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967A - 스피닝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967A
KR20010061967A KR1020000070899A KR20000070899A KR20010061967A KR 20010061967 A KR20010061967 A KR 20010061967A KR 1020000070899 A KR1020000070899 A KR 1020000070899A KR 20000070899 A KR20000070899 A KR 20000070899A KR 20010061967 A KR20010061967 A KR 2001006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pinning reel
bobbin trunk
bobbin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431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1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443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1229A/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6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3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and spool sha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다른 스피닝릴의 스풀 본체(7)는 줄감기몸체부(7a)와,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스커트부(7b)를 갖고 있다. 줄감기몸체부(7a)는 두꺼운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부(16)와, 줄감기부(16)의 내주측에 일체성형된 바닥부(17)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제로서 통형상부(7c)와 뒤플랜지부(7d)가 일체로 프레스가공에 의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강도를 유지하고 또 전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닝릴의 스풀{Spool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특히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릴은,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하며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전단에 배치되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의 후방에 설치된 통형상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앞플랜지부는 앞플랜지 고정부재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에서는, 일반적으로 줄감기몸체부에는 큰 힘이 걸리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스커트부는 줄감기몸체부 정도의 강도를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가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 등의 다이캐스트성형에 의해 일체성형되는 경우, 두께변동에 의한 오목한 부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 전체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 강도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줄감기몸체부와 스커트부를 별체로 형성하여 줄감기몸체부에 통형상의 스커트부가 장착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줄감기몸체부와 스커트부가 일체성형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두껍게 형성하면 스커트부도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풀 전체가 무거워진다. 한편 스커트부만을 경량화하기 위해서 이 부분을 절삭 또는 천공가공한 것이 있지만 가공시간과 비용이 과다 소요된다. 또한 단순히 얇게 하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줄감기몸체부와 스커트부가 별체로 구성된 스풀에서는, 스커트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의 직경방향의 강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의 강도가 저하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스커트부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 및 스커트부의강도를 유지하고 또 전체의 경량화를 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줄감기몸체부와 스커트부가 별체로 구성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의 강도를 유지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피닝릴의 좌측면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피닝릴의 스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상기 스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또다른 변형예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또다른 변형예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또다른 변형예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또다른 변형예의 도 1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제2실시형태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4 스풀
7a 줄감기몸체부
7b 스커트부
7c 뒤플랜지부
7d 절곡부
7e 외주부
7f 내주부
8 앞플랜지부
16 줄감기부
16b 제1줄감기부
16c 제2줄감기부
17 바닥부
17a 제1바닥부
17b 제2바닥부
70 관통공
발명 1에 관한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로서, 외주에 낚시줄이 권취되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와 일체형성되어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뒤플랜지부를 갖는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풀에서는, 스커트부의 통형상부와 뒤플랜지부가 일체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뒤플랜지부에 의해 직경방향의 내성이 강화되어 스커트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와는 별도로 줄감기몸체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를 두껍게 형성하여 강도를 유지하면서 스커트부를 얇게 형성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합성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스커트부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한 스풀은, 발명1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금속제이다.
이 경우에는 스커트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한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합금의 경우는, 스커트부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또한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합금의 경우는 스커트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티타늄합금의 경우는 스커트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의 경우는 스커트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한 스풀은, 발명 3 또는 발명 4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가공의 경우는 스커트부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프레스가공의 하나인 드로잉가공이나 스피닝가공에 의해 스커트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다이캐스트성형의 경우는 스커트부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단조의 경우는 스커트부를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한 스풀은, 발명 5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의 통형상부와 뒤플랜지부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스커트부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의 형상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커트부만을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커트부 전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금속제이다.
이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한 스풀은, 발명 7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합금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또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합금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티타늄합금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한 스풀은, 발명 8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가공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프레스가공의 하나인 드로오잉(drawing)가공이나 스피닝가공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다이캐스트성형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단조의 경우는 줄감기몸체부를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합성수지제이다.
이 경우는 합성수지에 의해 줄감기몸체부를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한 스풀은, 발명 2 또는 발명 10의 스풀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부재는 표면처리되어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의 표면에 도금처리함으로써 금속풍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발명 12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마련되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앞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이 전방으로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발명 13에 관한 스풀은, 발명 12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와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는 앞플랜지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14에 관한 스풀은, 발명 12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에 별체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앞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거나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발명 15에 관한 스풀은, 발명 12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합금의 경우는, 앞플랜지부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또한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합금의 경우는, 앞플랜지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티타늄합금의 경우는, 앞플랜지부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의 경우는, 앞플랜지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16에 관한 스풀은, 발명 15의 스풀에 있어서 앞플랜지부는컬링(curling)가공되어 있다.
이 경우는 앞플랜지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발명 17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뒤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내주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스커트부의 바닥부로서 뒤플랜지부에 내주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18에 관한 스풀은, 발명 17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바닥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19에 관한 스풀은, 발명 18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바닥부는 스커트부의 바닥부와 접합 가능하다.
이 경우는 줄감기몸체부의 바닥부와 스커트부의 바닥부를 접착이나 용접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강고히 접합할 수 있다.
발명 20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후단부에서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외주부를 더 갖고 있다.
발명 21에 관한 스풀은, 발명 20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외주부는 스커트부의 뒤플랜지부와 접합가능하다.
발명 22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제1바닥부를 갖는 제1줄감기부와, 제1줄감기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스커트부와 일체성형된 통형상의 제2줄감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스커트부와 제2줄감기부가 일체성형되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이 물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3에 관한 스풀은, 발명 22의 스풀에 있어서 제2줄감기부는 제2바닥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는 제2줄감기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발명 24에 관한 스풀은, 발명 23의 스풀에 있어서 제1바닥부는 제2바닥부와 접합 가능하다.
발명 25에 관한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통형상부의 후단부에서 내주측에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갖고 있다.
이 경우는 스커트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발명 26에 관한 스풀은, 발명 25의 스풀에 있어서 절곡부는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간단한 소성가공인 컬링가공에 의해 절곡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27에 관한 스풀은, 발명 3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을 더 갖고 있다.
이 경우는 스커트부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으며 더구나 프레스가공에 의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시줄을 외주면에 권취하는 것으로서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릴 몸체(2a)와, 릴 몸체(2a)에서 대각선 위쪽 전방으로 연장되는 낚시대 부착 다리(2b)를 갖고 있다. 릴 몸체(2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고 있으며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시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오실레이팅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기어(11)와, 이 페이스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를 갖고 있다. 피니언기어(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13)에 의해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14b)를 통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축(15)의 아래쪽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사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기어(23)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기어(23)는 피니언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옆쪽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로터아암(31),(32)를 갖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아암(31),(3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제로서 일체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부분에는 앞벽(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앞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을 피니언기어(12)의 앞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앞벽(33)의 앞부분에 너트(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13)의 내부에 스풀축(1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제1로터아암(31)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베일지지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베일지지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시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라인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로터아암(32)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베일지지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롤러(41)와 제2베일지지부재(42)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 형태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베일지지부재(40),(42), 라인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해 낚시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아암(44)이 구성된다. 베일아암(44)은 도 2에 도시한 낚시줄 안내자세와 그로부터 반전된 낚시줄 개방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원통부(30) 내부에는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회전방지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방지기구(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륜이 유전(遊轉)하는 로울러형 일방향 클러치(51)와, 일방향 클러치(51)를 작동상태(역회전금지상태)와 비작동상태(역회전허가상태)로 절환하는 절환기구(52)를 갖고 있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로터아암(31)과 제2로터아암(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7a) 및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큰직경의 스커트부(7b)를 갖는 스풀 본체(7)와,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앞플랜지부(8)와, 앞플랜지부(8)를 스풀 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 고정부재(9)를 갖고 있다. 또 스풀 본체(7)는 2개의 베어링(56),(57)에 의해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줄감기몸체부(7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부(16)와, 줄감기부(16)의 내주측에 일체성형된 바닥부(17)와, 바닥부(17)의 내주측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부(18a),(18b)를 갖고 있다. 줄감기부(16)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고리형 홈이 줄감기부(16)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줄감기부(16)의 내주면에는 앞플랜지 고정부재(9)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8a),(18b)의 내주부에는 베어링(56),(57)이 장착되어 있다. 또 줄감기부(16)의 외주측에는 금속풍의 외관을 나타내도록 도금처리되어 있다.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제로서,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는 통형상부(7c)와, 통형상부(7c)와 줄감기몸체부(7a)를 연결하는 뒤플랜지부(7d)가일체로 프레스가공에 의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7c)의 후단부는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7e)가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뒤플랜지부(7d)는 줄감기몸체부(7a)의 내주측에까지 연장되는 내주부(7f)를 가지고 있으며 이 내주부(7f)와 줄감기몸체부(7a)의 바닥부(17)가 접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앞플랜지부(8)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원판형 부재이다. 앞플랜지부(8)는 줄감기몸체부(7a) 내주면의 암나사부(16a)에 나사결합하는 앞플랜지 고정부재(9)에 의해 줄감기몸체부(7a)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앞플랜지 고정부재(9)는, 스풀 본체(7)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a)에 나사결합하는 통형상의 수나사부(9a)와, 수나사부(9a)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드래그기구(60)의 후술하는 복수의 드래그판(62)을 수납 가능한 공간을 내부에 갖는 통형상의 드래그수납부(9b)와, 수나사부(9a)의 선단에 앞플랜지부(8)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부(9c)를 갖고 있다.
드래그기구(60)는 스풀(4)과 스풀축(15) 사이에 장착되어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기구(60)은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61)와, 손잡이부(61)에 의해 스풀(4)측으로 압압되는 여러장의 드래그판(62)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스풀(4)은 줄감기몸체부(7a)가 합성수지로 두껍게 형성되고 스커트부(7b)가 알루미늄합금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부(7b)의 통형상부(7c)와 뒤플랜지부(7d)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줄감기몸체부(7a)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7a)의 강도를 유지할수 있으며 더욱이 스커트부(7b)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7b)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7b)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통형상부(7c)와 뒤플랜지부(7d)가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에 의해 스커트부(7b)를 형성해도 좋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줄감기몸체부(7a)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 금속의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줄감기몸체부(7a)를 형성해도 좋다.
(c)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감기몸체부(77a)는 후단부에서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외주부(77g)를 더 가지며 이 외주부(77g)와 뒤플랜지부(77d)를 접합하도록 해도 좋다.
(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제1줄감기부(16b)와, 프레스가공에 의해 뒤플랜지부(87d)와 일체성형되어 제1줄감기부(16b)와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가공된 알루미늄합금제의 제2줄감기부(16c)에 의해 줄감기몸체부(87a)를 구성하고, 제1줄감기부(16b)의 내주측에 형성된 제1바닥부(17a)와 제2줄감기부(16c)의 내주측에 형성된 제2바닥부(17b)를 접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줄감기부(16b)및 제2줄감기부(16c)를 각각 금속에 의해 형성하고 제1바닥부(17a)와 제2바닥부(17b)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앞플랜지부(8)는 줄감기몸체부(7a)에 별체로 장착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플랜지부(98)와 줄감기몸체부(7a)를 일체성형해도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링가공한 앞플랜지부(108)를 줄감기몸체부(7a)에 장착해도 좋다.
(f)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7b)의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복수의 관통공(70)을 형성해도 좋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한편,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12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127a) 및 줄감기몸체부(127a)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줄감기몸체부(127a)보다 큰 직경의 통형상의 스커트부(127b)를 갖는 스풀 본체(127)와, 줄감기몸체부(127a)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앞플랜지부(128)와, 앞플랜지부(128)를 스풀 본체(12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 고정부재(129)를 갖고 있다. 또 스풀본체(127)는 2개의 베어링(156),(157)에 의해 스풀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줄감기몸체부(127a)는 알루미늄합금제의 줄감기부(116)와, 줄감기부(116)의 내주측에 일체성형된 바닥부(117)와, 바닥부(117)의 내주측에 형성된 한쌍의 보스부(118a),(118b)를 갖고 있다. 줄감기부(116)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리형 홈이 줄감기부(116)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줄감기부(116)의 내주면에는 앞플랜지 고정부재(129)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116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18a),(118b)의 내주부에는 베어링(156),(157)이 장착되어 있다.
스커트부(127b)는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 부재로서, 스커트부(107b)의 전단부에 고리형의 뒤플랜지부(127c)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7b)의 뒤플랜지부(127c)와 줄감기몸체부(127a)의 바닥부(117)가 접착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스커트부(127b)의 외주측에는 금속풍의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도금처리되어 있다.
앞플랜지부(128)는 스테인리스합금제의 원판형 부재이다. 앞플랜지부(128)는 줄감기몸체부(127a) 내주면의 암나사부(116a)에 나사결합하는 앞플랜지 고정부재(129)에 의해 줄감기몸체부(127a)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앞플랜지 고정부재(129)는, 스풀 본체(7)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6a)에 나사결합하는 통형상의 수나사부(129a)와, 수나사부(129a)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드래그기구(60)의 후술하는 복수의 드래그판(62)을 수납 가능한 공간을 내부에 갖는 통형상의 드래그수납부(129b)와, 수나사부(129a)의 선단에 앞플랜지부(128)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접촉부(129c)를 갖고 있다.
이러한 스풀(124)은, 스커트부(127b)에 뒤플랜지부(12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뒤플랜지부(127c)에 의해 직경방향의 내성이 강화되기 때문에 스커트부(127b)의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
(a)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줄감기몸체부(127a)는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에 의해 줄감기몸체부(127a)를 형성해도 좋다.
(b)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부(127b)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등 금속의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스커트부(127b)를 형성해도 좋다.
(c)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합금제의 제1줄감기부(116b)와, 제1줄감기부(116b)와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가공된 합성수지제의 제2줄감기부(116c)에 의해 줄감기몸체부(137a)를 구성하고, 제1줄감기부(116b)의 내주측에 형성된 제1바닥부(117a)와 제2줄감기부(116c)의 제2바닥부(117b)를 접합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줄감기부(116b) 및 제2줄감기부(116c)를 각각 금속에 의해 형성하고 제1바닥부(117a)와 제2바닥부(117b)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커트부에 뒤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다른 발명에 따르면, 스커트부의 통형상부와 뒤플랜지부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줄감기몸체부의 규격에 영향받지 않고 강도를 유지하면서 스커트부를 얇게 형성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줄감기몸체부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7)

  1.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로서,
    외주에 낚시줄이 권취되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와 일체형성되어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뒤플랜지부를 갖는 스커트부를 구비한 스피닝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합성수지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금속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통형상부와 상기 뒤플랜지부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금속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프레스가공, 다이캐스트성형 및 단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합성수지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11.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의 부재는 표면처리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와 일체성형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에 별체로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합금, 티타늄합금 및 마그네슘합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앞플랜지부는 컬링가공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플랜지부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으로 연장된 내주부를 더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바닥부를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바닥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뒤플랜지부의 내주부와 접합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후단부에서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외주부를 더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상기 외주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뒤플랜지부와 접합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제1바닥부를 갖는 제1줄감기부와, 상기 제1줄감기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스커트부와 일체 성형된 통형상의 제2줄감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줄감기부는 제2바닥부를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는 상기 제2바닥부와 접합 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후단부에서 내주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더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컬링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릴의스풀.
  2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을 더 갖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KR1020000070899A 1999-12-03 2000-11-27 스피닝릴의 스풀 KR20010061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44318 1999-12-03
JP11-344317 1999-12-03
JP34431799A JP2001161228A (ja) 1999-12-03 1999-12-0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4431899A JP2001161229A (ja) 1999-12-03 1999-12-0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967A true KR20010061967A (ko) 2001-07-07

Family

ID=2657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899A KR20010061967A (ko) 1999-12-03 2000-11-27 스피닝릴의 스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72044B2 (ko)
EP (1) EP1108356B1 (ko)
KR (1) KR20010061967A (ko)
CN (1) CN1191753C (ko)
AT (1) ATE321448T1 (ko)
AU (1) AU776682B2 (ko)
DE (1) DE60026948T2 (ko)
MY (1) MY125188A (ko)
SG (1) SG93912A1 (ko)
TW (1) TW462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5343B (en) * 2000-11-13 2002-07-2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3854823B2 (ja) * 2001-07-02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141103A (ja) *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US7275706B2 (en) *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RU2395961C1 (ru) * 2008-12-05 2010-08-10 Александр Рафаилович Князев Безынерционная рыболовная катушка, исключающая закручивание лесы
JP4886066B2 (ja) 2010-01-19 2012-02-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368529B2 (ja) * 2014-04-28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及び釣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用の制動板組を備えた釣用リール
TWM554253U (zh) * 2017-05-19 2018-01-11 Huang Cheng Yu 手機、平板電腦輔助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2419A (en) * 1950-08-30 1955-07-05 Franz J Martini Spinning type fishing reel
US3179351A (en) * 1963-03-20 1965-04-20 Raymond A Ehlert Dual purpose container and hand casting free spin fish line spool
JPH02299528A (ja) * 1989-05-15 1990-12-11 Asahi Chem Ind Co Ltd 魚釣用リール構成素材
US5149008A (en) * 1990-12-21 1992-09-22 Shimano Industrial Co., Ltd. Spinning reel with adjustable drag member
JP2604666Y2 (ja) * 1993-12-17 2000-05-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T503U1 (de) 1994-12-01 1995-12-27 Davorin Sonenvald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schnur
USD393689S (en) * 1996-05-31 1998-04-21 Daiwa Seiko, Inc. Spool for a fishing spinning reel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FR2765454B1 (fr) * 1997-07-07 1999-09-1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frein arriere et a reserve de fil interchangeable
JP2000050774A (ja) * 1998-08-06 2000-02-2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6354526B1 (en) * 1999-03-12 2002-03-12 Shimano Inc. Single bearing fishing reel and sound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8636A (zh) 2001-06-13
EP1108356A1 (en) 2001-06-20
MY125188A (en) 2006-07-31
DE60026948D1 (de) 2006-05-18
US20020162910A1 (en) 2002-11-07
CN1191753C (zh) 2005-03-09
US6572044B2 (en) 2003-06-03
AU776682B2 (en) 2004-09-16
TW462871B (en) 2001-11-11
SG93912A1 (en) 2003-01-21
ATE321448T1 (de) 2006-04-15
AU7199300A (en) 2001-06-07
EP1108356B1 (en) 2006-03-29
DE60026948T2 (de)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119B2 (en)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EP2371214B1 (en) Spinning reel master gear assembly
KR20010061967A (ko) 스피닝릴의 스풀
KR100692643B1 (ko) 스피닝릴의 스풀
KR10094270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8926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3111536A (ja)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JP393451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KR20040031656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392604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16122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20001517A (ko) 스피닝릴의 스풀
JP390506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100620494B1 (ko) 이중 베어링 릴의 릴 몸체
JP35262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US20040211852A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nig reel
JP200116122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5665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2584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872211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23857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12830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糸巻補助具
JP38253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16123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16123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