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160A -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160A
KR20210119160A KR1020200035697A KR20200035697A KR20210119160A KR 20210119160 A KR20210119160 A KR 20210119160A KR 1020200035697 A KR1020200035697 A KR 1020200035697A KR 20200035697 A KR20200035697 A KR 20200035697A KR 20210119160 A KR20210119160 A KR 2021011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powder
fa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시그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시그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시그널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3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160A/ko
Publication of KR2021011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에 관한 것으로, (a)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수득한 소금 분말에, 맥반석과 칠보석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0.15 중량부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900 내지 95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에, 입경 2 내지 10mm의 황토분말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4 중량부로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미소량의 원적외선 광물인 맥반석과 함께 칠보석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영양 소금을 제조하고, 천일염을 용융하여 새로운 소금 결정을 형성한 후 원하는 입도로 분쇄함으로써 소화 흡수가 용이한 건강 소금을 제공함은 물론, 다양한 천연 성분을 함유할 수 있어 영양가 높은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Method of manufacturing nutritious salt with far-infarred radiation, and the nutritious sal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소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체중의 0.09%를 차지하는 정도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지만, 소금에 함유된 나트륨은 신체에서 혈액을 포함한 체액의 양을 적당하게 유지하고, 산과 염기의 균형을 유지하며, 세포가 영양성분을 섭취하는 것을 돕고, 신경이 신호를 전달하거나 근육이 수축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체에게 필요한 나트륨의 최소량은 하루 10 - 20 mEq로 이것은 소금 5 내지 10 g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다. 체내에 나트륨이 부족하면 심각한 증상이 발생하는데 특히, 나트륨 부족이 짧은 시간에 진행되면 뇌세포가 부풀어올라 식욕부진, 구역, 구토, 집중 곤란, 혼미, 무기력, 흥분, 두통, 경련발작 등의 증상이 생긴다.
한편, 산업 발달로 인한 각종 폐수와 중금속으로 배출은 심각한 수질오염으로 이어져, 우리나라 각종 하천수는 오염 수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하천수의 오염은 해수의 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연안의 해수의 오염은 대단히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염전으로부터 생산되는 천일염은 그 염에 중금속, 농약, 기름 등의 불순물이 혼합되어 염의 순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염을 인간에 섭취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하나는 염을 가열시켜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염을 1,000℃ 이상의 고온으로 올려주면 여러 가지 유해한 중금속 및 불순물들이 기화 등으로 제거되므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만이 존재하는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성 소금이 된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서, 특허출원 제1997-71990호 '알칼리성 소금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0160호(등록일자: 2003.06.23., 발명의 명칭: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는 천일염을 내열성 용기에 가득 담아 뚜껑을 덮고 로내에 적재한 후 로의 문을 폐쇄하는 적재공정; 열원공급구를 통하여 로내 온도를 830∼880℃가 되도록 8∼11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로내 온도를 1000∼1100℃가 되도록 4∼6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이후 1∼3시간 동안 열원 공급을 중단하여 로내 온도를 930∼960℃ 사이로 떨어뜨리고 이후 다시 열원을 공급하여 5∼7시간 동안 등온으로 유지하는 가열 공정; 로내 온도를 실온으로 급냉시키는 급냉공정을 포함하는 정제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용기는 염의 용융온도에서 용융되지 않는 옥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의 제조방법과,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이 흑체 대비 0.80 이상을 나타내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특징은 내열성 용기는 옥으로 제작되어 불순물의 제거와 동시에 옥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소금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는 반면, 불순물의 제거는 소금의 가열에 의해 당연히 이루어지는 것이며 옥으로 용기를 만들었다는 것 만으로 기술적 진보가 있다고 주장하기 매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내열성 용기는 옥 이외에 규석, 규조토, 규사, 알루미나, 일라이트, 견운모(세레나이트), 적점토, 납석, 맥반석(장석류), 활석, 감람석, 지르콘, 불석(제오라이트), 고령토, 석회석, 석고, 화산재, 도석, 사문석, 희토류 및 숯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옥소금이나 그의 제조방법은 기술적 특이성이 전혀없는 주지의 기술임에 불과하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소금의 다른 실시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4326호(등록일자: 2008.1.7., 발명의 명칭: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는 황금 1~5 중량% 및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ⅰ)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ⅱ)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ⅲ)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종래 기술은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은 경시안정성이 유지된 채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신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은 산화 형태로 존재하면서 신체에 해로운 중금속은 용기에 흡수되거나 기화되어 제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과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해병원균을 박멸시키는 금의 살균력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기능의 장기화 및 항생제를 대신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 식품의 첨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40°이상의 고온에서만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으로 상온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소금에 금을 첨가하였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0160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432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영양이 우수한 소금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소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수득한 소금 분말에, 맥반석과 칠보석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0.15 중량부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900 내지 95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에, 입경 2 내지 10mm의 황토분말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4 중량부로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맥반석과 칠보석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c) 단계 이후에, 건조 마늘분말, 건조 양파분말, 건조 파슬리분말 및 후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55 중량부 더 혼합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상술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상술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원적외선 광물인 맥반석과 칠보석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영양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천일염을 용융하여 새로운 소금 결정을 형성한 후 원하는 입도로 분쇄함으로써 소화 흡수가 용이한 영양 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다양한 천연 성분을 함유할 수 있어 영양가 높은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영양 소금은 천일염을 여러 번 용융시킨 후 분말화함으로써 일반 천일염이나 소금에 비하여 녹는 시간이 빨라 부드럽고 저염으로도 맛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a)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수득한 소금 분말에, 맥반석과 칠보석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0.15 중량부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900 내지 95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에, 입경 2 내지 10mm의 황토분말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4 중량부로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영양 소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 단계는,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일염은 바닷물 또는 해수를 저류지 또는 염전으로 유입시킨 후, 바람과 햇빛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을 의미하며,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천일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많은 미네랄(무기질)이 풍부하여 미네랄 소금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천일염은 최소한 3년 이상 간수가 완전히 제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열 용기의 50 내지 90% 충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70%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800 내지 930℃에서 8시간 내지 9시간 유지하여 용융시키며, 구체적으로 850 내지 900℃에서 8시간 내지 9시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적절하고 효율적인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b) 단계는, 상기에서 수득한 소금 분말에, 맥반석과 칠보석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0.15 중량부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900 내지 93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맥반석과 칠보석은 입경 0.5 내지 1 mm 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맥반석과 칠보석의 함량이 0.04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효과가 극히 미약하고, 중량부 대비 0.1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소금 색상이 탁하여 시각적인 기호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맥반석과 칠보석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5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1 : 0.1 내지 1.2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에, 입경 2 내지 10mm의 황토분말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4 중량부로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황토분말의 함량이 0.0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 자체의 색상이 발현되지 않고 0.0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금이 색상이 탁한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건조 마늘분말, 건조 양파분말, 건조 파슬리분말 및 후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55 중량부 더 혼합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마늘분말, 건조 양파분말, 건조 파슬리분말 및 후추로 이루어진 혼합 분말을 25 내지 35 중량부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상술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식품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상술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 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소금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실시예의 제조
a) 1차 용융 및 분쇄 단계
가마니에 충전된 천일염 중에서, 서늘하고 공기의 유통이 양호한 음지에 보관된 천일염 만을 특별히 선별한다. 여기서, 천일염은 최소한 3년 이상 간수가 완전히 제거된 것만을 선택하였다.
상기 선별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의 70%까지 충전한 후,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이 1차 완전 용융하였다. 이후, 소금 덩어리를 파쇄기에서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파쇄한 후, 2 내지 3.25MPa의 고압공기를 파쇄된 소금에 분사하여 분쇄된 소금에 잔존하던 이물질을 완전 제거하였다.
b) 2차 용융 및 분쇄
상기 분쇄된 소금을 내열 용기의 70%까지 충전한 후, 맥반석과 칠보석을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900 내지 95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소금을 2차 완전 용융한 후, 소금 덩어리를 파쇄기에서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였다.
c) 3차 용융 및 분쇄
상기에서 얻은 분쇄물에, 2 내지 10 um 입경의 황토분말을 혼합하여, 내열 용기의 80%까지 충전한 후,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소금을 3차 완전 용융하였다. 그런 다음, 소금 덩어리를 파쇄기에서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한 후, 0.3 내지 0.5MPa의 고압공기를 파쇄된 소금에 분사하여 분쇄된 소금에 잔존하던 이물질을 완전 제거하였다.
d) 천연 성분 혼합
건조 마늘분말, 건조 양파분말, 건조 파슬리분말, 및 후추의 혼합 분말을 혼합하였다.
상기 실시예를 제조함에 있어 구체적으로 투입한 각 성분의 함량은 다음 과 같다. 한편 비교예는 상기 실시예 제조 공정을 동일하게 사용하되, 하기 표에 기재된 성분을 투입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단계에 투입한 천일염 중량 (g)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단계에 투입한 맥반석 함량 0.07 0.04 0.1 0.1 - 0.1 -
(b) 단계에 투입한 칠보석 함량 (g) 0.05 0.05 0.01 0.01 - - 0.05
(c) 단계에 투입한 황토분말 함량(g) 0.03 0.03 0.03 0.03 - 0.03 0.03
(d) 단계에 투입한 영양 분말 30 30 30 30 30 30 30
실험예 1: 원적외선 방사율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영양 소금 100g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4 모두 30℃ 상온에서 85.00% 정도의 방사율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금이 40℃ 정도의 고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던 것에 비하여 상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성분 분석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영양 소금에 대한 성분을 외부 기관에 성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성분명 함량 (mg/100g)
나트륨 42,993.53
마그네슘 33.52
망간 0.06
아연 0.65
0.30
칼륨 56.43
칼슘 35.44
수은 불검출
비소 0.00
불검출
상기 결과처럼, 본 발명의 영양 소금은 총 100g 중 나트륨이 42,993.53mg으로서 약 43%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칼륨 56,43mg, 칼슘 35.44mg, 마그네슘 33.52mg 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본 발명에 제조된 영양 소금에 대하여, 시각 및 풍미에 대한 관능 시험을 30대에서 60대까지 각 세대별 10명씩 남녀의 구분없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와 같다.
짠맛 기호성(풍미) 시각성 (백색)
실시예 1 4.2 8.2 8.5
실시예2 4.3 9.3 8.3
실시예3 3.8 8.8 8.9
실시예4 3.9 9.2 8.7
비교예1 9.2 2.3 9.2
비교예2 5.1 5.8 7.1
비교예3 7.5 6.2 7.1
상기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영양 소금은 비교예 대비하여 짠맛의 감소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기호성 면에서도 실시예 모두 8.2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한편, 황토분말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이 우수한 시각성(백색)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이는 황토분말을 혼합하지 않은 결과로서, 이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모두 황토분말을 혼합한 다른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시각성을 보였다.또한, 본 발명의 영양 소금은 천일염을 여러 번 용융시킨 후 분말화함으로써 일반 천일염이나 소금에 비하여 물에 용해되는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부드럽고 저염으로도 맛이 좋은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5)

  1. (a)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천일염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4 내지 1c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에서 수득한 소금 분말에, 맥반석과 칠보석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0.15 중량부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900 내지 950℃의 온도로 5 내지 7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1 내지 2mm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c)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에, 입경 2 내지 10mm의 황토분말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4 중량부로 혼합하여 내열 용기에 투입하여 800 내지 930℃의 온도로 8 내지 9시간 유지시켜 상기 소금을 완전 용융한 후, 입경 0.3 내지 1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반석과 상기 칠보석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건조 마늘분말, 건조 양파분말, 건조 파슬리분말, 및 후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소금 분말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55 중량부 더 혼합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
  5.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00035697A 2020-03-24 2020-03-24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KR20210119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97A KR20210119160A (ko) 2020-03-24 2020-03-24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97A KR20210119160A (ko) 2020-03-24 2020-03-24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60A true KR20210119160A (ko) 2021-10-05

Family

ID=7807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97A KR20210119160A (ko) 2020-03-24 2020-03-24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1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60B1 (ko) 1999-12-10 2003-07-04 손원근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326B1 (ko) 2006-02-22 2008-01-14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60B1 (ko) 1999-12-10 2003-07-04 손원근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326B1 (ko) 2006-02-22 2008-01-14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990A (en) Vacuum processed fish product in a tomato base cooking sauce
CN102835641B (zh) 一种槟榔卤水
KR100603211B1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
KR101820490B1 (ko) 국물용 티백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물용 티백
KR101552389B1 (ko) 죽염을 이용한 초마늘 환과 그 제조방법
KR20210119160A (ko) 원적외선 방사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영양 소금
KR101525023B1 (ko) 고령토를 주재로 하는 자기의 제조방법
KR101816000B1 (ko) 커피 생두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923579B1 (ko) 맥섬석소금의 제조방법
KR101717058B1 (ko) 간장 게장 제조방법
KR100794327B1 (ko)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KR101036247B1 (ko) 차엽이 첨가된 황토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355B1 (ko)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KR100563997B1 (ko) 소금과 이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간장제조방법
KR100720764B1 (ko) 폐석회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석회비료의 제조방법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0353155B1 (ko) 천연 게르마늄 광석을 함유하는 비료 조성물 및 이에의하여 재배된 곤달비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KR100577744B1 (ko) 황토멸치의 제조방법
KR20040106941A (ko) 미꾸라지 된장의 제조방법
KR101165068B1 (ko) 딸기를 함유하는 황토 게르마늄 죽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죽염
KR20030067640A (ko) 칼슘 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0555B1 (ko) 노니가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노니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0374B1 (ko) 간장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0794326B1 (ko)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KR100352041B1 (ko)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생수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