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212A -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212A
KR20010055212A KR1019990056349A KR19990056349A KR20010055212A KR 20010055212 A KR20010055212 A KR 20010055212A KR 1019990056349 A KR1019990056349 A KR 1019990056349A KR 19990056349 A KR19990056349 A KR 19990056349A KR 20010055212 A KR20010055212 A KR 2001005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salt
jade
fa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160B1 (ko
Inventor
손원근
Original Assignee
손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원근 filed Critical 손원근
Priority to KR10-1999-005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1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4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이 흑체 대비 0.80 이상을 나타내고, 천일염을 내열성 용기에 가득 담아 뚜껑을 덮고 로내에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는 적재공정; 열원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떨어뜨리고 이후 다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는 가열공정;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키는 급냉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용기는 옥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불순물이 제거됨은 물론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내포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A jade-salt which absorbed emission energy of far-infrared ray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금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옥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소금을 담고 로내에서 이를 가열함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됨은 물론 옥의 방사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은 일반적으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이상적인 흑체와 비슷하게 방출하는 특성이 있어 이를 건강에 이바지하게 활용하는 등 그 효과가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다. 이하의 표 1은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KICM)에 의해 40℃에서 FT-IR Spectrometer 를 이용한 목문옥석의 흑체(black body)대비 원적외선 측정결과이다.
40℃에서 FT-IR Spectrometer 를 이용한 목문옥석의 흑체(black body)대비 측정결과
방사율(5∼20 ㎛) 방사에너지(W/㎡·㎛, 40℃)
0.93 3.74 ×102
또한, 도 1은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에 의해 측정된 목문옥석의 흑체 대비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낸 도표로서 흑체와 거의 비슷한 방사율을 나타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오늘날 산업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각종 산업현장으로부터 기름(폐유) 및 중금속 등이 함유된 폐수가 다량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농업분야에서는 각종 병충해의 발생을 예방 또는 방제하기 위한 수질오염은 심각한 상황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이와 같이 하천수가 오염됨에 따라 해수도 점차적으로 오염되고 있으며, 특히 육지에 근접한 연안의 해수의 오염은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염전으로부터 생산되는 천일염은 그 염에 중금속, 농약, 기름 등의 불순물이 혼합되어 염의 순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이들 염을 사람이 섭취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 중의 하나는 염을 태움에 의한 가공 방법이다. 염을 섭씨 1000도 이상의 온도로 올려주면 여러 가지의 유해한 중금속들이 끓는 점 이상의 상태로 도달하게 됨으로 천일염의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등 고유한 성분들은 남게되고 인체에 유익한 불순물들은 제거할 수 있으며 이온의 이온화 경향에 의해서 알칼리성 소금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서, 특허출원 제 93-687호 "정제염의 제조방법"에서는 천일염에 함유된 중금속, 농약, 기름 및 기타 가스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보다 고순도의 염을 얻고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열원 공급구와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는 로내에 천일염을 담은 내열성 용기를 적재하고 로를 폐쇄한 후 830∼1100℃의 온도로 20∼25시간 열원을 공급하여 천일염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천일염내에 함유되어 있는 농약, 중금속, 기름기 등의 불순물을 가스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옥의 효능이 뛰어나 건강에 크게 이바지하고 정제염의 용도 및 그 이용도가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옥의 원적외선 방사 효능이 가미된 소금(이하, "옥소금"이라 함)이 개발되지 아니하였고, 이는 정제염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한 상기한 옥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가질 수 없는 한계가 있는 데서 기인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소금이 옥과 함께 가열될 때 자체 내부의 불순물을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옥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흡수하고 이후 서서히 옥처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점을 착상·실험·발견하고 이에 착안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불순물이 제거됨은 물론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차적인 목적은 상기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내포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천일염을 내열성 용기에 가득 담아 뚜껑을 덮고 로내에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는 적재공정; 열원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떨어뜨리고 이후 다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는 가열공정;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키는 급냉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용기는 옥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목문옥석의 흑체 대비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낸 도표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소금의 제조장치 중 하나의 개략적인 실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옥소금의 흑체 대비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낸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 3 : 용기
5 : 천일염 7 : 열원 공급구
9 : 가스 배출구 11 : 굴뚝
13 : 몸체 15 : 뚜껑
17 : 공기 유통구 19 : 열원
이하, 본 발명의 옥소금을 제조하게 된 원리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정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일염을 외부에서 가열하면 이에 함유된 중금속, 농약, 기름 및 기타의 불순물이 가스화되어 방출되는데, 이 때 천일염 분자간의 에너지로 쓰이는 외부에서 가열되는 에너지 뿐만 아니라 불순물과 결합되어 있는 천일염의 전자(electron)를 포함한 분자내 에너지가 소모되어야 한다. 즉, 소금의 분자내 에너지는 낮은 수준으로 되어 있고 에너지를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옥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특성이 고온에서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일염으로 정제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옥과 함께 가열하여 천일염내 불순물이 방출됨과 동시에 옥으로부터 고온에서 강하게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효율적으로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따른 본 발명의 옥소금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제 1공정 : 적재 공정
로를 열고 천일염을 용기에 담아 뚜껑에 덮은 후 로내에 천일염이 들어 있는 용기를 차곡 차곡 적재하고 로의 문을 폐쇄한다.
상기 로는 각종 로를 포함하나 염(소금)의 2차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스로 또는 전기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소금의 제조장치 중 하나의 개략적인 실시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19)으로부터 로(1)내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원 공급구(7)를 로(1)의 양쪽 벽체 부근 바닥면에 수 개 천설하고, 가스 배출구(9)를 로의 양쪽 벽체로부터 로(1)의 폭 1/3 지점에 수 개 천설하되 이 가스 배출구(9)와 연통된 굴뚝(11)이 로(1)의 외부로 통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3)는 그 재질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옥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야 한다. 상기 옥은 염의 용융온도에서 용융되지 않는 내열성이다. 또한 옥 용기의 상부에는 천일염(5)이 용융되었을 때 천일염내 불순물이 가스화되어 배출될 수 있는 공기 유통구(17)가 설치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 용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몸체(13)와 뚜껑(15)으로 구성하되, 몸체의 최상단에는 용기(3)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공기 유통구(17)를 천설한 내열성 용기이다.
제 2공정 : 가열 공정
열원 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한 후 다시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가열한다. 그 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덜어뜨린 후 다시 적당한 세기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한다.
상기 공정에서 로를 가열해감에 따라 천일염은 점차적으로 용융되어지고 천일염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기름기 등의 불순물은 기체화되어 내열성 용기의 공기유통구를 통하여 내열성 용기의 외부 로내로 빠져 나오게 되고 최종적으로 로내의 공기흐름에 따라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굴뚝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옥 용기에서 원적외선이 강하게 배출되고 이 배출되는 원적외선은 소금에 흡수되어진다.
제 3공정 : 급냉 공정
로의 문을 열어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킨다. 이렇게 하여 천일염으로부터 각종 불순물이 제거되고 원적외선이 흡수된 본 발명의 옥소금이 얻어지며 이를 용도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제조예
로를 열고 천일염 5kg을 옥 용기에 담아 뚜껑을 덮은 후 로내에 천일염이 들어 있는 옥 용기 75개를 가로(3) ×세로(5) ×높이(5)로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옥 용기 사이에 공간을 두면서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였다.
그 후 로의 열원 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50℃가 되도록 10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다시 로내 온도를 1000℃가 되도록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2시간 동안 열원의 공급을 중단시켜 로내 온도를 960℃로 떨어뜨린 후 5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였다. 그 후 로의 문을 열어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켰다. 이렇게 하여 천일염 375kg으로부터 정제한 옥소금 235.7kg을 얻었으며 이 때에 천일염에서 NaCl은 91.260 중량%였고 이를 정제한 옥소금에서 NaCl은 98.875중량%이었다.
실험예
이하의 표 2는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에 의하여 40℃에서 FT-IR Spectrometer 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소금의 원적외선 방사율의 흑체(black body)대비 측정결과이다.
40℃에서 FT-IR Spectrometer 를 이용한 옥소금의 원적외선 방사율의 흑체(black body)대비 측정결과
방사율(5∼20 ㎛) 방사에너지(W/㎡·㎛, 40℃)
0.90 3.62 ×102
또한, 도 4는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에 의해 측정된 본 발명의 옥소금의 흑체 대비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낸 도표로서 흑체와 거의 비슷한 방사율을 나타냄을 보이고 있다.
상기한 방사율은 0.90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열온도, 가열시간 기타 가열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이어야 상기한 옥과 비슷한 효능을 옥소금이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은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이 흑체 대비 0.80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천일염을 내열성 용기에 가득 담아 뚜껑을 덮고 로내에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는 적재공정; 열원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떨어뜨리고 이후 다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는 가열공정;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키는 급냉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용기는 옥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불순물이 제거됨은 물론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내포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이 흑체 대비 0.80 이상을 나타내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2. 천일염을 내열성 용기에 가득 담아 뚜껑을 덮고 로내에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는 적재공정; 열원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떨어뜨리고 이후 다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는 가열공정;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키는 급냉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용기는 옥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의 제조방법.
KR10-1999-0056349A 1999-12-10 1999-12-10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39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349A KR100390160B1 (ko) 1999-12-10 1999-12-10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349A KR100390160B1 (ko) 1999-12-10 1999-12-10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212A true KR20010055212A (ko) 2001-07-04
KR100390160B1 KR100390160B1 (ko) 2003-07-04

Family

ID=1962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349A KR100390160B1 (ko) 1999-12-10 1999-12-10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16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05A (ko) * 2001-12-24 2003-07-02 강문숙 가열분해를 이용한 분말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95806A (ko) * 2002-06-14 2003-12-24 박순주 황토숯가마를 이용한 천일염의 정제방법
KR100790556B1 (ko) * 2005-11-24 2008-01-02 남 종 김 인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인삼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0555B1 (ko) * 2005-11-24 2008-01-02 남 종 김 노니가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노니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325B1 (ko) * 2006-02-22 2008-01-11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
KR100794326B1 (ko) * 2006-02-22 2008-01-14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KR100794327B1 (ko) * 2006-02-22 2008-01-15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KR102568106B1 (ko) * 2023-05-11 2023-08-18 최종식 전통방식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가마와 지장토 도자 용기를 이용한 지장토 소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지장토 소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211B1 (ko) 2005-03-25 2006-07-20 지엘기업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
KR100794322B1 (ko) 2005-12-12 2008-01-11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가정용 항균 보드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66355B1 (ko) 2012-12-28 2014-02-21 유성호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KR101896795B1 (ko) * 2016-11-18 2018-09-07 이학주 황토 구운 마늘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9160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바이오시그널코리아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882A (ja) * 1994-10-31 1996-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970058584A (ko) * 1996-01-23 1997-08-12 임성찬 맥반석을 함유하는 소금 및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905A (ko) * 2001-12-24 2003-07-02 강문숙 가열분해를 이용한 분말소금의 제조방법
KR20030095806A (ko) * 2002-06-14 2003-12-24 박순주 황토숯가마를 이용한 천일염의 정제방법
KR100790556B1 (ko) * 2005-11-24 2008-01-02 남 종 김 인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인삼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0555B1 (ko) * 2005-11-24 2008-01-02 남 종 김 노니가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노니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325B1 (ko) * 2006-02-22 2008-01-11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
KR100794326B1 (ko) * 2006-02-22 2008-01-14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KR100794327B1 (ko) * 2006-02-22 2008-01-15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KR102568106B1 (ko) * 2023-05-11 2023-08-18 최종식 전통방식의 도자기 소성용 장작가마와 지장토 도자 용기를 이용한 지장토 소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지장토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160B1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160B1 (ko)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US6250236B1 (en) Multi-zoned waste processing reactor system with bulk processing unit
ES2691722T3 (es) Planta modular para realizar procedimientos de conversión de matrices carbonáceas
ES2126048T3 (es) Procedimiento para la separacion termica de materias organicas y/o inorganicas de materiales contaminados.
JP4008414B2 (ja) 無煙式多孔質炭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404216B1 (ko) 표면 요철이 형성된 탄화목의 제조방법
Hu et al. Recycling technology—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synthesized from sewage sludge and its ash at lowered comelting temperature
JPS60203900A (ja) 放射性核種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
DE4104507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Abfallstoffen, insbesondere Hausmüll, zu einem brennbaren Gasgemisch, Metallen und Schlacke
JP2022155602A (ja) 赤外線炉
KR102584902B1 (ko) 내용융로와 외용융로의 이중구조를 가지는 용융죽염 제조장치
Pinakidou et al. Micro and conventional XAFS study of incinerated Cr-rich tannery sludge
CN111689668A (zh) 石化剩余污泥无害化资源化的处置方法
JP5431615B1 (ja) 有機物処理・熱利用装置
DE102004011047B4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Gasphasenreaktionen in einem Reaktor
KR960010783B1 (ko) 정제염의 제조 방법
KR840007443A (ko) 금속부품의 경화방법
KR101435879B1 (ko) 죽염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94325B1 (ko)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
KR101557919B1 (ko) 포터블 퀀텀 에너지 조사 장치
CN105284882A (zh) 一种牡蛎壳-隐形二氧化氯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WO2015137581A1 (ko) 유골분의 부패와 악취 방지용 기능성 유골함의 제조방법
JP2010005574A (ja) 有機化合物に汚染された土壌の無害化処理方法
JPS5562781A (en) Preparation of amorphous photoconductive portion material
Bień et al. The treatment of incineration wastes with a carbonate waste fraction from the zinc-lead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