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821A - 정제 공급기 - Google Patents

정제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821A
KR20010050821A KR1020000058084A KR20000058084A KR20010050821A KR 20010050821 A KR20010050821 A KR 20010050821A KR 1020000058084 A KR1020000058084 A KR 1020000058084A KR 20000058084 A KR20000058084 A KR 20000058084A KR 20010050821 A KR20010050821 A KR 20010050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rotor
feeder
supply port
feed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477B1 (ko
Inventor
고다마쓰요시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1005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써, 염가로 정제(錠劑) 특히 반정제(半錠劑)를 자동 공급한다. 공급기 용기(2)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로터(rotor)(8)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2)내에 수용된 정제(T)를 공급구(7)로부터 배출한다. 공급기 용기(2)의 저면(底面)을 공급구(7)측으로 향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시킨다. 로터(8)를 원반 상태로 하여, 그 외주부(外周部)에 대략 U자형의 절결부(切缺部)(9)를 형성한다. 절결부(9)와 공급기 용기(2)의 저면에 1개의 정제(T)를 보관 유지 가능한 보관 유지부(10)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정제 공급기{TABLET FEEDER}
본 발명은, 정제 공급기, 특히, 정제를 반으로 절단하여 되는 반정제(半錠劑)의 자동 공급에 이용되는 정제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 공급기로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내에 수용된 정제를 공급구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60706호, 실용신안등록 제2536395호, 특개평 6-8902호 공보, 미합중국 특허4869394호 공보등을 참조).
이러한 정제 공급기에서는, 정제를 반으로 절단한 반정제의 배출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 때문에, 정제 공급기와는 별도로 손으로 살포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그것의 트레이(tray)에 미리 반정제를 준비하여 둔다(특공평2-23401호 공보 참조).
또한, 기타 정제 공급기로서, 공급기 용기내에 로터를 경사시켜 설치하여, 그 로터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공급기의 저면에 정제를 보관 유지하고, 로터를 회전시켜 관통 구멍이 배출로에 도달함으로써 정제를 배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명, 미합중국 특허 제304586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자(前者)와 같이, 정제 공급기와는 별도로 손으로 살포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게다가, 손으로 살포하는 장치로의 반정제의 준비는, 모두 번거로운 수작업에 의해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자동화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또한, 후자와 같이, 보관 유지부, 즉 로터에 설치되는 관통 구멍을 정제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하는 것은, 형태가 상이한 정제 마다 로터가 필요하게 되고, 범용성이 결핍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써, 염가로, 정제를 자동 공급 가능한, 범용성이 우수한 정제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기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내에 수용된 정제를 공급구로부터 배출하는 공급기에 있어서, 전기한 공급기 용기의 저면을 공급구 측으로 향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시키고, 전기한 로터를 원반 상태로 하여, 그 외주부에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해당 절결부와 전기한 공급기 용기의 저면에 1개의 정제만을 보관 유지 가능한 보관 유지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내연(內緣)은, 정제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 치수의 돌기로서 구성되는 한편,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내연은, 정제의 살두께 보다 얇아도 된다.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내연은, 정제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 치수의 살두께를 가지며,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내연은, 로터 반경 방향의 내부 방향을 향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경사되는 경사면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급기 용기내에 정제를 수용하고, 로터를 회전시키면, 그것의 보관 유지부에 보관 유지된 정제만이 공급구로 반송(搬送)된다. 정제는, 보관 유지부를 형성하는 절결부의 대향연(對向緣) 중,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내연에 의해서 낙하가 방지된다. 따라서, 비(非) 보관 유지 상태에 있는 정제는, 로터가 회전함에 의해 공급구로 도달할 때까지에서, 로터의 경사에 의해 낙하한다. 이 때, 절결부의 로터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내연에 의해서 비 보관 유지 상태의 정제의 낙하와 공급구로부터의 배출이 보다 한층 적절하게 행하여 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내에 수용된 정제를 공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정제 공급기에 있어서, 전기한 로터는, 외주부에 전기한 정제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를 보유함과 동시에, 해당 보관 유지부에 보관 유지된 정제만을 공급구로 반송 가능하게 하는 반송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전기한 동일 양상으로, 보관 유지부에 보관 유지된 정제 이외의 공급구로부터의 배출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기한 보관 유지부는, 로터의 외주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반정제의 직선부를 맞닿게 하여 보관 유지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전기한 반송 규제 수단은, 전기한 보관 유지부를 제외한 로터의 대략 상부 방향 반을 덮도록 회전 불능으로 설치한 커버에 의해 구성하고, 해당 커버의 외주부에 서서히 보관 유지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련한 정제 공급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정제 공급기의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3) 방향으로부터 본 실시도(失視圖).
도 4는, 도 1의 정제 공급기의 공급구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련한 정제 공급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제 공급기의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정제 공급기의 공급구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련한 정제 공급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정제 공급기의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베이스
2 : 공급기 용기
5 : 정제 수용실
7 : 공급구
8 : 로터(rotor)
9 : 절결부
9a : 돌기(突起)(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의 내연(內緣))
9b : 내연(로터 반경 방향 내측의 내연)
10 : 보관 유지부
12 : 돌기
13: 커버(cover)
14: 안내부
15: 안내편(案內片)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련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한 정제 공급기를 나타낸다. 이 정제 공급기는, 모터 베이스(1)와, 이 모터 베이스(1)에서 떼어 낼수 있게 장착되는 공급기 용기(2)로 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1)는, 공급기 용기(2)내의 로터(8)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3)를 내장하고, 공급기 용기(2)로부터 배출되는 정제(T)(여기서는, 정제를 중심의 절단구(切斷溝)를 따라 절단한 반정제)를 안내하는 낙하 안내 통로(4)를 구비한다. 모터 베이스(1)는, 도시하지 않은 약제 포장 장치에, 상하 및 좌우로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공급기 용기(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정제 수용실(5)이 형성되어 있다. 정제 수용실(5)에는, 종류가 상이한 반정제(T)가 각각 수용되고, 상부 방향 개구부는 떼어 낼수 있는 덮개(6)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또한, 정제 수용실(5)의 저면(底面)은, 한쪽 면에 형성된 공급구(7)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부 방향측으로 경사되어 있다. 공급구(7)는, 정제 수용실(5)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보관 유지부(10)에 보관 유지되어 반송된 반정제(T)가 낙하 안내 통로(4)로 낙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기한 정제 수용실(5)의 저면은 자유 자재로 회전하게 설치된 로터(8)에 의해 감싸져 있다. 로터(8)는 얇은 살두께의 원형 판상(板狀)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부에는 소정의 피치(pitch) 각(角)으로 대략 U자 형의 절결부(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제 수용실(5)의 저면과 절결부(9)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보관 유지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절결부(9)의 대향연(對向緣) 중,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내연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9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9a)의 높이는, 반정제(T)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9a)는, 정제 수용실(5)의 저면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위치에 있는 반정제(T)만의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로터(8)의 살두께는, 반정제(T)의 살두께의 대략 절반 이하이고, 절결부(9)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내연(內緣)도 반정제(T)의 살두께의 대략 절반 이하이다. 이 때문에, 보관 유지부(10)에 적절하게 보관 유지되어 있지 않은 반정제(T)가 공급구(7)에 도달한 시점에서, 절결부(9)의 반경 방향 내측의 내연(9b)에 의해서, 중심(重心)이 공급구(7)측에 없는 것은 정제 수용실(5)측으로 낙하한다. 이것으로써, 공급구(7)로부터 반정제(T)가 2개씩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전기한 로터(8)는, 복수의 기어(11)를 사이에 끼우는 모터 베이스(1)내의 모터(3)에 접속되고, 이 모터(3)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한다. 이것으로써, 공급기 용기(2)내에 수용되는 반정제(T)는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안내 통로(4)의 사이에서 배출된다.
이어서, 전기한 구성의 정제 공급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기한 정제 공급기는, 종래의 기술의 난(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양상으로, 공급기 용기(2)를 약제 포장 장치의 정제 공급부에 설치된 모터 베이스(1)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따라서, 새로운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설비를 이용할 수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든지,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각각의 공급기 용기(2)에는 종류가 다른 반정제(T)가 각각 수용되고, 처방전이나 입력 신호등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것이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즉, 처방전 정보등이 입력되면, 해당하는 정제 공급기의 모터(3)가 구동되어 로터(8)가 회전한다. 정제 수용실내의 반정제(T)는, 로터(8)의 보관 유지부(10)에 보관 유지 상태로 있는 것만이 이동하여, 공급구(7)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서 말하는 보관 유지 상태는, 반정제(T)의 직선부가 공급기 용기(2)의 저면에 맞닿고 있는 것(도 2중, a로 나타냄)과, 직선부가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도 2중, b로 나타냄)이 해당한다. 즉, 반정제(T)는, 직선부의 일단측(一端側)을 절결부(9)의 대향연(對向緣) 중,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내연(內緣)의 돌기(9a)에서 안내되는 것에 의할뿐, 로터(8)의 경사에 의해 탈락하지 않게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관 유지의 반정제( T)는, 로터(8)가 회전하여, 각각의 보관 유지부(10)(절결부(9))가 공급구(7)에 도달함으로써, 하부 방향의 공급기 용기(2)의 저면에 의한 지지를 잃고, 중력에 의해 공급구(7)의 사이에서 배출된다. 기타 반정제(T), 예를 들면, 2중으로 된 것이나 원호측이 외주측으로 위치하는 것등은, 로터(8)가 회전하면, 정제 수용실(5)의 저면 및 로터(8)의 경사, 또는 로터(8)의 절결부(9)의 내연(9b)에 의해서, 공급구(7)에 도달하기 전에, 보관 유지부(10)로부터 확실히 탈락한다. 공급구(7)로부터 배출된 반정제(T)는,낙하 안내 통로(4)를 통과하는 경우, 센서(4a)에 의해 수량이 계수된다. 계수된 수량이 소정의 수에 도달하면, 모터(3)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전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터(8)에 형성되는 정제 지지부를 돌기(9a)에 의해서, 정제 낙하부를 내연(9b)에 의해서 각각 구성하나, 도 5에 나타낸 구성으로서도 좋다.
즉, 로터(8)의 살두께를 반정제(T)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 치수로 함으로써, 절결부(9)의 대향연(對向緣) 중, 로터(8)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내연(9)도 반정제(T)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 치수로 한다. 또한, 로터(8)의 각각의 절결부(9) 중, 로터(8)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내연에 경사면(9c)을 형성한다. 이 경사면(9c)은, 절결부(9)가 공급구(7)로 위치한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0도 이상으로 되면 좋으며, 여기서는 약 15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로 경사되도록 형성한다. 이것은, 보관 유지부(10)에 보관 유지 상태로 있는 반정제(T)가 공급구(7)에 도달된 시점에서, 중심(重心)이 공급구(7)측에 없는 것은 낙하시키기 위해서이다. 이것으로써, 공급구(7)로부터 반정제(T)가 2개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또한, 전기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신하여, 도 8에 나타낸 구성으로 할수도 있다. 즉, 로터(8)의 외주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12)를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돌기(12)로서 보관 유지부(10)를 형성한다. 각각의 보관 유지부(10)에는, 반정제(T)의 절단 부분(직선부)을 얹어놓을 수 있다. 다만, 2개의 반정제(T)는 얹어놓을 수 없는 간격으로 한다.
또한, 로터(8)의 상면(上面)에는, 본 발명의 반송 규제 수단으로서 커버(13)를 회전 불능으로 설치한다. 커버(13)는, 로터(8)의 외주부(보관 유지부(10))를 제외하고 상부 방향측 절반을 덮도록 설치한다. 커버의 외주연(外周緣)(13a)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구(7)로 도달하기 까지의 부분을 보관 유지부(10)측을 향해 경사시키고, 로터(8)가 회전함으로써, 반정제(T)를 그것의 직선부가 보관 유지부(10)로 얹어 놓아 지도록 인도한다. 또한, 커버의 하연(下緣)(13b)은, 로터(8)의 상면을 향해 경사되고, 로터(8)가 회전하여도, 보관 유지부(10)에 보관 유지된 반정제(T) 이외의 반정제(T)가 공급구(7)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의 외주연(外周緣)에 설치된 안내부(14)는, 공급구(7)를 사이에 끼워 돌출하여, 로터(8)의 회전에 의해 반송된 반정제(T)를 공급구(7)로 인도한다. 또한, 커버의 하연(下緣)에는, 로터(8)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부분에 안내편(案內片)(15)을 설치한다. 안내편(15)은, 로터(8)의 회전에 의해서, 그 상면의 반정제(T)를 부드럽게 보관 유지부(10)로 인도한다.
또한, 도 1,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전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공급기(2)로부터 반정제(T)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다각형판상(多角形板狀), 원반상(圓盤狀), 타원판상(楕圓板狀), 구상(球狀), 하드형, 표단형(瓢簞形)등, 여러 가지 형태의 정제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채용 가능하다. 즉, 전기한 보관 유지부(10)의 구성에 의하면, 절결부(9)의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의 내연 및 로터 반경 방향 내측의 내연에 의해서 여러가지 형태의 정제, 특히 반정제(T)를 정확히 보관 유지함에 있어 우수한 것으로 되고 있다.
또한, 도 8에 지원하는 전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터(8)를 경사시켜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로터(8)의 경사 각도를 작게, 혹은, 수평으로 하고, 새로운 반송 규제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반송 규제 수단으로서 판상체(板狀體)나 브러시(brush)등을 공급구(7)의 앞에 설치하여, 로터(8)의 보관 유지부(10)에 보관 유지된 반정제(T)만을 공급구(7)로부터 배출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정제 공급기에 의하면, 로터를 경사시켜 설치하고, 로터에는 대략 U자형의 절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절결부에 정제 지지부와 정제 낙하부를 형성하여서, 보관 유지부에 보관 유지된 정제만을 정확히 공급구로부터 자동 공급할 수 있을 뿐아니라, 정제가 파손하든지, 마모된 가루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게다가 여러가지 형태의 정제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에서 우수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손으로 살포하는 장치등의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 지거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Claims (5)

  1.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에 설치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내에 수용된 정제를 공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정제 공급기에 있어서,
    전기한 공급기 용기의 저면(底面)을 공급구측으로 향해 상부 방향으로 경사시키고, 전기한 로터를 원반상으로 하며, 그 외주부에 대략 U자형의 절결부(切缺部)를 형성하고, 해당 절결부와 전기한 공급기 용기의 저면에서 1개의 정제만을 보관 유지 가능한 보관 유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내연(內緣)은, 정제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 치수의 돌기로서 구성하는 한편,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내연은, 정제의 살두께보다도 얇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내연은, 정제의 살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살두께를 가지며, 전기한 절결부의 로터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내연은, 로터 반경 방향 내부 방향을 향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경사되는 경사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기.
  4. 공급기 용기의 저부(底部)에 설치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기 용기내에 수용된 정제를 공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정제 공급기에 있어서,
    전기한 로터는, 외주부에 전기한 정제를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를 보유함과 동시에, 해당 보관 유지부에 보관 유지된 정제만을 공급구로 반송 가능하게 하는 반송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전기한 보관 유지부는, 로터의 외주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반정제의 직선부를 맞닿게 하는 보관 유지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전기한 반송 규제 수단은, 전기한 보관 유지부를 제외하고 전기한 로터의 대략 상부 방향 절반을 덮도록 회전 불능으로 설치한 커버로서 구성하며, 해당 커버의 외주부에 서서히 전기한 보관 유지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공급기.
KR1020000058084A 1999-10-06 2000-10-04 정제 공급기 KR100729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48799A JP4346173B2 (ja) 1999-10-06 1999-10-06 錠剤フィーダ
JP99-285487 199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21A true KR20010050821A (ko) 2001-06-25
KR100729477B1 KR100729477B1 (ko) 2007-06-15

Family

ID=176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084A KR100729477B1 (ko) 1999-10-06 2000-10-04 정제 공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71093B1 (ko)
JP (1) JP4346173B2 (ko)
KR (1) KR100729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688B2 (ja) * 2001-08-21 2006-06-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4174251B2 (ja) * 2002-07-11 2008-10-29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カセッタ
ATE425464T1 (de) * 2004-09-20 2009-03-15 Thilo Kraem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parameters von objekten
US20060147278A1 (en) * 2004-11-01 2006-07-06 Doug Boring Tilted loader/receiver
US7412302B2 (en) * 2005-04-08 2008-08-12 Jm Smith Corporatio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80093372A1 (en) * 2006-10-23 2008-04-24 Milton Monroe T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pharmaceutical drugs and other objects
US7571023B2 (en) * 2007-04-12 2009-08-04 Jm Smith Corporation Pharmaceutical singulation counting and dispensing system
US9155681B2 (en) * 2011-01-20 2015-10-13 Yuyama Mfg. Co., Ltd. Medicine feeding device and a medicine counting device using the medicine feeding device
JP5975035B2 (ja) * 2011-09-06 2016-08-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KR101421679B1 (ko) * 2012-10-30 2014-07-24 안명구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KR101511263B1 (ko) * 2013-01-23 2015-04-13 주식회사 인포피아 롤링 회전되는 드럼이 내장된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JP6000195B2 (ja) * 2013-07-03 2016-09-2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EP3047836A4 (en) * 2013-09-18 2017-05-10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and drug packaging device
KR101576197B1 (ko) 2014-01-10 2015-12-09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카트리지
CN103879748B (zh) * 2014-04-18 2016-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状零件的分拣装置
CN105816328B (zh) * 2016-03-16 2018-06-22 河南理工大学 一种智能药箱
CN109843760B (zh) * 2016-10-31 2021-05-11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供给装置的控制方法
KR101880924B1 (ko) 2017-09-26 2018-07-23 (주)제이브이엠 약제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7081799B2 (ja) * 2018-04-25 2022-06-07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供給装置及び薬剤払出し装置
US10945924B2 (en) * 2018-08-31 2021-03-16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for pharmaceuticals
US11354968B2 (en) 2020-03-05 2022-06-07 Troy G. Anderson, M.D., P.C. Pill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CN113120564A (zh) * 2021-03-05 2021-07-16 闵强 一种用于物料投料的自动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864A (en) 1959-06-25 1962-07-24 Kerney J Hurst Article counting device
US4869394A (en) 1986-04-28 1989-09-26 Hurst Kerney J Article counting device
JPH0223401A (ja) 1988-07-12 1990-01-25 Fujitsu Ltd 工程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出材促進指示装置
JPH068902A (ja) * 1992-12-10 1994-01-18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
US5860563A (en) * 1997-06-23 1999-01-19 Scriptpro, Llc Medicine vial dispenser
SE516650C2 (sv) * 1997-11-04 2002-02-05 Sensido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dosering och dispensering av läkeme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06201A (ja) 2001-04-17
US6471093B1 (en) 2002-10-29
KR100729477B1 (ko) 2007-06-15
JP4346173B2 (ja)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821A (ko) 정제 공급기
KR100443480B1 (ko) 개선된정제공급기
US5897024A (en) Medicament dispensing cell
EP0354633A2 (en) Medicine feeder
US7510099B2 (en) Cassette for dispensing pills
KR20170034383A (ko) 약제 카세트
AU2018205919A1 (en) Tablet splitting apparatus
JP6590341B2 (ja) 薬剤フィーダ及び錠剤分割装置
KR101573513B1 (ko) 약제 카트리지
WO2020170664A1 (ja) 薬剤ケース及び薬剤供給装置
JP3472018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JP2005247355A (ja) 薬剤フィーダおよびその集合体
JP3372121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JPH09266940A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KR200298990Y1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정제 카세트
EP3973940A1 (en) Tablet cassette
KR200291361Y1 (ko) 자동 정제 분배 시스템
JP2006198421A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KR100563763B1 (ko) 정제 포장장치
CN212679616U (zh) 一种分药装置
JP3397386B2 (ja) 粉体調合システム
JPH08151002A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JP3343422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及びその薬剤収容容器からの薬剤取り出し方法
JP4174251B2 (ja) 薬剤カセッタ
JP3679079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