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651A -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651A
KR20010050651A KR1020000056590A KR20000056590A KR20010050651A KR 20010050651 A KR20010050651 A KR 20010050651A KR 1020000056590 A KR1020000056590 A KR 1020000056590A KR 20000056590 A KR20000056590 A KR 20000056590A KR 20010050651 A KR20010050651 A KR 2001005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rocessed
target
blade
al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11B1 (ko
Inventor
후지모또노리오끼
오노고오지
사꾸라이데쯔오
고사노모또히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523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09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961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373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54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629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5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30Halving devices, e.g. for halving b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72With additional mans to engage work and orient it relative to tool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72With additional mans to engage work and orient it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76By opposed lateral guid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72With additional mans to engage work and orient it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77With means to adjust addition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84Cut made parallel to direction of and during work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84Cut made parallel to direction of and during work movement
    • Y10T83/66With means to press work to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84Cut made parallel to direction of and during work movement
    • Y10T83/6606Tool between laterally spaced work-convey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64Roller
    • Y10T83/6648Continuous conveying during, cutting; e.g., straw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27With means to guide moving work
    • Y10T83/738Curved or deflecting gu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27With means to guide moving work
    • Y10T83/739Positively confines or otherwise determines path of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27With means to guide moving work
    • Y10T83/741With movable or yieldable guide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27With means to guide moving work
    • Y10T83/744Plural guide elements
    • Y10T83/745Oppo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는 자세 정렬 기능을 갖는 정제 반송 기구에 있어서, 소형화에 적합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제 자세 정렬 기능을 갖는 정제 반송기는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이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제를 소정 거리 낙하시키는 사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Tablet Conveying Apparatus and Tablet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제의 자세 정렬 기능을 갖는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병원이나 조제 약국에 있어서는 처방전에 근거하여 환자에게 정제를 제공할 때, 하나의 정제로는 과잉이 되는 처방의 경우나 먹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정제를 분할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한 알의 정제를 분할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수작업으로 정제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할용의 분할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정제도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6-41546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정제 절단기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수작업으로는 능률이 좋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3-114241호 공보나 특허 공개 평2-29257호 공보와 같은 자동 분할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분할기는 대향하는 벨트에 의해서 좌우로부터 정제를 협지하여 회전 절단기(또는 상하로 동작되는 날이 얇은 절단기)의 위치까지 벨트로 반송하는 기구이며, 원형 정제를 도10a와 같이 절단하는 것이다. 이 자동 분할기는 원형 정제 전용으로 생각되며, 타원형(또는 단면이 긴 원형)의 정제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타원형의 정제인 경우에는 도10b와 같이 절단될 우려가 있어 적절하지 못하다.
즉, 이러한 타원형의 정제인 경우에는 좌우의 벨트로 안정적으로 협지할 수가 없으므로, 반송중인 정제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일정해지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절단기까지 반송된 정제와 절단기의 위치 관계가 일률적으로 정해지지 않아, 예를 들어 등분해서 절단하는 경우에도 등분해서 절단하지 못하게 된다.
본원은 정제가 도10c와 같이 절단되도록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고, 또한 정제를 반송하는 정제 자세 정렬 기능을 갖는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 이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기구로서는 정제 검사용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201644호 공보). 그러나, 이것은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공장용의 대규모 장치에는 적합하지만, 조제 약국용의 자동 분할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원은 조제 약국용의 자동 분할 장치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정제의 형상에 관계없이 이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여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정제 반송 장치 및 정제 분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또 다른 하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종단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협지 기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협지 기구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정제 분할기의 보유 지지용 롤러와 회전날 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정제 분할기의 또 다른 하나의 사시도.
도10a 내지 도10c는 도1의 정제 분할기의 개관도.
도11은 정제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7a 내지 도1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사시도.
도19a 및 도19b는 이 제4 실시예의 받침 접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은 이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내부의 개략도.
도21은 이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2는 이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3은 이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4a 내지 도24c는 이 제4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개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제 분할기(정제 분할 장치)
2, 3, 4 : 측벽
8 : 정제 공급기
12, 13 : 통로벽
14 : 통로
16 : 회전 아암
16A : 누름판
18 : 사면판
21 : 보유 지지용 스프링
22 : 셔터
23 : 보유 지지용 롤러(회전 롤러)
36 : 회전날
41, 42 : 협지판
53 : 협지 기구
본 발명은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는 정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이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제를 소정 거리 낙하시키는 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상기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은 회전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은 승강하는 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송 수단은 회전 롤러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날이 위치하는 홈(23A)을 중심에 구비하는 동시에, 이 홈을 중심으로 한 양측의 롤러부에 대상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수단은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수단은 원호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렬 수단은 원호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과, 이 압박되어 있는 피처리 정제의 선단부 위치에 접촉하고 이 선단부 위치에 반경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규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 분할 장치는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것으로서, 회전하여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날과,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회전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피처리 정제를 회전날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정렬 수단에 의해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을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고, 이 상태에서 피처리 정제를 협지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회전날에 대한 피처리 정제의 위치 맞춤을 행한 후, 반송 수단에 의해 피처리 정제를 회전날에 반송하여 절단하므로, 예를 들어 타원형의 정제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정제이더라도 회전날에 반송되었을 때의 피처리 정제의 회전날에 대한 위치 및 자세를 일률적으로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날은 누름 절단식의 절단기에 비해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그 형상에 관계없이 피처리 정제를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 분할 장치는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것으로서, 회전하여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날과, 원호형의 통로를 이동시킴으로써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고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 수정 수단과, 이 자세 수정 수단에 의해 자세가 수정된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회전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피처리 정제를 회전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협지하여 회전날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회전날에 의한 절단시에 피처리 정제에 가해지는 힘이 회전 롤러에 작용하도록 회전날과 반송 수단의 상대 위치 및 회전날의 회전 방향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고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 수정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만일 정렬 수단에 의해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을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키지 못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피처리 정제를 회전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협지하여 회전날까지 반송하도록 하고, 또한 회전날에 의한 절단시에 피처리 정제에 가해지는 힘이 회전 롤러에 작용하도록 회전날과 반송 수단의 상대 위치 및 회전날의 회전 방향을 설정했으므로, 피처리 정제 또는 회전날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도 없어지고,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케이스와, 이 정제 케이스로부터 낙하 공급된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정제 케이스로부터 낙하 공급된 정제의 낙하 경로중에 설치된 자세 변경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상기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의 구동전에 상기 피처리 정제의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위치의 범위내에서 확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11은 본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의 개관도이다. 도1 및 도2는 덮개를 분리한 정제 분할기(1)의 사시도, 도3은 정제 분할기(1)의 개략 평면도, 도4는 정제 분할기(1)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0은 정제가 수납된 정제 케이스이며, 정제 공급기(후술)에 부착된다.
이 덮개를 분리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서 본원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시예의 정제 분할기(1)는 기본적으로는 3장의 측벽(2, 3, 4)과, 바닥벽(6) 및 상부벽(7)으로 이루어지는 상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부벽(7) 상에 정제 공급기(8)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벽(7) 하방에 가설된 가로판(11) 상에는 원호형의 통로벽(12, 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통로벽(12, 13)은 각 원호의 중심을 동일하게 한 상태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 원호형의 통로(14)를 구획하고 있다. 이 통로(14)의 일단부(대향하여 우측 단부)는 상기 정제 공급기(8)의 슈트부 하방에 배치된 규제판(9)의 하방에 대응하고 있고, 타단부는 상기 측벽(2, 3)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이 규제판(9)은 생략해도 지장은 없다.
도면 부호 16은 가로판(11)의 하면에 부착된 회전 아암 모터(17)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 아암이고, 그 회전 중심은 상기 통로벽(12, 13)의 원호의 중심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 아암(16)은 상기 통로(14)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고 통로(1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누름판(16A)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아암 모터(17)에 의해 회전되며, 그에 따라서 누름판(16A)은 통로(14)의 내부를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소정 속도로 이동한다.
도면 부호 18은 이 통로(14)의 타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된 사면판(자세 수정 수단)이며, 측벽(2, 3) 사이에서 전방측에 낮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사면판(18)과 상기 규제판(9) 사이의 통로(14) 내에는 규제판(19)이 부착되어 있다. 이 규제판(19)은 외측의 통로벽(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통로벽(12)으로부터 해당 통로벽(12)의 원호의 중심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규제판(19)은 변형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통로벽(12, 13), 통로(14), 회전 아암(16)과 규제판(19) 등으로 정렬 수단이 구성된다. 또, 상기 규제판(19)은 예를 들어 통로벽(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철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에 의해 통로벽(12)의 원호의 중심을 향해서 압박 지지하는 방식이라도 지장은 없다.
상기 사면판(18)의 하단부에는 동일한 경사로 연속되고 또한 전방측이 수평 방향으로 원활하게 굴곡된 보유 지지용 스프링(판 스프링)(21)이 설치되고, 측벽(2, 3)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보유 지지용 스프링(21) 상에는 셔터(22)가 배치되고, 또 이 셔터(22)의 약간 하방(전방측)에는 보유 지지용 롤러(회전 롤러)(23)가 측벽(2, 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보유 지지용 스프링(2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셔터(22)는 측벽(2)의 외측에 부착된 셔터 모터(24)에 크랭크판(26, 27)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이 셔터 모터(24)가 회전하면 크랭크판(26, 27)이 구성하는 크랭크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또한, 상기 보유 지지용 롤러(23)는 측벽(2)의 외측에 부착된 롤러 모터(31)에 소형 풀리(32), 대형 풀리(33) 및 벨트(34)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이 롤러 모터(31)가 회전함으로써 감속된 저속으로 도4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들 보유 지지용 롤러(23) 및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으로 반송 수단이 구성된다.
다음에, 도면 부호 36은 보유 지지용 롤러(23) 및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치된 회전날이다. 이 회전날(36)은 측벽(2)의 외측에 부착된 회전날 모터(37)의 회전축에 고정 기구(38)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고, 측벽(2)과 측벽(3) 사이의 중앙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회전날 모터(37)의 회전에 의해서 도4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보유 지지용 롤러(23) 및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중복되는 위치에 홈(23A, 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날(36)의 상부는 이 홈(21A, 23A)을 통과하여 보유 지지용 롤러(23)의 내부까지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날(36)이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이나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도면 부호 54는 회전날(36)의 하방에 배치된 받침 접시이다.
한편, 사면판(18) 및 그에 이어지는 부분인 보유 지지용 스프링(21) 상의 좌우에는 한 쌍의 협지판(41, 42)(협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각 협지판(41, 42)은 각각 슬라이드판(43, 44)에 고정되어 있고, 각 슬라이드판(43, 44)은 기판(46)과 좌우의 누름판(47, 48)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때, 협지판(41, 42)은 기판(46)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드판(43, 44)은 기판(46)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양자는 기판(46)에 형성된 절결(46A, 46A)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판(43, 44)의 대향면 좌측 단부에는 핀(43A, 44A)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각 핀(43A, 44A)은 기판(46)의 이면에 부착된 협지판 모터(51)의 회전축에 부착된 로드(52) 양단부의 홈(52A, 52B)에 회전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협지판(41, 42), 슬라이드판(43, 44), 기판(46), 누름판(47, 48), 협지판 모터(51), 로드(52) 등에 의해 협지 기구(53)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협지판 모터(51)가 회전하여 로드(52)가 도6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드판(43)은 도6중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그리고 슬라이드판(44)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협지판(41, 42)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반대로, 협지판 모터(5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52)가 도6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드판(43)은 도6중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그리고 슬라이드판(44)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협지판(41, 42)은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단, 양 협지판(41, 42) 사이의 중심 위치는 측벽(2, 3) 사이의 중앙에 항상 합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이상의 회전 아암 모터(17), 셔터 모터(24), 롤러 모터(31), 협지판 모터(51)는 스텝핑 모터로 구성되고, 회전날 모터(37)는 DC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정제 공급기(8)의 슈트부로부터는 타원형(또는 긴 원형)의 정제가 한 개씩 배출되는 것으로 하면, 배출된 정제(피처리 정제)(M)는 규제판(9)에 접촉하여 방향을 바꾸어 통로(14) 내로 낙하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회전 아암 모터(17)를 구동하여 회전 아암(16)을 도3중 반시계 방향(도3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 아암(16)의 누름판(16A)은 낙하한 정제(M)를 규제판(19)으로 밀어서 이동시켜 간다. 이 누름판(16A)의 압박력에 의해, 정제(M)는 누름판(16A)의 면을 따르도록 자세가 바뀌고, 그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이와 같이 누름판(16A)에 압박되어 정제(M)가 다음에 규제판(19)에 접촉하면, 규제판(19)은 그 탄성에 의해서 선단부로부터 개방되면서 변형하고, 그 반력으로서 정제(M)에 경사 방향의 힘을 가한다. 이 규제판(19)으로부터의 힘과 누름판(16A)이 압박하는 힘의 벡터의 총 합계에 의해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므로, 정제(M)의 자세는 한층 더 그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직교하도록 정렬되게 된다.
이 규제판(19)을 통과한 정제(M)는 결국 사면판(18)에 이르고, 그곳을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과정에서 정제(M)의 자세는 그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확실하게 직교하게 된다.
또, 이 때 협지판(41, 42)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정제(M)는 양 협지판(41, 42) 사이를 미끄러져 떨어진다. 또한, 회전 아암(16)은 그 후 도3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 셔터(22)는 강하되어 있으므로, 사면판(18)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제(M)는 이 셔터(22)에 막혀 멈추게 된다.
셔터(22)에 막혀 멈춰진 상태에서는 정제(M)의 중심 위치가 측벽(2, 3) 사이의 중앙에 합치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제어 장치는 우선 셔터 모터(24)를 구동시켜 크랭크판(26, 27)에 의해 셔터(22)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협지판 모터(51)를 구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협지판(41, 42)을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협지판(41, 42)이 이동하면, 결국 어느 하나의 협지판(41 또는 42)에 정제(M)가 접촉하고, 그 중심이 측벽(2, 3)의 중앙에 합치된 시점에서 정제(M)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협지판(41, 42)으로 협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정제(M)의 자세는 그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며, 또한 그 중심이 측벽(2, 3)의 중앙, 즉 회전날(36)의 연장선 상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게 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는 롤러 모터(31)에 의해 보유 지지용 롤러(23)를 천천히 회전시키는 동시에[이 때 회전날(36)은 회전하고 있음], 협지판 모터(51)에 의해 양 협지판(41, 42)을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정제(M)는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이르고, 해당 보유 지지용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상하로부터 탄성적으로 협지된 상태로 도4의 좌측 방향, 즉 회전날(36)의 방향으로 천천히 반송된다. 회전날(36)에 이른 정제(M)는 그 중심이 회전날(36)의 위치에 합치되어 있으므로, 중앙이 절단되어 정확하게 이분되게 된다. 그리고, 이분된 정제는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의해 또 다시 송출되어 받침 접시(54) 내로 낙하한다.
이 때의 정제(M)의 두께는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이 하방으로 변형함으로써 흡수된다. 또한, 회전날(36)은 홈(21A, 23A) 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동시에,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압박된 상태로 회전날(36)에 의해 절단되므로, 그 때의 힘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이 아니라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형의 통로(14) 내부를 회전 아암(16)에 의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정제(M)의 길이 방향을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고, 이 상태에서 협지판(41, 42)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회전날(36)에 대한 정제(M)의 중심의 위치 맞춤을 행한 후,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의해 정제(M)를 회전날(36)에 반송하여 절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타원형이나 긴 원형의 정제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정제이더라도 회전날(36)에 반송되었을 때의 정제(M)의 회전날(36)에 대한 위치 및 자세를 일률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36)은 누름 절단식의 절단기에 비해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정제(M)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그 형상에 관계없이 정제(M)를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면판(18)을 낙하시켜 정제(M)의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자세를 수정하므로, 만일 통로(14)를 빠져나온 시점에서 정제(M)의 길이 방향을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킬 수 없던 경우에도 확실하게 정제(M)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정제(M)를 보유 지지용 롤러(23) 및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협지하여 회전날(36)까지 반송하도록 하고, 또한 회전날(36)에 의한 절단시에 정제(M)에 가해지는 힘이 보유 지지용 롤러(23)에 작용하도록 회전날(36)과 보유 지지용 롤러(23) 등의 상대 위치 및 회전날(36)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정제(M) 또는 회전날(36)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협지판(41, 42)을 슬라이드판(43, 44)의 핀(43A, 44A)과 로드(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구조에 의해 근접·이격 구동시켰지만, 그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판 모터(51)의 회전축에 부착된 풀리(66)와 그 측방의 풀리(67) 사이에 걸쳐진 벨트(61)를 기판(46)의 좌우에 설치하고, 왕복하는 벨트(61)의 이동로에 연결판(62)을 거쳐서 상기 슬라이드판(43)을 고정하고, 복귀로에 연결판(63)을 거쳐서 상기 슬라이드판(44)을 고정하는 방식이라도 좋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7과 동일 부호의 것은 동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도, 협지판 모터(51)의 정회전·역회전에 의해서 벨트(61)의 이동로·복귀로를 좌우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슬라이드판(43, 44)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벨트 구동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어로 동일한 동작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기판(46)이 거의 직립되어 있지만, 이것은 사면판(18)의 거리 치수를 전술한 실시예에 비교하여 짧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면판(18)을 낙하 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정제(M)의 낙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의 정제를 분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통상의 원형의 정제인 경우에도 중심에서 마찬가지로 이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12 내지 도17d를 참조하면서 규제판(19)을 철판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7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9'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통로벽(12)의 원호의 중심을 향해서 압박 지지된 규제판이다. 규제판(19')은 통로벽(12)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통로벽(12)의 원호의 중심을 향해서 압박 지지되어 있다.
도면 부호 16'는 회전 아암, 16A'는 누름판, 16B'는 규제판용의 규제 레버이다.
도면 부호 23'는 보유 지지용 롤러이다. 이 보유 지지용 롤러(23')는 도13에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고무로 된 롤러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23A')의 좌우 양측의 요철이 대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요철은 정제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데, 본 실시예의 제1 목적은 그것이 아니다.
즉, 도2의 실시예의 롤러(23)를 회전시키면 정제가 반송되는데, 이 때 홈(23A)의 좌우 양측의 롤러가 동일한 타이밍으로 정제의 반송을 개시한다고는 할 수 없다. 가끔, 한 쪽의 롤러측에 의한 반송이 빠르면 정제는 기울게 된다.
이 도13의 실시예에서는 요철을 좌우 대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홈(23A')의 좌우 양측의 롤러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정제의 반송을 개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도12 내지 도17d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분할 조작이 행해지면 회전 아암(16), 협지판(41, 42)은 초기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선 한 개의 정제가 정제 공급기로부터 배출된다.
회전 아암 모터(17)가 구동되어 누름판(16A')이 정제(M)를 가압한다.
그리고, 도14,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는 규제판(19')에 접촉한다. 그리고, 정제(M)의 긴 변측이 누름판(16)의 면을 따르게 된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는 사면판(18)을 미끄러져 떨어져서 셔터(22)에 접촉하여 멈춘다. 이 때, 규제 레버(16B')에 의해 누름판(16A)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까지 규제판(19')도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가 규제된다.
이 사면판(18)의 기능을 도17a 내지 도17d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7a 및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는 미끄러져 떨어진다. 여기서, 도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가 서 있는 경우가 적은 가능성이기는 하지만 존재한다. 이 때, 도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를 눕힐 수 있다.
다음에, 셔터(22)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제(M)는 사면(18) 및 판 스프링(21)상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데, 이 때 정제(M)의 자세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기운채로 롤러(23')에 접촉하면, 그 기운 자세대로 롤러(23')에 물려들어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셔터(2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셔터(22)에 의해 정제(M)의 긴 변측이 이 셔터(22)의 면을 따르므로, 정제(M)의 자세가 기울었다고 해도 바로 잡혀지게 된다.
그 후, 셔터(22)를 개방하여 정제(M)를 롤러(23')의 접촉 위치까지 떨어뜨린다. 이 때의 낙하 거리는 짧으므로, 정제(M)가 롤러(23')에 물려드는 일은 없다.
다음에, 협지판(41, 42)은 중앙 방향(도16의 E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제(M)의 중심과 회전날(36)의 위치를 맞춘다.
다음에, 롤러(23')를 구동하여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정제를 보유 지지한다.
그 후, 바로 협지판(41, 42)을 확대 개방하여(도16의 E와는 반대 방향)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제(M)는 롤러(23')에 의해 반송되고, 회전날(36)에 의해 절단된다. 이 절단시, 회전날(36)에 의한 힘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이 아니라 롤러(23')측에 작용하므로, 회전할 때도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한 정제(M)의 보유 지지력이 작아지는 일은 없으며 안정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날(36)에 의해 정제(M)를 절단했지만, 별도로 상하로 동작하는 절단기(길로틴 커터)로 분할해도 좋다. 요는, 절단 위치까지 정제를 소정의 자세로 가지런히 하여 반송하는 것이 중요하며, 절단되는 위치까지 반송된 정제를 회전날로 절단해도 좋고, 또는 상하로 동작하는 길로틴 절단기로 절단해도 좋다.
그런데, 이러한 정제 분할기에서는 분할기에 미세한 가루가 비산한다. 이로 인해, 청소가 간단한 정제 분할기가 필요해지고 있다. 즉,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하면 좋다.
도18 내지 도24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17d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정제 분할기에서는 측벽(2)의 대향하는 쪽에 가능한 한 가동 부분을 배치하고, 이들 부분측의 기구를 간단하게 하여 청소를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도18은 정제 분할기(1')의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 54'는 이분할한 정제를 수납하는 받침 접시이다. 이 받침 접시(54')를 도19a 및 도19b에 도시한다. 도면 부호 102는 정제 분할기의 분리 덮개이다.
도20에 있어서, 도면 부호 19'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통로벽의 원호의 중심을 향해 압박 지지된 규제판이다. 16'는 회전 아암, 16A'는 누름판, 16B'는 규제판용의 규제 레버이다.
42', 41'는 협지판이다.
23'는 보유 지지용 롤러이다. 이 보유 지지용 롤러(23')는 그 고무로 된 롤러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의 요철이 대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분할 조작이 행해지면 회전 아암(16'), 협지판(41', 42')은 초기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우선 한 개의 정제가 정제 공급기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도20과 같이 정제(M)가 통로(14)로 떨어진다.
회전 아암 모터(17')가 구동되어 누름판(16A')이 정제(M)를 가압한다.
그리고,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는 규제판(19')에 접촉한다. 그리고, 정제(M)가 직사각형 모양이면 긴 변측이 누름판(16A')의 면을 따르게 된다. 이 도21에서는 정제(M)는 원통 형상이므로, 이 정제에서는 자세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 누름판(16A')이 회전하여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는 사면판(18)을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 규제 레버(16B')에 의해 누름판(16A')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규제판(19')도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가 규제된다.
낙하한 정제는 셔터(22')에 접촉하여 멈춘다.
그리고, 셔터(22')를 개방하여 정제(M)를 롤러(23')의 접촉 위치까지 떨어뜨린다. 이 때의 낙하 거리는 짧으므로, 정제(M)가 롤러(23')에 물려드는 일은 없다.
다음에, 협지판(41', 42')은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제(M)의 중심과 회전날(36)의 위치를 맞춘다.
앞서의 제3 실시예에서는 다음에 롤러(23')를 구동했다. 정제(M)는 협지판(41', 42')에 협지된 상태인데, 이 협지판(41', 42')에 의한 협지력이 약하면 문제없이 정제는 롤러(23')에 의해 반송된다. 그러나, 협지력이 강하면 롤러(23')에 의해 반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협지력이 약하면 문제없이 정제는 롤러(23')에 의해 반송된다. 그러나, 협지판(41', 42')의 구동용으로 토크가 큰 모터(도시 생략)를 채용하면 협지력이 강해져서 롤러(23')에 의한 반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롤러(23')의 구동전에 협지판(41', 42')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정제(M)가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정제를 보유 지지하는 개시시에 정제(M)가 기울 우려가 발생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롤러(23')의 구동전에 협지판(41', 42')이 약간만 확대 개방되도록 제어했다.
이 확대 개방후에 롤러(23')를 구동한다. 정제(M)가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정제를 보유 지지하는 개시시에는 이 협지판(41', 42')이 안내부의 역할을 다하고 정제(M)가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정제(M)가 기울지 않으며, 롤러(23')와 보유 지지용 스프링(21)에 의해 정제가 반송된다.
그 후, 협지판(41', 42')이 더욱 확대 개방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정제(M)는 롤러(23')에 의해 반송되고, 회전날(36)에 의해 절단된다.
그리고, 이분할된 정제는 받침 접시(54')로 떨어진다.
그런데, 정제 케이스(100)로부터의 정제의 낙하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a에 개략을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케이스(100)로부터 낙하한 정제(M)는 통로에 가로 놓여진다. 그러나, 정제가 도24b와 같이 원통 형상인 경우, 낙하한 정제(M)가 설 가능성이 있다. 이 선 정제(M)는 사면판(18)에 의해 가로 놓여지지만, 선채로 셔터(22')의 위치까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원에서는 도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M)의 낙하 경로에 자세 변경판(101)을 부착하여 정제(M)를 가로 눕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는 경우에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이외의 형상의 정제이더라도 정제를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 수단에 의해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을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고, 이 상태에서 피처리 정제를 협지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회전날에 대한 피처리 정제의 위치 맞춤을 행한 후, 반송 수단으로 피처리 정제를 회전날에 반송하여 절단하므로, 예를 들어 타원형의 정제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정제이더라도 회전날에 반송되었을 때의 피처리 정제의 회전날에 대한 위치 및 자세를 일률적으로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회전날은 누름 절단식의 절단기에 비해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그 형상에 관계없이 피처리 정제를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고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 수정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만일 정렬 수단에 의해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을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킬 수 없던 경우에도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피처리 정제를 회전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협지하여 회전날까지 반송하도록 하고, 또한 회전날에 의한 절단시에 피처리 정제에 가해지는 힘이 회전 롤러에 작용하도록 회전날과 반송 수단의 상대 위치 및 회전날의 회전 방향을 설정했으므로, 피처리 정제 또는 회전날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도 없어지고,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13)

  1. 정제의 자세를 가지런히 하는 정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이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제를 소정 거리 낙하시키는 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반송 장치.
  2.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상기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은 회전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은 승강하는 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회전 롤러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날이 위치하는 홈(23A)을 중심에 구비하는 동시에, 이 홈을 중심으로 한 양측의 롤러부에 대상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수단은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수단은 원호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수단은 원호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처리 정제를 압박하는 누름판과, 이 압박되어 있는 피처리 정제의 선단부 위치에 접촉하고 이 선단부 위치에 반경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규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10.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회전하여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날과,
    상기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상기 회전날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11.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회전하여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날과,
    원호형의 통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고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낙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자세를 수정하는 자세 수정 수단과,
    이 자세 수정 수단에 의해 자세가 수정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회전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회전 롤러 및 스프링에 의해 협지하여 상기 회전날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에 의한 절단시에 상기 피처리 정제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회전 롤러에 작용하도록 상기 회전날과 반송 수단의 상대 위치 및 회전날의 회전 방향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12. 피처리 정제를 소정 위치에서 분할하는 정제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 케이스와,
    이 정제 케이스로부터 낙하 공급된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정제 케이스로부터 낙하 공급된 정제의 낙하 경로중에 설치된 자세 변경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13. 피처리 정제를 절단하기 위한 날과,
    상기 피처리 정제를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 정제의 길이 방향이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과,
    이 정렬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낙하시키는 사면과,
    이 사면을 낙하한 상기 피처리 정제를 받아내고 해당 피처리 정제를 정렬시키는 셔터 수단과,
    이 셔터 수단에 의해 정렬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상기 날에 대하여 해당 피처리 정제의 위치를 맞추는 협지 수단과,
    이 협지 수단에 의해 위치 맞춤된 상기 피처리 정제를 절단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의 구동전에 상기 피처리 정제의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위치의 범위내에서 확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할 장치.
KR1020000056590A 1999-09-28 2000-09-27 정제 분할 장치 KR100744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23399A JP3670903B2 (ja) 1999-09-28 1999-09-28 錠剤分割機
JP99-275233 1999-09-28
JP99-319614 1999-11-10
JP31961499A JP2001137314A (ja) 1999-11-10 1999-11-10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分割装置
JP2000-245438 2000-08-11
JP2000245438A JP4416292B2 (ja) 2000-08-11 2000-08-11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分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51A true KR20010050651A (ko) 2001-06-15
KR100744911B1 KR100744911B1 (ko) 2007-08-01

Family

ID=2845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90A KR100744911B1 (ko) 1999-09-28 2000-09-27 정제 분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938530B1 (ko)
KR (1) KR100744911B1 (ko)
TW (1) TW524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5645A2 (en) * 2003-09-08 2005-03-24 Ash Access Technology, Inc. Anti-clotting indwelling catheter
KR101027589B1 (ko) 2008-09-18 2011-04-0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공급장치
WO2012014533A1 (ja) * 2010-07-29 2012-02-0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割装置
CA2842908A1 (en) * 2011-08-16 2013-02-21 Tosho, Inc. Tablet splitting apparatus
EP2771640B1 (en) * 2011-10-25 2021-01-20 Sotax Ag Tablet testing device
CN114378873B (zh) * 2021-12-20 2024-05-03 南京鑫优伟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用药片精准分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6070A (en) * 1954-07-30 1959-09-29 George O Shecter Device for dispensing and counting homogeneous objects
US3363741A (en) * 1966-09-21 1968-01-16 Owens Illinois Inc Article conveying apparatus
US3727495A (en) * 1971-10-04 1973-04-17 Continental Can Co Automatic partition cutting machine
DE2640478C3 (de) * 1976-09-08 1982-03-18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m Sammeln von Filmabschnitten
US4205743A (en) * 1978-05-26 1980-06-03 Whitmore Henry B Conveyor feeder for candy eggs
US4199863A (en) 1978-07-12 1980-04-29 Deckert Rosalie E Pill cutter
JPH0615370Y2 (ja) * 1987-02-20 1994-04-20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ハ−ネス受取り装置
GB2214500A (en) * 1988-01-29 1989-09-06 Microspan Process Controls Tablet alignment apparatus
JP2656805B2 (ja) 1988-07-19 1997-09-24 園部 尚俊 錠剤分割機
JPH03114241A (ja) 1990-08-09 1991-05-15 Shinkawa Ltd リードフレーム押え装置
JPH05319553A (ja) * 1992-05-22 1993-12-03 Nec Corp ワーク部材の整列装置
JPH0641546A (ja) 1992-07-23 1994-02-15 Toyo Dainamu Kk スチレン樹脂廃棄物の油化方法
JP3269902B2 (ja) 1993-12-29 2002-04-02 太陽誘電株式会社 磁器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5499708A (en) * 1994-06-22 1996-03-1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Elongate member orienting ramp
US5826696A (en) * 1994-08-11 1998-10-27 Walter Grassle Gmbh Apparatus for separating small articles
US5988858A (en) * 1995-06-09 1999-11-23 Kabushiki Kaisha Yuyama Seiksakusho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rugs
US5857672A (en) * 1995-10-20 1999-01-12 Stone Container Corporation Apparatus for rotat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US6488192B1 (en) * 1999-04-21 2002-12-03 Yuyama Mfg. Co., Ltd. Tablet cutting apparatus
JP4141004B2 (ja) * 1998-03-04 2008-08-27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KR100685521B1 (ko) * 2006-04-27 2007-02-26 주식회사 대영테크 자동화기기용 작업물 정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4688B (en) 2003-03-21
US20040149100A1 (en) 2004-08-05
US6823980B2 (en) 2004-11-30
KR100744911B1 (ko) 2007-08-01
US6938530B1 (en) 2005-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682B2 (ja) 包装開梱処理装置
CN100577542C (zh) 超长薄膜的运送装置和运送方法
US5848868A (en) Wafer conveying apparatus
KR100744911B1 (ko) 정제 분할 장치
CN104885588A (zh) 带自动处理装置及带自动安放装置
US4643626A (en) Card item stacker capable of readily taking out card items
KR910001989B1 (ko) 부품삽입장치
JP2001137314A (ja)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分割装置
JP2002052068A (ja)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分割装置
JP3670903B2 (ja) 錠剤分割機
CN215357918U (zh) 手机屏磨削送料机
CN115764500A (zh) 一种自动插针装置
CN110573445A (zh) 玻璃板的搬运装置及玻璃板的制造方法
JP2002325824A (ja) 錠剤分割装置
JPH067715Y2 (ja) 錠剤分割機
JP2002325821A (ja) 錠剤分割装置
JP3750670B2 (ja) たばこパック整列装置
JP2013000876A (ja) 耳落とし装置
JP2003000683A (ja) 錠剤分割装置
JP2002325822A (ja) 錠剤分割装置
CN220148340U (zh) 一种药品输送轨道
JP7341320B2 (ja) 半田切断装置、半田切断ユニット、部品実装装置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H01210298A (ja) シート束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US20210094337A1 (en) Trimmer
JP2006326959A (ja) 製本機の冊子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