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461A -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461A
KR20010053461A KR1020017000354A KR20017000354A KR20010053461A KR 20010053461 A KR20010053461 A KR 20010053461A KR 1020017000354 A KR1020017000354 A KR 1020017000354A KR 20017000354 A KR20017000354 A KR 20017000354A KR 20010053461 A KR20010053461 A KR 2001005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source
platen roller
elements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678B1 (ko
Inventor
후지모토히사요시
오니시히로아키
다카쿠라도시히코
이마무라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733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89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89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943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8912B2/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5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27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6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using heads mounted on the same support 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4Shape in top view being squ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2Layout
    • H01L2224/49175Paralle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폭방향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를 갖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편면(4a)에, 복수의 수광소자(2) 및 구동IC(80)가 각각 어레이상으로 나란하도록 하여 탑재된 기판(4)을 갖고 있다.
기판(4)의 편면(4a)에는,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된 케이스(1)가, 복수의 수광소자(2) 및 구동IC(80)를, 그 내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소정폭에 걸쳐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판(4)의 편면(4a)에는 또한, 케이스(1)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 광원(3)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4)에 있어서의 케이스(1)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의 편면(4a)에는, 복수의 발열소자(8)가 탑재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INTEGRATED IMAGE READ/WRITE HEAD AND IMAGE PROCESSOR WITH THE HEAD}
팩시밀리장치 등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화상판독 기능과 화상형성기능을 겸하여 가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화상처리장치의 소형화의 요청에도 따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화상판독과 화상형성의 양방을 행할 수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화상처리장치에 조립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로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는, 상부개구(10A)에 투명커버(19A)가 끼워진 케이스(1A)를 갖고 있다.
이 케이스(1A)의 내부에는, 투명커버(19A)에 설정되는 판독 라인(L)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3A)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A)의 하부에는 또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기판(4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기판(4A)의 제 1면(40A) 및 제 2면(40B)에는, 길이방향으로 어레이상(列狀)으로 나란히 복수개의 수광소자(2A) 및 복수개의 발열소자(8A)가 각각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원고 반송용의 제 1의 플래튼 롤러(P1)의 회전에 의해 투명커버(19A)에 밀착하여 판독원고(D)가 반송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는, 원고(D)가 광원(3A)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조명된다.
그리고,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은, 판독라인(L)과 각 수광소자(2A) 사이에 배치된 렌즈(5A)에 의해 집광되어, 원고(D)의 화상이 수광소자(2A)의 열 위에 결상된다.
이에 의해, 각 수광소자(2A)에 있어서 원고(D)의 화상데이터가 얻어진다.
한편, 기록지 반송용의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에 의해 기록지(K)가 각 발열소자(8A)에 밀착하여 반송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는, 기록지(K)에 형성할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정한 발열소자(8A)가 선택됨과 동시에, 선택된 발열소자(8A)가 발열되어 기록지(K)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에서는, 기판(4A)의 제 1의 면(40A)에 각 수광소자(2A)가 탑재되어 있는 한편으로, 기판(4A)의 제 2면(40B)에 각 발열소자(8A)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첫째로, 기판(4A)에 각 수광소자(2A) 및 각 발열소자(8A)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판(4A)의 제 1면(40A)에 각 수광소자(2A)를 탑재한 후에, 기판(4A)의 표리를 역전시켜 기판(4A)의 제 2면(40B)에 각 발열소자(2A)를 탑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기판(4A)에 각종의 처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기판(4A)의 제 1면(40A) 및 제 2면(40B)의 각각에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기판(4A)의 편면에만 각종의 처리를 시행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특히 작업효율이 악화된다.
둘째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에서는, 케이스(1A)의 상부 개구(10A)에 끼워 고정된 투명커버(19A)에 밀착하여 원고(D)가 반송되는 한편, 기판(4A)의 제 2면(40B)에 탑재된 각 발열소자(8A)에 밀착하여 기록지(K)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결국,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원고 반송용의 플래튼 롤러(P1)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편으로, 기록지 반송용의 플래튼 롤러(P2)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에서는, 각 플래튼 롤러(P1, P2)의 배치 편의상, 상하 치수를 작게 하여 화상처리장치 전체로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상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상판독기능과, 화상형성기능을 겸하여 갖는 화상판독/기록 일체 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화상처리장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화상처리장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종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도 17과는 다른 부위에 있어서 절단한 때의 종단면도.
도 19는,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의 다른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에 탑재된 발열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기판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22는,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에 탑재된 구동IC 주위를 설명하기 위해 기판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23은, 도 16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기판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24는, 종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폭방향의 제 1의 측단부 및 제 2의 측단부를 갖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편면에, 복수의 수광소자가 어레이상으로 나란히 되도록 하여 탑재된 기판과,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싸도록 하여 상기 편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판에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원고가 밀착반송되는 투명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조명된 상기 원고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와,
상기 기판에 어레이상으로 나란히 하여 탑재된 복수의 발열소자와,
각각이 소정수의 발열소자의 구동을 담당하는 복수의 구동IC를 구비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의 측단부가 소정폭에 걸쳐 상기 케이스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상기 편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 있어서는, 각 수광소자 및 각 발열소자가 기판의 동일 편면에 탑재되어 있다.
결국,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서는, 기판에 있어서의 동일 편면에 대하여 처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해, 기판에 대하여 각 수광소자나 각 발열소자를 탑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제조하는 경우와 같이, 기판에 있어서의 한쪽의 편면에 각 수광소자를 탑재함과 동시에, 기판의 표리를 역전시키면서 기판의 다른 쪽의 편면에 각 발열소자를 탑재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서는, 종래에 비하여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제조 효율의 개선이 도모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탑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수광소자나 발열소자를 탑재하는 기판과는 별도로, 광원을 탑재하기 위한 제 2의 기판을 별도 설치할 필요는 없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기판에 있어서의 각 수광소자나 각 발열소자가 탑재된 동일 편면에 광원이 탑재되는 것에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제조할 때의 작업공정이 간략화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 보다도, 상기 기판의 제 2의 측단부의 가장자리쪽의 부위에 탑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 사이에 탑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복수의 구동IC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어레이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기판에 있어서의 수광소자나 발열소자의 탑재면과 동일 편면에, 각 구동IC가 탑재되는 것에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제조할 때의 작업 공정이 더욱 간략화 된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광원은, 복수의 광원소자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구동IC의 각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중의 일부가 탑재되어 있다.
기판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구동IC 사이의 영역은, 통상, 빈 공간이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서는, 기판에 있어서의 빈 공간에 복수의 광원소자중의 적어도 일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에서, 기판의 편면에 있어서의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이하여 기판의 편면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면, 기판의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 이점은, 복수의 광원소자 중, 상기한 영역에 탑재되는 광원소자의 수가 많게 되는 만큼 크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구동IC의 각 사이에는, 2 이상의 광원소자가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2 이상의 광원소자끼리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구동IC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고 있어, 기판의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편면에는, 상기 각 수광소자 및 상기 광원의 각각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용 배선이 패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각 수광소자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과, 광원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판의 편면에, 각 수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과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배선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기판의 편면에 형성해야 할 배선을 간략화하여, 기판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광원소자로서는, LED 칩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지만, 범용되고 있는 LED 칩의 구동전압치는 2V약이다.
각 수광소자는, 예를 들면 소정수의 수광소자가 일군으로 된 센서 IC칩으로서 기판에 탑재된다.
그리고, 센서 IC칩으로서는, 구동전압치가 5V 정도의 것이다.
따라서, 구동전압치가 2V약인 LED칩을, 2개 또는 3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면, 이들 LED 칩을 5V 정도로 구동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구동전압치가 5V 정도의 센서IC 칩과, 구동전압치가 2V약인 LED 칩을 조합시키면, 동일의 전원에 의해, 광원소자 및 수광소자의 각각을 구동할 수가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전력공급용 배선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에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에는 또한, 상기 전력공급용 배선에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상기 복수의 구동IC용의 접지 배선이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 공급용 배선과 상기 접지 배선 사이의 부위에 탑재되어 있다.
전력공급용 배선이나 접지배선은, 전기적인 저항을 고려하면, 될 수 있는데로 큰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배선의 폭치수를 다소 작게 설정하여도, 큰 문제가 생길 만큼 상기 각 배선의 전기적인 저항치가 크게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전력공급용의 배선이나 접지배선의 폭치수를 약간 작게 설정하여, 이들 배선 사이에 광원소자를 탑재할 영역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광원소자를 수광소자 등과 동일의 기판에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판의 폭치수를 크게 하는 일없이, 광원소자를 탑재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 중의 일부는, 상기 접지 배선상에 직접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LED 칩 등의 광원소자에 있어서는, 통상, 그 상면에 양극이 형성되며, 하면에 음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LED칩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최상류 부위에 배치된 LED 칩의 양극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 전력을 순차로 하류의 LED 칩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적으로 최하류 부위에 배치된 LED 칩의 음극은, 접지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하류 부위에 배치된 LED 칩(광원소자)을, 음극을 탑재면으로서 접지 배선상에 탑재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접지 배선의 일부가 광원소자를 탑재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원소자를 수광소자 등과 동일의 기판에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판의 폭치수를 크게 하는 일없이, 광원소자를 탑재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의 측면에 기재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밀착시켜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제 1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에 밀착시켜 기록지를 반송하는 제 2의 플래튼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화상처리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기판의 동일 편면에 복수의 발열소자 및 복수의 수광소자가 탑재되며, 동일 편면에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에 투명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서, 이 구성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제 1의 플래튼 롤러와 제 2의 플래튼 롤러가, 기판을 경계로서 동일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와 같이, 기판을 끼는 양측에 각 플래튼 롤러가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면, 현저히 화상처리장치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소정의 박스체내에 조립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박스체에는, 해당 박스체의 내부가 면하도록 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개구를 폐쇄 가능한 뚜껑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박스체의 내부가 면하고 있는 것에서, 박스체 내에 조립된 각종 장치나 부품 등의 수리나 교환, 또한 기록지의 보급 혹은 원고나 기록지의 원고 막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개구는, 그 개방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면하도록 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록지로서는, 커트지 혹은 연속지가 채용되는바, 예를 들면 연속지에서는, 이를 롤상으로 권취한 롤지의 상태로 화상처리장치 내에 배치된다.
롤지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근방, 특히 발열소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많은 것에서, 개구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면하는 구성에서는, 뚜껑체를 조작하여 개구를 개방한 상태로 하면, 용이하게 롤지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 따라 롤지가 숨겨지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개구가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회동자유로우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롤지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원고나 기록지의 원고 막힘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주위에 있어서 발생하기 쉬운 것에서, 개구가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회동자유로우면, 원고 막힘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의 회전축이다.
이 구성에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적으로도, 박스체 내의 레이 아웃에도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1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로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유삽되는 삽통부를 갖는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수단의 삽통부 내에 상기 회전축을 삽통한 상태에서, 박스체 내에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조립하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제 2의 플래튼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뚜껑체에 의해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투명 커버를 가압하는 힘 및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를 가압하는 힘의 각각을 조정하는 가압력 조정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서는, 적절한 발열소자가 발열하는 것에 의해 화상형성을 행하는 감열방식 혹은 열전사방식이 채용된다.
이와 같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조립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적절히 화상형성을 행하기 위해서는, 각 발열소자에 대하여, 비교적 큰 힘(예를 들면 2kg중 정도)으로 기록지를 밀어 부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원고를 너무 큰 힘으로 투명 커버에 대하여 밀어 부치면서 반송하면, 투명 커버에 손상이 생긴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원고를 투명 커버로 밀어 부치는 힘은, 기록지를 발열소자의 어레이에 밀어 부칠 정도의 큰 힘으로 할 필요는 없이, 예를 들면 0.5kg중 정도로 된다.
이와 같이, 각 플래튼 롤러에 의해, 투명커버 혹은 발열소자의 어레이를 밀어 부치는 힘을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보다도 오히려, 이들의 힘을 의도적으로 다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에서, 가압력 조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의 의의는 크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압력 조정수단은, 상기 기판을 상기 제 1의 플래튼 롤러 및 제 2의 플래튼 롤러에 밀어 부치는 가압부재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판의 제 1의 측단부 및 제 2의 측단부의 각각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 2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1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제 2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각각의 소재, 크기(길이나 직경), 혹은 경도(탄성율 등)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 1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 및 제 2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의 각각을 소망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대하여, 소망의 비율로 힘이 작용하도록 선택된 상기 기판의 소정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 1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1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 및 제 2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의 비율은,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가압부위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제 1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 및 제 2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는, 가압부재의 소재, 크기(길이나 직경), 혹은 경도(탄성율 등)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류, 혹은 고무, 우레탄, 발포 플라스틱 등이 천거된다.
또, 기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배치되는 가압부재의 개수는, 특히 한정이 없으며, 1개이어도 또한 복수개 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뚜껑체를 조작하여 개구를 개방하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박스체 내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에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회동 자유롭게 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각종의 부재나 장치의 교환·수리, 롤지의 보급 혹은 용지 막힘 등의 대응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기판(4), 케이스(1), 투명커버(19), 렌즈(5), 및 그 외의 후술하는 각 부품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판(4)은, 세라믹제이며, 폭방향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를 갖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기판의 표면(4a)에는, 복수의 광원소자(3), 복수의 센서IC 칩(2), 복수의 구동IC(80), 및 복수의 발열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각 광원소자(3)는, 예를 들면 LED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 있어서,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각 센서IC칩(2)은, 예를 들면 개개가 수광면을 갖는 복수의 수광소자를 일체적으로 조립된 반도체칩이다.
예를 들면, A4 폭의 원고(D)를 8도트/mm의 판독 정밀도로 판독하는 경우에는, 계 1728개의 복수의 수광소자를 조립한 경우에는, 계 18개의 센서IC 칩(2)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센서IC 칩(2)은, 복수의 광원소자(3)와 평행하게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열상으로 실장된다.
여기서, 센서IC 칩(2)의 배열방향이 주주사방향이며, 수광소자의 피치가,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주주사방향의 판독피치이다.
각 수광소자는, 수광면에서 수광을 행하면, 그 수광량에 대응한 출력레벨의 신호(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광전변환기능을 갖고 있다.
각 센서 IC 칩(2)에는, 그들 복수의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직렬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도 조립되어 있다.
각 발열소자는, 도면상에는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지만,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에 있어서,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어레이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들 발열소자는,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뻗도록 하여 형성된 발열저항체(8)를,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발열저항체(8)는, 예를 들면 산화루테늄 등을 도체 성분으로 하는 저항페이스트를, 후막인쇄·소성하여 형성된다.
이 발열저항체(8)의 전기적인 분단은, 소정의 배선패턴(도시생략)을 기판(4)의 표면(4a)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각 구동IC(80)는, 각 발열소자의 발열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구동IC(80)는, 발열저항체(8)와 복수의 센서IC 칩(2) 사이에서, 각각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기판(4)의 표면(4a)에는 또한, 복수의 광원소자(3), 복수의 센서IC 칩(2), 복수의 발열소자, 및 복수의 구동IC(80)의 각각에 관련하는 배선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4)의 적절한 개소에는 또한, 배선패턴의 각각에 도통한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에 배선접속을 행하는 것에 의해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각부로의 전력공급이나 각종 신호의 입출력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는, 합성수지제이며, 그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 치수는, 기판(4)과 대략 동일하다.
이 케이스(1)에는, 긴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개구(10) 및 하부개구(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개구(10, 15)에 이어지는 내부공간(12)이 또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 내에는, 내부공간(12)에 병설하여 상기 개구(10)에 이어지는 끼워맞춤 홈(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홈(16)의 하방에는, 이 끼워맞춤 홈(16) 및 하부개구(15)의 각각과 이어지는 공간실(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1의 측면(1a)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형상이 케이스(1)의 상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1)에 있어서의 1의 측면(1a)의 상하 치수가, 이에 대향하는 측면(1b) 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부 개구면이 경사져 있다.
이 케이스(1)는,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기판(4)의 표면(4a)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4)에 케이스(1)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내부공간(12)에 각 광원소자(3)가 수용되고, 공간실(11)에 각 센서IC 칩(2) 및 구동IC(80)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발열소자[발열저항체(8)]는, 기판(4)에 있어서의 케이스(1)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위의 표면(4a)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1)는, 예를 들면 폴리탄산에스테르(polycarbonate)에 산화 티탄을 함유시킨 백색계의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재료를 사용하면, 이 케이스(1) 표면의 각 개소는, 광의 반사율이 높은 면(광반사율이 97% 혹은 98% 정도)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내부공간(12)의 내벽면(12a, 12b)도 광반사율이 높은 반사면으로 할 수가 있다.
투명커버(19)는, 판독 대상으로 되는 원고(D)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투명한 글래스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이다.
이 투명커버(19)의 표면부에는, 주주사방향으로 뻗는 판독라인(L)이 설정된다.
그리고, 투명커버(19)는, 예를 들면 상부개구(10)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단, 상부개구면이 경사져 있는 것에서, 이에 수반하여 투명커버(19)도 경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커버(19)는,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 근접할 수록, 그 높이가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투명커버(19)는, 각 광원소자(3)로부터 발광된 광이, 케이스(1)에 있어서의 내부공간(12)의 각 내벽면(12a, 12b)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여 조명된다.
이 때문에, 각 내벽면(12a, 12b)이 광반사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으면,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각 내벽면(12a, 12b)에서 높은 반사율로 반사시키면서, 그들 광을 투명커버(19)[판독라인(L)]에 효율 좋게 유도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진행할 때의 광의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도록 된다.
렌즈 어레이(5)는, 주주사방향으로 뻗는 블록상의 렌즈 홀더(50)에, 복수개의 로드 렌즈(51)를 어레이상으로 유지시킨 것이다.
이 렌즈 어레이(5)는, 상면이, 판독라인(L)에 대향함과 동시에, 하면이 복수의 수광소자[센서IC 칩(2)]에 대향한 상태에서, 케이스(1)의 끼워맞춤 홈(1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렌즈 어레이(5)에 있어서는, 투명커버(19)에 밀착시켜 반송되는 원고(D)로부터 반사해 가는 광이, 센서IC 칩(2)의 어레이상에 집광되며, 각 센서IC 칩(2)의 수광소자에는 원고(D)의 화상이 정립 등배로 결상한다.
케이스(1)의 공간실(11)에는, 복수의 센서IC 칩(2)을 둘러싸는 보조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보조부재(6)에 의해, 공간실(11)이, 복수의 센서IC 칩(2)을 수용하는 제 1의 공간실(11a)과, 복수의 구동IC(80)를 수용하는 제 2의 공간실(11b)로 구획되어 있다.
이 보조부재(6)는, 예를 들면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ABS 수지제이며, 그 표면의 각 개소는, 광흡수율이 높은 광흡수면으로 되어 있다.
보조부재(6)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렌즈어레이(5)를 통과하여 각 센서IC 칩(2)으로 향하여 진행한 광이, 복수의 센서IC 칩(2)의 주위에 있어서 산란 반사될 염려를 없게 할 수가 있다.
복수의 센서IC 칩(2)의 주위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 반사를 없게 하면, 판독 화상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보조부재(6)는,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60)를 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17)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케이스(1)에 설치된다.
또, 이와 같은 보조부재(6) 대신에, 케이스(1)에 있어서의 복수의 센서IC 칩(2)을 둘러싸는 부위의 내면에, 흑색계의 도장막을 형성하거나, 흑색계의 시트 혹은 필름을 점착하거나 하여, 센서IC 칩(2)의 주위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구비하여 구성된 화상처리장치(B)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화상처리장치(B)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화상처리장치(B)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박스체(90)내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조립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90)는, 상부에 개구(91)를 갖고 있다.
이 박스체(90)에는 또한, 개구(91)를 통하여 박스체(90)의 내부가 위치하는 개방상태(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개구(91)가 폐쇄된 상태(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뚜껑체(92)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박스체(90) 내에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제 2의 플래튼 롤러(P2)가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플래튼 롤러(P1)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투명커버(19)에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의 플래튼 롤러(P2)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발열저항체(8)에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도 4 및 도 5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기판(4)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플랜지편(48)을 통하여,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편(48)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지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다.
각 플랜지편(48)은, "L"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 1의 단부(48A)에 절흠(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플랜지편(48)의 제 2의 단부(48B)는, 기판(4)에 각각 접합되어 있으며, 각 플랜지편(48)의 제 1의 단부(48A)가, 기판(4)으로부터 제 2의 플래튼 롤러(P2)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편(48)에는, 그 절흠(48a) 내에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축(S)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가 박스체(90) 내에 조립되어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에 어떠한 외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자체중량만에 의해 각 플래튼 롤러(P1, P2)에 밀착하고 있다.
상기 화상처리장치(B)에서는,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축(S)이, 각 절흠(48a)의 최심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이 때문에,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에 대하여 퇴피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각 절흠(48a)의 최심부에 달하는 위치까지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측에 근접할 수가 있다.
결국,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기판(4)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가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에서,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가, 제 1의 플래튼 롤러(P1)에 대하여 퇴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상처리장치(B)에서는, 기판(4)[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이, 그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있어서, 각 플래튼 롤러(P1, P2)에 대하여 퇴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플래튼 롤러(P1) 및/또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를, 기판(4)[화상처리장치(B)]의 두께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여,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또는 제 2의 측단부(4d)를, 제 1의 플래튼 롤러(P1) 및/또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퇴피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가 기판(4)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4)에 있어서의 각 플래튼 롤러(P1, P2)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하,「제2의 표면(4b)」라 한다)으로부터 외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제 1의 플래튼 롤러(P1)가 투명커버(19)를 가압하는 힘이나 제 2의 플래튼 롤러(P2)가 발열저항체(8)를 가압하는 힘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소망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로서의 2종류의 코일 스프링(71, 72)에 의해, 각 플래튼 롤러(P1, P2)가 투명커버(19)나 발열저항체(8)를 가압하는 힘을 조정하고 있다.
또, 가압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코일 스프링 이외의 탄성부재, 예를 들면 판스프링, 혹은 고무, 우레탄, 발포 플라스틱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각 코일 스프링(71, 72)은, 뚜껑체(92)에 의해 박스체(90)의 개구(91)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코일스프링(71)이 기판(4)의 측단부(4c)와 접촉하고, 다른 쪽의 코일 스프링(72)이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각 코일 스프링(71, 72)은, 박스체(90)의 뚜껑체(9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혹은 기판(4)의 제 2의 표면(4b)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코일 스프링(71, 72)의 자연 상태의 길이는, 뚜껑체(92)에 의해 개구(91)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기판(4)과 뚜껑체(92) 사이의 거리 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뚜껑체(92)에 의해 개구(91)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판(4)과 뚜껑체(92) 사이에, 각 코일 스프링(71, 72)이 자연 상태보다 축소된 상태에서 개재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기판(4)의 제 2의 표면(4b)에는, 각 코일 스프링(71, 7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각 플래튼 롤러(P1, P2)에 밀어 부치는 힘이 작용한다.
이 구성에서는, 각 코일 스프링(71, 72)의 길이나 스프링 정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작용하는 힘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도 3 내지 도 5에는, 기판(4)의 폭방향에 관하여, 2종류의 코일 스프링(71, 72)이 배치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코일 스프링(71, 72)의 개수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은 없다.
다음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 및 상기 화상처리장치(B)의 작용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화상처리장치(B)에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가 화상판독 기능과 화상기록 기능을 겸하여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원고(D)의 화상을 판독하는 동작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원고(D)를 상기 화상처리장치(B)의 배면(90a)에 형성된 원고 반입구(90A)로부터 투입한다.
그렇게 하면, 원고(D)는, 원고반송롤러(93)에 의해 소정의 반송경로에 따라 반송되며, 제 1의 플래튼 롤러(P1)가 배치된 부위까지 도달한다.
그리고, 원고(D)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투명커버(19) 사이에 끼워지며, 제 1의 플래튼 롤러(P1)의 도 3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투명커버(19)에 밀착하여 반송된다.
이 때, 각 광원소자(3)로부터의 광에 의해 판독라인(L)이 조명된다.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은, 렌즈 어레이(5)에 의해 집광된 후에, 각 센서IC 칩(2)에 결상된다.
각 센서IC 칩(2)에서는, 수광된 광의 광량에 따른 출력레벨의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되며, 이 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을 통하여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외부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고(D)의 1라인분의 화상이 판독되게 된다.
원고(D)는, 플래튼 롤러(P1)에 의해 도면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1라인분씩 차차 간헐적으로 보내지며, 혹은 연속적으로 보내져, 같은 판독 동작이 차례로 행해진다.
최종적으로는, 원고(D) 전체의 화상이 판독된다.
또, 판독이 종료된 원고(D)는, 원고반송롤러(94)에 의해 반송되어 화상처리장치(B)의 전면(90b)에 형성된 배출구(90B)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기록지(K)에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B)의 전면부측에 배치되며, 롤상으로 된 기록지(K)[롤지(R)]가 소정의 반송경로에 따라 제 2의 플래튼 롤러(P2)가 배치된 부위까지 반송된다.
기록지(K)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와 발열저항체(8) 사이에 끼워지며,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도 3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해 발열저항체(8)에 밀착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외부로부터는, 각 구동IC(80)에 화상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들 구동IC(80)는, 기판(4)에 형성된 배선패턴(도시생략)에 의해 커넥터와 도통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화상데이터는, 케이블, 커넥터 및 배선패턴을 통하여 각 구동IC(80)에 입력된다.
각 구동IC(80)에 있어서는,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해야할 발열소자가 선택되며, 선택된 발열소자에 도통하여 그것을 발열시킨다.
이에 의해, 기록지(K)에는 1라인 분의 화상이 기록된다.
기록지(K)는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에 의해 도면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1라인 분씩 차례로 간헐적으로 보내지며, 혹은 연속적으로 보내져, 같은 모양의 기록동작이 차례로 행해진다.
최종적으로는, 기록지(K)는, 용지반송롤러(95)에 의해 반송되어 화상처리장치(B)의 전면(90b)에 형성된 배출구(90C)로부터 배출된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상처리장치(B)에 있어서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 및 제 2의 플래튼 롤러(P2)를, 어느 것이나 기판(4)에 있어서의 케이스(1)가 설치된 측에 배치하면 좋다.
따라서, 이들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3자가, 화상처리장치(B)의 두께 방향으로 크게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화상처리장치(B)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에서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에 대향하는 케이스(1)의 측면(1a)을 경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로부터 비어져 나온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의 표면(4a)측에 제 2의 플래튼 롤러(P2)를 배치하기 위한 비교적 큰공간을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로부터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를 그다지 크게 비어져 나오게 하는 일없이,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적절한 배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일층 바람직 한 것으로 된다.
또, 투명 커버(19)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투명커버(19)에 대향하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를 제 2의 플래튼 롤러(P2)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직경을 크게 한 경우에, 그들이 부당하게 간섭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판독동작이나 화상기록동작은, 각각 단독으로 행할 수도 있지만, 화상처리장치(B)의 구성에 따라서는, 이들의 동작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에 있어서의 원고 반송과 제 2의 플래튼 롤러(P2)에 의한 기록지 반송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원고(D)와 기록지(K)가 상호 간섭하여 원고(D)나 기록지(K)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즉,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에서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적절히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장치(B)에서는, 기판(4)의 폭방향에 관하여, 2개의 코일스프링(71, 72)에 의해,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작용하는 힘이 조정되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낸 제 2의 실시형태와 같이, 기판(4)의 폭방향에 관하여, 1개의 코일 스프링(73)에 의해,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작용하는 힘을 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기판(4)의 제 2의 타면(4b)에 있어서,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73)의 접촉부위를 선택하여,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작용하는 힘의 비율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코일 스프링(73)의 길이나 스프링 정수를 선택하여, 제 1의 측단부(4c) 및 제 2의 측단부(4d)의 각각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 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 플래튼 롤러(P1, P2), 롤지(P), 혹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배치, 또 각 플래튼 롤러(P1, P2)나 롤지(P)의 회전방향 등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B)에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기판(4)으로부터 박스체(90)의 상면(90c)으로 향하여 케이스(1)가 돌출하고, 기판(4)의 비어져 나온 부분[제 1의 측단부(4c)]가 박스체(90)의 전면(90b)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자세로 박스체(90)내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의 플래튼 롤러(P1)는, 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투명커버(19)에 밀착하고, 제 2의 플래튼 롤러(P2)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발열저항체(8)에 밀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롤지(R)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나 제 2의 플래튼 롤러(P2) 보다도, 박스체(90) 내에 있어서의 전면(90b)측의 부위에, 도 7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의 회전에 의해 롤지(R)의 하부측으로부터 인출된 기록지(K)가,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발열저항체(8) 사이를 통과하여 화상이 형성된 후에,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전단부 부위에서 배출된다.
한편, 원고(D)는, 예를 들면 박스체(90) 배면(90a)측 혹은 박스체(90) 상면(90c)의 후단부측으로부터 투입된다.
이 원고(D)는, 제 2의 플래튼 롤러(P2)와 투명커버(19) 사이를 통과할 때에 화상이 판독된 후에,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배출부위와 인접한 부위로부터 배출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제 4실시형태와 같이, 각 플래튼 롤러(P1, P2), 롤지(R),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배치를 도 7에 나타낸 제 3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롤지(R) 및 제 2의 플래튼 롤러(P2)의 회전방향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롤지(R)의 상부측으로부터 인출된 기록지(K)는, 화상의 형성이 종료된 후에, 박스체(90)의 전면(90b)으로부터 배출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제 5의 실시형태와 같이, 각 플래튼 롤러(P1, P2), 롤지(R), 및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배치를 전후 반전시켜도 좋다(도 9에서는, 도 7에 있어서 박스체 만을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롤지(R)는, 예를 들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보다, 박스체(90)의 배면(90a)측 부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플래튼 롤러(P1, P2), 및 롤지(R)의 각각이, 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원고(D)는, 예를 들면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배출부위와 인접한 부위로부터 투입된다.
그리고, 원고(D)는,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투명커버(19) 사이를 통과하여 화상이 판독된 후에, 예를 들면 박스체(90)의 전면(90b)으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기록지(K)는, 예를 들면 롤지(R)의 하부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제 2의 플래튼 롤러(P2)와 발열저항체(8) 사이를 통과하여 화상이 형성된 후에,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배면(90a) 측으로부터 배출된다.
물론, 도 10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롤지(R)의 상부측으로부터 기록지(K)를 인출함과 동시에, 제 2의 플래튼 롤러(P2)를 도 10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록지(K)는, 예를 들면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배면(90a) 측으로부터 배출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제 7의 실시형태와 같이, 롤지(R)의 상부측으로부터 기록지(K)를 인출함과 동시에, 제 2의 플래튼 롤러(P2)를 도 11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기록지(K)는, 예를 들면 박스체(90)의 배면(90a)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제 8의 실시형태와 같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와 롤지(R)를 비교적 떨어트린 부위에 각각 배치하여도 좋다.
즉, 롤지(R)를 박스체(90)내에 있어서의 전면(90b)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중앙부 혹은 배면(90a)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케이스(1)가 기판(4)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배면(90a)으로 향하여 돌출한 자세로 박스체(90)내에 조립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 1의 플래튼 롤러(P1)와 롤지(R)가 도 12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의 플래튼 롤러(P2)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이 구성에서는, 원고(D)는, 예를 들면 박스체(90)의 상면(90c)에 있어서의 전면부(90b)측으로부터 후부(90a)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기록지(K)는, 예를 들면 원고(D)에 배출부위와 인접한 부위로부터 배출된다.
또, 도 13에 나타낸 제 9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와 같이, 화상판독부(H)를 본체(99)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화상판독부(H)는, 본체(99)로부터 분리하여 사용 가능한, 이른바 핸디 스캐너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이 경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예를 들면 화상판독부(H) 내에 조립되며, 각 플래튼 롤러(P1, P2)나 롤지(R)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99)에 조립하여도 좋고, 화상판독부(H)내에 조립하여도 좋다(도시생략).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실시형태에 대하여, 기판(4)에 있어서의 복수의 광원소자(3)와 복수의 센서IC 칩(2)의 배치가 바뀌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기판(4)에는, 폭방향의 제 1의 측단부(4c)로부터 제 2의 측단부(4d)로 향하여 순서대로, 복수의 발열소자, 복수의 구동IC(80), 복수의 광원소자(3), 및 복수의 센서IC 칩(2)의 각각이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어레이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케이스(1)로부터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케이스(1)가 기판(4)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판(4)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온 부위의 표면(4a)에 각 발열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의 소자류도, 기판(4)에 있어서의 동일 표면(4a)측에 각 소자류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제조의 간략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조립한 화상처리장치(B)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가 있다.
도 16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처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11 실시형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앞서 설명한 제 10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기판(4)에 있어서의 복수의 광원소자(3)와 복수의 센서IC칩(2)의 배치가 달라져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내에 형성된 공간의 배치나 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이 제 11 실시형태는 달리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는 실질적으로 다른 기판(4)에 있어서의 각 소자류의 배치, 및 이에 관련하는 기판(4)의 배선패턴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부재나 요소 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제 11 실시형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에 있어서도, 케이스(1)로부터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가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기판(4)의 표면(4a)에 케이스(1)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로부터 기판(4)이 비어져 나온 부위의 표면(4a)에는, 발열저항체(8)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는, 복수의 센서IC 칩(2)이 길이방향으로 뻗도록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발열저항체(8)와 복수의 센서IC 칩(2) 사이의 영역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동IC(80)가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어레이상으로 나란히 실장되어 있다.
발열저항체(8)는,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コ " 형상으로 형성된 코먼 배선(COM)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단되어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발열소자(8a)가 연속하여 탑재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기판(4)의 제 1의 측단부(4c)에 따라 뻗는 코먼 라인(45)으로부터,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로 향하여 뻗도록 하여 복수의 코먼 전극부(45a)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코먼 전극부(45a)의 각각의 선단부는, 발열저항체(844)의 하부에 잠입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발열저항체(844)가 전기적으로 분단되어 있다.
또, 기판(4)에 있어서의 코먼라인(45)과 각 구동IC(80) 사이의 영역에는, 복수의 개별전극(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별전극(46)의 각각의 선단부는, 도 21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코먼 전극부(45a)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발열저항체(8)의 하부에 잠입되어 있다.
한편, 각 개별전극(46)의 타단부의 각각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IC(80)로 향하여 뻗어 있다.
각 구동IC(80)는, 도 19에 부호 L0으로 나타낸 길이 범위에 설치된 소정수의 발열소자(8a)의 구동을 담당하고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예를 들면 A4 폭의 기록지(K)에 8도트/mm의 인자 정밀도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1728개의 발열소자(8a)를 인자폭 방향[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12개의 구동IC(80)에 의해 각각의 발열소자(8a)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각 구동IC(80)가 144개의 발열소자(8a)의 구동을 각각 담당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각 구동IC(80)에 대하여 144개의 개별전극(46)이 발열저항체(8)로부터 각 구동IC(80)로 향하여 뻗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 기판(4)의 표면(4a)에는, 도 19 및 도 20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구동IC(80)용의 배선으로서, 인자데이터용 배선(DI),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 AEO 2), 전력공급용 배선(VDD 1), 접지배선(GND 1), 래치신호용 배선(LAT), 및 클록 펄스신호용 배선(Cp)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 AEO 2)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기판(4)의 복수의 발열소자(8a) 중, 기판(4)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의 반분의 발열소자(8a)와 남은 발열소자(8a)를, 시간차로 분할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접지배선(GND 1)은, 다른 배선에 비해 큰 폭이며, 각 구동IC(80)를 퇴피시키면서도, 전체로 각 구동IC(80)의 어레이와 대략 동일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 배선(GND 1)의 2개의 단부는,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출력용 패드로 되어 있다.
인자데이터용 배선(DI)은, 도 22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구동IC(80)가 탑재된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비연속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 AEO 2), 전력공급용 배선(VDD), 래치신호용 배선(LAT), 및 클록 펄스신호용 배선(Cp)은, 도 19 및 도 20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접지 배선(GND 1)에 따르도록 하여 각각 연속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 AEO 2), 및 전력공급용 배선(VDD 1)의 입력패드는,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 있어서의 일단부(도 19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래치신호용 배선(LAT), 및 클록펄스신호용 배선(Cp)의 입력패드는, 기판(4)의 제 2의 측단부(4d)에 있어서의 타단부(도 20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구동IC(80)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IC(80)의 사변에 따라 복수의 단자패드(80a, 80b, 80c, DAP)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IC(80)에 있어서의 도 22의 상변에 따라 형성된 각 단자패드(80a)는, 개별전극(45)과 와이어(W)를 통하여 도통 접속되어 있으며, 해당 구동IC(80)가 담당하는 개별전극(45)의 수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144개 형성되어 있다.
구동IC(80)에 있어서의 도 22의 좌변에 따라 형성된 단자패드(80b)는, 구동IC(80)용의 각 배선과 와이어(W)를 통하여 도통 접속되어 있으며, 그 배선의 수에 따라, 예를 들면 6개 형성되어 있다.
구동IC(80)에 있어서의 도 22의 하변에 따라 형성된 각 단자패드(80c)는, 접지 배선(GND 1)과 와이어(W)를 통하여 도통 접속되어 있다.
또, 구동IC(80)에 있어서의 도 22의 우변의 근방에 형성된 단자패드(DAP)는, 구동IC(80)로부터 인자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인접하는 구동IC(8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인자데이터용 배선(DI)과 와이어(W)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구동IC(80)는,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 AEO 2), 전력공급용 배선(VDD 1), 접지 배선(GND 1), 래치신호용 배선(LAT), 및 클록펄스신호용 배선(Cp)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인자데이터용 배선(DI)에 대해서는, 각 구동IC(80)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IC(80), 발열저항체(8), 및 이들과 도통하는 각 배선은, 기록지(K)로의 화상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각 구동IC(80)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의 트랜지스터 등이 각각 조립되어 있으며, 전력공급용 배선(VDD 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가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자데이터용 배선(DI)으로부터 1라인 분의 인자데이터가 보내져온 경우에는, 클록 펄스신호용 배선(Cp)으로부터 공급된 클록 펄스신호에 동기하여, 각 구동IC(80)내의 시프트 레지스터(도시생략)의 각 비트에 인자데이터가 순차 전송되어 간다.
최종적으로는, 최종단(도 20의 우측단)의 구동IC(80)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최종 비트에, 초단(도 19의 좌측단)의 구동IC(80)에 최초로 입력된 인자데이터가 유지될 때까지 순차 전송되어 간다.
그리고, 래치신호용 배선(LAT)로부터 각 구동IC(80)에 공급되는 래치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그 시점에서 시프트 레지스터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가 각 구동IC(80)의 각각의 래치회로(도시생략)에 기억된다.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으로부터는, 이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에 도통 접속된 각 구동IC(80)에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된다.
이 스트로브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사이에, 해당 구동IC(80)의 각각의 래치회로에 기억된 각 도트의 데이터에 따라, 각 개별전극(46)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가 ON·OFF 되어, 선택된 적절한 개별전극(46)에만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2)으로부터는, 스트로브신호용 배선(AEO 1)으로부터의 스트로브 신호와는 시간차로, 스트로브 신호용 배선(AEO 2)에 도통 접속된 각 구동IC(80)에 스트로브 신호가 공급된다.
이 스트로브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사이에, 선택된 적절한 발열소자(8a)도 마찬가지로 발열되어, 1라인 분의 인자가 행해진다.
각 센서IC 칩(2)은, 예를 들면 포토트랜지스터 등의 수광소자가 복수개 조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도 19에 부호 L1으로 나타낸 길이 범위가 1래치로 되어 있다.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논한 바와 같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를 A4 폭의 원고(D)를 8도트/mm의 판독 정밀도로 판독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96개의 수광소자를 조립하여 1개의 센서IC 칩(2)을 구성하고, 계 18개의 센서IC 칩(2)이 기판(4)에 실장된다.
또, 기판(4)의 표면(4a)에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센서IC 칩(2)용의 배선으로서,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용 배선(AO), 접지 배선(GND 2), 시리얼신호용 배선(SI), 클록신호용 배선(CLK), 및 전력 공급용 배선(VDD 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공급용 배선(VDD 2)은, 구동IC용의 접지배선(GND 1)에 따르도록 하여, 전체로서 접지 배선(GND 1)에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하여 연속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용 배선(AO), 접지 배선(GND 2), 클록신호용 배선(CLK), 및 전력공급용 배선(VDD 2)은, 각각 각 센서IC 칩(2)에 와이어(W)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센서IC 칩(2)이,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용 배선(AO), 접지 배선(GND 2), 클록신호용 배선(CLK), 및 전력공급용 배선(VDD 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시리얼 신호용 배선(SI)은, 비연속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초단(도 19 좌측단)의 센서IC 칩(2)에, 와이어(W)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센서IC 칩(2)의 경계 근방에 형성된 아일랜드 상의 도체부위(I1)가, 인접하는 센서IC 칩(2)의 각각에 와이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9의 좌측의 센서IC 칩(2)으로부터 우측의 센서IC 칩(2)으로 시리얼 신호를 순차 전송 가능하게 된다.
센서IC 칩(2)은, 전력공급용 배선(VDD 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센서IC 칩(2)에 조립된 도시하지 않은 각종의 트랜지스터가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센서IC 칩(2)에서는,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을 각 수광소자가 수광한 경우에는, 그 수광량에 따른 출력레벨의 판독 데이터가 각 수광소자에 있어서 일단 유지된다.
초단의 센서IC 칩(2)에 시리얼 신호용 배선(SI)으로부터 시리얼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아날로그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도시생략)가 ON 되어, 초단의 수광소자에 유지된 판독 데이터가 아날로그 신호로서 시리얼로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용 배선(AO)에 방출된다.
그리고, 센서 IC 칩(2)에서는, 클록 신호용 배선(CLK)으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도시생략)의 각 비트에 시리얼 신호가 순차 전송되어 가고, 차례로 각 수광소자에 유지된 판독 데이터가 출력되어 간다.
최종적으로는, 최종단(도 20의 우단)의 센서 IC 칩(2)내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최종 비트까지 시리얼 신호가 전송되며, 1라인분의 화상의 판독데이터가 얻어진다.
또, 기판(4)의 표면(4a)에는, 구동IC(80)의 어레이에 따라 규정되는 직선과 거의 동일한 직선상에, 복수의 광원소자(3)가 실장되어 있다.
이들 광원소자(3)는,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2개의 광원소자(3)를 1조로 하여, 예를 들면 인접하는 구동IC(80) 사이의 영역에 각각 1조씩 배치되어 있다.
또, 최단(도 19의 좌측단과 도 20의 우측단)에 배치된 2개의 구동IC(80)로부터도 또한, 기판(4)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단부로부터의 부위로부터도, 광원소자(3)의 조가 각각 1조 씩 배치되어 있다.
각 광원소자(3)의 조에 있어서는, 한쪽의 광원소자(3)가 구동IC(80)용의 접지 배선(GND 1) 및 센서IC 칩(2)용의 전력공급용 배선(VDD 2) 사이에 형성된 아일랜드 형상의 도체영역(I2) 상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IC 칩(2)용의 전력공급용 배선(VDD 2)과 와이어(W)를 통하여 접속되어 전력공급용 배선(VDD 2)으로부터의 전력에 따라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광원소자(3)와 센서IC 칩(2)은, 전력공급원으로서 전력공급용 배선(VDD 2)을 공용하고 있다.
다른 쪽의 광원소자(3)는, 접지 배선(GND 1)에 실장되어 있으며, 도체영역(I2)과 와이어(W)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한쪽의 광원소자(3)와 다른 쪽의 광원소자(3)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 있어서도, 제 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화상의 판독 동작 및 화상의 형성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에서는, 복수의 광원소자(3)와 복수의 센서IC 칩(2)으로, 전력 공급용 배선(VDD 2)를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4)에 형성되는 배선을 간략화하여, 기판(4)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광원소자(3) 중의 대부분은, 기판(4)에 있어서의 구동IC(80)용의 접지 배선(GND 1) 및 센서IC 칩(2)용의 전력공급용 배선(VDD 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은, 다른 신호용의 배선에 비하여 큰 폭인 것에서, 이들 배선의 폭을 다소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기판(4)의 표면(4a)에 있어서의 광원소자(3)를 탑재하는 영역을 확보할 수도 있다.
결국, 광원소자(3)를 별개의 기판이 아닌, 센서IC 칩(2) 등과 동일한 기판(4)에 있어서의 동일면(4a)에 탑재하였다 하여도, 기판(4)을 크게 하는 일없이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소자(3)의 일부는, 기판(4)에 있어서의 접지 배선(GND 1)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기판(4)의 표면(4a)에 있어서 광원소자(3)를 탑재하는 영역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상처리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가 구현된다.

Claims (23)

  1. 폭방향의 제 1의 측단부 및 제 2의 측단부를 갖는 긴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편면에 복수의 수광소자가 어레이상(列狀)으로 나란히 탑재된 기판과,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싸도록 하여 상기 편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원고가 밀착 반송되는 투명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조명된 상기 원고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와,
    상기 기판에 어레이상으로 나란히 탑재된 복수의 발열소자와,
    각각이 소정수의 발열소자의 구동을 담당하는 복수의 구동 IC를 구비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의 측단부가 소정폭에 걸쳐 상기 케이스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상기 편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 보다, 상기 제 2의 측단부의 가장자리쪽의 부위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 사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IC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뻗는 어레이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광원소자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구동IC의 각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 중의 일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구동IC의 각 사이에는 2 이상의 광원소자가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2 이상의 광원소자끼리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에는, 상기 각 수광소자 및 상기 광원의 각각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용 배선이 패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용 배선은, 상기 편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의 어레이에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편면에는 또한, 상기 전력공급용 배선에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상기 복수의 구동IC 용의 접지 배선이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공급용 배선과 상기 접지 배선 사이의 부위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소자 중의 일부는, 상기 접지 배선상에 직접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12.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밀착시켜 상기 원고를 반송하는 제 1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에 밀착시켜 기록지를 반송하는 제 2의 플래튼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소정의 박스체 내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해당 박스체의 내부가 임하도록 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개구를 폐쇄 가능한 뚜껑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그 개방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임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의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제 1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로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의 상기 회전축이 헐겁게 삽입되는 삽통부를 갖는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투명커버를 가압하는 힘 및 상기 제 2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복수의 발열소자의 어레이를 가압하는 힘의 각각을 조정하는 가압력 조정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조정수단은, 상기 기판을 상기 제 1의 플래튼 롤러 및 제 2의 플래튼 롤러에 밀어 부치는 가압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판의 제 1의 측단부 및 제 2의 측단부의 각각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 2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대하여, 소망의 비율로 힘이 작용하도록 선택된 상기 기판의 소정의 부위를 가압하도록, 상기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 1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2001-7000354A 1998-07-13 1999-07-12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KR100388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33298A JP3798910B2 (ja) 1998-07-13 1998-07-13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10-197332 1998-07-13
JP10-201809 1998-07-16
JP20180998A JP3798911B2 (ja) 1998-07-16 1998-07-16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20943498A JP3798912B2 (ja) 1998-07-24 1998-07-24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10-209434 1998-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461A true KR20010053461A (ko) 2001-06-25
KR100388678B1 KR100388678B1 (ko) 2003-06-25

Family

ID=2732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354A KR100388678B1 (ko) 1998-07-13 1999-07-12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64999B1 (ko)
EP (1) EP1119184B1 (ko)
KR (1) KR100388678B1 (ko)
CN (1) CN1170418C (ko)
CA (1) CA2336413C (ko)
DE (1) DE69940699D1 (ko)
TW (1) TW425811B (ko)
WO (1) WO2000003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3146B1 (en) * 1998-11-09 2007-06-13 Rohm Co., Ltd. Integral image reading/writing head, image processor provided with this, image reading head and print head
US7821684B2 (en) * 2002-04-23 2010-10-26 Chen-Hsiang Shih Circuit module integrating a light driver and an optical
JP2004193773A (ja) * 2002-12-09 2004-07-08 Rohm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ユニット
US7663777B2 (en) * 2005-05-06 2010-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Default settings customization system
US7881652B2 (en) * 2005-06-30 2011-02-01 Lexmark International, Inc. Modular printer and scanner ADF duplexer feedpath including second tray
KR20100095666A (ko) * 2009-02-12 2010-09-0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고전압 구동용 발광 다이오드 칩 및 그것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9247095B2 (en) * 2012-12-19 2016-01-26 Canon Components, Inc. Image sensor unit,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69826D1 (en) 1981-08-17 1986-04-17 Xerox Corp Imaging device
JPS6336648A (ja) 1986-07-31 1988-02-17 Ricoh Co Ltd 入出力装置
JPH04282952A (ja) 1991-03-12 1992-10-08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記録読み取り素子並びに駆動用ic
JPH0583470A (ja) * 1991-09-25 1993-04-02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
JP2868673B2 (ja) 1992-08-17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出力デバイス
JP3003416B2 (ja) 1992-08-28 2000-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の読取・記録装置
US6014231A (en) * 1992-09-09 2000-01-11 Rohm Co., Ltd. Image sensor
JPH06113069A (ja) 1992-09-30 1994-04-22 Mita Ind Co Ltd ディ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2968662B2 (ja) * 1993-05-07 1999-10-25 ローム株式会社 読取・プリント兼用ヘッド
KR0182048B1 (ko) * 1995-10-12 1999-04-15 김광호 밀착형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E69636146T2 (de) * 1995-12-26 2007-03-15 Rohm Co. Ltd., Kyoto Kontaktbildsensor
JPH09284470A (ja) 1996-04-15 1997-10-31 Rohm Co Ltd 画像読み書きヘッド
JPH1051587A (ja) 1996-07-30 1998-02-20 Rohm Co Ltd 画像読み書きヘッド
CN1147122C (zh) * 1996-07-30 2004-04-21 罗姆股份有限公司 图象读写头以及用于读写头的集成电路
JP3167111B2 (ja) * 1997-04-25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6469808B1 (en) * 1998-05-15 2002-10-22 Rohm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lluminator used for the same
TW417380B (en) * 1998-05-29 2001-01-01 Rohm Co Ltd Unified pick-up head for image reading and writing and the image processor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6413A1 (en) 2000-01-20
US6864999B1 (en) 2005-03-08
EP1119184A1 (en) 2001-07-25
DE69940699D1 (de) 2009-05-20
WO2000003537A1 (fr) 2000-01-20
CN1309864A (zh) 2001-08-22
CN1170418C (zh) 2004-10-06
EP1119184A4 (en) 2002-03-06
EP1119184B1 (en) 2009-04-08
TW425811B (en) 2001-03-11
KR100388678B1 (ko) 2003-06-25
CA2336413C (en) 200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074A (en) Full-width simultaneous read/write copier
US695227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reading unit and a printing unit on one side of a substrate
US6952289B1 (en) Integrated image reading/writing hea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6947168B2 (en) Wall-moun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age-reading and image-printing functions
TW380351B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20010053461A (ko)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US6947184B1 (en) Integral image readin/writing head, image processor provided with this, image reading head and print head
KR100359637B1 (ko)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US6965392B2 (en) Image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
US4868669A (en) Integrated input/output device
US5717502A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having the image reading device
JP379891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400863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798911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3798912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703967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3839588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H1051587A (ja) 画像読み書きヘッド
JP4369498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802236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H04142860A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