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160A -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160A
KR20010052160A KR1020007008597A KR20007008597A KR20010052160A KR 20010052160 A KR20010052160 A KR 20010052160A KR 1020007008597 A KR1020007008597 A KR 1020007008597A KR 20007008597 A KR20007008597 A KR 20007008597A KR 20010052160 A KR20010052160 A KR 2001005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door leaf
members
gu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벵트쏜
하칸 라르쏜
패르 프리돌프손
닐스 스트란드흐
켄트 팔쏜
Original Assignee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노마파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노마파 아베 filed Critical 가르드마르크 티 레나르드, 스벤손 게르트
Publication of KR2001005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69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zig-zag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9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flexible sheets as closing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06B2009/135Horizontal shutte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위치와 접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도어 리프를 갖춘 절첩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리프(4)는 도어 리프의 대향하는 측부 에지(5) 사이에서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진다.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는 측부 에지를 따라 서로 이격된 방식으로 측부 에지(5)에 연결되며, 두 개의 측부 프레임(1)은 각각의 측부 에지(5)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측부 프레임(1)은 적어도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를 한정하며, 측부 프레임을 가로질러 병렬식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측부 프레임(1)에서 가이드 부재는 제 1가이드 그루브(68)에서만 진행하는 제 1가이드 부재 세트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9)에서만 진행하는 제 2가이드 부재 세트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측부 에지(5)는 도어 리프의 접혀진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된 접힘선을 따라 제 1가이드 그루브(68)와 제 2가이드 그루브(69)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도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DOOR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DOOR}
1970년 이래로, 산업용 빌딩에서 신속하게 이동하는 도어에 대한 많은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는 외벽 뿐만 아니라 내부 통로에 적용되었는데, 이러한 도어는 상이한 운동들 사이에 차폐를 제공하고 외풍/열손실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가요성 도어 리프를 갖춘 로울링 도어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도어는 오우버헤드 구동축 상에서 구르며, 풍하중(wind load)에 대항하도록 도어 리프에 대해 횡풍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을 이유로, 로울링 도어는 안전 에지 보호부, 낙하 보호부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로울링 도어의 개발 이외에, 도입부에 따른 접힘가능한 도어가 개선되었는데, 즉 도어 리프는 접히는 대신에 개방 작동 중에 상승된다. 이러한 도어 리프는 마찬가지로 횡풍 보강재가 종종 제공되며, 가요성 도어 리프에 적절하게 연결된 비임 또는 단편을 포함한다. 횡풍 보강재는 또한 도어 리프의 측부 안정성에 기여한다.
공지된 절첩식 도어의 상승 구성은 케이스 마다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도어 리프는 최하부 단편 내의 한 쌍 이상의 벨트/와이어에 의해 상승되어서, 도어가 개방될 때 횡방향 단편은 점차 다발로 모아진다.
유럽 특허 제 0 113 634호에는 횡방향 보강 단편을 갖춘 절첩식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모든 단편은 최하부 단편에서 시작하여 측부 프레임 내로 연장되며, 측부 프레임에 의해 깊이 방향으로, 즉 도어 개방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로울러를 지지한다. 중간 단편은 보다 짧으며, 가이드 로울러를 갖추고 있지 않다. 도어 리프를 따라 수직하게 진행하는 3개의 상승 벨트는 각각 바닥 단편에 연결되어 있다. 상승 벨트가 횡방향 오우버헤드축 상에서 구를 때, 상승 벨트는 바닥 단편을 상방으로 당기고, 연속적으로 다른 단편을 상방으로 당겨서, 도어 리프는 수평한 접힘부에서 접혀지도록 한다. 다른 모든 단편에는 가이드 로울러가 없어서 측부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개방 위치에서 이들 비안내되는 단편은 두 개의 윗쪽 안내 단편의 중간부에 의해 크래들(cradle)과 같이 매달리게 되어서 도어 리프는 콘서티나(concertina)와 같이 접혀진다. 벨트가 도어 리프의 외측, 벨트의 외측 및 동일 측부 상에서 진행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모든 비안내 단편은 개방 작용 동안 도어 리프의 대향 측부 상에서 낙하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된 도어에서, 상승 벨트는 비안내된 단편이 일방향 및 동일한 방향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프랑스 특허 공개 제 2,706,941호에는 유럽 특허 제 0 113 634호에 개시된 도어와 유사한 절첩식 도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어는 횡방향 보강 단편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 단편만이 측부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며, 중간 단편은 도어가 폐쇄될 때 비스듬하게 낙하하도록 비안내된다. 그렇지만, 에지 가이드 부재가 없으며, 도어 리프의 두 개의 측부 에지가 깊이 방향으로 완전히 비안내된 상태로 매달리며 측부 프레임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도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상승 벨트는 비안내 단편이 도어 리프의 일측부 및 동일 측부 상에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승 벨트는 측부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공개 2,722,531호에는 모든 횡방향 보강 단편이 측부 프레임에서 비교적 넓은 가이드 트랙에서 진행하는 도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승 벨트는 제 2 최하부 단편에 부착되며, 모든 다른 단편에서 특별한 벨트 루프를 통해 진행한다. 이들 루프는 상승하는 동안 제 1다발(bundle) 내에서 모아지는 루프를 갖는 단편을 형성하는 반면, 루프가 없는 단편은 제 2다발 내에서 모아져서 제 1다발로부터 매달리게 된다. 이러한 루프는 루프가 없는 단편이 상승과 관련하여 도어 리프의 일측부 및 동일한 측부 상에서 낙하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안전 벨트가 파손되는 경우, 여분의 안전 벨트가 작동을 개시한다. 모든 벨트는 측부 프레임 사이의 도어 개구 내에 위치된다.
스웨덴 특허 제 454,526호는 도어 리프를 접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도어 리프는 수평하고 상호 접힘가능한 단편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스웨덴 특허의 실시예에서, 도어 리프는 단일의 가요성 직물편의 형태로 구성되며, 최하부에서 시작하는 다른 모든 단편은 그의 수직한 측부 에지에서 경질의 측부 경계에 의해 강화된다. 이러한 모든 경질의 측부 경계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 풀리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풀리들은 일정한 수직한 상대적인 위치를 갖는다. 이들 두 개의 풀리는 도어의 정지식 측부 프레임 내에 형성된 관련 수직한 가이드 트랙에서 진행한다. 도어 개구를 향하는 가이드 트랙 개구에는 가이드 트랙 내에 가이드 풀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플랜지형 에지가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는 다수의 가이드 트랙이 존재한다. 각각의 프레임에서 가이드 트랙의 수는 경질의 측부 에지가 제공된 단편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단지 두 개의 가이드 풀리만이 각각의 가이드 트랙에서 진행하며, 강화의 결과로서 강화된 단편은 관련 가이드 트랙과 조화하여 수직하게 배향되며, 상승과 관련하여 이들 단편에서는 어떠한 접힘도 일어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화된 단편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경질 단편으로써 작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리프는 3개의 강화된 도어 리프 단편 및 3개의 비강화된 도어 리프 단편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 3개의 평행한 가이드 트랙을 가진다.
상기한 스웨덴 특허 제 454,526호에서, 두 개의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도어 리프의 상승 및 접힘을 위해 최하부 강화된 단편에 고정된다. 상승하는 동안, 비강화된 단편은 강화된 단편들 사이에서 접혀질 것이며, 이는 선반 상의 책과 같이 서로 옆에 위치된다. 도어 리프가 완전하게 상승될 때, 콘서티나형 다발이 얻어지는데, 여기서 수직한 강화된 단편은 각각의 가이드 트랙에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중간의 가요성 단편은 강화된 단편의 상부로부터 인접한 강화된 단편의 바닥으로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상승된 위치에서, 전체 다발은 와이어가 고정된 단편으로부터 매달린다.
전술한 형태의 공지된 절첩식 도어는 선택된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단점을 갖는다.
리프팅 벨트 및 관련 루프가 도어 리프 상에 위치되는 경우, 개방하는 동안 사람 및 자동차는 도어 리프에 끼어서 도어 리프와 함께 상승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배치는 미학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루프를 상승시키기 위한 구멍의 형성은 도어 리프를 파괴 및 약화시키며, 추가의 제조 비용을 요구한다. 또한, 중앙에 위치된 리프팅 벨트는 도어 위에 수평한 구동축 또는 이와 유사한 부품을 요구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다른 단점은 도어 리프의 접힘이 신뢰성 없는 방식으로 또는 도어 리프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도어 리프는 기류 압력차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로 접혀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도어 개구의 상부 에지 및/또는 벨트에 대해 도어 리프를 마모시킬 수도 있다.
측부 프레임에 대항하여 압착되는 횡방향 보강 단편에 의해 어떠한 압력차도 흡수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일부 공지된 도어에서,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는 단편과 프레임 사이에서 압착되어서, 도어 리프를 마모시킨다.
도입부에서 설명한 형태의 가장 공지된 절첩식 도어는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를 수용하기 위해 깊이 방향(즉, 도어 개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측부 프레임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넓은 측부 프레임은 개방 및 폐쇄 동안 도어 리프가 측부 프레임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것을 요구한다. 넓은 측부 프레임이 갖는 하나의 단점은 도어 리프가 압력차와 관련하여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깊이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폐쇄된 위치에서 깊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능력, 불량한 미적 외형, 및 불완전한 밀봉을 유발한다. 더욱이, 넓은 프레임은 큰 설치 영역을 요구하며, 가격이 비싸고 조립이 어렵다. 각각의 강화된 단편이 그 자체의 가이드 트랙에서 진행하는 스웨덴 특허 제 454,526호에 따른 특별한 단점은 개별적인 가이드 트랙이 도어 리프의 다른 모든 단편에 대해 요구되기 때문에, 도어의 높이 및 단편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측부 에지가 매우 넓게 되고 가격이 비싸진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단점 및 다른 단점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가요성 도어 리프(door leaf)를 갖춘 절첩식 도어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분이 가요성 직물 재료로 구성되고 폐쇄 위치와 접혀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대향하는 측부 에지 사이로 연장하는 다수의 접힘선 둘레로 접혀지는 도어 리프와, 도어 리프의 대향하는 측부 에지를 따라 이격된 관계로 대향하는 측부 에지에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부재와, 그리고 가이드 부재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의 측부 에지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두 개의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전하게 폐쇄된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가이드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파단된 측부 프레임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2a는 도 2에서 영역(C1)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완전하게 개방된 위치에 놓인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선 IV-IV를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된 폐쇄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선 V-V를 따라 취한 도 3에 도시된 개방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비록 실제로는 직물 재료가 단편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지만, 도면이 명료하도록 도어 리프가 중앙의 보강 부재들 사이를 연장할 때를 도시한 도 5에 도시된 영역(C2)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어 리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 채널, 가이드 부재, 및 측부 밀봉부를 도시한 도 1의 선 VII-V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가이드 채널에서 진행하는 두 개의 하부 보강 부재를 갖춘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완전히 폐쇄된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IX-I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놓인 도 8에 도시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도어가 조립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가이드 채널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 7의 도면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도입부에 설명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즉 도어는, 일부분 이상이 가요성 직물 재료로 제조되고, 폐쇄 위치와 접혀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개방 위치에서 대향하는 측부 에지 사이로 연장된 다수의 접힘선 둘레로 접혀지는 도어 리프와, 측부 에지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는 측부 에지에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부재와, 그리고 가이드 부재를 안내하도록 각각의 측부 에지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두 개의 측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각각의 측부 프레임은 적어도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를 한정하며, 측부 프레임의 제 1그루브 내에서만 진행하는 제 1가이드 부재 및 측부 프레임의 제 2그루브 내에서만 진행하는 제 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가이드 부재는 도어 리프의 접혀진 위치에서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 사이에서 가이드 부재에 의해 한정된 접힘선을 따라 전후방으로 진행하도록 도어 리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요성 직물 재료(flexible cloth material)"는 가요성 천 또는 쉬이트, 접힘가능한 재료와 같은 코팅되거나 코팅될 수 없는 적절한 직물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제 1가이드 부재는 제 1그루브 내에서만 진행하며, 제 2가이드 부재는 제 2그루브에서만 진행한다. 각각의 그루브에서, 관련 가이드 부재는 개방 작용 동안 서로 연속적으로 작용된다. 결과적으로, 제 1가이드 부재들 사이의 상호 거리 뿐만 아니라 제 2가이드 부재들 사이의 상호 거리는 도어가 개방될 때 감소될 것이다. 각각의 측부 프레임에서 단지 두 개의 가이드 그루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보충 가이드 트랙이 제공되지만, 이러한 변형에서,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 내의 가이드 부재는 개방 작용 동안 서로 작용한다.
"가이드 그루브"라는 용어는 물리적 채널에 대해 설명될 수 있지만, 이는 추상적인 용어로써 해석될 수도 있으며, 측부 에지가 가이드 부재를 위한 두 개의 별도의 이동 경로 또는 트랙을 한정하는 특별한 가이드 장치 또는 수단이 제공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측부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두 개의 가이드 그루브는 도어 개구를 가로질러 병렬식으로 배열되지만, 측부 프레임 내에서의 이러한 분포가 도어 개구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가이드 부재와 도어 리프의 에지를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연결 부재가 있어야 하며, 이에 의해 도어 리프의 에지에서의 접촉 지점은 도어 개구를 가로질러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라인 또는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는 예컨대 각각 물리적 채널로서 형성되며, 이들의 측벽은 가이드 부재를 안내한다. 이들 채널들은 도어 개구를 향해 개방될 수 있지만, 가이드 부재들 사이에 적절한 연결 부재를 가지고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채널의 개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의 개구는 도어의 전방을 향하고, 다른 개구는 도어의 후방을 향한다. 물리적 채널에 대한 선택적인 예로서,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는 가이드 부재가 적절한 방식으로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부 프레임에 견고하게 배열된 로드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대개 수직한 측부 프레임 및 수직하게 안내되는 도어 리프에 의해 회전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도어를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대신에, 본 발명의 설명 및 정의가 용이하도록, "리프팅(lifting)", "수직한 측부 프레임(vertical side frame)"과 같은 용어가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다. 따라서, 만일 도어가 아래에 위치된다면, 이러한 회전-결정 표현은 수평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기한 "다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에 부가하여, 예컨대 도어 리프의 폐쇄 에지에서 특별한 가이드 부재와 같은 "추가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가이드 부재가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더라도, 두 개의 인접한 가이드 부재가 동일한 가이드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도어 리프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측부 프레임 내에 이중 가이드 트랙을 제공하고 또한 가이드 부재의 분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이 달성된다.
1. 이중 가이드 트랙의 첫 번째 장점은 도어 리프의 접힘은 공지된 도어에서 수행되는 접힘과 비교하여 훨씬 더 정확하게 제어된다는 점이다. 측부 프레임에서의 제어된 접힘은 보다 안전한 작용으로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작동하는 동안 도어 리프의 외형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더욱이, 특별한 예비접힘 부재 또는 마도 보호부도 필요하지 않다.
2.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측부 프레임은 종종 리프팅하는 동안 도어 리프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개구의 깊이 방향으로 넓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는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중 가이드 트랙의 두 번째 장점은 프레임의 깊이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프레임의 깊이는 주로 도어의 깊이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의 크기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또한 도어 리프 그 자체의 측부 에지에 대해 요구된 공간의 크기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3. 원하는 방향으로의 접힘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는 측부 프레임 및 이중 가이드 트랙의 세 번째 장점은 벨트 또는 와이어와 같은 모든 리프팅 부재가 측부 프레임 내에 보호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지된 도어와 상이하게, 리프팅 부재는 접힘을 안내하기 위해 도어 리프의 표면 상에 장착될 필요가 없으며, 측부 프레임 내에 보호된 채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리프팅 부재 및 주변 환경 모두가 보호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의 일반적인 외형은 또한 리프팅 부재가 감추어지므로 보다 양호하게 된다. 단지 두 개의 리프팅 지점에서만 구동이 달성될 수 있으며, 횡방향 구동축을 갖는 변형이 사용된다면, 실질적인 칫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 내에 모든 리프팅 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도어 윗쪽에 횡방향 구동축을 필요로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벨트 드럼이 측부 프레임에 직접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예컨대 매우 넓고 및/또는 무거운 도어와 관련하여,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 보조 안전 벨트/리프팅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과 상이하게, 본 발명은 접힘부를 안내하기 위한 부가 벨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측부 프레임 내에 어떠한 낙하 방지 수단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키면 된다.
4. 이중 가이드 트랙의 네 번째 장점은 폐쇄 위치에서 도어 리프는 가이드 트랙들 사이의 깊이 방향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밀봉 및 외형을 개선시키며, 마모를 감소시키며, 보다 소형의 프레임을 제공한다. 특히,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는 깊이 방향으로 현저하게 작은 도어를 얻도록 깊이 방향으로 별도의 단편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 리프의 횡방향 접힘선 또는 그의 연장부는 가이드 그루브와 교차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 리프에 다수의 횡방향 보강 부재가 제공된다면, 각각의 보강 부재는 관련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사이로 연장되며, 보강 부재의 연장부는 도어 리프의 접힘선을 한정하도록 가이드 그루브와 교차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보다 직선형의 도어 리프를 얻기 위해, 모든 보강 부재,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보강 부재는 도어 리프의 일측부 및 다른 측부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특별한 경우, 두 개의 최하부 보강 부재는 동일한 가이드 그루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어의 상부에 요구되는 공간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보강 부재가 두 개의 가이드 그루브 내에서 서로의 상부에 축적될 때, 원리적으로 보강 부재에 대해 깊이 방향에서 요구되는 공간의 크기는 보강 부재가 하나의 채널 및 동일한 채널에 축적되는 종래 기술의 공간의 크기에 단지 절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측부 프레임에서 제 1가이드 그루브 및 제 2가이드 그루브는 제 1물리적 가이드 채널 및 제 2물리적 가이드 채널을 각각 포함하는데, 이들은 도어 개구의 방향으로 개방되며, 동일한 방향에서 가이드 부재의 칫수에 대응하는 깊이 방향의 폭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부재는 비회전 미끄럼 부재 또는 로울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채널의 측벽 사이의 깊이 방향에서 큰 운동이 요구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이드 채널은 가이드 부재를 유지하도록 낙하 방지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는 그 자체가 리프팅 부재가 파괴되는 경우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측부 프레임은 U형 단편이 제공되며, 그의 바닥벽은 부분적으로 두 개의 가이드 채널을 덮음으로써, 프레임을 따라 연장하고 도어 개구를 향해 개방된 낙하 방지 수단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U형 단편은 이중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가 U형 단편 내에 삽입되어서 U형 단편에 대해 밀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U형 단편의 일부는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이드 부재 및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 모두가 깊이 방향에서 이동하도록 한정된 능력을 갖는다는 장점, 즉 가이드 부재 및 측부 에지가 깊이 방향에서 양호하게 안내되고 도어 리프가 가이드 트랙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측부 프레임은, 바닥벽과, 제 1가이드 채널을 한정하도록 바닥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1외측벽 및 제 1칸막이와, 그리고 제 2가이드 채널을 한정하도록 바닥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외측벽 및 제 2칸막이를 포함하며, 제 1칸막이 및 제 2칸막이는 그들 사이에 도어 리프(4)의 측부 에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칸막이는 두 가지의 기능을 한다. 즉, 칸막이는 가이드 채널을 한정하고, 칸막이 사이에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를 수용하여 도어 리프가 측부 프레임을 따라 안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칸막이 및 상기 외측벽에는 가이드 채널 내에 가이드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낙하 방지 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리프는 연속적인 단편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횡방향 보강 단편과 함께 유지되는 단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리프는 전체적으로 가요성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도어 리프 단편이 경질인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 리프는 모든 다른 단편이 접혀지지 않는 방식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이들 단편은 보다 경질의 또는 완전히 경질인 재료로 제도될 수 있는 반면, 접혀지는 다른 단편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도어 리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 벨트, 와이어, 체인 등과 같은 제 1가요성 당김 부재가 제공된다. 만일, 가이드 그루브가 물리적 채널인 경우, 당김 부재는 동일한 채널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직접적인 상승력이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의 구동 가이드 부재라 칭해지는 단일 가이드 부재에만 가해진다. 도어 리프가 두 개의 가이드 트랙 사이에서 그의 폐쇄 에지로 선택적으로 진행한다면, 상승력이 최하부 가이드 부재에 작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 감소된 중량의 바닥 단편을 갖는 구성이 특별한 안전 배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승력은 제 2최하부 가이드 부재에 작용될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 단지 하나의 당김 부재가 존재한다면, 이들 부재는 연속적인 당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당김 부재가 존재할 수 있다.
원리적으로, 구동 가이드 부재에 가해진 상승력은 두 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가이드 부재 위로 전달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가 리프팅하는 동안 서로에 대해 부딪히더라도, 상승력은 측부 프레임 내에 직접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가이드 부재가 서로 부딪히기 전에, 횡방향 보강 단편이 서로에 대해 부딪힐 수 있는 두께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상승력은 보강 단편의 중앙부에 의해 전달되며, 특히 이와 관련하여 회전가능한 로울러 형태의 가이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만일 가이드 부재가 서로에 대해 접촉한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구동 가이드 부재에 직접적인 상승력이 가해지는 각각의 측부 프레임 내에 추가의 당김 부재가 제동될 수도 있으며, 제 1 및 제 2구동 가이드 부재는 상이한 그루브 내에서 진행한다. 예컨대, 만일 제 2구동 가이드 부재가 도어 리프의 폐쇄 에지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다면, 그의 당김 부재는 도어의 개방 작용 동안 제 2구동 당김 부재의 "여분의 상승(extra lift)"를 달성하도록 제 1당김 부재 보다 더 긴 거리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보다 큰 직경의 제 2당김 부재용 감김 드럼 및/또는 보다 큰 두께의 감김 드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상승 작용의 말미에서 실질적으로 보다 큰 두께를 갖는 당김 부재의 하부 부분에 의해 최종 단편을 상승시키거나, 개방 작용의 말미에서 당김 부재의 하부 부분 상에 여분의 상승 작용을 제공하는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분의 상승의 장점은 개방 위치에서 도어 리프의 수직 칫수가 보다 더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어의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각각의 측부 프레임은 짧은 상부 부분 및 긴 바닥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부 부분은 도어 리프의 측부 에지에 연결된 모든 가이드 부재가 상부 부분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체 도어 리프, 모든 보강 단편, 모든 리프팅 부재, 프레임의 상부 부분 뿐만 아니라 구동 유닛은 공장에서 예비조립될 수 있으며, 단일 유닛으로서 설치 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다.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의 상부 부분은 도어가 설치될 위치에서만 바닥 부분에 장착된다. 프레임 부품을 조립할 때, 가이드 그루브가 마찬가지로 조립되며, 가이드 부재 및 당김 부재는 이후 측부 프레임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도어가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장점 및 다른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수직한 측부 프레임(1,2)은 도어 개구(3)를 한정한다. 참조부호(4)로 표시된 도어 리프는 가요성 직물 재료(연속적이거나 조립된 단편)로 구성되며, 접혀지지 않은 폐쇄 위치(도 1, 도 2, 및 도 4)와 콘서티나형으로 접혀진 개방 위치(도 3 및 도 5)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6에서, 도어 리프(4)는 분리가능하며, 완전하게 접혀지지 않는다. 도어 리프(4)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부 에지(5,6), 상부 에지(7), 및 바닥 또는 폐쇄 에지(8)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 리프(4)는 예컨대 플라스틱 코팅된 직물과 같은 직물 재료로 제조된다. 풍하중을 흡수하기 위해, 도어 리프(4)에는 다수의 횡방향 보강 부재(10-18)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측부 에지(5,6) 사이로 연장된다. 보강 부재(10-18)의 길이는 필수적으로 도어 리프(4)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짝수의 참조부호(10,12,14,16,18)로 표시된 5개의 보강 부재는 도어 리프(4)의 전방에 장착(도 1)되는 반면, 홀수의 참조부호(11,13,15,17)는 도어 리프(4)의 후방에 장착(도 2)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0-18)는 등거리로 배열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들은 도어 리프(4)의 높이를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보강 부재(10-18)는 8개의 수평한 도어 리프 단편(21-28)을 한정한다.
보강 부재(10-18)는 상이한 방식으로 도어 리프(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공지된 변수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직물재료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장형 포켓(210-218)(도 6)이 제공되며, 특히 도어 리프(4)의 상부 에지(7)에는 상부 단편(18)에 의해 측부 프레임(1,2)들 사이에 상부 에지(7)를 부착하기 위한 특별한 포켓(218)이 제공되어 있다.
보강 부재(10-18)가 전방 및 후방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는 점은 보강 부재(10-18)가 도어 리프(4)의 일측부 및 동일한 측부 상에 장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혀지지 않는 위치에서 보다 직선형으로 매달리는 장점을 제공한다. 폐쇄 위치에서의 보다 직선형인 도어 리프는 또한 측부 에지(5,6)에서의 보다 양호한 밀봉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도어 리프(4)를 가이드 부재들 사이에 직선형 부분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태가 아닌 "파동형(wave-like)"이라고 가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지 않은 위치에서는 접혀지는 양이 제한될 수도 있다.
도어 리프(4)의 상부 에지(7)는 도어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된 빌딩의 상부 수평부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부 에지(7)는 측부 에지(1,2) 및/또는 빌딩에 고정된 수평한 특별한 상부 부재(18) 상에 상부 포켓(218)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구동 모터(40)는 도어의 상부 모서리 상에 장착된다. 참조 부호(41)는 구동 모터(4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전자 제어 유닛(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구동 장치는 또한 구동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드럼(42)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벨트 드럼(42)은 도어 리프(4)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두 개의 가용성 당김 수단(43,44)을 감거나 푼다. 본 실시예에서, 당김 수단(43,44)은 두 개의 리프팅 벨트(lifting belt)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들은 리프팅 와이어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프팅 벨트(43)는 제 1측부 프레임(1)에서 벨트 드럼(42)으로부터 바로 아래로 진행하는 반면, 리프팅 벨트(44)는 제 2측부 프레임(2)에서 상방으로 리턴 로울러(45) 위에서 진행한다. 리프팅 벨트(43,44)를 도어 리프(4)에 부착하는 것에 대해 이하에 기술한다. 특히, 여기서는 측부 프레임(1,2)들 사이의 도어 개구(3)에 리프팅 벨트가 없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2, 도 2a,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리프(4)는 다수의 개별 에지 가이드 부재(110-118)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도어 리프(4)의 대향하는 측부 에지를 따라 이격되어 있고, 측부 프레임(1,2)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되어 있다. 모든 보강 부재(10-18)의 각각의 단부는 좁은 연장부(50)에 의해 관련 에지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다. 이러한 설명이 용이하도록, 에지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는 참조부호(100-118)와 같이 관련 보강 부재의 참조부호에 일정하게 100을 더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10-118)는 비회전식 퍽형 미끄럼 블록으로 구성되며, 이는 깊이 방향, 즉 도어 개구의 평면을 가로지르는 방향(화살표 A)에서 가이드 부재로써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어 개구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낙하 방지 수단으로써 작용한다. 가이드 부재(110-118)는 또한 회전가능한 로울러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작동자는 회전 로울러가 개방/폐쇄 동안 서로 접촉될 수도 있는 역회전 표면의 문제점이 존재하는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이는 가이드 부재(110-118)가 서로에 대해 부딪히기 전에 보강 부재(10-18)가 서로에 대해 부딪힌다면 해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어 리프(4)의 일측부 에지(5)가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1)에 연결되어서 안내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측부 에지(2)의 배열도 이와 유사하므로 기술하지 않는다. 측부 프레임(1)은 도어 리프(4)의 접힘을 안내하고, 깊이 방향(화살표 A) 및 가로지르는 방향(화살표 B)으로 도어 리프의 작용을 안내하며, 측부 프레임(1)에 대항하여 도어 리프(4)의 측부 에지(5)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측부 프레임(1)은 바닥벽(61) 및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62)을 갖춘 U형 프레임 단편(6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단편(60)의 중앙에는 바닥벽(64) 및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65)을 갖는 보다 작은 U형 내부 단편(6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단편(63)은 프레임 단편(60)의 완전히 내측에 위치되며, 바닥벽(61)에 견고하게 연결된 칸막이(66)에 의해 내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칸막이(66)는 프레임 단편(6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내부 단편(63)은 예컨대 바닥 또는 상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분할될 수 있으며, 수리를 위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칸막이(66)와 함께, 프레임 단편(60)의 측벽(62)은 도어 개구를 향해 개방된 채널(68) 형태의 제 1 가이드 그루브 및 도어 리프(4)를 향해 개방된 채널(69) 형태의 인접한 제 2 가이드 그루브를 한정한다. 채널(68)은 도어의 전방부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는(도 1) 반면, 채널(69)은 도어의 후방부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다(도 2). 전방 보강 단편(10,12)에 대한 전방 가이드 부재(110,112)는 제 1채널(68)에서 진행하는 반면, 후방 보강 단편(11,13)에 대한 후방 가이드 부재(111,113)는 제 2채널(69)에서 진행한다.
리프팅 벨트(43,44)는 가이드 부재(111), 즉 제 2 최하부 단편(11)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를 도시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111)는 도 2 및 도 2a에 특별히 표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리프팅 벨트(43)가 다른 가이드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111)가 보다 두꺼운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팅 벨트(43)는 완전히 보호된 가이드 채널(69) 내측에서 진행한다.
상승/하강하는 동안, 가이드 부재(110-118)는 칸막이(66) 및/또는 측벽(62)에 대항하여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별도의 가이드 부재(110-118)는 내부에서 진행하고 두 개의 별도의 가이드 그루브(68,69)에 의해 깊이 방향(A)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도어 리프(4)의 마모 및 손상을 감소시키면서 보강 부재(10-18) 둘레의 도어 리프(4)의 접힘부는 정확하게 안내될 것이다. 모든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만 공통의 넓은 하나의 채널을 갖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깊이 방향(A)에서 각각의 가이드 채널(68,69)의 폭은 공지된 도어에서와 같은 접혀진 도어 리프(4)가 깊이 직경 대신에 가이드 부재의 깊이 직경으로 개조된다. 도어 리프(4) 상에 작용하는 중력은 가이드 부재가 칸막이(66)와 접촉하도록 할 것이지만, 풍하중/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가이드 채널 내의 가이드 부재(바람의 방향에 따라 68 또는 69)는 프레임 단편(60)의 측벽(62) 중 하나에 대항하여 진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채널(68,69)에서, 내부 단편(63)의 바닥벽(64)은 풍하중 또는 보강 단편이 폐쇄부와 연관하여 고정되는 것에 기인하여 가이드 부재(110-118)가 각각의 가이드 채널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형 에지를 형성한다. 가이드 부재(110-118)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벨트(43,44) 중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에 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보강 단편을 교체할 수 있도록, 내부 단편(63)의 일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0-118)에 대한 낙하 방지 수단을 형성하는 것에 부가하여, 내부 단편(63)의 두 번째 기능은 도어 리프(4)를 위한 측부 또는 에지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단편(63)의 종방향 채널은 도어 리프 에지(5)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 리프(4)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부 에지는 내부 단편(63)의 바닥벽에 대항하여 밀봉식으로 접하고 있다. 만일 도어 리프(4)가 풍하중에 당하거나 또는 압력차가 존재한다면, 도어 리프(4)는 내부 단편(63)의 측벽(65)과 접촉한 채로 이동하여 이 위치에서 밀봉을 형성할 것이다. 그렇지만, 깊이 방향에서 측부 에지(5)의 이동은 내부 단편의 폭에 의해 제한되는데, 이러한 내부 단편의 폭은 프레임 단편의 폭 보다 현저하게 작다. 상승과 연관하여 깊이 방향으로 도어 리프 에지(5)에 대해 다소 자유롭게 작용하도록 측벽(65)을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어의 개방을 위해, 가이드 부재(111)의 중간부에 의해 제 2최하부 단편(11)으로 상승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전체 상승 작용 동안, 최하부 바닥 단편(10)은 직물 단편(21)의 중간부에 의해 단편(11)으로부터 매달린다. 상승의 제 1상태에서, 직물 단편(22)은 "로울링(rolling)" 접힘부 둘레로 접혀질 것이다. 단편(11)이 단편(12)을 통과할 때, 가이드 부재(111)가 동일한 그루브(69) 위쪽의 가이드 부재(113)와 접촉하는 경우 단편(22)은 완전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연장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다시 직선형이 되기 시작한다. 구조에 따라, 단편(11)과 단편(13) 사이에 접촉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편(11,13)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반면, 단편(12)은 직선형 단편(22,23)의 중간부에 의해 두 개의 단편(11,13)에 크래들과 같이 매달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 단편(10)은 단편(12)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단편(12)과 접촉되게 위치되지만, 여전히 단편(11)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연속적인 상승과 관련하여, 단편(24)이 먼저 접혀지고, 이후 단편(13)이 단편(14)을 통과할 때 직선형이 되기 시작한다. 가이드 부재/단편의 연속적으로 모으는 이러한 접힘 공정은 도 3,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상태가 달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전방 그루브(68)의 전방에 놓인 가이드 부재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는 동안, 후방에 대한 가이드 부재(111,113,115,117)는 후방 가이드 그루브(69)의 상부에서 완전히 모여진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최상부 직물 단편(28)은 "로울링 접힘부"(도 5a에서 참조부호 28') 둘레로 굽혀지며, 상부로부터의 직물 단편(27)의 일부는 전방으로부터 볼 수 있다. 나머지 직물 단편은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놓여지며, 어떠한 직물 단편도 측부 프레임(1,2) 외측의 깊이 방향으로 매달리지 않는다.
도 3 및 도 5에서 접혀진 도어 리프(4)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특별한 리프팅 수단은 바닥 단편(10)의 여분의 상승을 달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편(10,12,13,14,16,18)은 또한 완전하게 서로 묶여진다. 예컨대, 이는 가이드 그루브(68) 내로 가이드 부재(110)를 상승시키기 위한 여분의 리프팅 벨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가적인 리프팅 벨트는 이러한 리프팅 벨트가 제 1 리프팅 벨트(43) 보다 더 멀리 이동하도록 구동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한 방법은 보다 큰 직경의 벨트 드럼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바닥에 보다 두꺼운 여분의 벨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벨트 드럼 상에 소정 형태의 슬립 커플링을 배열시키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는 직물 단편(21), 단편(11), 및 가이드 부재(111)가 생략된 것이 특징이다. 도어 리프(4)의 최하부 직물 단편(22)은 전방 가이드 채널(68) 전방을 따라 직선형으로 진행하며, 대신에 리프팅은 가이드 부재(112)에서 수행된다. 개방 위치에서, 직물 단편(22)은 단편(10)의 무게에 의해 단편(12)으로부터 매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이러한 직물 단편(22)은 뒤에 위치된 단편(13)을 숨기게 된다. 하부 바닥 단편(10)이 충돌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부드럽고 유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안전에 중점을 둔 것이다. 바닥 에지(7)는 공지된 구성의 적절한 안전 장치, 즉 신장형의 압력 반응 안전 에지 보호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작동시에 도어의 작용을 방해한다.
측부 프레임(1,2)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편으로 제조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특별히 용이한 수송 및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짧은 상부 부분(1a,2a) 및 긴 바닥 부분(1b,2b)으로 각각 분할된다. 도어가 제조될 때, 도 12에 도시된 전체 상부 부분은 별개의 단일 유닛으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단일 유닛은 상부 부분(1a,2a), 보강 부재(10-18)를 갖춘 도어 리프(4), 모든 리프팅 벨트(43,44), 구동 모터(40), 제어 유닛(41), 및 상부 부분(1a,2a)의 두 개의 가이드 채널(68,69) 내에 수용된 가이드 부재(110-118)를 포함한다. 도어의 설치와 관련하여, 측부 프레임(1,2)의 바닥 부분(1b,2b)이 먼저 조립되고, 이때 전체 유닛이 정위치로 상승된다.
단일 직물 재료의 모든 도어 리프 단편(21-28)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어 리프(4)는 단열 및/또는 방음을 위해 가요성 중간 재료를 갖는 이중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더욱이, 모든 도어 리프 단편(21-28) 또는 일부 도어 리프 단편은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일부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직물의 전체적인 비파괴 단편의 변형에 있어서, 각각의 도어 리프 단편(21-28)에서 직물의 일부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 리프 단편은 적절한 방식, 예컨대 그루브 내로 삽입됨으로써 보강 부재(10-18)에 의해 유리하게 상호연결될 수 있다.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도어 리프(4)를 갖춘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측부 프레임(1,2)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적절한 당김 수단을 통해 도어 리프(4)를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0-18)는 에지 가이드 부재(110-118)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또는 모든 보강 부재(10-18)를 생략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소정의 경우에 낙하 방지 수단 및 일단편 및 동일한 단편으로 에지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더라도, 가이드 부재(110-118)에 대한 낙하 방지 수단은 내부 단편(63)을 갖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3은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서, 도어 리프(4)의 하나의 측부 에지(5)는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1)에 연결되고 이를 따라 안내된다. 다른 측부 에지(2)의 배열은 유사하므로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측부 프레임(1)은 도어 리프(4)의 접힘부를 안내하고, 깊이 방향(화살표 A) 및 가로지르는 방향(화살표 B)으로 도어 리프의 작용을 안내하며, 측부 프레임(1)에 대항하여 도어 리프(4)의 측부 에지(5)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측부 프레임(1)은 바닥벽(61') 및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62')을 갖춘 U형 프레임 단편(60')으로 구성된다. EH 7에 도시된 작은 U형 내부 단편(63) 및 칸막이(66)는 두 개의 칸막이(66')로 대체되며, 각각의 칸막이에는 낙하 방지 플랜지(67')가 제공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62')은 또한 낙하 방지 플랜지(69')가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리프 에지(5)는 가이드 부재(110-118) 사이의 공간(63')에서 바닥벽(61')까지 실질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연장한다. 가이드 부재(110-118)는 측벽(62') 및 칸막이(66')에 의해 한정된 가이드 채널(68,69) 내에서 안내된다. 칸막이(66')는 프레임 단편(60)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단편(60)의 측벽(61'62',66')은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강할 때 폐쇄 위치를 향해 도어를 밀도록 구성되고 풍하중 및/또는 파손에 의해 도어 리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트레칭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어 리프의 무게의 균형을 잡도록 구성된 카운터발란싱 장치(counterbalancing device)가 제공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동력이 단절될 때 개방이 용이하도록 오우버발란싱 장치(overbalancing device)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4)

  1. 일부분 이상이 가요성 직물 재료로 제조되고, 폐쇄 위치와 접혀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개방 위치에서 대향하는 측부 에지(5,6) 사이로 연장된 다수의 접힘선 둘레로 접혀지는 도어 리프(4)와,
    상기 측부 에지(5,6)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대향하는 측부 에지(5,6)에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를 안내하도록 상기 각각의 측부 에지(5,6)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두 개의 측부 프레임(1,2)을 포함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상기 측부 프레임을 가로질러 병렬식으로 배열된 적어도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를 한정하며,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는 상기 측부 프레임(1,2)의 제 1그루브(68) 내에서만 진행하는 제 1가이드 부재 세트(110,112,114,116,118) 및 상기 측부 프레임(1,2)의 제 2그루브(69) 내에서만 진행하는 제 2가이드 부재 세트(111,113,115,117)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리프의 접혀진 개방 위치에서 상기 측부 에지(5,6)가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에 의해 한정된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부재(110-118)는 상기 도어 리프(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는 상기 도어 개구(3)를 가로질러 병렬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의 접힘선 또는 연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그루브(68,69)와 각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 내에 하나 이상의 가요성 당김 부재(4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 내의 상기 가요성 당김 부재(43,44)는 구동 가이드 부재라 칭해지는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의 미리결정된 가이드 부재(111;112) 상에만 직접적인 상승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도어 리프(4)의 폐쇄 에지(8)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 중 하나의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도어 리프(4)의 폐쇄 에지(8)에 두 번째로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 중 하나의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에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 중 제 2구동 가이드 부재 상에만 직접적인 상승력을 가하는 부가적인 당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구동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 2구동 가이드 부재가 상기 두 개의 가이드 그루브(68,69) 중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 내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가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당김 부재를 동일하지 않은 거리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1.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모든 당김 부재(43,44)는 상기 측부 프레임(1,2) 내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는 다수의 횡방향 보강 부재(10-18)가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110-118) 중 관련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0/110,111/111,...118/118) 사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는 상기 횡방향 보강 부재(10-18)의 단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보강 부재(10-18)의 대부분은 상기 도어 리프(4)의 일측부 및 다른 측부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에서, 상기 제 1가이드 그루브(68) 및 상기 제 2가이드 그루브(69)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위한 제 1물리적 가이드 채널(68)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위한 제 2물리적 가이드 채널(69)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 채널(68,69) 모두는 상기 도어 개구(3)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가로지르는 방향(A)에서의 상기 개구의 폭이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A)에서의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의 칫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상기 가이드 채널(68,69) 내에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낙하 방지 수단(63;67',69')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U형 단편(63)을 포함하며, 상기 U형 단편(63)은 상기 프레임(1,2)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도어 개구를 향해 개방되며 상기 제 1가이드 채널(68)과 상기 제 2가이드 채널(69) 모두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상기 낙하 방지 수단을 형성하는 바닥벽(64)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에서 상기 도어 리프(4)의 상기 측부 에지(5,6)는 상기 U형 단편(63)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바닥벽(61')과,
    상기 제 1가이드 채널(68)을 한정하도록 상기 바닥벽(61')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1외측벽(62') 및 제 1칸막이(66')와,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 채널(69)을 한정하도록 상기 바닥벽(61')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외측벽(62') 및 제 2칸막이(6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칸막이 및 상기 제 2칸막이(66')는 상기 칸막이들 사이에 상기 도어 리프(4)의 상기 측부 에지(5,6)를 수용하는 공간(63')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66') 및 상기 외측벽(62)은 상기 가이드 채널(68,69) 내에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를 유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플랜지(67',6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는 전체적으로 가요성 직물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2.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는 일부분이 가요성 직물 재료로 제조되며, 다른 일부분이 보다 강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보다 용이한 이송 및 설치를 위해, 상기 각각의 측부 프레임(1,2)은 짧은 상부 부분(1a,2a) 및 긴 바닥 부분(1b,2b)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부분(1a,2a)은 상기 도어 리프(4)의 상기 측부 에지(5,6)에 연결된 모든 가이드 부재(110-118)가 상기 상부 부분(1a,2a)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24. 제 23항에 따른 도어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 리프(4)에 상기 모든 가이드 부재(110-118)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측부 프레임(1,2)의 상기 긴 바닥 부분(1b,2b) 상에 상기 짧은 상부 부분(1a,2a)을 장착하기 이전에, 상기 짧은 상부 부분(1a,2a)의 상기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68,69) 내에 상기 가이드 부재를 배열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도어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때에만 상기 가이드 부재(110-118)가 상기 바닥 부분 상으로 도입되도록 상기 상부 부분(1a,2a)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8597A 1998-02-06 1999-02-04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KR20010052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0368A SE511473C2 (sv) 1998-02-06 1998-02-06 Vikport av dukmaterial samt metod för framställning av en sådan port
SE9800368-4 1998-02-06
PCT/SE1999/000143 WO1999040287A1 (en) 1998-02-06 1999-02-04 Door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60A true KR20010052160A (ko) 2001-06-25

Family

ID=2041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597A KR20010052160A (ko) 1998-02-06 1999-02-04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97916B1 (ko)
EP (1) EP1053381B1 (ko)
JP (1) JP2002502924A (ko)
KR (1) KR20010052160A (ko)
CN (1) CN1130493C (ko)
AU (1) AU728552C (ko)
BR (1) BR9907693A (ko)
CA (1) CA2319232C (ko)
DE (1) DE69923161T2 (ko)
ES (1) ES2232113T3 (ko)
PL (1) PL342237A1 (ko)
SE (1) SE511473C2 (ko)
WO (1) WO1999040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3577B2 (en) * 2003-02-24 2005-04-26 Albany International Corp. Rollup door with rollable door leaf
FR2857688B1 (fr) * 2003-07-15 2005-10-07 Nergeco Sa Porte a repliement et dispositif de guidage de rideau
US20050263470A1 (en) * 2004-05-28 2005-12-01 Acabar, L.L.C. Safety cover for a storage bay
US7066526B2 (en) * 2004-06-02 2006-06-27 Rain Riders, Llc Convertible top for ATV
US7137660B2 (en) * 2004-07-20 2006-11-21 Rain Riders, Llc Convertible top for an all-terrain vehicle
TWM275290U (en) * 2005-04-27 2005-09-1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Structure for curtain body without hand pull cord
US8371357B2 (en) * 2006-02-06 2013-02-12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ystem to guide the slats of an industrial roller door to reduce damages after crash
US9245406B2 (en) * 2007-05-04 2016-01-26 Innovative Product Achievements, Llc Apparatus for inserting a cart, such as a cart with one or more fixed wheels, into an enclosure
US9478093B2 (en) 2012-02-15 2016-10-25 Innovative Product Achievements, Llc Item dispensing apparatus
EP2901428B1 (en) 2012-09-28 2018-07-25 Innovative Product Achievements, LLC Item dispensing apparatus
US20150361703A1 (en) * 2014-06-11 2015-12-17 Advanced Systems, Inc. Wind resistant door assembly
US9809240B2 (en) 2015-02-02 2017-11-07 Innovative Product Achievements, Llc Item dispensing apparatus
RU192908U1 (ru) * 2019-07-01 2019-10-07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ович Рылов Подъемное ограждение
US20230003049A1 (en) * 2021-07-01 2023-01-05 Shelterlogic Corp. Door assembly for a shelter and a shelter including same
CN115434617B (zh) * 2022-08-23 2024-02-27 珠海兴业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折叠门扇及光伏折叠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528A (en) * 1955-05-03 1957-11-12 Albert W Odell Extensible stairway
US3177926A (en) * 1963-03-13 1965-04-13 Brancato Iron Works Inc Folding gate
CH550932A (de) 1972-03-23 1974-06-28 Metallbau Ag Zuerich Faltjalousie.
FR2488646A1 (fr) * 1980-08-12 1982-02-19 Kraeutler Bernard Panneau de remplissage de portes dites en accordeon
FR2539181B1 (fr) 1983-01-06 1986-07-11 Kraeutler Bernard Panneau articule de fermeture d'ouverture a deploiement vertical
FR2545871B1 (fr) 1983-05-11 1986-06-06 Nergeco Sa Panneau articule a ouverture verticale
SE454526B (sv) * 1986-10-24 1988-05-09 Voldemar Dubbelman Vertikalt manovrerad port
AU5833190A (en) * 1989-06-13 1991-01-08 Paul Spencer Schofield Curtain divider
FR2650857B1 (fr) 1989-08-11 1991-11-15 Nergeco Sa Dispositif pour favoriser le pliage d'un rideau relevable
FR2683259A1 (fr) * 1991-10-30 1993-05-07 Nergeco Sa Porte a rideau relevable a glissieres accessibles.
FR2686121A1 (fr) * 1992-01-15 1993-07-16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relevable anti-bacteries.
FR2706941A1 (en) 1993-06-24 1994-12-30 Clever Door with flexible wall
US6148895A (en) * 1994-01-10 2000-11-21 Chill Pill, Inc. Hurricane panel
FR2722531B1 (fr) 1994-07-18 1996-08-30 Mavil Sa Dispositif de retenue pour la securite des portes de manutentiona rideaux
US5862850A (en) * 1996-07-09 1999-01-26 Yang; Nelson T. G. Shade lift apparatus
US6152207A (en) * 1999-06-17 2000-11-28 Overhead Door Corporation Tandem windbar system for rollup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800368L (sv) 1999-08-07
CA2319232C (en) 2007-01-30
AU2649199A (en) 1999-08-23
JP2002502924A (ja) 2002-01-29
DE69923161D1 (de) 2005-02-17
SE511473C2 (sv) 1999-10-04
PL342237A1 (en) 2001-06-04
US6397916B1 (en) 2002-06-04
SE9800368D0 (sv) 1998-02-06
CN1290321A (zh) 2001-04-04
ES2232113T3 (es) 2005-05-16
CA2319232A1 (en) 1999-08-12
EP1053381A1 (en) 2000-11-22
BR9907693A (pt) 2000-11-14
CN1130493C (zh) 2003-12-10
WO1999040287A1 (en) 1999-08-12
EP1053381B1 (en) 2005-01-12
AU728552C (en) 2001-08-16
DE69923161T2 (de) 2005-06-23
AU728552B2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2160A (ko)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JP4027993B2 (ja) 可撓性カーテンドアの案内装置
CN1115464C (zh) 具有低摩擦边缘的卷帘门
US20160222724A1 (en) Cordless shade lift system and headrail arrangement
CN102884273A (zh) 横式百叶窗
JP2011522981A (ja) 巻くことができるドアリーフを有する高速ロールアップドア
ITVR20110040A1 (it) Portone sezionale particolarmente per garage
JP3910667B2 (ja) エレベーターの合体型ガイドレール
EA025661B1 (ru) 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с подвижн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полотна ворот
JP6085458B2 (ja) ホーム安全柵
CZ296787B6 (cs) Uzavírací zarízení pro otvor ve zdi
KR20010014962A (ko) 운반기 및 스페이서 조립체
JP4257516B2 (ja) 遮蔽装置
NO173803B (no) Todelt doersystem
JP3892347B2 (ja) 開閉装置の巻取軸支持装置
JPH0730874Y2 (ja) ブラインドの昇降コード支持装置
EP3438405B1 (en) Quick closing fold up device
MXPA00007688A (en) Door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door
JP6469439B2 (ja) ホーム柵
WO2001094735A1 (en) Curtain guide for a roll-up door
IT202000015088A1 (it) Porta avvolgibile a scorrimento rapido comprendente una zona di ricovero superiore per accogliere un telaio flessibile nella configurazione aperta della porta
JPH0531196Y2 (ko)
JPH0616105Y2 (ja) ブラインド
CN2414172Y (zh) 百叶窗的双向滑轮座
KR20050013983A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