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327B1 -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327B1
KR100794327B1 KR1020060017124A KR20060017124A KR100794327B1 KR 100794327 B1 KR100794327 B1 KR 100794327B1 KR 1020060017124 A KR1020060017124 A KR 1020060017124A KR 20060017124 A KR20060017124 A KR 20060017124A KR 100794327 B1 KR100794327 B1 KR 10079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ulfur
far
infrared radia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844A (ko
Inventor
남 종 김
Original Assignee
남 종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종 김 filed Critical 남 종 김
Priority to KR102006001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3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8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47D7/02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with side wall that can be l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 5겹 이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 중량% 및 유황 1~5 중량%를 함유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및 상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은 신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은 산화 형태로 존재하면서 신체에 해로운 중금속은 용기에 흡수되거나 기화되어 제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과 염증치료, 피부탄력 회복, 흉터재생 항암 및 통증 치료 등의 기능이 있는 유황을 소금에 적용시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기능이 강화된 건강기능 식품의 첨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 유황, 식품 첨가제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Sulfur-Salt Radiating Far-Infrared Ra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황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황 1~5 중량%를 함유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체중의 0.09%를 차지하는 정도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지만, 소금에 함유된 나트륨은 신체에서 혈액을 포함한 체액의 양을 적당하게 유지하고, 산과 염기의 균형을 유지하며, 세포가 영양성분을 섭취하는 것을 돕고, 신경이 신호를 전달하거나 근육이 수축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체에게 필요한 나트륨의 최소량은 하루 10 - 20 mEq로 이것은 소금 5 내지 10 g에 함유되어 있는 양이다. 체내에 나트륨이 부족하면 심각한 증상이 발생하는데 특히, 나트륨 부족이 짧은 시간에 진행되면 뇌세포가 부풀어올라 식욕부진, 구역, 구토, 집중 곤란, 혼미, 무기력, 흥분, 두통, 경련발작 등의 증상이 생긴다.
우리나라는 근 100년 동안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사회로 진행됨에 따라 각종 산업현장으로부터 각종 산업폐기물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오폐수, 농약, 화학비료, 화공약품, 배기가스, 매연, 중금속 등으로 거의 모든 생활환경이 오염되었다. 특히, 각종 폐수와 중금속으로 인한 수질오염은 대단히 심각하여 우리나라 각종 하천수는 오염 수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하천수의 오염은 해수의 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연안의 해수의 오염은 대단히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염전으로부터 생산되는 천일염은 그 염에 중금속, 농약, 기름 등의 불순물이 혼합되어 염의 순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염을 인간에 섭취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하나는 염을 가열시켜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염을 1,000℃ 이상의 고온으로 올려주면 여러 가지 유해한 중금속 및 불순물들이 기화 등으로 제거되므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만이 존재하는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성 소금이 된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서, 특허출원 제1997-71990호 '알칼리성 소금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한편, 옥은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흑체와 유사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특성이 있어 이를 건강에 이바지하게 활용하는 등 그 효과가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다. 하기의 표 1은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KICM)에 의해 40℃에서 FT-IR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목문옥석의 흑체 대비 원적외선 측정결과이다.
40℃에서 FT-IR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목문옥석의 흑체 대비 측정결과
방사율(5~20 ㎛) 0.93
방사에너지(W/㎡ㆍ㎛, 40℃) 3.74 × 102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옥의 효능이 뛰어나 건강에 크게 이바지하고 정제염의 용도 및 그 이용도가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흡수된 소금(이 소금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 이후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라 칭함)의 제조가 용이한 제조방법이 보고된 바가 드물다.
한편, 인간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다량의 생체 원소에는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을 포함한 14종류가 있다. 이들 원소들은 인체를 구성하는 총 원소의 99.95%를 차지하고 있는 주체적인 원소들인데, 그 중에서 유황은 8번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머리카락을 불에 태우면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유황 성분 때문이다. 뼈, 피부, 머리카락 등에는 유황 성분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황 아미노산은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 알리신(allicin)이며 그 외에도 티아민(thiamine), 비오틴(biotine), 리포산과 같은 비타민(vitamin)이 유황 화합물이다. 이중 메티오닌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꼭 식품으로부터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이다. 따라서 우리는 유황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나 기타 식물을 통해서 메티오닌을 흡수해야만 한다.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 중에 마늘, 생강, 파, 양파, 무, 달래, 부추, 된장 등에 천연적 유황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삭제
삭제

미국 오레곤 보건과학대학에서 유황채소군을 쥐에게 주입시킨 연구 결과 암의 징후가 상당히 지연되었다고 발표하였고 의학박사 C.미첼은 "유황화합물의 생물학적 작용"'이라는 책자에서 유황의 정화와 해독작용이 수천년간 알려져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제품의 1/4이 유황을 포함하고 있다고 역설했으며 펜실베니아 대학의 영양학 연구팀은 "마늘의 유황성분의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라는 논문을 발표했는데 마늘에서 물에 잘 녹는 S.알릴시스테인이란 유황성분을 추출하여 쥐의 간세포에 공급한 결과 공급되지 않은 쥐보다 콜레스테롤 합성량이 무려 40%-60%나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인간의 인슐린 구조는 1960년 생거(Sanger)에 의해서 확정되었는데 인간의 인슐린 분자는 51개의 아미노산으로 엮여져 있고 A. B 두가닥으로 구성된 사슬 중 하나는 유황 원소로 구성 연결되어 있다. 인슐린 호르몬마저 유황성분 없이는 합성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세계적으로 저명한 영양 의학자인 故 칼 파이퍼 박사가 "유황은 잊혀진 필수 영양소이다."라는 말을 남겼을 정도이다.
이처럼 유황 성분은 생활 깊이 관여되어 있지만, 다른 성분들에 비해 영양소의 테두리 안에서는 벗어나 있었던 것이다. 유황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다져지게 된 것은, 1960년대 초 미국의 제이콥(Jacob)과 로렌스(Lawrence) 박사가 공동으로 집필한『The Miracle of MSM』이라는 책이 발간되면서부터이다.
유황 성분은 우리 식탁에서 흔히 맛 볼 수 있다. 달래, 양파의 껍질이 최루성이 강하며 강력한 냄새를 풍기는 것은 유황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유황 채소군에는 마늘, 무, 양파, 파, 부추, 갓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홍당무, 양배추, 겨자, 양고추, 냉이, 콩, 완두, 해바라기씨 등의 단백질 내에도 유황 성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배추에는 메틸시스테인설포시드가 들어 있고, 양파에는 알리설파이드(allylsulfide)라는 유황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마늘에는 알리신이라는 유황 아미노산이 다량 들어 있어 유황 채소군의 왕이라 불리는 것이다. 알리신은 열에 잘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마늘을 생으로 갈아 양념한 김치는 유황 성분인 알리신이 전혀 파괴되지 않은 양질의 음식물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유황은 통상적으로 유황석에 열을 가하여 다량의 유황성분을 공기 중에 축출하게 함으로 제조된다.
또한, 유황은 피부 조직의 기농성(주름 탄력성)에 깊이 개입되어 있는데, 표피층은 캐라틴(Keratin) 단백질로 이루어져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진피층은 엘라스틴(Elastine)과 콜리젠(Collagen)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력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케라틴(Keratin)단백질 구조의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피부가 탄력성이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진피 층인 콜리젠(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 이 콜리젠(Collagen)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나이제라는 효소가 있다. 이콜라게나이제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마치 풀처럼 끈끈하게 엮어주는 것이 유황이다. 유황은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HO-SO2-S3-SO2-OH)이 형성된다. 이 물질이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살충, 살균 작용을 하다.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뛰어난 효능의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천일염에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다량으로 흡수되고 기타 유해한 중금속 등이 제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과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유황이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개발하고, 이것을 다양한 식품 첨가제로 사용한 경우에 인체에 대단히 유익하게 작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신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은 산화 형태로 존재하면서 신체에 해로운 중금속은 제거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기능과 유황의 효과가 결합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 5겹 이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 중량% 및 유황 1~5 중량%를 함유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하고 이를 건조시켜 소금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소금 파우더에 유황가루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소금 및 유황의 혼합물을 700 내지 800℃로 가열시켜 상기 소금과 유황이 혼합된 유황 소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 5겹 이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 중량% 및 유황 1~5 중량%를 함유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2~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기재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양한 방법의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하고 이를 건조시켜 소금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소금 파우더에 유황가루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소금 및 유황의 혼합물을 700 내지 800℃로 가열시켜 상기 소금과 유황이 혼합된 유황 소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
일반적으로 천일염에는 카드뮴, 비소, 납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불순물들을 기화시켜 몸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을 존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라 한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능이 더욱 탁월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상기 가마의 내화벽돌 코팅층의 성분은 벤토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추가하여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한 적어도 2 이상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자체의 안정성과 내열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도 하지만 부족 광물의 보충의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상기 가마의 내화벽돌 코팅층의 성분은 맥반석, 목문옥,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석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맥박석 15 내지 40%중량%, 목문옥 15 내지 40%, 벤토나이트 1 내지 4%, 장석 7 내지 15%, 규석 5 내지 12%, 카오링 6 내지 13% 및 활석 2 내지 5%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맥박석 20 내지 32중량%, 목문옥 15 내지 32중량%, 벤토나이트 2 내지 3중량%, 장석 9 내지 10중량%, 규석 7 내지 8중량%, 카오링 7 내지 9중량% 및 활석 3 내지 4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 제조의 바인더로서 석회석을 2 내지 6중량% 추가적으로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의 내열성 용기는 목문옥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가열단계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또한 맥반석 등의 특수 세라믹 용기로 제작되므로 850℃ 이상의 고온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한다. 목문옥은 일반적인 옥보다 유익 광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코발트 등의 함량이 월등하며 특히 게르마늄 성분은 1g당 38 ppm으로 함유량이 일반게르마늄온천수의 12배 이상이다. 또한, 맥반석은 1㎤당 3~15만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여 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고,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며, 목문옥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비소, 납, 카드뮴, 수은 등의 중금속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아니한데, 이것은 먼저 상기 중금속의 비중이 소금보다 큰 비소, 납 등은 비중 차이에 의하여 내열성 용기의 하단부로 침전되어 대부분 용기에 흡수되고, 아울러 잔존하는 미량의 상기 중금속은 그 비등점이 소금보다 낮으므로 800℃ 이상의 고온에서 공기 중으로 기화되어 제거된다. 한편, 소금보다 대단히 비등점이 낮은 카드뮴, 수은 등은 가열 단계의 초기에 대부분 기화되어 제거된다.
상기 용기의 맥반석은 중금속과의 이온수지 교환을 통해 기화하지 못한 중금속까지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2) 소금 및 유황의 혼합 및 고온가열에 의한 유황 소금의 제조
상기 공정에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중량부에 유황 분말 1~5중량부를 넣고 유황과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혼합한다.
상기 유황 및 소금의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은 뒤 700~800℃에 가열건조시킨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은 다양한 식품 첨가제로 이용가능하다. 이때, 식품첨가제로 제조시에는 식품소재에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유황 소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황 소금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식품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0.1 g, 바람직하게는 0.3∼1 g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황 소금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으 포함한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 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유황 소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유황 소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 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 >
먼저, 천일염을 준비하여 햇볕에 잘 건조한 후, 상기 천일염 4 ㎏을 내열성 용기에 잘다져 투입한 후 뚜껑을 덮는다. 이어서,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 288개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가마에 적재하고 가마의 틈새를 매운 후 가마 문을 폐쇄하였다. 그 후, 가마의 열원 공급구를 통하여 가마 내의 온도를 850℃가 되도록 2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7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가마의 문을 열어 가마 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천일염 1000 ㎏으로부터 정제한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 850 ㎏을 얻었으며, 이때 천일염의 NaCl 농도는 88 중량%였고, 이를 정제한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에서의 NaCl 농도는 97 중량%이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흑체와 대비하여 40℃에서 FT-IR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삭제
방사율(5~20 ㎛) 0.90
방사에너지(W/㎡ㆍ㎛, 40℃) 3.62 × 102
< 실시예 >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의 제조
유황 분말 2.5 중량부를,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 97.5 중량부에 넣어 유황과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혼합하였다.
상기 유황 및 소금의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은 뒤 750℃에 가열건조시켰다. 추가적으로 상기 건조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을 연속 압출기에 넣고 120℃에서 살균하고 압출팽화시킨 다음 로라식 분쇄기에서 100-130 매쉬로 분쇄시켰다. 이때, 유황과 소금의 혼합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분쇄된 분말에 글리세린 등의 결합제를 약간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제제예 1 > 주사제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200 ㎎
pH 조절제...................................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500 ㎎
유당............................................125 ㎎
미결정 셀룰로오즈................................7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1000 ㎎
유당.............................................125 ㎎
전분.............................................125 ㎎
탈크..............................................적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4 > 액제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10000 ㎎
분당..............................................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5 >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1000 ㎎
비타민 A (레티닐 팔미틴산염으로서 0.275mg) ............. 500 IU
DL-알파-토코페롤..........................................20 ㎎
비타민 B1 질산염.........................................1.5 ㎎
비타민 B2................................................1.8 ㎎
피리독신염산염.............................................2 ㎎
비타민 B12.................................................2 ㎍
비오틴...................................................0.1 ㎎
니코틴산아미드.............................................5 ㎎
엽산.....................................................0.1 ㎎
판토텐산칼슘...............................................5 ㎎
비타민 C..................................................50 ㎎
글리세로유황칼슘(칼슘으로서 4.76 ㎎).......................25 ㎎
황산철(철로서 5.0 ㎎)...................................15.45 ㎎
황산아연(아연으로서 1.0 ㎎)..............................2.74 ㎎
황산동(동으로서 0.5 ㎎).................................1.256 ㎎
황산망간(망간으로서 0.5 ㎎)..............................1.54 ㎎
상기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과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6 > 건강 음료의 제조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5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20 ㎎
타우린..........................................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은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신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은 산화 형태로 존재하면서 신체에 해로운 중금속은 용기에 흡수되거나 기화되어 제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과 유황의 효과를 포함하고 있어 건강기능 식품의 첨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ⅰ)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ⅱ)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 5겹 이하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ⅲ)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 95~99 중량% 및
    유황 1~5 중량%를 함유하는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2~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7124A 2006-02-22 2006-02-22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KR10079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24A KR100794327B1 (ko) 2006-02-22 2006-02-22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24A KR100794327B1 (ko) 2006-02-22 2006-02-22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844A KR20070084844A (ko) 2007-08-27
KR100794327B1 true KR100794327B1 (ko) 2008-01-15

Family

ID=3861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24A KR100794327B1 (ko) 2006-02-22 2006-02-22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80B1 (ko) 2009-05-20 2012-03-23 전현철 천연 유기 유황과 콜라겐 혼합물을 코팅한 소금
KR101212988B1 (ko) * 2010-05-31 2012-12-18 권혁만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이 우수한 유황소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323B1 (ko) * 2010-03-25 2013-04-10 조상필 미네랄이 강화된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KR102514356B1 (ko) * 2020-12-02 2023-03-27 김현호 기능성 비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212A (ko) * 1999-12-10 2001-07-04 손원근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947A (ko) * 2005-06-10 2005-08-11 이춘호 황토 유황 소금을 함유한 입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212A (ko) * 1999-12-10 2001-07-04 손원근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옥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947A (ko) * 2005-06-10 2005-08-11 이춘호 황토 유황 소금을 함유한 입욕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580B1 (ko) 2009-05-20 2012-03-23 전현철 천연 유기 유황과 콜라겐 혼합물을 코팅한 소금
KR101212988B1 (ko) * 2010-05-31 2012-12-18 권혁만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이 우수한 유황소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844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56B1 (ko)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327B1 (ko) 원적외선 방사 유황 소금
KR101380632B1 (ko) 피부 건강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360757A (zh) 富硒果蔬片及其制备方法
CN101243876A (zh) 保健营养粉
KR100945462B1 (ko)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식품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CN113998925A (zh) 一种液体涂料及其制备方法
CN103690727B (zh) 一种锯叶棕黑醋栗组合物及其应用
EA027651B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для нормализации функции щитовидной железы
KR101182039B1 (ko)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793815B1 (ko)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0794326B1 (ko)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KR101281237B1 (ko) 죽염지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425477B1 (ko) 삼채 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삼채 환
KR100790555B1 (ko) 노니가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노니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71353A (zh) 一种护肝保健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37218B1 (ko) 개구리의 담낭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7041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소금의 제조방법
KR100790556B1 (ko) 인삼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 인삼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7342B1 (ko) 오디, 부추 및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29406B1 (ko) 지장수를 이용한 황토 홍삼의 제조 방법
KR20190047814A (ko) 무와 무씨를 함유하는 환(丸) 형태의 천연소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24949A (ko) 맥반석을 이용한 흑마늘의 제조방법
CN102048151B (zh) 一种滋身养气功能的保健胶囊及其制备方法
KR20060024177A (ko) 세라믹의 제조 방법 및 세라믹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