(77e)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77d)에는 낚시줄의 첫감김단의 이음매를 수납하기 위한 관통공(77f)(도 11 참조)이 스커트부(77b) 근방에 1군데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77b)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진 오목부(77g)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77g)에 낚시줄의 선단부분을 걸리도록 하기 위한 낚시줄 걸림부(90)가 장착되어 있다. 오목부(77g)와 낚시줄 걸림부(90) 사이에는, 낚시줄을 끼워 지지하기 위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시줄 걸림부(9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측면단면이 대략 T자형상의 부재로서, 내통부재(77c)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장착된 푸쉬너트(9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내통부재(77c)는 줄감기몸체부(77a)의 내주측에 장착되며, 드래그기구가 장착되는 알루미늄합금제의 통형상부재이며 다이캐스팅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재(77c)의 후단부는 낚시줄 걸림부(90)가 장착됨과 동시에, 스커트부(77b)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내통부재(77c)의 전단부에는 내측플랜지부(77e)에 형성된 후술하는 결합부(77i)가 결합되는 피결합부(77j)가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재(77c)의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앞플랜지 고정부재(79)에 형성된 수나사부(79a)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77h)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플랜지부(77e)는, 내통부재(77c)의 전단부에 접하도록 안쪽으로 절곡되게 프레스가공되어 있다. 내측플랜지부(77e)는, 내통부재(77c)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78)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내측플랜지부(77e)는, 내통부재(77c)에 형성된 피결합부(77j)에 결합되도록 더 안쪽으로 절곡되는 결합부(77i)가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77i)를 피결합부(77j)에 결합시킴으로서, 내측플랜지부(77e)의 내통부재(77c)에 대한 위치결정 및 회전방지를 행할 수 있다.
앞플랜지부(78)는, 알루미늄합금제의 환상부재로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컬링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앞플랜지부(78)는, 앞플랜지고정부재(79)를 내통부재(77c)에 박아 넣어 고정함으로써, 내측플랜지부(77e)의 전단부와 앞플랜지 고정부재(79)와의 사이에 협지된다.
앞플랜지 고정부재(79)는, 전방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통형상부재로서, 후방외주에는 수나사부(7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79a)를 내통부재(77c)의 암나사부(77h)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앞플랜지 고정부재(79)가 내통부재(77c)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74)에서는, 줄감기몸체부(77a)에는 줄감기몸체부(77a)의 전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되는 내측플랜지부(77e)가 일체성형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77a)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a) 제3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재(77c)는 알루미늄합금제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부재(87c)는 합성수지제여도 좋다. 또한, 앞플랜지부(78)는 알루미늄합금제였으나, 스테인레스합금제나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제여도 좋다.
(b) 제3 실시형태에서는, 앞플랜지 고정부재(79)는 내통부재(77c)에 앞플랜지부(78)를 줄감기몸체부(77a)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줄감기몸체부(77a)의 전단부에 장착되었으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플랜지 고정부재(89)를 내통부재(87c)의 전단부에 볼트(82, 83)에 의해 나사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앞플랜지부(88), 앞플랜지 고정부재(89) 및 내측플랜지부(87e) 모두를 내통부재(87c)에 체결함으로써, 각각을 별개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나사 수를 줄일 수 있다.
(c) 제3 실시형태에서는, 낚시줄 걸림부(90)는 내통부재(77c)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장착된 푸쉬너트(91)에 의해 고정되었으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볼트(92)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가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줄감기몸체부에는 내통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내통부재에는 금속제의 보강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내통부재를 고강도화함으로써 스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를 고강도화함으로써 스풀을 경량화하면서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7)

  1.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며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마련된 스커트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 장착된 내통부재를 구비한 스피닝릴의 스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상기 금속박판에 의해 상기 줄감기몸체부와 일체성형된 큰 직경의 통형상의 것인 스피닝릴의 스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합성수지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경금속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알루미늄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후단부로부터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압입, 접착, 나사고정 및 홈붙이고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줄감기몸체부 및 상기 스커트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 및 상기 스커트부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 및 상기 스커트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주홈부는, 절삭가공, 프레스가공및 전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주홈부는 상기 오목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상기 내통부재와 일체성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상기 내통부재에 별체로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렌지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컬링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나사고정에 의해 상기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앞플랜지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 고정부재는 나사고정에 의해 상기 앞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 고정부재는 나사고정에 의해 상기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후단부는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을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의 두께는 1.5mm이하인 스피닝릴의 스풀.
  2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에 장착된 금속제의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릴의 스풀.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와셔부재인 스피닝릴의 스풀.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통부재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앞플랜지부와 상기 내통부재의 전단부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통부재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는 전방이 개구된 공간을 생성하는 바닥부를 더 가지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통부재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스풀을 제동하기 위한 드래그기구가 수납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드래그기구의 와셔인 스피닝릴의 스풀.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압입, 접착, 용착, 나사고정 및 푸쉬너트에 의한 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내통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4. 제 26항에 있어서, 앞플랜지부에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며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와 일체성형되며 전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를 갖는 스피닝릴의 스풀.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랜지부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통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플랜지부와의 회전방지를 행하는 피결합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상기 내측플랜지부 및 상기 내통부재모두에 체결고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KR1020000070900A 1999-12-03 2000-11-27 스피닝릴의 스풀 KR100692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431999A JP2001161230A (ja) 1999-12-03 1999-12-0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11-344319 1999-12-03
JP2000139795A JP2001321037A (ja) 2000-05-12 2000-05-12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0-139795 2000-05-12
JP2000155617 2000-05-26
JP2000-155617 200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968A true KR20010061968A (ko) 2001-07-07
KR100692643B1 KR100692643B1 (ko) 2007-03-13

Family

ID=2734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00A KR100692643B1 (ko) 1999-12-03 2000-11-27 스피닝릴의 스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33203B2 (ko)
EP (1) EP1108355B1 (ko)
KR (1) KR100692643B1 (ko)
CN (1) CN1191011C (ko)
AT (1) ATE287208T1 (ko)
AU (1) AU779879B2 (ko)
DE (1) DE60017537T2 (ko)
SG (1) SG105476A1 (ko)
TW (1) TW461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8258B2 (en) * 2000-10-25 2003-11-18 Shimano, Inc. Spinning reel spool and spinning reel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3854823B2 (ja) * 2001-07-02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CN100338631C (zh) * 2003-07-03 2007-09-19 马堃 数字成像设备现场全景成像的方法
US6827306B1 (en) * 2003-07-22 2004-12-07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Push to turn locking preset knob for fishing reel
US6938847B1 (en) * 2004-03-02 2005-09-06 Shih-Yuan Yeh Spool for a fishing reel
JP5755044B2 (ja) * 2011-06-20 2015-07-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CN102554156A (zh) * 2012-03-02 2012-07-11 北京航空航天大学 非晶态薄带高速卷取辊筒装置
US8651409B2 (en) * 2012-07-11 2014-02-18 Shih-Yuan Yeh Brake-adjusting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6184884B2 (ja) * 2014-01-31 2017-08-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08291A (fr) * 1950-01-13 1952-05-15 Moulinet perfectionné pour le lancer léger
JPS4966480A (ko) * 1972-10-21 1974-06-27
US4222534A (en) * 1978-02-04 1980-09-16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EP0166668A1 (fr) * 1984-06-20 1986-01-02 Pierre Monnin Moulinet de pêche muni d'un dispositif de débrayage de la bobine
US4938433A (en) * 1987-05-23 1990-07-03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inning reel
JPH0741348Y2 (ja) * 1988-06-13 1995-09-27 島野工業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US5120001A (en) * 1989-07-07 1992-06-09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JPH0435775U (ko) * 1990-07-19 1992-03-25
FR2709922B1 (fr) * 1993-09-14 1995-10-27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êche à bobine enveloppée et dispositif de retenue du fil.
AT503U1 (de) * 1994-12-01 1995-12-27 Davorin Sonenvald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schnur
JP3101645B2 (ja) * 1995-02-16 2000-10-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5603465A (en) * 1995-07-27 1997-02-18 Abu Ab Fishing reel drag with adjusting knob behind the spool
US5607114A (en) * 1995-07-27 1997-03-04 Abu Ab Line spool assembly consisting of two sleeve members and intended for an open-face fishing reel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5881093A (en) * 1997-02-10 1999-03-09 Motorola, Inc. Method of interleaving a convolutionally coded signal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FR2765454B1 (fr) * 1997-07-07 1999-09-1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frein arriere et a reserve de fil interchangeable
JP2000050774A (ja) * 1998-08-06 2000-02-2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6283393B1 (en) * 1999-12-17 2001-09-04 Brunswick Corporation Drag seal for spinn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8355A1 (en) 2001-06-20
DE60017537D1 (de) 2005-02-24
CN1298637A (zh) 2001-06-13
AU7199200A (en) 2001-06-07
AU779879B2 (en) 2005-02-17
SG105476A1 (en) 2004-08-27
KR100692643B1 (ko) 2007-03-13
CN1191011C (zh) 2005-03-02
DE60017537T2 (de) 2006-01-12
ATE287208T1 (de) 2005-02-15
EP1108355B1 (en) 2005-01-19
US6533203B2 (en) 2003-03-18
US20010002684A1 (en) 2001-06-07
TW461800B (en)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643B1 (ko) 스피닝릴의 스풀
KR101416880B1 (ko)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US7137585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7775471B2 (en) Spool of fishing reel
US20100301150A1 (en) Fishing reel handle assembly
EP2371214B1 (en) Spinning reel master gear assembly
TWI415564B (zh) The handle rod handle for the fishing reel and the joystick assembly
US7798437B2 (en) Rotor for spinning reel
JP2003111536A (ja)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KR20010061967A (ko) 스피닝릴의 스풀
US20020175236A1 (en) Spinning reel rotor
KR100752699B1 (ko) 스피닝릴의 스풀
JP200300973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116123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75341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0333565A (ja) 魚釣用リールのカバー体
JP20013210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6507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16122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10140392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88423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82724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4536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