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219A -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219A
KR20010051219A KR1020000062650A KR20000062650A KR20010051219A KR 20010051219 A KR20010051219 A KR 20010051219A KR 1020000062650 A KR1020000062650 A KR 1020000062650A KR 20000062650 A KR20000062650 A KR 20000062650A KR 20010051219 A KR20010051219 A KR 2001005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evel
decoding
bit
decoding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057B1 (ko
Inventor
후쿠야마마리코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5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203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baseline cor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21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compensation for data shift, e.g. pulse-crowding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11B20/1028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e.g. maximum likelihood detectors
    • G11B20/1029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e.g. maximum likelihood detector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6Conversion to or from run-length codes, i.e. by represent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digits, or groups of digits, of the same kind by a code word and a digit indicative of that k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고밀도화된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어씨미트리(asymmetry:비대칭)가 크게 된 경우, 진폭값=콤퍼레이트레벨로 된 때에도,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2진화신호)와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복호결과의 정밀도가 악화되는 적이 있었다.
비트검출부(4)는, 디지털데이터로 된 재생(RF)신호의 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과 같을 때에는, 그 전후의 진폭값의 합과 콤퍼레이트레벨과의 대소에 의해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 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Data decoding apparatus and date decoding method}
본 발명은, RLL(Run Length Limited)부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에서 독출한 재생(RF)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콤퍼레이트레벨에 의거하여 복호하고,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던지, 또, 예를들면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전송이나 기록에 적용하도록 데이터의 변조가 행해진다. 이와같은 변조의 하나로서 블록부호가 알려져 있다. 이 블록부호는, 데이터열을 m×i비트로 되는 단위(이하 데이터어라 함)에 블록화하고, 이 데이터어를 적당한 부호측에 따라서 n×i비트로 되는 부호어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i=1일때에는 고정길이부호가 되고, 또 i가 복수개 선택될 때, 즉 i가 2이상으로 최대의 i인 imax=r로 변환하였을 때에는 가변길이부호가 된다. 이 블록부호화된 부호는 가변길이부호(d, k;m, n;r)로 표시한다. 여기서 i는 구속길이라 한다. r은 최대구속길이이다. 또, d 및 k는 부호계열내의 연속하는 "1"의 사이에 들어가는 "0"의 최소연속개수 및 "0"의 최대연속개수이다.
구체예로서 콤팩트디스크(CD)의 변조방식을 설명한다. CD에서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이 이용되고 있다. 8비트의 데이터어를 14비트의 부호어(채널비트)로 패턴변환 한 후에, EFM변조후의 직류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한 3비트의 마진비트를 부가하고, 디스크상에 NRZI로 기록되어 있다. "0"의 최소연속개수는 2, "0"의 최대연속개수는 10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8비트에서 14비트로의 변환, 및 마진비트가 부가된다. 채널비트열(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최소반전간격(Tmin)은, 3(=2+1)T 이다. 또, 최대반전간격(Tmax)은, 11(=1-+1)T 이다. 또, 데이터열의 데이터간격을 Tdata로 하면, 검출창폭(Tw)은, (m/m)×T 로 표시하고, 그 값은 0.47(=8/17)T 이다.
또, NRZI변조후의 동일 심볼의 최대연속길이(d')는 d'=d+1=2+1=3 이고, 동일심볼의 최대연속길이(k')는 k'=k+1=10+1=11 이다.
상기 CD에 있어서, 디스크상에 피트를 선속방향으로 축소하면 기록밀도를 높게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반전간격(Tmin)에 대응한 최소피트길이가 짧게된다. 이 최소피트가 레이저빔의 스포트사이즈보다도 지나치게 작게되면, 피트의 검출이 곤란하게 되고, 에러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디스크의 재생에 있어서, 디스크의 재생면에 대해서 스큐(skew)가 가해지면 에러레이트가 악화한다. 디스크의 스큐는, 디스크와 광축의 경사가 진행방향에 수직한 면을 탄젠셜(tangential)방향과, 수평한 면을 라디얼(radial)방향으로 나눈다. 이중 탄젠셜방향에 대해서는, 비교적 빨리 에러레이트가 악화한다. 이들은 시스템의 설계마다 마진의 감소로 된다.
또, 동일심볼의 연속의 길이의 오류분포를, 스큐의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탄젠셜방향의 스큐에 대한 에러는, 동일 심볼의 연속길이가 짧은 경우에 주로 발생하고 있다. 즉, Tmin(d')의 길이를 Tmin-1(d'-1)의 길이에 복호하였기 때문에, 에러레이트가 악화하였다는 것이 알려졌다. 상기의 EFM변조방식에 있어서는, 탄젠셜방향에 스큐가 발생한 경우는, 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최소반전간격(Tmi)인 3T가 2T로 복호됨으로써 에러의 발생이 많은 적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선속방향에 고밀도화 하든지, 혹은, 디스크재생시에 큰 스큐각도가 가해졌을 때는, 재생파형이 또한 왜곡하고, Tmin(d')의 길이를 Tmin-1(d'-1)에서 Tmin-1(d'-2), 또한 Tmin-1(d'-3)의 길이로 복호하여, 에러레이트가 악화하게 된다. 즉, 상기 EFM복조방식에 있어서는, 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최소반전간격(Tmin)인 3T가 2T에서 또한 1T, 그리고 0T와 복호되는 것에 의한 에러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0T는, 출력이 지나치게 작고, 혹은 출력이 크게 왜곡하고 있기때문에, 콤퍼레이트레벨을 횡절할 수 없는 상태, 즉 검출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에, 예를들면 변조방식으로서 광자기기록방식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RLL(1, 7)부호로 고려된다. RLL(1, 7)부호의 파라메터는, (1, 7;2, 3;2)이다. 채널비트열 즉 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최소반전간격(Tmin)은, 2(=1+1)T 이고, 최대반전간격(Tmax)는 8(=7+1) 이다.
RLL(1, 7)부호를 이용한 데이터재생에 있어서, 또한 선속방향에 고밀도화 한다든지, 혹은 디스크재생시에 큰 스큐각도가 가해졌을 때는, 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최소반전간격(Tmin)인 2T가 1T 또는 0T로 복호되는 것에 의한 에러가 발생한다.
이들 0T 즉 검출할 수 없었던 에러는, 특히 d=1인 RLL(1, 7)의 경우에 있어서, 보다 많이 발생한다. 이것은, d=2에서는 정확히 3T에서 0T에까지 에러로서 발생하기에는 상당한 왜곡이 되는 것이 예상되는바, 그것에 비하여, d=1에서는 정확하게 2T에서 0T에까지 에러가 되는 것은, d=2의 경우보다도 용이하다고 고려되기 때문이다.
한편,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그 제조에 있어서 디스크의 어씨미트리의 마진이 어느 정도 허락되고 있고, 센터레벨에 대하여 재생파형이 상하비대상이 되는 경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종래, 에러레이트의 악화에 대한 신호처리에 의한 보정의 방법으로서는, 비터비복호법이 있었다. 비터비복호법은, 부호오류를 작게하여 기하학적 거리의 가장 짧은 길을 탐색하는 최우복호의 하나이고, 가능성이 없는 길을 버림으로써, 확실한 값의 탐색을 간략화하여 복호하는 방법이다. 또한, 비터비복호법은, 그 내부에 최소반전간격(Tmin)을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비터비복호법은, 그 회로가 복잡하고 하드웨어의 규모가 크게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 비터비복호법은, 어씨미트리를 없앨 필요가 있고, 광디스크와 같은 어씨미트리가 허용되는 계에서는, 어씨미트리에 대한 최적화가 필요하게 되고, 회로가 또한 복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예를들면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스큐마진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탄젠셜방향에 대해서 스큐마진은, 적게된다.
또, 예를들면 고밀도화된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최소반전간격(Tmin)의 안정한 재생이 곤란하게 되어오기 때문에, 에러레이트가 저하한다.
그리고, 본건 출원인은, 특원평 8-139264호에 있어서, 보다 간단한 회로로 에러레이트의 악화에 대한 신호처리에 의한 보정의 방법으로서 Run-Detector를 제안하고 있다.
이 특원평 8-139264호에서는, 데이터복호장치에 의해 d=2에 있어서의 Tmin를 보정하여 비트에러레이트를 개선하고 있다. 데이터복호장치는, 크게 나눠서 입력신호처리부와 데이터신호처리부가 된다.
특히 데이터복호처리부는, 입력신호처리부로부터의 비트클럭에 의거하여 재생(RF)신호를 표본화하고, 표본화한 재생(RF)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하여 얻은 재생(RF)신호레벨데이터와, 입력신호처리부에 있어서 검출한 콤퍼레이트레벨을 표본화하고, 그 표본화 콤퍼레이트레벨을 양자화하고, 양자화하여 얻은 콤퍼레이트레벨데이터를, 비트검출처리부에서 비트클럭에 의거해서 비교하고,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이상의 경우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2치화신호)를,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미만의 경우에는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2치화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상기 고밀도화된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어씨미트리가 크게된 경우, 진폭값=콤퍼레이트레벨이 되었을 때에도,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2치화신호)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복호결과의 정밀도가 악화되는 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된 것이고, 비트검출시의 콤퍼레이트레벨과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이 일정한 경우에도 복호결과의 정밀도를 높게할 수 있는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가 되는 데이터복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데이터복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상기 데이터복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구체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복호방법을 적용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파형등화부 2. 비트클럭생성부
3. A/D변환부 4. 비트검출부
5.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복호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복호비트를 얻는 데이터복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이 같을 때에는,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에 의거하여 복호비트의 "1" 또는 "0"을 판정하는 복호비트판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복호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복호비트를 얻는 데이터복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이 같을 때에는,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에 의거하여 복호비트의 "1" 또는 "0"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기록매체로서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하고, 기록부호로서는, 동일 심볼의 최소연속길이(연속개수)(d)가 1이고, 또한 동일 심볼의 최대연속길이(연속개수)(k)가 7인 2치레벨의 (d, k), 즉 (1, 7)기록부호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2치레벨의 (d, k)기록부호가 NRZI변조에 의해 기록된 광자기디스크에서, NRZI변조된 채널비트데이터열을 재생하는 장치를 대표예로서,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1, 7)기록부호는, 에지를 표시하는 부호가 되고, NRZI변조후의 채널비트열은, 피트의 형에 상당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부호가 된다. 또, NRZI변조후의 동일 심볼의 최소연속길이(d')는 d'=d+1=1+1=2 이고, 동일 심볼의 최대연속길이(k')는 k'=k+1=7+1=8 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복호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 데이터복호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광자기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RF)신호가 입력되는 파형등화부(1)와, 이 파형등화부(1)의 출력이 공급되는, PLL회로로 구성되는 비트클럭생성부(2) 및 A/D변환부(3)와, 이 A/D변환부(3)의 출력이 공급되는 비트검출부(4) 및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5)와, 상기 비트검출부(4) 및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5)의 출력이 공급되는 데이터보정부(6)를 갖춘다.
이 데이터복호장치에 있어서, 파형등화부(1)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 즉 도시하지 않은 광자기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RF)신호의 파형을 정형한다. 또, 비트클럭생성부(2)는, 상기 파형등화부(1)에 의해 파형등화된 재생(RF)신호에서 비트클럭을 PLL에 의해 생성한다. 그리고, A/D변환부(3)는, 상기 비트클럭생성부(2)에 의해 생성된 비트클럭에 동기한 A/D변환동작을 행하고, 상기 파형등화부(1)에 의해 파형등화된 재생(RF)신호를 소정의 분해능에서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비트검출부(4)는, 상기 A/D변환부(3)에 의해 A/D변환된 디지털데이터에 대해서, 센터레벨을 콤퍼레이트레벨로 한 레벨비교처리에 의해, 센터레벨을 경계로 "1" 또는 "0"의 판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이 비트검출부(4)는, 디지털데이터로 된 재생(RF)신호의 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이상의 경우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된 재생(RF)신호의 레벨이 콤퍼레이트레벨(진폭값)미만의 경우에는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이 비트검출부(4)는, 디지털데이터로 된 재생(RF)신호의 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과 동일할때에는, 그 전후의 진폭값의 합과 콤퍼레이트레벨과의 대소에 의해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 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비트검출기(4)에서의 비트검출동작의 흐름을 도 2에 나타낸다. A/D변환부(3)에 의해 A/D변환된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in[i])과 비트검출기(4)의 콤퍼레이트레벨(thrs)을 비교하고, 복호비트(det)를 결정하여 간다.
먼저, 스텝(S21)에서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크면, 스텝(S22)으로 진행하고, 복호비트(det)를 "1"로 한다(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이 스텝(S21)에서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스텝(S23)으로 진행하고,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작으면 스텝(S24)으로 진행하고, 복호비트(det)를 "0"으로 한다(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스텝(S23)에서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보다 작지 않을 때, 즉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과 같을때에는, 스텝(S25)이후로 진행하고, 비트검출대상의 전후 1비트씩 진폭값(in[i-1], in[i+1])의 합을 구하고, 그것과 콤퍼레이트레벨을 비교한다. 결국, 스텝(S25)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진폭값(in[i-1]과 in[i+1])의 합(부호가 반전하고 있으므로 뺄샘으로 된다)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크게 되면, 스텝(S26)으로 진행하고 복호비트(det)를 "1"로 한다. 한편, 진폭값(in[i-1]과 in[i+1])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크지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27)으로 진행하고, 진폭값(in[i-1]과 in[i+1])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작으면 스텝(S28)으로 진행하고, 복호비트(det)를 "0"으로 한다. 또, 진폭값(in[i-1]과 in[i+1])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작지않을 때(상기 일련의 흐름에서 진폭값(in[i-1]과 in[i+1])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과 동일할 때)에는 스텝(S29)으로 진행하고, 역시 복호비트(det)를 "0"으로 한다.
이와같이, 비트검출부(4)에서는, 단순히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과 동일하다고 하는 만큼, 복호비트 det=0으로 하는 것은 없고, 전후의 진폭값의 관계에서 보다 우도가 높은쪽을 복호비트로서 선택한다.
또,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5)는, 상기 비트검출부(4)에 의해 얻어진 채널비트데이터에 대해서, 최소반전간격(Tmin)을 (Tmin-2)에 틀린 부분을 상기 A/D변환부(3)에 의해 A/D변환된 디지털데이터에 의거하여 검출한다. 이것은, 예를들면 (d, k)부호가 (1, 7)부호이면, 기록파형열의 비트간격을 T로 하면, (Tmin)인 2T를 잘못하여 0T로 복호한 부분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5)는, 틀린 위치 즉 보정하여야 할 비트위치를 지정하는 보정비트위치지정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보정부(6)는, 상기 비트검출부(4)에 의해 얻어진 채널비트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보정비트위치검출·지정부(5)에 의해 부여되는 보정비트위치지정신호에 의거하여 보정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비트검출결과에서 3비트연속으로, 동부호 또는 한가운데의 샘플레벨이 thrs±α내인 경우, 한가운데의 비트를 부호반전하여 1T로 보정한다. 1T보정후의 비트열에서 1T를 검출하고, 전후의 샘플레벨을 비교하여 2T로 보정한다. 샘플레벨이 동일할때는, 직전에 보정한 에지와 동일에지를 보정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보정부(6)는, 보정처리마감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이 데이터복호장치에서는, 비트검출부(4)가 간단히 진폭값(in[i])과 콤퍼레이트레벨(thrs)이 같다고 할뿐, 복호비트 det=0으로 하지는 않고, 전후의 진폭값의 관계에서 보다 우도가 높은 쪽을 복호비트로 하여 선택하므로, 복호결과의 정밀도가 높고, 결과로서 런디텍터(RunDetector)의 성능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외의 구체예는 어씨미트리의 큰 파형을, 콤퍼레이트레벨을 경계로 하여 비트검출할때, 진폭값과 콤퍼레이트레벨이 동레벨인 경우, 그 전후의 진폭값 각각에 어씨미트리를 상살(相殺)하도록 가중을 하고, 그 합과 콤퍼레이트레벨과의 대소에 의해 복호비트가 "0'인지 "1"인지를 판정한다.
결국, A/D변환부(3)에 의해 A/D변환된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in[i])과 비트검출기(4)의 콤퍼레이트레벨(thrs)을 비교하고, 복호비트(det)를 결정하여갈때, 스텝(S23)에서 NO였을 경우는, 비트검출대상의 전후 1비트씩 진폭값(in[i-1], in[i+1])에 어씨미트리를 상살하도록 가중(*a, *b)을 하고, 그 합을 구하여, 그것과 콤퍼레이트를 비교한다.
이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텝(S31)∼스텝(S34)까지의 처리는 상기 도 2의 스텝(S21)∼스텝(S24)과 동일하다.
상기 스텝(S33)에서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보다 작지않을 때, 즉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과 동일할 때는, 스텝(S35)이후로 진행하고, 비트검출대상의 전후 1비트씩 진폭값(in[i-1]*a, in[i+1]*b)의 합을 구하고, 그것과 콤퍼레이트레벨을 비교한다. 결국, 스텝(S35)에서는 진폭값(in[i-1]*a, in[i+1]*b)의 합(부호가 반전하고 있으므로 뺄샘으로 된다)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크면 스텝(S36)으로 진행해서 복호비트(det)를 "1"로 한다. 한편, 진폭값(in[i-1]*a, in[i+1]*b)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크지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37)으로 진행하고, 진폭값(in[i-1]*a, in[i+1]*b)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작으면 스텝(S38)으로 진행하고, 부호비트(det)를 "0"으로 한다. 또, 진폭값(in[i-1]*a, in[i+1]*b)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보다 작지않을 때(상기 일련의 흐름에서 진폭값 (in[i-1]*a, in[i+1]*b)의 합이 콤퍼레이트레벨과 동일할 때)에는 스텝(S39)으로 진행해서, 역시 부호비트(det)를 "0"으로 한다.
이와같이, 비트검출부(4)에서는, 간단히 진폭값(in[i])이 콤퍼레이트레벨(thrs)과 동일하다고 하는 만큼, 복호비트 det=0으로 하는 것은 없고, 전후의 진폭값의 관계에서 보다 최우의 높은쪽을 복호비트로서 선택한다.
또한, 상기 도 1에 나타낸 데이터복호장치를 갖춘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광디스크(10)상의 신호기록면에 대하여 신호의 독취, 및 기입을 위해 레이저광을 적절하게 조사하는 광학헤드(OP헤드)(11)와, OP헤드(11)로부터의 재생신호에 후술하는 RF처리, 워블검출처리, 서보검출처리를 실시하는 리드프로세서(12)와, 이 리드프로세서(12)의 출력에서 어드레스데이터 및 기록데이터의 채널비트데이터를, 본 발명의 데이터복호방법에 의거하여 취출하는 리드채널 프로세서(13)와, 이 리드채널 프로세서(13)에서 전송된 채널비트에 대하여 복조처리를 실시하여 어드레스데이터 및 기록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 혹은 기록시의 변조부, 또는 서보처리부도 포함한 디지털신호처리부(DSP)(14)와, 이 DSP(14)로부터의 복조데이터나, 혹은 기록용 데이터에 소정의 데이터처리를 실시한다든지, 혹은 상기 어드레스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데이터 매니저부(15)를 갖추고 있다.
또, 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른 기록용의 데이터에 기입처리를 실시하는 라이트프로세서(16)와, 이 라이트프로세서(16)로부터의 레이저구동펄스에 따라서 OP헤드(11)중의 예를들면 레이저다이오드를 오토파워컨트롤(APC)하여 구동하는 LD드라이버(17)와, 광디스크(1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19)의 제어를 행하는 스핀들회로(18)를 갖추고 있다.
또, 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ROM(22)에 격납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I/F(23)를 거쳐서 호스트컴퓨터에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RAM(21)에 전개하면서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CPU(20)도 갖추고 있다. 또, I/F(23)는 도시하지 않은 예를들면 AV시스템으로부터의 기록/재생코맨드나, 기록용의 화상기록비트스트림을 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처리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로도 기능한다.
OP헤드(11)는 레이저다이오드(LD)를 포함하는 광학계, 재생IV앰프, 2축액튜에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리드프로세서(12)는,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바, RF처리부(12a)와, 워블처리부(12b)와, 서보신호검출(12c)로 된다.
다음에 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시, 재생시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록시, 예를들면 I/F(23)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AV시스템에서, 기록코맨드와, MPEG(2)의 화상기록스트림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보내진다. 코맨드는 CPU(20)가 받는다. CPU(20)는 데이터매니저부(15)에서 어드레스정보를 얻고, DSP(14)의 서보부에 OP헤드(11)를 시크시키고, OP헤드(11)를 소망의 어드레스위치로 이동시킨다. 기록스트림은 데이터매시지부(15)의 ECC부에서 에러정정 엔코드된다. 에러정정 엔코드된 비트스트림은 DSP(14)의 변조부에서 기록용 데이터로 변조된다. 라이트프로세서(16)에서는 기록용 데이터에 기록보상을 행하는 데이터매니저부(15)의 어드레스(DECTG)로부터의 타이밍이고, OP헤드(11)의 LD를 LD드라이버(17)로 드라이브하여 광디스크(10)에 채널비트를 기록한다.
다음에, 재생시, AV시스템에서, 재생코맨드가 CPU(20)에 보내진다. CPU(20)는 데이터매니저부(15)의 어드레스(DEC)부에서 어드레스정보를 얻고, 서보부에 OP헤드(11)를 시크시키고, OP헤드(11)를 소망의 어드레스위치로 이동시킨다. OP헤드(11)에서 재생신호를 얻고, 리드프로세서(12)의 RF처리부(12a)에서 PLL등에 의해 재생데이터를 얻는다. 재생데이터는 리드채널 프로세서(13)에서 채널비트로 복호되기 때문에, DSP(14)내부의 복조회부에서 복조된다. 복조된 비트스트림은 데이터매니저부(15)내부의 ECC부에서 에러정정디코드된 후, 화상재생비트스트림으로서 I/F(23)를 거친 AV시스템에 보내진다.
상기 기록시, 및 재생시에, 리드프로세서(12)내부의 워블처리부(12b)는, OP헤드(11)로부터의 독취신호에서 워블신호를 검출하고, 이 워블신호에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그 동기신호를 데이터매니저부(15)내부의 어드레스(DEC)부로 보낸다.
또, 상기 기록시, 및 재생시에, 리드프로세스(12)내의 RF처리부(12a)는, OP헤드(11)로부터의 재생신호에 파형등화처리, PLL(페이즈록그룹)처리, AGC(오토게인콘트롤)처리, 및 ADC(아날로그디지털컨버트)처리를 실시한다.
이 RF처리부(12a)로부터의 디지털출력은 RF-A/D데이터로서 리드채널프로세서(13)에 보내진다. 또, 리드프로세서(12)는 광디스크(10)의 어드레스정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섹터마크(SM)에 계속하여 어드레스데이터를 검출하고, 리드채널프로세서(13)에 공급한다. 또, 이 어드레스데이터에 관하여 클럭(wck)도 리드채널프로세서(13)에 공급한다. 또, 워블처리부(12b)는, OP헤드(11)로부터의 재생신호(여기서는 푸쉬풀(PP)신호)에서 워블신호를 얻어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기준클럭으로서 리드채널프로세서(2)에 공급한다. 서보신호검출부(12c)는 상기 OP헤드(11)중의 2축액튜에이터의 서보, 및 OP헤드(11)의 시크를 행하기 위한 서보신호를 검출하고, DSP(14)중의 서보처리부로 보낸다.
리드채널프로세서(13)는, 비트검출처리와 데이터보정처리를 행하고, 기록데이터의 채널비트와 어드레스데이터의 채널비트를 검출한다. 비트검출처리는, 리드프로세서(12)의 RF처리부(12a)에서 A/D변환된 디지털데이터에 대해서 센터레벨을 콤퍼레이트레벨로 한 레벨비교처리를 행하고, 센터레벨을 경계로 "1" 또는 "0"의 판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디지털데이터의 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이상일 경우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상기 디지털데이터의 레벨이 콤퍼레이트레벨(진폭값)미만의 경우에는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이 비트검출처리는, 본 발명의 데이터복호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데이터의 레벨(진폭값)이 콤퍼레이트레벨과 동일할 때에는, 그 전후의 진폭값의 합과 콤퍼레이트레벨과의 대소에 의해 논리레벨 "0"의 채널비트데이터 또는, 논리레벨 "1"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데이터보정처리는, 상기 비트검출처리에 의해 얻어진 채널비트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보정비트위치검출을 지정하는 보정비트위치지정신호에 의거하여 보정처리를 행한다. 예를들면, (1, 7)변조처리에 있어서는, 비트검출결과에서 3비트연속하여, 동부호 또는 한가운데의 샘플레벨이 thrs±α내일 경우, 한가운데의 비트를 부호반전하여 1T로 보정한다. 1T보정후의 비트열에서 1T를 검출하고, 전후의 샘플레벨을 비교하여 2T로 보정한다. 샘플레벨이 동일할때는, 직전에 보정한 에지와 동일에지를 보정한다. 그리고, 데이터보정처리에 의해 보정처리마감의 채널비트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리드채널프로세서(13)가 출력하는 것은 어드레스부의 3채널비트데이터와, 데이터부의 2채널비트데이터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복호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리드채널 프로세서(13)에 있어서, 비트검출시의 콤퍼레이트레벨과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이 일치한 경우에도 복호결과의 정밀도를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트검출시의 콤퍼레이트레벨과 재생(RF)신호레벨(진폭값)이 일치한 경우에도 복호결과의 정밀도를 상승할 수 있다.

Claims (11)

  1.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복호비트를 얻는 데이터복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이 같을 때에는,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에 의거하여 복호비트의 "1" 또는 "0"을 판정하는 복호비트판정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보다도 클때에 복호비트를 "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보다도 작을때에 복호비트를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과 같을때에 복호비트를 "0" 또는 "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파형등화된 RF재생신호를 디진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한 디지털데이터이며,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이 디지털데이터의 진폭값에 대하여 센터레벨을 콤퍼레이트레벨로 한 레벨비교처리에 의해, 센터레벨을 경계로 신호비트의 "1" 또는 "0"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데이터의 레벨이 콤퍼레이트레벨과 동일할때에는 전후의 데이터의 진폭값의 합과 콤퍼레이트레벨과의 비교에 의해 복호비트의 "1" 또는 "0"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부호계열내의 연속하는 "1"의 사이에 들어가는 "0"의 최소연속길이가 d인 기록부호이며, d=1을 만족하는 것에서 NRZI변조한 후의, 동일 심볼의 최소연속길이가 d'=d+1인 기록부호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데이터재생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진폭값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보다도 클때에 복호비트를 "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보다도 작을때에 복호비트를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비트 판정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의 합이 상기 콤퍼레이트레벨과 같을때에는 복호비트를 "0" 또는 "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장치.
  10.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복호비트를 얻는 데이터복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레벨과 임계값이 같을 때에는, 상기 데이터의 전후의 데이터의 레벨에 의거하여 복호비트의 "1" 또는 "0"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부호계열내의 연속하는 "1"의 사이에 들어가는 "0"의 최소연속길이가 d인 기록부호이고, d=1을 만족하는 것에서 NRZI변조한 후의, 동일 심볼의 최소연속길이가 d'=d+1인 기록부호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데이터재생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복호방법.
KR1020000062650A 1999-11-01 2000-10-24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 KR100747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11262 1999-11-01
JP31126299A JP4161487B2 (ja) 1999-11-01 1999-11-01 データ復号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219A true KR20010051219A (ko) 2001-06-25
KR100747057B1 KR100747057B1 (ko) 2007-08-07

Family

ID=180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650A KR100747057B1 (ko) 1999-11-01 2000-10-24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97295B1 (ko)
JP (1) JP4161487B2 (ko)
KR (1) KR100747057B1 (ko)
CN (1) CN11433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421B1 (fr) * 2000-11-30 2003-01-24 Potain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securisation du traitement de signaux de securite, sur des appareils de levage
US8041183B2 (en) 2001-12-27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stream data
TW565829B (en) * 2002-03-19 2003-12-11 Via 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decoded data
JP2006031757A (ja) * 2004-07-12 2006-02-02 Rohm Co Ltd 復調器及びそれを備える光ディスク装置
JP4830655B2 (ja) * 2006-06-13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CN103077723B (zh) * 2013-01-04 2015-07-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传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2633A1 (en) * 1981-01-29 1982-08-05 Wilkinson Robert Graham High frequency communications
US4942231A (en) * 1984-05-24 1990-07-17 Mallinckrodt, Inc. Method of preparing a chlorinated, brominated, radio-brominated, iodinated and/or radioiodinated aromatic or heteroaromatic compound
WO1991010303A1 (en) * 1989-12-22 1991-07-11 Signalling Technology Pty. Ltd. Data error detection in data communications
FR2666588B1 (fr) * 1990-09-10 1994-02-11 Pasteur Institut Sequence nucleotidique regulatrice de l'initiation de transcription.
US5313472A (en) * 1991-06-14 1994-05-17 Sony Corporation Bi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KR930009436B1 (ko) * 1991-12-27 1993-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파형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JP3101640B2 (ja) * 1992-12-03 2000-10-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ペクチン分解酵素
JP2837991B2 (ja) * 1992-06-10 1998-12-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フイルムパック及びこれを使用するパックホルダ
JPH06197024A (ja) * 1992-11-09 1994-07-15 Sony Corp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JPH06233715A (ja) * 1993-02-10 1994-08-23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US5633631A (en) * 1994-06-27 1997-05-27 Intel Corporation Binary-to-ternary encoder
DE4431237A1 (de) * 1994-09-02 1996-03-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Gewinnung von bitspezifischen Zuverlässigkeitsinformationen
US5644601A (en) * 1994-10-31 1997-07-0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as suppression in a VCO based FM transmission system
JP3046515B2 (ja) * 1994-12-16 2000-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の再生回路
JP3299082B2 (ja) * 1995-07-14 2002-07-0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2値化回路及びデイ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3130464B2 (ja) * 1996-02-02 2001-01-31 ローム株式会社 データ復号装置
EP0790615A3 (en) * 1996-02-19 1998-04-15 Sony Corporation Dat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production apparatus
JP4642161B2 (ja) * 1996-04-12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復号化装置及びデータ復号化方法
US5764569A (en) * 1996-09-24 1998-06-09 Altera Corporation Test structure and method to characterize charge gain in a non-volatile memory
JP3833820B2 (ja) * 1997-05-09 2006-10-1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電磁弁の手動装置
JP3608346B2 (ja) * 1997-06-26 2005-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遠隔診療支援方法
KR100243218B1 (ko) * 1997-07-10 2000-02-01 윤종용 데이터 복호장치와 그 방법
US6233715B1 (en) * 1998-12-30 2001-05-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nchronous servo gray code detector using a PR4 matched filter
US6211698B1 (en) * 1999-06-29 2001-04-03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High speed interfac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4138A (zh) 2001-07-18
JP4161487B2 (ja) 2008-10-08
CN1143308C (zh) 2004-03-24
US6597295B1 (en) 2003-07-22
JP2001135036A (ja) 2001-05-18
KR100747057B1 (ko)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942B2 (en) 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 of a multilevel optical disc read signal
JP3558168B2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US7826323B2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reduced bit error rate
JP2002237036A (ja) 情報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H10134519A (ja) 変調装置および復調装置とそれらの方法
US7660224B2 (en) DC-controlled encoding for optical storage system
KR100747057B1 (ko) 데이터복호장치 및 방법
KR100717250B1 (ko) 정보매체, 인코딩 장치, 인코딩 방법, 디코딩 장치와디코딩 방법
JP3432003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6922384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20020191520A1 (en)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6785212B1 (en)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viterbi detector
US7778133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154215B2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H0869672A (ja) データ処理装置
Langereis et al. An implementation of limited multi-level (LML) optical recording
JP2888187B2 (ja) 情報検出装置
JP4029437B2 (ja) データ復号装置及びデータ復号方法
JP4314694B2 (ja) 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再生装置
JPH10261272A (ja)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2830675B2 (ja) コード変換方法
JP3191763B2 (ja) 情報記録媒体
JP3223881B2 (ja) 情報記録装置
JP2002015479A (ja) 光磁気ディスクに対する記録パワーの設定方法、及び情報記録方法
KR20010102630A (ko) 고밀도 디브이디를 위한 변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