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87B1 -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 Google Patents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87B1
KR100773887B1 KR1020060035836A KR20060035836A KR100773887B1 KR 100773887 B1 KR100773887 B1 KR 100773887B1 KR 1020060035836 A KR1020060035836 A KR 1020060035836A KR 20060035836 A KR20060035836 A KR 20060035836A KR 100773887 B1 KR100773887 B1 KR 10077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opening
door
desk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914A (ko
Inventor
임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늘푸름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늘푸름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늘푸름가구
Priority to KR102006003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88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 상기 책상 본체의 개구부 내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모니터의 안착을 위한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된 리프트; 상기 리프트에 안착되는 모니터가 책상 내부에 인입된 제 1위치로부터 책상 외부로 인출되는 제 2위치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키거나, 반대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구동장치;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과; 상기 책상 본체에 구비된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면 도어를 폐쇄키시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시 책상 본체 내부에 내장된 모니터를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고, 컴퓨터의 미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책상 본체 내로 간편하게 인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책상의 유용면적을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책상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을 제공한다.
컴퓨터 책상, 모니터, 승강, 리프트, 도어

Description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Desk for computer ascending and descending moni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에 구비되는 리프트 구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리프트가 하강 정지된 상태이고, 도 4b는 리프트가 상승 정지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이고, 도 5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에 구비되는 도어와 상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컴퓨터 책상 100 - 책상 본체
110 - 상판 111 - 개구부
120 - 지지판 130 - 서랍
150 - 승하강 가이드레일 200 - 리프트
220 - 승하강 슬라이드부재 300 - 리프트 구동장치
310 - 제 1안내레일 320 - 제 2안내레일
330 - 제 1회전링크 340 - 제 2회전링크
342 - 피동기어 350 - 구동기어
360 - 구동모터 270 - 힌지축
400 - 위치 감지센서 500 - 도어
600 - 도어 개폐수단 610 - 개폐 가이드레일
620 - 개폐 슬라이드부재 621 - 접촉 가이드
622 - 돌출부 630 - 탄성부재
640 - 브라켓 650 - 토션 스프링
660 - 감속레버 661 - 끼움홈
662 - 끼움돌기
본 발명은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내부에 내장 설치된 모니터가 리프트의 동작에 따라 책상 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책상의 유용면적을 넓힐 수 있고, 책상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가 인/출입되는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에서는 가정 및 직장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 이용자의 수는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컴퓨터는 그 성능면에서 끊임없이 개발되고 발전되는 추세이지만, 이를 사용하는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의 사용환경을 살펴보면,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를 책상의 상판 위에 나란히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모니터만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컴퓨터 본체는 책상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반 사무용 책상 이외에 모니터 및 컴퓨터 본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컴퓨터 전용 책상도 판매되고 있으나, 컴퓨터 전용 책상의 경우에는 책상 위에 올려지는 모니터가 책상의 일정 면적을 고정적으로 차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 이외의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불편함이 많고, 정리정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일반 책상과 컴퓨터 전용 책상은 각각 그 기능에 알맞게 만 든 것이기 때문에 일반 책상과 컴퓨터 전용 책상을 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내부에 내장 설치된 모니터가 리프트의 동작에 따라 책상 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책상의 유용면적을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책상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가 인/출입되는 컴퓨터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책상 상판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가 리프트의 승강에 연계하여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의 인/출입과정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가 인/출입되는 컴퓨터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 상기 책상 본체의 개구부 내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모니터의 안착을 위한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된 리프트; 상기 리프트에 안착되는 모니터가 책상 내부에 인입된 제 1위치로부터 책상 외부로 인출되는 제 2위치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키거나, 반대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구동장치;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과; 상기 책상 본체에 구비된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면 도어를 폐쇄키시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A)은 크게 상면에 개구부(111)를 형성한 책상 본체(100)와, 책상 본체(100)의 개구부(111) 내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리프트(200)와, 리프트(200)의 승강을 제어하는 리프트 구동장치(300)와, 책상 본체(100)의 개구부(111)를 단속하는 도어(500) 및, 도어(500)의 개폐동작이 리프트의 승강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개폐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 개폐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책상 본체(100)는 상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부(111)를 형성한 상판(110)과, 상판(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판(120)으로 구성되며, 다시 지지판(120)은 전면 및 후면 지지판(121)(122)과, 측면 지지판(123)으로 구분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지지판(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130)이 설치되어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 들이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도록 하며, 이러한 서랍(130)은 책상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책상 본체(10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책상 본체(100)에는 컴퓨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본체 수용부(140)를 구비하고, 컴퓨터 본체 수용부(140)의 외 측면에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 랜선 등이 인출되는 인출공(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책상 본채(100)의 외측에는 후술될 리프트 구동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프트 구동장치(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160)이 설치된다.
또한, 상판(110)에 형성된 개구부(111) 내의 양측 벽면에는 서로 대향 하는 한 조의 승하강 가이드레일(1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승하강 가이드레일(150) 사이에는 모니터(M)를 지지하는 리프트(200)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리프트(200)는 평판형의 구조로 상면에는 모니터(M)가 안정적으로 지지 되도록 모니터 안착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승하강 가이드레일(150)과 결합되어 상하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승하강 슬라이드부재(2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리프트(200)는 소정의 리프트 구동장치(30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리프트 구동장치(300)는 크게 책상 본체(100)의 후면 지지판(121)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안내레일(310)과, 제 1안내레일(310)과 대향되는 구조로 리프트(20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 2안내레일(320)과, 일단은 제 1안내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리프트(200)의 후단에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1회전링크(330)와, 일단에는 피동기어(34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은 리프트(200)의 후단에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 1회전링크(330)와 힌지축(3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X자형으로 조립되는 제 2회전링크(340)와, 제 2회전링크(340)의 피동기어(342)와 맞물리는 구동기어(350) 및, 구동기어(3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회전링크(330)와 제 2회전링크(340)의 끝단에는 각각 안내롤러(331)(341)가 설치되고, 이 안내롤러(331)(341)는 'ㄷ'자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제 1안내레일(310)과 제 2안내레일(320)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구동기어(350)는 구동모터(360)의 구동축(361)에 고정 설치되는 피니언이며, 피동기어(342)는 제 2회전링크(34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호 형의 래크이다.
따라서, 구동모터(360)가 구동하면 피동기어(342)와 기어 물림된 구동기어(360)가 회전하면서 제 2회전링크(340)를 구동하게 되면서, 다시 제 2회전링크(340)의 구동력은 힌지축(370)에 의해 제 1회전링크(330)에 전달되기 때문에 결국, 제 2안내레일(320)이 설치된 리프트(200)는 제 1회전링크(330)와 제 2회전링크(340)의 움직임에 의해 승하강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변화되기 때문에 리프트(200)에 안착되는 모니터(M)는 책상 내부에 인입된 제 1위치로부터 책상 외부로 인출되는 제 2위치까지의 거리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프트(200)의 승강폭은 구동기어(360)와 피동기어(342)의 기어비 조합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 구동장치(300)를 자동차에서 윈도우의 개폐장치로 많이 사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리프트 구동장치(300)는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책상 본체(100)의 내부 상/하단에는 리프트(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센서(400)가 각각 설치된다.
즉, 리프트(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6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 감지센서(400)로는 리프트(200)와의 터치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리미트 스위치나, 리프트(200)의 근접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근접센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60)의 정방향 구동은 리프트(200)를 감지하는 상부측 감지센서(410)의 감지신호에 의해 정지되고, 역방향 구동은 리프트(200)를 감지하는 하부측 감지센서(420)의 감지신호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리프트(200)에 안착되는 모니터(M)는 상판(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완전 인출되거나, 인입된 상태에서 승강동작이 중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책상(A)에는 상판(110)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마감하기 위한 도어(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500)는 리프트(200)의 승강에 연계하여 동작되는 소정의 도어 개폐수단(60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A)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수단(60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책상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책상(A)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수단(600)은 책상 본체(100) 내부 양측에 한 조로 구비되는 개폐 가이드레일(610)과, 개폐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와,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미끄럼운동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630) 및,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어(500)가 개폐되도록 도어(500)와 상판(110)을 연결하는 브라켓(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상단에는 브라켓(640)의 지지를 위한 접촉 가이드(621)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리프트(200)의 하강시 개폐 슬라이드부재(620)가 함께 하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돌출부(622)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630)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동작에 따라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일단은 지지판(123)의 상단 적소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640)은 상판(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641)과, 반원형의 형태로 일단은 고정 브라켓(64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5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브라켓(642)으로 구성되어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에 설치된 접촉 가이드(621)와의 접촉 및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리프트(200)가 하강하면 도 5a의 도시와 같이 개폐 슬라이드부재(620)는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622)가 리프트(200)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개폐 슬라이드부재(620)는 리프트(200)와 함께 개폐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630)는 일단이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하강에 따라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200)를 상승시키면, 리프트(200)와 함께 하강된 개폐 슬라이드부재(620)는 탄성부재(6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판(110)의 하단부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때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상단에 설치된 접촉 가이드(621)가 회전 브라켓(642)을 지지하는 구조로 상승하기 때문에 도어(500)는 도 5b의 도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개방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도어(500)가 개방된 후에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가 상판(110)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리프트(200)만이 상승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500)의 개방동작은 접촉 가이드(621)와 회전 브라켓(642)의 접촉에 따라 이루어지는바, 접촉 가이드(621)가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500)의 개방동작이 리프트(200)의 완전 상승 전에 이루어지므로 리프트(200)에 안착되는 모니터(M)는 도어(500)의 간섭 없이 개구부(111)를 통하여 원활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500)의 폐쇄동작은 리프트(200)의 하강동작에 따라 함께 동작하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 브라켓(642)를 지지하는 접촉 가이드(621)가 회전 브라켓(64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500)의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 브라켓(641)과 회전 브라켓(642) 사이에는 회전 브라켓(642)이 접촉 가이드(621)에 밀착되도록 토션 스프링(650)을 설치하여 도어(500)의 폐쇄동작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개폐 슬라이드부재(620)는 리프트(200)의 동작과 함께 동작하기 때문에 리프트(200) 및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구동에 따라 가속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 가이드(621) 역시 회전 브라켓(642)으로부터 순간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500)의 폐쇄동작이 부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도어(500)가 폐쇄되는 구간까지 회전 브라켓(642)이 접촉 가이드(621)에 계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641)과 회전 브라켓(642) 사이에 토션 스프링(650)을 개재하여 함으로써, 도어(500)의 폐쇄동작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책상(A)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수단(600')에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운동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레버(660)를 구비하여 도어(500)의 개폐동작을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수단(600')은 일 측 끝단이 지지판(12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일 측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끼움홈(661)을 구비하는 감속레버(6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상단에는 감속레버(660)의 끼움홈(661)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662)가 형성되고, 회전 브라켓(642)을 지지하는 접촉 가이드(621)는 대략 감속레버(660)의 중앙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개폐 슬라이드부재(620)가 승강하면 끼움돌기(662)는 감속레버(660)의 끼움홈(66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레버(66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접촉 가이드(6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회전 브라켓(642)을 지지함으로써, 도어(50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개폐 슬라이드부재(620)의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접촉 가이드(621)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어(500)의 개폐동작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의하면,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시 리프트 구동장치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책상 본체 내부에 내장된 모니터를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고, 컴퓨터의 미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책상 본체 내로 간편하게 인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책상의 유용면적을 종래에 비하여 넓힐 수 있고, 책상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 본체 내부에 모니터가 내장되기 때문에 먼지나, 각종 불순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개구부가 구비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된 책상 본체; 상기 개구부 내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된 리프트; 상기 리프트가 책상 본체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 구동장치;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고, 리프트가 하강하면 도어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수단은,
    상기 책상 본체의 개구부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조의 개폐 가이드레일과, 상기 개폐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단에는 접촉 가이드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리프트의 하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개폐 슬라이드부재와, 일단은 지지판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개폐 슬라이드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재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도어와 상판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본체의 개구부 내의 양측 지지판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조의 승하강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의 양측에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승하강 슬라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는,
    상기 책상 본체의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안내레일과,
    상기 제 1안내레일과 대향 되는 구조로 리프트에 고정 설치되는 제 2안내레일과,
    일단은 상기 제 1안내레일에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제 2안내레일에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1회전링크와,
    일단에는 피동기어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은 제 1안내레일에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링크와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X자형으로 설치되는 제 2회전링크와,
    상기 제 2회전링크의 피동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피니언이고,
    상기 피동기어는 피니언과 맞물리는 원주형의 래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본체의 내부 상/하단에는,
    리프트의 승강을 제어하는 위치 감지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6. 삭제
  7. 개구부가 구비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된 책상 본체; 상기 개구부 내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모니터 안착부가 형성된 리프트; 상기 리프트가 책상 본체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트 구동장치;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및;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고, 리프트가 하강하면 도어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수단은,
    상기 책상 본체의 개구부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조의 개폐 가이드레일과, 상기 개폐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리프트의 하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개폐 슬라이드부재와, 일단은 지지판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개폐 슬라이드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와, 일단은 지지판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타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끼움홈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접촉가이드가 설치된 감속레버 및,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재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도어와 상판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판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반원형의 형태로 일단은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접촉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을 접촉 가이드에 밀착시켜주기 위한 소정의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KR1020060035836A 2006-04-20 2006-04-20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KR10077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36A KR100773887B1 (ko) 2006-04-20 2006-04-20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36A KR100773887B1 (ko) 2006-04-20 2006-04-20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914A KR20070103914A (ko) 2007-10-25
KR100773887B1 true KR100773887B1 (ko) 2007-11-06

Family

ID=3881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836A KR100773887B1 (ko) 2006-04-20 2006-04-20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8Y1 (ko) 2008-07-21 2010-11-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655B1 (ko) * 2008-10-08 2011-03-25 주식회사 메디슨 접촉을 통해 컨트롤 패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진단기
CN109846200A (zh) * 2019-01-24 2019-06-07 湖北安心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插拔式平板电脑升降装置
CN110260119B (zh) * 2019-07-18 2024-03-26 四川湖山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纸化会议系统的屏幕翻转装置
CN114983127B (zh) * 2022-06-30 2024-03-15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便于多媒体演示的计算机桌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63A (ko) * 1998-06-22 1998-10-07 장종석 책상의 컴퓨터용 모니터 출몰구조
KR200391341Y1 (ko) 2005-04-29 2005-08-02 정규태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63A (ko) * 1998-06-22 1998-10-07 장종석 책상의 컴퓨터용 모니터 출몰구조
KR200391341Y1 (ko) 2005-04-29 2005-08-02 정규태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8Y1 (ko) 2008-07-21 2010-11-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914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024B2 (en) Refrigerator with lifting shelf
KR100773887B1 (ko)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KR101311295B1 (ko) 이동 로봇의 휠 조립체
US20200030963A1 (en) Robot
US9872561B1 (en) Easy access overhead cabinet apparatus
US20090300878A1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US9796250B2 (en) Vehicle window regulator, and vehicle door structure compris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KR100559828B1 (ko) 모니터 승강장치
JP5265155B2 (ja) 電動補助装置
JP4938360B2 (ja) 開閉扉装置
KR100782978B1 (ko) 엘시디(lcd) 모니터용 자동책상
KR20080036417A (ko) 전동방식에 의한 창호의 리프트 및 슬라이드 장치
JP4037075B2 (ja) 自閉式引戸装置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4026137B2 (ja) 食器洗浄機
JP4994131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20010049427A (ko) 승강식 수납 유닛
KR200450898Y1 (ko)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수납장치
CN220966712U (zh) 一种键盘收纳装置及办公桌
JP4959173B2 (ja) 電動昇降吊戸棚
JPH119355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JPH10295453A (ja) 人力応動装置
CN214403158U (zh) 柜门升降机构及其柜
JP3584815B2 (ja) 電動昇降装置
KR101265039B1 (ko)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