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577A -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577A
KR20010052577A KR1020007013752A KR20007013752A KR20010052577A KR 20010052577 A KR20010052577 A KR 20010052577A KR 1020007013752 A KR1020007013752 A KR 1020007013752A KR 20007013752 A KR20007013752 A KR 20007013752A KR 20010052577 A KR20010052577 A KR 2001005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vement
reciprocating direction
elements
shee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에이 엘리오
Original Assignee
폴 에이 엘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에이 엘리오 filed Critical 폴 에이 엘리오
Publication of KR2001005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57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 Y10T74/188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with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54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정가능한 지지장치(20)는 각각이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시트 요소(22) 및 피벗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 2 시트 요소(23), 왕복으로 지지구조부를 조정하기 위해 지지구조부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와 피니언 조정 조립체(26), 및 피벗으로 제 2 시트 요소를 조정하기 위해 지지구조부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와 드럼 조정 조립체(27)를 포함하고 있는 지지구조부(21)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ADJUSTABLE SUPPORT APPARATUS AND ARCHITECTURE FOR ADJUSTING SUPPORT APPARATUS}
운송수단 운전자 및 탑승자 시트의 상대적인 안락성 및 안전성은 시트의 형상 및 형태를 형성하는 골조 또는 골조구조부와 다양한 체격의 사용자를 수용하도록 시트를 조정하는 조정기구에 주로 달려 있다. 비록 종래의 골조구조부는 안락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종래의 조정 조립체는 매일의 사용에 따른 고됨을 계속적으로 견뎌내지 못하고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 부상을 흔히 야기하거나 또는 악화시키는 차량사고에 통상 발생하는 부하에 흔히 글복한다.
따라서, 향상된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의 조정을 달성하기 위한 향상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지지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의 조정을 달성하기 위한 향상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골조와, 골조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서, 조정가능한 지지장치를 왕복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 1 조정 조립체 및 조정가능한 지지장치의 보디지지요소를 피벗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 2 조정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물을 도시하면서 지지장치의 일부가 해체되어 있는 상태의 조정가능한 지지장치의 등각도,
도 2는 도 1의 골조 및 구조물의 일부의 분해등각조립도,
도 3은 도 1의 구조물의 분해등각조립도,
도 4는 도 1의 골조 및 구조물의 분해등각조립도,
도 5는 골조 및 구조물의 일부가 도시의 목적으로 해체되어 있는, 도 4의 도면과 아주 유사한 도면,
도 6은 잠금해제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1 조정 조립체의 측면입면도,
도 7은 잠금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1 조정 조립체의 또 다른 측면입면도,
도 8은 잠금해제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1 조정 조립체의 등각도,
도 9는 잠금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1 조정 조립체의 또 다른 등각도,
도 10은 잠금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2 조정 조립체의 등각도,
도 11은 잠금해제 설정방향인 것처럼 보일 때 나타나는, 도 1의 제 2 조정 조립체의 또 다른 등각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부 및 캡 조립체의 등각도,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 및 캡의 분해등각조립도.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향상된 구조물로 상기의 문제점 등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되고 상기의 목적 등이 달성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정가능한 지지장치는 제 1 요소,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요소,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구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왕복 트래버스를 따라서 선택된 위치에서 지지구조부의 조정을 허용하기 위한 제 1 조정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조정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운송되는 래크,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운송되고 래크와 맞물려 있는 기어, 그리고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기어 중 또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 위치 및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려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대체로 래크와 평행하게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샤프트, 대체로 래크와 반대방향으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그리고 제 1 및 제 2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샤프트의 이동을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서 선택된 위치에서 지지구조부의 등받이 또는 제 2 시트요소의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제 2 조정 또는 클램프 조립체를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클램프 조립체는 피벗운동을 위해 드럼에 의해 운송되는 등받이 또는 제 2 시트요소를 갖춘 드럼을 가지고 있는 제 2 요소와, 제 2 시트요소 및 베이스에 의해 운송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요소를 풀어서 제 2 시트요소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드럼에 제 2 시트요소를 체결하여 제 2 시트요소의 피벗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설정방향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클램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장치는 드럼에서 제 2 시트요소 둘레에 감겨있는 긴 가요성장치,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제 2 시트요소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요소를 풀기위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제 2 시트요소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요소를 풀기위한 수단은, 드럼에 대체로 반대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긴 가요성장치의 일부가 지지되는 고정부,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요소를 풀기 위해 고정부를 왕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왕복방향으로 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피벗운동을 위해 베이스 그리고 고정부가 장착되고 왕복방향으로 고정부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앞의 그리고 더욱 더 구체적인 목적 및 잇점은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당업자에게 아주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무엇보다도 특히, 향상된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의 조정을 달성하기 위한 향상된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보트, 항공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존재하는 운전자 및 탑승자 시트를 포함하는 타입의 지지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전형적인 것임이 판명된다.
몇몇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재번호는 상응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이제 참조할 때, 전체적으로 부재번호 20으로 나타내어 지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의 등각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먼저 참조한다. 장치(20)는 제 1 시트요소(22) 및 피벗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 2 시트요소(23)를 포함하고 있는 지지구조부(21)로 대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트요소(22)는 사용자의 신체 중 선택된 부분을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석한 위치에서 그것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수용하기 위해 작동한다. 그리고, 제 2 시트요소(23)는 사용자의 신체 중 선택된 부분을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석한 위치에서 그것에 사용자의 등을 수용하기 위해 작동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지지구조부(21) 및 골조(24)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25)을 위한 구조상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는 골조(24)를 노출하고 있는 상태로 지지구조부(21)의 일부가 해체되어 도시되어 있다. 구조물(25)은 왕복방향으로 지지구조부의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조정 조립체(26)와 피벗방향으로 제 2 시트 요소(23)의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조정 또는 클램프 조립체(27)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금속 등과 같은 대체로 딱딱한 물질로 제작되어 있으면서, 골조(24)는 대체로 제 1 시트 요소(22)에 의해 포함되는 제 1 골조구조부(31)와, 제 2 시트 요소(23)에 의해 포함되는 제 2 골조구조부(32)를 포함하고 있는 골조구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원한다면 비록 다른 형상 또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제 1 및 제 2 골조구조부(31,32) 각각은 대체로 U 자 형상의 외형부를 포함하고 있다. 구조물(25)은 제 1 골조구조부(31)에, 그리고 대체로 제 1 및 제 2 골조구조부(31,32)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 2 골조구조부(32)에 고정되어 있다. 구조물(25)은 지지표면 위에서 지지구조부(21)를 지지하기 위해, 스탠드(33)에 대하여 왕복방향으로 지지구조부(21)의 운동 및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피벗방향으로 제 2 시트요소(23)의 운동 및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스탠드(33)에 차례로 고정되어 있다. 장치(20)는 자동차, 항공기 등과 같은 운송수단용 시트로서 특히 유용하기 때문에, 스탠드(33)는 예컨데 볼트 또는 다른 적당한 기계적인 잠금기구로 운송수단의 지지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탠드(33)는 이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스탠드 요소(33A,33B)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 1 골조구조부(31)는 왕복방향으로 제 2 스탠드 요소(33B) 위로 제 1 골조구조부(31)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종래의 캐리지 조립체를 통해서 제 2 스탠드 요소(33B)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구조물(25)의 분해등각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3을 참조하면, 구조물(25)은, 각각이 대체로 서로의 경상(mirror image)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 또는 베이스(4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은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스탠드(33)의 일부에 의해 유지되기 위해서 스탠드를 사로잡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이중 화살선(A)에 의해 대체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긴 요소(43)에 의해 유지되기 위해서 스탠드 요소(33A)의 긴 요소(43)를 사로잡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긴 요소(43)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딱딱한 고체 스톡 재료 또는 대체로 딱딱한 폐쇄 관형 스톡으로 제작된다.
설정방향을 위해, 긴 요소(43)는 본 발명의 왕복운동장치의 제 1 요소로 간주되도록 대체로 의도되고, 베이스(40)는 본 발명의 왕복운동장치의 제 2 요소로 간주되도록 대체로 의도되며, 그리고 각각의 세부사항은 이하의 논의를 통해서 설명된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티타늄, 강 또는 다른 유사한 대체로 딱딱한 물질로 제작된다. 이 점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은 종래의 용접기술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각각이 너트 및 볼트 맞물림 조립체, 리벳 또는 다른 유사한 기계적인 잠금기구로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파스너(fastener)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베이스(40)는 긴 요소(43)의 트랙(45)에 접촉하여 그리고 트랙(45)을 따라서 주행하는 캐리지(44)를 유지하고 있다. 캐리지(44) 및 트랙(45)은 함께 작용하여 베이스(40)를 안내하고 긴 요소(43)의 대체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왕복으로 운동하게 한다. 이 특정한 예에서, 트랙(45)은 경사진 표면(46)을 포함하고 있고 캐리지(44)는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의해 그리고 제 1 및 제 2 베이스(41,42) 사이에서 유지되는 바퀴(47,48)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퀴(47,48)는 트랙(45)을 따라서 베이스(40)의 바퀴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바퀴(47,48)는 하우징(40)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될 수 있고, 또는 도 3에 설명되어 있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고정되어 있는 또는 다른 말로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의해 지지 또는 유지되는 샤프트(49A,49B) 각각에 의해 바퀴(47,48) 각각은 회전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1 조정 조립체(26)에 관해서는, 구조물(25)은 트랙(45)의 반대측에 긴 요소(43)에 의해 유지되는 래크(6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래크(60)는 긴 요소(43)의 대체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뻗어 있는 이가 나 있는 보디(6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66,67)를 각각 가지고 있는 제 1 및 제 2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어(62,63)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 각각은, 회전을 위해 그리고 래크(60)와 이(66,67) 각각의 지속적인 맞물림을 위해, 베이스(40)에 의해 연속하여 유지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 각각은,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도 5에서 제 1 베이스 섹션(41)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말로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의해 지지 또는 유지되는 샤프트(68,6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앞에서 암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은 베이스(40)에 의해 유지되고 래크(60)와 지속적인 맞물림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 1 피니언(64)은, 도 6 및 도 8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65)으로부터 이격 또는 다른 말로는 분리되어 있는 제 1 위치, 그리고 도 7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65)과 맞물려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65)으로부터 이격 또는 다른 말로는 분리되어 있는 제 1 피니언(64)의 제 1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 각각은 다른 피니언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대체로 이중 화살선(B)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긴 요소(43)를 따라서 왕복방향으로 하우징(40)의 운동을 허용한다. 지지구조부(21)는 구조물(25)에,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조물(25)의 베이스(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왕복방향으로의 베이스(40)의 운동은 왕복방향으로의 지지구조부(21)의 조정을 달성한다. 비록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지구조부 (21)에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골조구조부(31)에의 베이스(40)의 고정은 너트 및 볼트 맞물림장치 또는 리벳과 같은 종래의 기계적인 잠금장치로, 또는 어쩌면 종래의 용접기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피니언(65)과 맞물려 있고,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은 래크(60)와 맞물려 있는 제 1 피니언(64)의 제 2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래크(60)를 따라 작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래크(60)와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은 함께 작동하여 제 1 피니언(64)의 제 2 위치에서 적소에 베이스(40)를 잠금한다. 장치(20)는 운송수단의 시트로서 전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제 1 피니언(64)의 운동은 원할 시에는 왕복방향으로 지지구조부 (21)의 조정을 허용하고 지지구조부(21)가 긴 요소(43)의 대체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선택된 위치에서 적소에 체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제 1 피니언(64)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도 3과 이에 더하여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물(25)은 하우징(40)(도 1에 도시됨)의 제 1 베이스 섹션(41)의 외부판에서 샤프트(68)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단부(81) 및 제 1 베이스 섹션으로터 외향으로 뻗어있는 자유단부(82)를 가지고 있는 레버(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68)는 바람직하게는 피니언(64)의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 이중 화살선(C)에 의해 대략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크(60)에 대체로 평행 또는 수직이고 래크(6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60)는 한쌍의 대향하는 슬롯(83,84)에 의해 유지되고 한쌍의 대향하는 슬롯(83,84)을 통해서 뻗어있으며, 각각의 슬롯은 대체로 가늘고 길고,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 중 하나를 통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레버(80)는 하우징(40)과 중간 단부(81)와 자유 단부(82)(도 1에 도시됨)의 제 1 베이스 섹션(41)의 외부판에서 샤프트(85)의 단부와 또한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85)는 하우징(40)의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고정되어 있고, 또는 다른 말로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에 의해 지지 또는 유지된다. 도 6에서의 이중 화살선(D)에 의해 대략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85)는 바람직하게는 래크(60)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하우징(40)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85)는 한쌍의 대향하고 있는 슬롯(86,87)에 의해 유지되고 한쌍의 대향하고 있는 슬롯(86,87)을 통해서 뻗어있으며, 각각의 슬롯은 래크(60)에 대체로 대향하며, 대체로 가늘고 길고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 중 하나를 통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작동 중에, 레버(80)는 예컨대, 사람의 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도 6 및 도 8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 1 위치 및 도 7 및 도 9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샤프트(68)를 중심으로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대체로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80)의 제 1 위치에서, 샤프트(85)는 제 1 피니언(64)의 제 1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슬롯 (86, 87)의 말단부(90)(슬롯(86)과 조합하여 오직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접촉하여 위치되어 있다. 도 6에 아치형 화살선(E)에 의해 대략 표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샤프트(68)를 중심으로 측면 피벗 트래버스를 따르는 레버(80)의 운동과 동시에, 샤프트(85)는 슬롯(86,87)에 접촉하여 지탱하는 래크(60)을 향하여 운동할 것이다. 래크(60)을 향한 샤프트(85)의 운동은 샤프트(68)와 제 1 피니언(64)을 샤프트(69)와 제 2 피니언(65)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여 제 1 피니언(64)은 제 2 피니언(65)과 맞물린다. 아치형의 화살선(E)에 의해 대략 표시되어 있는 방향으로 샤프트(68)를 중심으로 측면 피벗 트래버스를 따르는 레버(80)의 계속적인 운동은 제 2 피니언(65)과 맞물림 하는 상태로 제 1 피니언(64)의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슬롯(86,87)(오직 슬롯(86)과 조합하여 기단(91)만을 도시함)의 기단부(91)에 접촉하여 샤프트(85)를 맞닿음 하게 할 것이다.
샤프트(85)는 래크(60)에 대체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롯(86,87)에서 왕복운동이 제약되고, 샤프트(68)는 래크(60)에 대체로 수직인 슬롯(83,84)에서 왕복운동이 제약되는 상태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레버(80)의 운동은 (1) 원할 때 긴 요소(43)의 대체로 전체 길이를 따라 왕복방향으로 지지구조부(21)의 운동을 허락하는 제 1 위치; 그리고 (2) 적소에 지지구조부(21)를 잠금하는 제 1 피니언(64)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샤프트(85)가 제 1 피니언을 밀고 당기게 한다. 래크(60)과 제 1 및 제 2 피니언(64,65)은 지지구조부(21)의 예시적인 왕복조정을 달성하고 긴 요소(43)의 대체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선택된 위치에서 적소에 지지구조부(21)를 잠금하기 위한 매우 좋고 매우 견고한 잠금 조립체를 제공한다.
제 2 조정 조립체(27)에 관하여, 구조물(25)의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 각각은 대향하는 드럼 섹션(100,101)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이 함께 연결되면, 드럼 섹션(100,101)은 도 5에서 대체로 수직 단면으로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드럼(102)을 형성하도록 협동하며 함께 모인다. 골조(24)와 구조물(25) 부분의 분해 등각도를 예시하고 있는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 2 골조구조부(32)는 골조구조부(32)를 형성하도록 함께 사이에 끼우는, 대향하는 대체로 U-형상 요소(103,104)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요소 (103,104)는 제 1 및 제 2 자유단부(103A,103B,104A,104B)를 각각 가지고 있고, 제 1 자유단부(103A,104A)는 서로 대향하고, 제 2 자유단부(103B,104B)는 서로 대향한다. 요소(103,104)는 리벳 또는 너트 그리고 볼트 맞물림 조립체 같은 종래의 기계적인 파스너 또는 용접에 의해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대향하는 제 1 자유단부(103A,104A) 및 제 2 자유단부(103B,104B)중 어느 하나는 하우징(40)에 연결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벗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드럼(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대향하는 제 1 자유단부(103A,104A)는 함께 결합될 때 드럼(102)을 대체로 에워싸는 제 2 드럼(108)을 형성하고, 도 4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드럼(102)을 느슨하게 사로잡는, 대향하는 대체로 아치형의 조(jaw)(105,106)를 형성하고, 조(105,106)의 대향하는 말단부(105A,106A)는 이들 사이에 끝 캡(107)을 형성한다. 도 4에 아치형 화살선(F)으로 대략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드럼(108)에 의한 드럼(102)의 느슨한 사로잡음은 피벗방향으로 제 2 골조(32)의 피벗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된 위치에 제 2 골조(32)를 잠금 하거나 또는 다른 말로는 체결하기 위해서, 그리고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조정 조립체(27)는 이격되어 있고 대체로 평행한 관계로 제 1 및 제 2 액슬(122,123)을 유지하는 몸체(121)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 대체로 서로의 경상인 제 1 및 제 2 레버 요소(131,132)를 포함하고 있는 레버(130)와, 핸들(129)이 더 포함되어 있다. 이점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버 요소(131,132) 각각은 몸체(133,134), 외향으로 뻗어있는 핀(137,138)을 유지하는 단부(135,136), 자유단부(139,140), 및 중간 자유단부(139,140) 및 단부(135,136)를 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멍(141)을 포함한다.
고정부(120) 및 레버(130)는 함께 협동하고 하우징(40)에 의해 사로잡히고 레버(130)는 고정부(120)에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된 힘을 수용하기에 유용하다. 특히, 제 1 및 제 2 레버 요소(131,132)는 이들 사이에 고정부(120)를 끼워 넣도록 함께 모일 수 있고 제 1 액슬(122)의 자유단부를 고정구(120)를 수용하는 구멍(141,142) 중 하나 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수용하여 제 1 액슬(122)를 중심으로 구멍(141,142)에서 피벗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액슬(122)의 자유단부도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을 통하여 각각 형성된 아치형 슬롯(41,42)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뻗어있다. 핀(137,138)은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을 통하여 각각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레버 요소(131,132)를 핀(137,138)을 중심으로 피벗하게 하는 아치형 슬롯(150,151)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대향하는 구멍(143,144)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수용된다. 더욱이, 고정부(120)의 제 2 액슬(123)의 자유단부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섹션(41,42)을 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대향하는 긴 슬롯(145,146) 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수용되고 제 2 축선(123)을 중심으로 피벗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왕복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부를 수용한다. 제 1 및 제 2 레버요소(131,132)의 자유단부(139,140)는 이들 사이에서 예컨대 용접, 리벳, 너트 및 볼트 맞물림 조립체 또는 다른 기계적인 잠금장치로 고정되는 핸들(129)의 단부(147)를 사로잡는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제 2 조정 조립체(27)는 이격 관계로 제 2 액슬(123)에 고정되거나 또는 달느 말로는 제 2 액슬(123)에 의해 지지되는 자유단부(161,162)를 가지고 있는 긴 가요성 장치 또는 요소(1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긴 가요성요소(160)는 와인드된 금속성 코드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긴 가요성 요소(160)의 자유단부(161)는 제 2 액슬과 함께 자유단부(161)를 체결정하는 확장부(123)와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말로는 여기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액슬(123)를 통하여 형성된 구멍(163)(도 3에 도시됨)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뻗어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긴 가요성요소(160)의 자유 단부(162)도 구멍(163)으로부터 이격된 제 2 액슬(123)를 통하여 형성된 구멍(165)(도 3)을 통하여 뻗어 있고 제 2 액슬(123)과 함께 자유단부(162)를 고정시키는 확장부(166)(도 3)에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긴 가요성요소(160)는 제 2 액슬(123)로부터 드럼(102)을 향하여 그리고 자유단부(107A)에서 U-형상 요소(104)에 형성된 개구(170)를 통하여 외향으로 뻗어있다. 긴 가요성요소(160)는 제 2 드럼(108) 둘레를 감고 있고 도 11에 대체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액슬(123) 둘레를 감싸고 개구(170)로부터 외향으로 뻗어있다. 제 2 액슬(123)로부터, 긴 가요성요소(160)는 외향으로 뻗어있고 개구내로 그리고 이 개구를 통하여 뻗어 있다. 그 다음 긴 가요성요소 (160)는 제 2 드럼(108) 둘레를 감고 있고 제 2 액슬(123)에 고정된 자유단부(162)와 종결하는 개구(170)로부터 외향으로 뻗어있다.
긴 가요성 요소(160) 및 제 2 드럼(180)의 조립은 제 2 골조구조부(32)의 피벗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원한다면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 선택된 위치에 제 2 골조구조(32)를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계로, 긴 가요성요소(160)의 자유단부(161,162)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제 2 드럼(108)으로부터 긴 가요성요소(160)의 감겨진 위치와 제 2 드럼(108)으로부터 떨어진 제 2 위치를 느슨하게 하여 제 2 드럼(108)에 대항하여 긴 가요성요소(160)의 감겨진 부분을 타이트하게 한다. 자유단부(161,162)의 제 1 위치에서, 제 2 드럼(108) 주위에 긴 가요성요소(160)의 느슨한 감김은 제 2 드럼의 조(105,106)를 완화하게 하여 드럼(102)을 수용하고 이에 의해 드럼(102)에서 제 2 골조구조부(32)의 선택된 피벗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자유단부(161,162)의 제 2 위치에서, 제 2 드럼(108) 주위에 긴 가요성요소(160)의 타이트한 감김은 조(105,106)를 잡아당겨 끝캡(107)을 실질적으로 에워싸고 제 2 드럼(108)의 조(105,106)를 적소에 제 2 골조구조부(32)를 체결하는 드럼(102)에 파지적으로 맞물림 하게 한다.
제 2 드럼(108) 주위에 긴 가요성요소의 감겨진 부분을 느슨하게 하고 타이트하게 하도록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 긴 가요성요소(160)의 자유단부(161,162)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레버(130)는 자유단부(161)의 제 1 위치에 상응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설정방향 및 자유단부(161,162)의 제 2 위치에 상응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설정방향 사이에 아치형 화살선(G)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시된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레버(130)의 작동에 있어서, 핸들은 사람의 손 같은 것에 의해 파지 될 수 있고 레버(130)는 핀(137,138)에 의해 형성된 받침점에 대하여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 도 10에 도시된 제 1 위치와 도 11에 도시된 제 2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10에 전체적으로 명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의 제 1 위치에 있어서, 핸들(129)이 스탠드(33)로부터 떨어져 인도된 상태로, 고정부(120)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인도되고, 제 2 액슬(123) 및 제 1 액슬(122)은 슬롯(145,146)의 전단부(145A,146A) 및 슬롯(150,151)의 전단부(150A,151A)에 각각 인접하는 도 3에서만 도시된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전단부(145A,146A,150A,151A)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인도된다는 것을 이해 할 것이다. 더욱이, 고정부(120)가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위치되는 상태로, 자유단부(161,162)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을 향하여 인도되어 조(105,106)에 대하여 긴 가요성 요소(160)의 감겨진 부분을 느슨하게 하여 이것을 드럼(102)과 정상적인 느슨한 맞물림 상태로 완화하게 하고 드럼(102)에 피벗방향으로 제 2 골조구조부(32)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레버(130)를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핸들(129)은 파지 되고 도 11에 화살선(H)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스탠드(33)를 향하여 하향으로 이동 될 수 있어서 (1) 레버(130)를 받침점을 중심으로 피벗하게 하여 고정부(120)의 제 1 액슬(122)를 하향으로 그리고 홈(150,151)(도 3에서만 도시됨)에 있는 드럼(102)과제 2 드럼(108)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2) 홈(145,146)(도 3에만 도시됨)에 있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정부(120)의 제 2 액슬(123)를 민다. 도 11에 전체적으로 명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의 제 2 위치에 있어서, 핸들(129)이 스탠드(33)를 향하여 인도되는 상태로, 고정부(120)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으로부터 떨어져 인도되고, 제 2 액슬(123) 및 제 1 액슬(122)은 슬롯(145,146)의 후단부 (145B,146B) 및 슬롯(150,151)의 후단부(150B,151B)에 각각 인접한 도 3에서만 도시된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에 떨어져 또는 이것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후단부(145B,146B,150B,151B)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에 떨어져 인도된다는 것을 이해 할 것이다. 더욱이, 고정부(120)가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에 떨어져 위치되는 상태로, 자유단부(161,162)는 드럼(102) 및 제 2 드럼(108)에 떨어져 인도되어 조(105,106)에 대하여 긴 가요성요소(160)의 감겨진 부분을 타이트하게 하여 이 부분을 조(105,106)에 대항하여 구속시키거나 타이트하게 하여 조(105,106)를 드럼(102)에 파지적으로 맞물림 하게 하여 제 2 골조구조부(32)를 적소에 체결시킨다. 이점에 관해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레버(130)의 선택적인 운동은 도 10에서 이중 화살선(I)에 의해 대략 표시된 왕복방향으로 고정부(120)의 선택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피벗 트래버스를 따라 선택적인 위치에서 제 2 골조구조부(32)의 상응하는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왕복방향으로 시트 또는 지지구조부의 운동 그리고 피벗방향으로 시트 또는 지지구조부의 등받이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물을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조정 조립체(26,27)는 작동하기 쉽고 이 각각은 이들이 잠금된 설정 방향으로 바람직한 맞물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상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긴 가요성요소(160)는 연장된 기간 보다 조금 이상으로 신장할 수 있고, 고정부(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조립체(180)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캡조립체(180)는 헤드(182)를 갖는 캡(181), 도 13에 도시된 압축스프링(185)과 개방단부(184)를 갖는 연속적인 측벽(183)을 포함하고 있다. 연속적인 측벽(183)은 확장부(186)(도 13에만 도시됨)에 고정된 개방단부(184) 및 캡(181)으로부터의 방향으로 예컨대 이들 사이에 압축스프링(185)을 사로잡도록 용접함으로써 고정부(120)의 제 2 액슬(123)에 걸쳐 삽입될 수 있다. 연속적인 측벽(183), 확장부(186) 및 헤드(182)는 제 2 액슬(123)의 자유단부가 뻗어있는 개구(187)(하나만 도시됨)를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따라서, 긴 가요성요소(160)는 제 2 액슬(123)에 인접한 캡조립체(180)의 헤드(182)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헤드(182) 및 액슬(123) 사이에 파지된 압축스프링(185)은 정상적인 외향으로의 가압을 제 2 액슬(123)로부터 떨어진 캡(181)에 부여하도록 작동되어 조정 조립체(27)의 작동시, 긴 가요성요소(160)의 어떠한 신장이라도 제 2 조정 조립체의 연속적이고 예시적인 작동을 위해 캡조립체(18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캡조립체(18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헤드(182)는 긴 가요성요소(160)가 헤드(182)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 가요성요소를 유지하기 위해 떨어져 이격된 대향하는 측벽(190,191)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 차축(12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한다면 압축스프링(185)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예시를 위해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 및 개조를 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변경 및 개조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고 이러한 개변은 첨부된 청구항의 명확한 해석에 의해서만 판단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간결한 용어로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청구항은 다음과 같다.

Claims (29)

  1. 제 1 요소;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요소;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래크;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고 래크와 맞물려 있는 기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기어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 위치: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려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대체로 래크와 평행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샤프트;
    대체로 래크에 대향인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중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요소는 왕복방향으로 바퀴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장치.
  7. 제 1 요소;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요소;
    제 2 요소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구조부;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래크;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고 래크와 맞물려 있는 기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기어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 위치: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려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대체로 래크와 평행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샤프트;
    대체로 래크에 대향인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중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
    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요소는 왕복방향으로 바퀴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3. 드럼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
    피벗운동을 위해 드럼에 의해 유지되는 골조구조부; 및
    드럼으로부터 골조구조부를 풀어 골조구조부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드럼에 골조구조부를 체결하여 골조구조부의 피벗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골조구조부 및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고 제 1 및 제 2 설정방향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클램프장치;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운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클램프장치는,
    드럼에서 골조구조부 둘레에 감겨있는 긴 가요성장치;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골조구조부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골조구조부를 푸는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운동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골조구조부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골조구조부를 푸는 수단은,
    드럼에 대체로 반대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긴 가요성요소의 일부가 유지되는 고정부;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골조구조부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풀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운동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왕복방향으로 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피벗운동을 위해 베이스 그리고 고정부가 장착되고 왕복방향으로 고정부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운동장치.
  17. 드럼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은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벗운동을 위해 드럼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시트 요소 및 제 2 시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지지구조부; 및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풀어 제 2 시트 요소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여 제 2 시트 요소의 피벗운동을 금지하는
    제 1 및 제 2 설정방향에서 이동가능하고 제 2 시트 요소 및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는 클램프장치;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클램프장치는,
    드럼에서 제 2 시트 요소 둘레에 감겨있는 긴 가요성장치;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푸는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푸는 수단은,
    대체로 드럼에 대향인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고, 긴 가요성장치의 일부가 유지되는 고정부;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풀기 위해 고정부를 왕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왕복방향으로 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피벗운동을 위해 베이스 그리고 고정부가 장착되고 왕복방향으로 고정부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1. 제 1 요소 및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으며 드럼을 가지고 있는 제 2 요소;
    제 2 요소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벗운동을 위해 드럼에 의해 유지되고 각각은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시트 요소 및 제 2 시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지지구조부;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래크;
    회전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고 래크와 맞물려 있는 기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기어 중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 위치, 및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의 운동을 금지하기 위해 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려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풀어 제 2 시트 요소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여 제 2 시트 요소의 피벗운동을 금지하는,
    제 1 및 제 2 설정방향에서 이동가능하고 제 2 시트요소 및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는 클램프장치;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기어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대체로 래크와 평행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샤프트;
    대체로 래크에 대향인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중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제 1 및 제 2 샤프트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기어 중 하나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왕복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
    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제 2 요소는 왕복방향으로 바퀴운동을 위해 제 1 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제 2 샤프트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슬롯에서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클램프장치는,
    드럼에서 제 2 시트 요소 둘레에 감겨있는 긴 가요성장치; 및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제 2 시트 요소를 드럼에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푸는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푸는 수단은,
    대체로 드럼에 대향인 왕복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고, 긴 가요성장치의 일부가 유지되는 고정부;
    긴 가요성장치를 이동시켜 드럼에 제 2 시트 요소를 체결하고, 드럼으로부터 제 2 시트 요소를 풀기 위해 고정부를 왕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왕복방향으로 고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피벗운동을 위해 베이스 그리고 고정부가 장착되고 왕복방향으로 고정부의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 피벗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KR1020007013752A 1998-06-05 1999-04-12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 KR20010052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2,675 1998-06-05
US09/092,675 US6070938A (en) 1998-06-05 1998-06-05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and architecture for adjusting support apparatus
PCT/US1999/008127 WO1999063264A1 (en) 1998-06-05 1999-04-12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and architecture for adjusting suppor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577A true KR20010052577A (ko) 2001-06-25

Family

ID=2223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752A KR20010052577A (ko) 1998-06-05 1999-04-12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070938A (ko)
EP (1) EP1082571A1 (ko)
JP (1) JP2002517685A (ko)
KR (1) KR20010052577A (ko)
AU (1) AU3641999A (ko)
CA (1) CA2333264A1 (ko)
WO (1) WO1999063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94640B4 (de) * 2000-10-16 2008-03-27 Kokuyo Co., Ltd. Stuhl
WO2002100677A1 (en) * 2001-06-12 2002-12-19 Isringhausen S.P.A.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movable part of a vehicle seat
US6736457B2 (en) * 2002-06-07 2004-05-18 Elio Engineering Inc. Continuous seat adjustment mechanism
GB2415485B (en) * 2004-06-22 2008-07-02 Nsk Steering Sys Europ Ltd Adjustment Mechanism for Steering Apparatus
JP2006070490A (ja) * 2004-08-31 2006-03-16 Honda Motor Co Ltd ドアの自動開閉装置
WO2008116112A1 (en) * 2007-03-20 2008-09-25 Elio Paul A Seat track assembly with load pins
DE102010020561A1 (de) * 2010-05-14 2011-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sitzes
US9296481B2 (en) 2011-01-14 2016-03-29 Thompson Aero Seating Limited Vehicle seat with locking apparatus
GB201100604D0 (en) * 2011-01-14 2011-03-02 Thompson Solutions Ltd J Vehicle seat with locking apparatus
US9433838B2 (en) 2014-10-08 2016-09-06 Stout Products, Llc Shoe holder arranged for attachment to a golf bag
JP7180551B2 (ja) * 2019-06-19 2022-11-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120A (en) * 1926-08-05 1928-11-27 William J Rhyner Adjustable seat for automobiles
US2346895A (en) * 1942-05-02 1944-04-18 Bergman Simon Vehicle seat
US2946326A (en) * 1959-03-04 1960-07-26 Gen Motors Corp Power drive apparatus
US3022976A (en) * 1960-09-06 1962-02-27 Yee C Zia Safety adjustable-seat mounting for front seat of a vehicle
DE2846632A1 (de) * 1978-10-26 1980-05-08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Hoehen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US4408799A (en) * 1981-06-25 1983-10-11 Hoover Universal, Inc. Infinitely variable seat back recliner
DE3815080C2 (de) * 1988-05-04 1996-08-01 Keiper Recaro Gmbh Co Verstellbarer, in einem Fahrzeug anzuordnender Sitz
US5100092A (en) * 1990-03-05 1992-03-31 Hoover Universal, Inc. Two-way manual seat adjuster with full memory easy entry
US5018696A (en) * 1990-04-26 1991-05-28 Hoover Universal, Inc. Power seat adjuster with floating drive mechanism
US5163736A (en) * 1991-05-21 1992-11-17 Ford Motor Company Inertial lo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DE4309334C2 (de) * 1992-03-26 1998-12-24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JP2618179B2 (ja) * 1993-04-27 1997-06-11 池田物産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5833317A (en) * 1995-11-27 1998-11-10 Lear Corporation Automotive seat back recliner
US5957535A (en) * 1996-03-29 1999-09-28 Dura Automotive Systems, Inc. Seat track assembly with vertical dislocation resistance bracket
US5785387A (en) * 1996-09-23 1998-07-28 Excel Industries, Inc. Vehicle seat assembly with position-fixing means
US5950978A (en) * 1996-11-12 1999-09-14 Ikeda Bussan Co., Ltd. Power seat slide device for motor vehicle
US6000757A (en) * 1997-08-14 1999-12-14 Track Corp. Vehicle seat adju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3461A1 (en) 2002-05-30
US6330994B1 (en) 2001-12-18
CA2333264A1 (en) 1999-12-09
JP2002517685A (ja) 2002-06-18
AU3641999A (en) 1999-12-20
WO1999063264A1 (en) 1999-12-09
EP1082571A1 (en) 2001-03-14
US6070938A (en)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9991B2 (ja) 自動車用座席
US5338096A (en) Locking device for a front seat of a double stroller
US5322341A (en) Articulated seat assembly
KR20010052577A (ko)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
US4695097A (en) Seat for use in motor vehicle
US20130175308A1 (en) Upright bike mount
JPH10513133A (ja) ロードキャリヤ
JP2000025495A (ja) 回転ロック装置を有するシ―ト軌道
US6502729B2 (en) Vehicle-mounted load carrier
EP0741055B1 (en) Seat tilt mechanism
JPH11342773A (ja) カムによって駆動される固定用装置を備えた座席の軌道
JP2002540876A (ja) 一体型調節可能なシートバスケット
CA2972560C (en) Multi-sport watercraft carrier
US6584643B1 (en) Vehicle entry and exit assistance
CN110294045A (zh) 附接装置及其用途、具有这种附接装置的系统和车辆
JPH1178534A (ja) 幌付自動車における幌骨の支持構造
US20200214399A1 (en) Web adjuster
MXPA00012047A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and architecture for adjusting support apparatus
US5505475A (en) Attachable apparatus for unlocking adjustable suspensions
JPH053076Y2 (ko)
JP3205692B2 (ja) 車椅子固定装置
JPH0951915A (ja) 車椅子の固定装置
JPH0528106Y2 (ko)
JPH0856776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0113041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操作レバー締付固定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