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427A - 승강식 수납 유닛 - Google Patents

승강식 수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427A
KR20010049427A KR1020000028666A KR20000028666A KR20010049427A KR 20010049427 A KR20010049427 A KR 20010049427A KR 1020000028666 A KR1020000028666 A KR 1020000028666A KR 20000028666 A KR20000028666 A KR 20000028666A KR 20010049427 A KR20010049427 A KR 20010049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ack
storage
lifting
arm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118B1 (ko
Inventor
다오무네오
시라이시게루
오야마마코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88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76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250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11942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랙(rack)이 있는 승강식 수납 유닛(unit)에 관한 것이다.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캐비넷(cabinet)(11)과, 수납 캐비넷(11)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 랙과, 수납 캐비넷(11)에 대하여 이동하려는 수납 랙(18)을 지지하는 회전 아암(arm)(13, 14)과, 회전 아암(13, 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아암(13, 14)은, 수납 랙(18)이 수납 캐비넷(11)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인출 위치와, 수납 랙(18)이 수납 캐비넷(11)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는 격납 위치 사이의 비교적 큰 각도에 상당하는 거리를 이동한다. 인출 위치에서는, 수납 랙(18)은,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최상부(最上部)(23)에 위치하여, 그것에 의해 사용자는 발끝으로 서지 않고도 수납 랙(18)에 손이 닿는다.

Description

승강식 수납 유닛{A STORAGE UNIT hAVING AN ELEVATING RACK}
본 발명은 부엌등에서 사용하는 승강식 수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식 수납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제7 - 303534호 공보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승강식 수납 장치가 있다. 도 9는 종래의 승강식 수납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승강식 수납 장치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승강식 수납 장치는, 수납 캐비넷(1)과, 수납 캐비넷(1)내에 설치된 수납 랙(2)과, 수납 랙(2)을 자유 자재로 승강되게 지지하는 직선 형상으로된 회전 아암(3, 4)을 갖는 일단의 승강 지지 장치(5)로서 구성된다.
수납 랙(2)은, 회전 아암(3, 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승강 조작용 핸들(6)을 가진 수납 랙(2)을 끌어 내리는 것에 의해, 높은 곳에 설치된 수납 캐비넷(1)으로부터 수납 랙(2)을 강하시켜서, 수납물을 낮은 위치에서 출납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연결축(7)은, 회전 아암(3, 4)이 동기로 회전 이동되도록 회전 아암(3)의 밑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축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수납 랙(2)을 자유 자재로 승강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2개의 직선 형상의 회전 아암(3, 4) 때문에, 수납 랙(2)의 승강 스트로크(stroke)는, 지지점간 거리와 회전 각도로서 결정된다. 이때문에 수납 랙(2)을 크게 강하시킬 수가 없고, 키가 작은 사용자에게는 수납물의 출납에 받침대등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최대 강하 위치에 있어서, 수납 캐비넷(1)의 하측 1/3은 수납 랙(2)에 가려져서, 수납 캐비넷(1)내에 낙하물이 존재해도 보이지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도 없는 상황에 있었다.
또한, 수납 랙(2)은, 회전 이동 승강시에 연동 연결축(7)과 수납 캐비넷(2)의 밑판(8)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수납 랙(2)의 후방 하부에 모서리 도피부(9)가 필요하게 되어서, 평면적인 수납 면적이 감소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납 랙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하기 편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캐비넷과, 전기한 수납 캐비넷내에 설치된 수납 랙과, 전기한 수납 랙을 자유 자재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회전 아암과, 전기한 회전 아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전기한 수납 랙의 최상부를 수납 캐비넷의 밑판과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의 높이까지 강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수납 랙의 최상부는 수납 캐비넷의 밑판과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의 높이까지 강하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납 랙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수납 랙의 최상부 이상으로 손을 닿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캐비넷과, 전기한 수납 캐비넷내에 설치된 수납 랙과, 전기한 수납 랙을 자유 자재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회전 아암과, 전기한 회전 아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전기한 수납 랙의 최상부를 수납 캐비넷의 밑판과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의 높이까지 강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수납 랙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할 수 있고, 수납 랙의 최상부 이상으로 손이 닿게 되는 사용하기 편리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랙의 최대 강하 위치에 있어서, 수납 캐비넷의 밑판면까지 보기 쉽게 됨으로써 낙하물등이 존재해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꺼낼 수가 있다. 또한, 수납 랙을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로 강하시키는 것은, 회전 아암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크게할 필요가 있으나, 이 지지점간의 거리를 크게함으로써, 커다란 원호의 회전 이동이 되어서, 수납 랙에 모서리 도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수납 랙의 밑면 전부에서 평면적인 수납 면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랙의 밑면을 전면으로부터 배면부까지 평면 형상을 함으로써, 수납 랙의 밑면 전체에 평면적인 수납 면적을 얻을 수 있고, 모서리부의 수납성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수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한쪽의 회전 아암을 수납 캐비넷의 밑판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하여 굴곡시키고, 선단(先端)을 다시 역방향으로 굴곡시킨 대략 S자형 아암으로 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회전 아암을 대략 S자형 아암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하여 굴곡된 대략 L자형 아암으로 함으로써, 수납 랙을 승강시에 수납 캐비넷에 접촉하는 것도, 양(兩) 회전 아암끼리 간섭하는 것도 없어서, 수납 랙을 단일 직선상 아암보다도, 보다 낮은 위치까지 강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회전 아암을 2개의 대략 L자형 아암으로 구성함으로써, 청구항3과 동일 모양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추가해서, 프레스 가공시에 있어서의 회전 아암의 재료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회전 아암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회전 아암을 대략 L자형 아암과 직선상(直線狀) 아암으로 구성함으로써, 청구항3의 발명과 동일 모양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나, 또한 회전 아암의 재료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회전 아암을 동일 평면상에 구성함으로써, 회전 아암의 회전 이동 동작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한으로 해결되고, 그것 만큼 수납 랙의 수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회전 아암에 수납 랙의 경사를 방지하는 경사 보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랙이나 수납물의 중량에 의해, 수납 랙이 기울어지는 것을 보정하여, 수납물의 이동이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것과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랙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작용하는 완충 수단 및 가세(加勢) 수단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구비함으로써, 완충 수단은, 수납 랙이 천천히 강하되도록 작용하여, 급속한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세 수단은, 수납 랙을 승강할 때의 조작력이 작아지도록 작용하여, 보다 작은 조작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회전 아암을 정역회전(正逆回轉)하는 전동(電動) 구동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랙을 자유 자재로 승강 되도록 지지하는 회전 아암을 정역회전하여서, 수납 랙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 자재로 전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또한 사용하기 편리한 승강식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의 승강식 수납 유닛은, 수납 캐비넷에 설치된 문짝과, 수납 랙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전기한 문짝을 개폐시키는 개방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문짝을 수납 랙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저절로 개폐하기 위해, 수납 랙의 승강시에 문짝을 개폐하는 동작이 불필요해져서, 수납 랙을 1회의 동작에 의해, 재빠르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 랙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시킬 수 있어, 강하 위치에서의 수납 랙의 최상부까지 손이 닿게 됨과 동시에, 수납물의 출납이 용이해져서, 사용하기 편리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수납 유닛에서는 수납 랙이 충분히 강하되지 않아 키가 작은 사람에게 사용이 불편하고 수납 캐비넷의 하부 내측에 떨어진 물건의 확인 및 처리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수납 랙을 충분히 강하시켜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도 2는 동일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동일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
도 4는 동일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내며 부엌에서의 설치예를 나타낸 좌측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승강식 수납 장치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동일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수납 캐비넷 12: 밑판
13: 제1 회전 아암 14: 제2 회전 아암
15: 승강 지지 장치 16: 스토퍼(stopper)
16a: 완충재 17: 연동 연결축
18: 수납 랙 19: 밑면
20: 본체 21: 측판(側板)
22: 선반부 23: 최상부
24: 핸들(handle) 25: 횡연결 부재
27: 경사 보정 수단 28: 완충 수단
29: 가세(加勢) 수단 36: 전동(電動) 구동 수단
38: 감속 수단 42: 문짝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 1∼도 8을 참조하여 가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에 있어서, 수납 캐비넷(11)은, 부엌등의 벽면 상부에 설치된다. 수납 캐비넷(11)의 내측 양측면에는, 전방에서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굴곡시키고, 선단을 다시 역방향으로 굴곡시킨 대략 S자 형상의 제1 회전 아암(13)과, 후방에서 S자형 아암(13)과의 접촉을 회피하는 대략 L자 형상의 제2 아암(14)의 2개가, 동일 평면상에서 평판 형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제1 회전 아암(13)과 제2 회전 아암(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회전 아암(13)을 대략 S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2 회전 아암(14)의 선단과의 접촉도 회피된다.
스토퍼(16)는, 승강 지지 장치(15)의 외부에 배열 설치된 고무상의 완충재(16a)를 가진 스토퍼로서, 제2 회전 아암(14)의 회전 각도를 규제한다. 연동 연결축(17)은 좌우에서 대향하는 제1 회전 아암(13)의 기초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동 연결축이며, 이 연동 연결축(17)에 의해 양쪽 제1 회전 아암(13)이 동일체로서 회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수납 랙(18)은 통상, 수납 캐비넷(11)내에 격납되고, 밑면(19)을 전면으로부터 배면부까지 평면 형상으로 구성하는 본체(20)와, 본체(20)에 연결되는 양측면의 측판(21)과, 선재(線材)로 된 선반부(22)로서 구성된다. 본체(20) 및 측판(21)의 상단은, 수납 랙(18)의 최상부(23)를 규정한다. 또한, 양측판(21) 사이에는 하부에 파이프등으로 된 승강 조작용 핸들(24)이 설치되고, 상부는 수납 높이를 규제하는 ゴ자형으로 굴곡한 파이프등으로 된 횡연결 부재(25)로 연결된다.
승강 지지 장치(15)에 지지된 제1 회전 아암(13) 및 제2 회전 아암(14)의 선단은, 제2 회전 아암(14)을 수납 랙(18)의 측판(21)의 최상부(23) 후방 근방에, 또한 제1 회전 아암(13)을 그 전방에 각각 지지함으로써, 4변의 평행 링 기구(26)가 구성되어, 수납 랙(18)은 자유롭게 승강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에는, 수납 랙(18)의 경사를 방지하는 경사 보정 수단(27)이 설치된다. 이 경사 보정 수단에서는, 제1 회전 아암(13)의 지지점간 거리(R1)를, 제2 회전 아암(14)의 지지점간 거리(R2)에 대하여, 수 mm 길게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평행 링 기구(26)를 약간 변형시킴으로써,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의 지지점등에서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납 랙(18)이나 수납물의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수납 랙(18)의 전방으로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승강 지지 장치(15)의 내부에는, 제2 회전 아암(14)의 회전 이동, 즉 수납 랙(18)의 승강에 연동 작용하는, 도 3에 나타낸 완충 수단(28) 및 가세 수단(29)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핸들(24)을 잡고 수납 랙(18)을 끌어 내리면, 수납 랙(18)은, 승강 지지 장치(1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이 구성하는 평행 링 기구(26)와 경사 보정 수단(27)에 의해, 항상 수평 상태로 도 1에서 긴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상으로 회전 이동하여 최대 강하 위치로 강하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 랙(18)은, 이것을 지지하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이 직선상태가 아닌 대략 S자형,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어서, 크게 강하 될 수가 있다. 즉 수납 랙(18)을 지지하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이 굴곡되어 있어서, 이것들이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에서 접촉하는 위치가 직선 상태의 아암에 비해서 매우 낮은 위치가 되고, 수납 랙(18)은 그 최상부(23)가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강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납 랙(18)은, 스토퍼(16)에 의해 그 최상부(23)가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의 높이와 대략 동등한 높이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랙(18)의 최대 강하 위치에서 수납물을 출납한 후, 사용자가 다시 핸들(24)을 잡고 수납 랙(18)을 밀어 올리면, 수납 랙(18)은 강하시와 동일한 모양으로 원호상에서 회전 이동하여, 스토퍼(16)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수납 캐비넷(11)에 격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승강식 수납 장치(승강식 수납 유닛)의 설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캐비넷(11)은, 표준적인 벽 캐비넷(wall cabinet)을 상정하여, 외형 치수로 높이 700mm, 깊이 350mm 를 채용한다. 수납 캐비넷(11)의 설치 높이는, 승강식 수납 유닛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바닥(floor) 캐비넷(30)과의 거리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바닥면(31)으로부터 수납 캐비넷(11)의 천정면(32)까지의 높이를 약 2,300mm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납 캐비넷(11)에 격납되는 수납 랙(18) 및 횡연결 부재(25)의 총 높이(A)는, 약 600mm 이다.
수납 랙(18)의 최대 강하 위치에 있어서, 수납 랙(18)의 최상부(23)와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의 높이를, 대략 동등한 높이로 구성하면,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으로부터 수납 랙(18)의 밑면(19)까지의 거리(B)는, 약 450mm가 된다.
따라서, 바닥면(31)으로부터 수납 캐비넷(11)의 천정면(32)까지의 높이를 약 2,300mm로 설정한 상술한 경우에서는, 바닥면(31)으로부터 수납 랙(18)의 최대 강하 위치에 있어서의 밑면(19)까지의 거리(C)는, 약 1,150mm가 된다. 또한, 동일한 바닥면(31)으로부터 횡연결 부재(25)까지의 거리(D)는, 약 1,750mm가 된다. 또한, 이때 수납 랙(18)의 선반부(22)의 높이는, 바닥면(31)으로부터 1,400mm 전후가 되며, 성인 여성(노인은 제외)의 약 90%의 눈 높이와 동등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물을 출납 가능한 높이는, 대략 양팔을 올린 상태의 엄지 손가락 높이까지이며, 손가락 관절까지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성인 여성(노인은 제외)에게는, 손끝까지의 높이(윗팔 주먹위 손끝 높이)로부터 손끝의 길이(장지 길이)를 뺀 10 퍼센타일치는 1,800mm이며, 본 승강식 수납 유닛의 설치예에서는, 약 90%의 성인 여성이 수납 랙(18)의 최상부(23) 이상, 횡연결 부재(25)까지 손이 닿고, 수납물을 출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납 랙(18)의 전 수납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수납 랙(18)의 최대 강하위치에 있어서, 수납 랙(18)의 최상부(23)를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과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의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수납 랙(18)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시킬 수 있고, 수납 랙(18)의 최상부(23)이상, 횡연결 부재(25)까지 손이 닿는 사용이 편리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대 강하 위치에 있어서, 수납 캐비넷(11)의 밑판(12)까지 쉽게 보이게 됨으로써, 낙하물등이 있을지라도, 성인 여성이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꺼낼 수가 있다. 또한, 수납 랙(18)을 대략 동등한 위치든가, 그 이하의 높이까지 강하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의 지지점간 거리(R1, R2)를 크게할 필요가 있고, 이것으로써 커다란 원호 회전 운동이 되며, 수납 랙(18)에 모서리 도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수납 랙(18)의 밑면(19) 전체에서 평면적인 수납 면적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수납 랙(18)의 밑면(19)을 전면으로부터 배면부까지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모서리부의 수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수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을, 각각 대략 S자형 아암과 L자형 아암으로 함으로써, 수납 랙(18)의 승강시에 수납 캐비넷(11)에 접촉하는 것도, 제1, 제2 회전 아암(13, 14)끼리 접촉하는 것도 없으며, 수납 랙(18)을 간단한 직선상 아암보다 낮은 위치까지 강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을 동일 평면상에서 구성함으로써, 양(兩) 회전 아암(13, 14)의 회전 운동 동작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한으로 줄어들고, 그만큼 수납 랙(18)의 수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에서 수납 랙(18)의 경사를 방지하는 경사 보정 수단(27)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랙(18)이나 수납물의 중량에 의해 수납 랙(18)이 기울어지는 것을 보정하고, 수납물의 이동이나 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승강 지지 장치(15)에서 수납 랙(18)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작용하는 완충 수단(28) 및 가세 수단(29)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구비함으로써, 완충 수단(28)은, 수납 랙(18)이 천천히 강하하도록 작용하고, 급속한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세 수단(29)은, 수납 랙(18)을 승강시킬 때의 조작력이 적도록 작용하고, 보다 가벼운 조작력으로서 승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회전 아암을 2개의 대략 L자형 아암(33, 34)에 의해 구성한 점이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 아암을 2개의 대략 L자형 아암(33, 34)으로 하고, 또한 굴곡 형상을 작게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시에 있어서의 양(兩) 회전 아암(33, 34)의 재료 취급이 용이해지고, 양(兩) 회전 아암(33, 34)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회전 아암을 대략 L자형 아암(33)과 직선상 아암(35)에 의해 구성한 점이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 아암을 대략 L자형 아암(33)과 직선상 아암(35)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또한 직선상 아암(35)의 재료 취급이 용이해지고, 직선상 아암(35)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승강 지지 장치(15)에서 제2 회전 아암(14)을 정역회전하는 전동 구동 수단(36)을 구비한 점이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전동 구동 수단(36)은, 수납 캐비넷(11)내에 위치하는 수납 랙(18)의 하방 공간(37)에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승강 지지 장치(15)에 구비된다. 이 전동 구동 수단(36)은 통전되지 않을 때에도 인력에 의해서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감속 수단(38)은, 전동 구동 수단(36)과 제2 회전 아암(14)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 지지 장치(15)내부에 구성된다. 전동 구동 수단(36)은, 감속 수단(38)을 사이에 끼워, 제2 회전 아암(14)을 정역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수단(39)은, 전동 구동 수단(36)을 제어하기 위해서 수납 캐비넷(11)내에 위치하는 수납 랙(18)의 하방 공간(37)에 배열 설치되어, 조작 수단(40)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전동 구동 수단(36)을 정역회전시킨다.
구동 정지 수단(41)은, 전동 구동 수단(36)이 구비된 승강 지지 장치(15)의 외부에 설치된 정지 스위치등에 의해서, 수납 랙(18)의 승강 종단(終端) 위치에서, 제2 회전 아암(14)과 서로 만나, 전기적으로 전동 구동 수단(36)을 정지시켜 수납 랙(18)의 승강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동 정지 수단(41)은, 좌우 어느쪽이든 한쪽의 승강 지지 장치(15)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납 랙(18)의 강하시는, 사용자가 조작 수단(40)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39), 전동 구동 수단(36), 감속 수단(38)을 사이에 끼운, 승강 지지 장치(1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이 구성하는 평면 링 기구(26)와 경사 보정 수단(27)에 의해, 수납 랙(18)은 항상 수평 상태에서 완만하게 원호상에서 회전 운동하여, 구동 정지 수단(41)에 의해 최대 강하 위치에서 강하 정지된다.
그리고, 수납 랙(18)의 최대 강하 위치에서 수납물을 출납한 후, 수납 랙(18)의 상승 격납시는, 다시 조작 수단(40)을 조작하면, 수납 랙(18)은 강하시와 동일한 모양으로 완만하게 원호상에서 회전 운동하여, 수납 캐비넷(11)내에서 구동 정지 수단(41)에 의해 정지되어 격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수납 랙(18)을 자유 자재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제1, 제2 회전 아암(13, 14)을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15)에서, 정역회전하는 전동 구동 수단(36)을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 아암(14)을 정역회전시켜, 수납 랙(18)을 인력에 의하지 않고도 자유 자재로 전동에 의해 승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이 편리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승강식 수납 유닛에 있어서의 수납 랙의 강하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제4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수납 캐비넷(11)에 설치된 문짝(42)과, 수납 랙(18)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문짝(42)을 개폐하는 문짝 개방 수단(44)을 구비한 점이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문짝(42)은 수지 성형 부재에 의해 얇고 경량으로 구성된 문짝이며, 문짝 개방 경첩(43)을 사이에 끼워 상방에서 자유 자재로 회전 운동을 하여 개방하도록, 수납 캐비넷(11)의 전방에 구성된다. 문짝 개방 경첩(43)에는 문짝(42)을 항상 폐쇄측으로 밀어 압력을 가하도록, 반전(反轉) 기구나, 스프링등을 사용한 압압(押壓)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문짝(42)의 문짝 개방 수단(44)은, 수납 랙(18)을 구성하는 양(兩) 측판(21)에 위치한 제2 회전 아암(14)의 지지부에서 지지된다. 문짝 개방 수단(44)은, 선단(先端)에 있어서의 수납 랙(18)의 강하 동작에 연동하여 문짝(42)을 밀어 개방하는 개방 롤러(45)를 구비하고,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의 제1 회전 아암(13)의 선단 근방을 지지하는 연동 링(46)과 연결되어 있다.
폐쇄 패널(47)은 수납 랙(18)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어, 수납 랙(18)의 상승 격납시에 수납 캐비넷(11)의 하방이 덮혀지도록 구성된다. 핸들(48)은, 사용자가 수납 랙(18)의 승강 조작을 할 때에 사용하는 핸들이다.
문짝 가세 수단(49)은, 수납 캐비넷(11)과 문짝(42)의 사이에 구비된 압축 스프링등이다. 문짝 가세 수단(49)의 모멘트(moment)는, 문짝(42)의 중량에 의한 모멘트와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수납 랙(18)을 잡아 내리면, 문짝(42)이 강하 동작에 연동하여, 문짝 개방 수단(44)과 문짝 가세 수단(49)에 의해 개방된다.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수납 랙(18)을 밀어 올리면,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문짝(42)은 문짝 개방 수단(44)에 지지되면서, 최후에는 문짝(42)의 자체 중량과 문짝 개폐 경첩(43)의 압압(押壓) 수단에 의해 폐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수납 랙(18)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문짝(42)을 개폐하는 문짝 개방 수단(44)을 구비함으로써, 문짝(42)을 수납 랙(18)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저절로 개폐하기 때문에, 수납 랙(18)의 승강시에 문짝(42)을 개폐하는 동작이 필요없게 되고, 1회의 동작으로써 수납 랙(18)을 재빠르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기재한 전동 구동 수단(36)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도, 동일 모양으로 수납 랙(18)의 승강시에 문짝(42)을 개폐하는 동작이 필요 없게되고, 조작 수단(40)의 1회 조작으로써, 수납 랙(18)을 승강할 수 있다.
수납 랙의 강하 스트로크를 증대시킬 수 있어, 강하 위치에서의 수납 랙의 최상부까지 손이 닿게 됨과 동시에, 수납물의 출납이 용이해져서, 사용하기 편리한 승강식 수납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수납 캐비넷과, 전기한 수납 캐비넷내에 설치된 수납 랙과, 전기한 수납 랙을 승강이 자유 자재로 되도록 지지하는 회전 아암과, 전기한 회전 아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전기한 수납 랙의 최상부를 전기한 수납 캐비넷의 밑판과 대략 동등한 높이든가, 그 이하의 높이까지 강하 가능하게 구성한 승강식 수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납 랙의 밑면은, 전면으로부터 배면부까지 평면 형상으로 되는 승강식 수납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은, 대략 S자형 아암과 대략 L자형 아암에 의해 구성되는 승강식 수납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은, 2개의 대략 L자형 아암에 의해 구성되는 승강식 수납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은, 대략 L자형 아암과 직선상 아암에 의해 구성되는 승강식 수납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은, 동일 평면상에 구성되는 승강식 수납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은, 전기한 수납 랙의 경사를 방지하는 경사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승강식 수납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납 랙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작용하는 완충 수단 및 가세 수단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승강식 수납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 아암을 정역회전하는 전동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승강식 수납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수납 캐비넷에 설치된 문짝과, 전기한 수납 랙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전기한 문짝을 개폐하는 개방 수단을 구비하는 승강식 수납 유닛.
KR10-2000-0028666A 1999-05-28 2000-05-26 승강식 수납 유닛 KR100377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49882 1999-05-28
JP14988299A JP3757681B2 (ja) 1999-05-28 1999-05-28 昇降式収納装置
JP2000025002A JP2001211942A (ja) 2000-02-02 2000-02-02 昇降式収納装置
JP2000-25002 2000-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27A true KR20010049427A (ko) 2001-06-15
KR100377118B1 KR100377118B1 (ko) 2003-03-26

Family

ID=2647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666A KR100377118B1 (ko) 1999-05-28 2000-05-26 승강식 수납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77118B1 (ko)
CN (1) CN1275358A (ko)
TW (1) TWI23564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342A1 (en) * 2017-10-09 2019-06-27 Seaton Garfield Omar Pull down tray assembly
KR102283594B1 (ko) * 2020-09-15 2021-07-28 장하윤 폭 조절이 가능한 가변서랍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4238B2 (ja) * 2007-06-29 2012-12-12 クリナップ株式会社 昇降式吊戸棚
CN102657438B (zh) * 2012-05-11 2014-02-26 北京建筑大学 易取式衣柜
JP6032592B2 (ja) * 2012-05-21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体及びそれを備えた昇降収納装置
DE102013018498B4 (de) * 2013-11-06 2016-01-07 Kesseböhmer Holding e.K. Schwenktablar für ein Möbel
FR3086851B1 (fr) * 2018-10-03 2020-10-09 O C An S Meuble de rangement ergonomiq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342A1 (en) * 2017-10-09 2019-06-27 Seaton Garfield Omar Pull down tray assembly
KR102283594B1 (ko) * 2020-09-15 2021-07-28 장하윤 폭 조절이 가능한 가변서랍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5644B (en) 2005-07-11
KR100377118B1 (ko) 2003-03-26
CN1275358A (zh) 200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9427A (ko) 승강식 수납 유닛
KR100773887B1 (ko)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JP4951287B2 (ja) 昇降吊戸棚
KR102202582B1 (ko) 승하강식 수납장
JP3714037B2 (ja) 昇降式収納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収納システム
JP4572495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001231641A (ja) 収納体の昇降機構
JP2001314248A (ja) 昇降式収納装置
CN101116581B (zh) 升降式存放装置
JP4655417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4433627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006068459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4572494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001064000A (ja) ハンガー杆の昇降機構
JP4479094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001029146A (ja) 収納体の昇降機構
CN217501439U (zh) 一种还书机的升降门结构
JP4144194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516547Y2 (ja) 昇降式吊戸棚の障害物検出装置
CN112545172B (zh) 一种多功能升降桌
JP3714030B2 (ja) 昇降式収納装置
CN211923897U (zh) 一种吊柜翻门机构及吊柜
CN210895637U (zh) 一种基于对射光栅的防夹手装置及售货机
JP2512971Y2 (ja) 昇降棚
JP2001212062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