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699B1 - 스피닝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699B1
KR100752699B1 KR1020010029489A KR20010029489A KR100752699B1 KR 100752699 B1 KR100752699 B1 KR 100752699B1 KR 1020010029489 A KR1020010029489 A KR 1020010029489A KR 20010029489 A KR20010029489 A KR 20010029489A KR 100752699 B1 KR100752699 B1 KR 10075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runk
spool
flange portion
spinning reel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517A (ko
Inventor
다키쿠라고지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0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agnetic Head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와 플랜지부 사이에 낚시줄을 물려 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4)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7a)와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큰 직경의 통형상의 스커트부(7b)를 갖는 스풀본체(7)와,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결합된 앞플랜지부(8)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줄감기몸체부(7a)는, 통형상부(7c)와, 통형상부(7c)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7d)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재(7d)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8) 사이에는, 금속제의 보강부재(70)가 장착되어 있다. 보강부재(70)는, 예컨대 와셔 등의 환상이면서 판형상의 금속제의 링부재이다.

Description

스피닝릴의 스풀{Spool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스피닝릴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피닝릴의 좌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피닝릴의 스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 릴본체
4 스풀
7a 줄감기몸체부
7b 스커트부
7c 통형상부
7d 내통부재
7g 뒷플랜지부
8 앞플랜지부
70 보강부재
본 발명은 스풀, 특히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릴은, 핸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본체와, 로터와,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하며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전단(前端)에 결합되며 줄감기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앞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의 후방에 마련된 뒤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스커트부의 뒷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와 일체로 또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마련되어 있다. 앞플랜지부는 앞플랜지고정부재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에서는, 스풀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줄감기몸체부가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앞플랜지부는, 비강도(比强度)를 유지하며, 또한 낚시줄의 미끄러짐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앞플랜지부는 줄감기몸 체부와는 별도로 재질이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제의 스풀에서는, 일반적으로, 줄감기몸체부의 비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또한,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비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이와 같이 줄감기몸체부의 비강도가 저하되면, 예컨대 줄감기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에 강한 압압력이 가해지면, 줄감기몸체부가 변형되어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줄감기몸체부, 특히 줄감기몸체부의 전단이 변형되면, 앞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와는 다른 부재이므로, 줄감기몸체부와 앞플랜지부 사이에 간극이 생성되고, 이러한 간극으로 낚시줄이 물려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스커트부가 줄감기몸체부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마련된 스풀에서는, 뒷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마련되므로, 줄감기몸체부와 뒷플랜지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 낚시줄이 물려들어가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와 플랜지부 사이로 낚시줄이 물려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데 있다.
발명 1에 따른 스피닝릴의 스풀은,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의 플랜지부 결합측에 마련된 보 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풀에서는, 줄감기몸체부의 플랜지부결합측에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강한 압압력이 작용하여도, 줄감기몸체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 사이에는 간극이 생성되기 어려워져, 낚시줄이 물려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플랜지부는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前端部)에 결합되는 앞플랜지부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 사이로 낚시줄이 물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된 스커트부를 더 구비하며, 플랜지부는 스커트부에 마련되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뒷플랜지부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뒷플랜지부와 줄감기몸체부 사이로 낚시줄이 물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금속제의 링부재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환상(環狀) 그리고 판형상이면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와셔 등의 링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고강도화를 도모하면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합성수지제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비강도가 낮은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몸체부에 대하여도, 보강부재에 의해 줄감기몸체부의 고강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는, 금속박판 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통형상부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금속박판제의 줄감기몸체부의 내주측에는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가 결합되고, 내통부재에는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강부재에 의해, 내통부재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풀은, 발명 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플랜지부와 내통부재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내통부재의 단부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스풀은, 발명 6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통형상부와 일체성형되며, 통형상부의 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내측플랜지부를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플랜지부와 일체성형되며, 플랜지부의 내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내측플랜지부를 플랜지부와 일체성형함으로써, 줄감기몸체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10에 따른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플랜지부에 마련되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마련된 결합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플랜지부에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부에 줄감기몸체부의 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랜지부의 줄감기몸체부에 대한 비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스피닝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시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서,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본체(2)는, 릴몸체(2a)와, 릴몸체(2a)로부터 앞쪽 대각선 전방으로 연장되는 낚시대결합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몸체(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간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구동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기구(6)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구동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기어(11)와, 이 페이스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기어(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앞부분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너트에 의해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 통해 릴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사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기어(23)는 피니언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제1 및 제2 로터아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두 로터아암(31, 32)은 예컨대 알루미늄합금제로서 일체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아암(31)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원통부(30)와의 접속부분은 원통부(30)의 둘레방향으로 넓어져 만곡되어 있다. 제1 로터아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지지부재(40)가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지지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은, 선단부로부터 원통부(30)와의 접속부분을 향해 두갈래로 분기되어 있으며, 원통부(30)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두군데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로터아암(32)의 선단내주측에는, 제2 베일지지부재(42)가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롤러(41)와 제2 베일지지부재(42)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형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베일지지부재(40, 42), 라인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해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아암(44)이 구성된다. 베일아암(44)은, 도 2에 나타낸 줄안내자세와 그로부터 반전된 줄개방자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아암(31)과 제2 로터아암(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기구(60)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스풀(4) 은,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줄감기몸체부(7a)와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일체성형된 큰 직경의 통형상의 스커트부(7b)를 갖는 스풀본체(7)와,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결합된 큰 직경의 앞플랜지부(8)와, 앞플랜지부(8)를 스풀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고정부재(9)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재(7d)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8) 사이에는, 금속제의 보강부재(70)가 장착되어 있다.
줄감기몸체부(7a)는, 알루미늄합금의 박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의 통형상부(7c)와, 통형상부(7c)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7d)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7c) 및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합금제 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통형상의 부재이다.
내통부재(7d)는, 통형상부(7c)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드래그기구(60)가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부재이다. 내통부재(7d)의 전단부에는, 앞플랜지부(8) 및 앞플랜지부고정부재(9)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암나사구멍이 각각 여러군데 형성되어 있다.
앞플랜지부(8)는, 스테인레스합금제의 환상부재로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컬링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앞플랜지부(8)는 내통부재(7d)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앞플랜지고정부재(9)는,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앞플랜지부(8)가 끼워지도록 하여, 내통부재(7d)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플랜지고정부재(9)의 암나사구멍은, 앞플랜지부(8)의 암나사구멍과 위치가 다르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재(70)는, 예컨대 와셔 등의 링형상이며 판형상의 금속제의 링부재이 다. 보강부재(70)에는, 내통부재(7d), 앞플랜지부(8) 및 앞플랜지고정부재(9)의 암나사구멍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여러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4)에서는, 내통부재(7d)에는 금속제의 보강부재(7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내통부재(7d)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줄감기몸체부(7a)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줄감기몸체부(7a)와 앞플랜지부(8) 사이로 낚시줄이 물려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는 내통부재(7d)에 나사고정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입, 장착,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줄감기몸체부(7a)는, 알루미늄합금제 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7c)와,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7d)를 가지고 있었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에 의해 스커트부(7b)를 일체성형하여도 좋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는, 줄감기몸체부(7a)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마련되었으나, 줄감기몸체부(7a)와 일체성형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70)는, 통형상부(7c)의 전단부가 내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7e)여도 좋다. 또한, 내측플랜지부(7e)는, 내통부재(7d)의 전단부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게 프레스가공되어 있으며, 내통부재(7d)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8)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강부재(70)는,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와 앞플랜지부(8) 사이에 마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의 앞플랜지부(8)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금속제의 보강부재(70)를 압입결합하여도 좋다.
(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플랜지부(8)에 마련된 통형상의 보강부재(70)를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내주부에 압입결합하여도 좋다. 또한, 앞플랜지부(8)의 절곡부분과 줄감기몸체부(7a)와의 접합부분에 있어서, 앞플랜지부(8) 및 줄감기몸체부(7a)가 각각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시줄이 접하여도 손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f)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70)는, 줄감기몸체부(7a)의 전단부에 마련된 결합부(7f)가 결합되도록 앞플랜지부(8)에 형성된 환상의 피결합부(8a)여도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줄감기몸체부(7a)의 결합부(7f)를 앞플랜지부(8)의 피결합부(8a)(보강부재 (70))에 의해 결합하여도 좋다.
(g)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70)는, 뒷플랜지부(7g)를 갖는 스커트부(7b)와 줄감기몸체부(7a)에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뒷플랜지부(7g)의 내단부가 내주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내측플랜지부(7e)여도 좋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줄감기몸체부(7a)의 후단부에 뒷플렌지부(7g)와는 별도의 부재에 의한 보강부재(70)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줄감기몸체부의 플랜지부결합측에는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줄감기몸체부를 고강도화함으로써, 줄감기 몸체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줄감기몸체부와 플랜지부 사이로 낚시줄이 물려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결합측에 마련된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그 줄감기몸체부의 보강을 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의 스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앞플랜지부인 스피닝릴의 스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된 스커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스커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뒷플랜지부인 스피닝릴의 스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제의 링부재인 스피닝릴의 스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합성수지제인 스피닝릴의 스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7.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결합측에 마련된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내통부재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8.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결합측에 마련된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줄감기몸체부는, 금속박판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측에 결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통형상부와 일체성형되며 상기 통형상부의 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성형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단부가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피닝릴의 스풀.
  10. 릴본체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한 스피닝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주에 낚시줄이 감기는 통형상의 줄감기몸체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상기 플랜지부결합측에 마련된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줄감기몸체부의 단부에 마련된 결합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인 스피닝릴의 스풀.
KR1020010029489A 2000-06-26 2001-05-28 스피닝릴의 스풀 KR100752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0665 2000-06-26
JP2000190665A JP2002000136A (ja) 2000-06-26 2000-06-26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517A KR20020001517A (ko) 2002-01-09
KR100752699B1 true KR100752699B1 (ko) 2007-08-29

Family

ID=1869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489A KR100752699B1 (ko) 2000-06-26 2001-05-28 스피닝릴의 스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31483B2 (ko)
EP (1) EP1166627B1 (ko)
JP (1) JP2002000136A (ko)
KR (1) KR100752699B1 (ko)
CN (1) CN1167336C (ko)
AT (1) ATE493882T1 (ko)
DE (1) DE60143778D1 (ko)
MY (1) MY117445A (ko)
SG (1) SG92805A1 (ko)
TW (1) TW474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8203B (en) *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4266718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US7178751B1 (en) * 2004-12-07 2007-02-20 Gregory D. Isaacs Fishing reel
US7275706B2 (en) *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EP2745685B1 (en) * 2012-12-20 2015-08-05 Shimano Inc.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spool
JP6046481B2 (ja) * 2012-12-20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400A (en) * 1996-07-10 1999-09-07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used for fishing and having a front flange member secured to the spool bod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534A (en) * 1978-02-04 1980-09-16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GB9312721D0 (en) * 1993-06-19 1993-08-04 Jaguar Cars Vehicle bonnets
US5603465A (en) * 1995-07-27 1997-02-18 Abu Ab Fishing reel drag with adjusting knob behind the spool
US5785266A (en) * 1996-11-08 1998-07-28 Bowersox; Ross W. Variable diameter fishing line reel flange
JPH11206284A (ja) * 1998-01-28 1999-08-0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H11313581A (ja) * 1998-04-30 1999-11-16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補助枠
JP2000050774A (ja) * 1998-08-06 2000-02-2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400A (en) * 1996-07-10 1999-09-07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used for fishing and having a front flange member secured to the spool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92805A1 (en) 2002-11-19
CN1329823A (zh) 2002-01-09
US20010054661A1 (en) 2001-12-27
CN1167336C (zh) 2004-09-22
EP1166627B1 (en) 2011-01-05
JP2002000136A (ja) 2002-01-08
EP1166627A3 (en) 2004-09-15
MY117445A (en) 2004-06-30
TW474783B (en) 2002-02-01
DE60143778D1 (de) 2011-02-17
ATE493882T1 (de) 2011-01-15
KR20020001517A (ko) 2002-01-09
US6431483B2 (en) 2002-08-13
EP1166627A2 (en)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699B1 (ko) 스피닝릴의 스풀
KR100692643B1 (ko) 스피닝릴의 스풀
JP2003111536A (ja)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KR101182031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00121854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300973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10061967A (ko) 스피닝릴의 스풀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023678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90506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3210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89274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26909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747612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75341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18517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202213129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2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14897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12830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糸巻補助具
JP202213529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16123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325977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23857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204509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