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82B1 - 승하강식 수납장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82B1
KR102202582B1 KR1020200086132A KR20200086132A KR102202582B1 KR 102202582 B1 KR102202582 B1 KR 102202582B1 KR 1020200086132 A KR1020200086132 A KR 1020200086132A KR 20200086132 A KR20200086132 A KR 20200086132A KR 102202582 B1 KR102202582 B1 KR 10220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elevating
sliding door
g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하
Original Assignee
신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하 filed Critical 신중하
Priority to KR102020008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의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수납장 케이스(100); 승하강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130); 및 수납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수납장 케이스(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수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는 도어 래크(331)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는 수납부 래크(332)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래크(331)와 상기 수납부 래크(332)는 승강 기어(310)에 동시에 기어결합 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와 상기 수납부(200)는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하강식 수납장{Elevating Type Cabinet}
본 발명은 승하강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수납장의 도어를 오픈할 때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하강하여 키가 작은 사람도 편리하게 수납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식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 상부장으로 사용되는 수납장은 주로 식기, 보존식, 또는 양념통 등을 넣어두기 위한 공간으로 주부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납장은 보통 싱크대 및 수전이 설치된 공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 경우 남성보다 신장이 보통 작은 여성들의 경우에는 수납장 상단에 물건을 적치하거나 꺼내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신장이 작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평균 신장 이상을 가진 사람들도 싱크대 상부장으로 사용되는 수납장의 상단 부분까지는 키가 닿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들 역시 발받침대가 없을 경우 수납장 상단 부분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렇게 싱크대 상부장의 위치로 인하여 그 사용에 제약이 있었는 바, 싱크대 상부장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동함으로써, 그 사용이 쉽게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는 상태에서는 작동하기 어렵거나, 그 기계적 구조가 복잡하였다. 더 나아가, 동력장치의 오류시에는 수납장의 하강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게 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8705호 (공고일: 2018.07.17.) 등록특허공보 제10-1477416호 (공고일: 2014.12.29.) 등록특허공보 제10-1440663호 (공고일: 2014.09.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기계적 구성만으로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도 안전하게 수납 공간이 승하강할 수 있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의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수납장 케이스(100); 승하강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130); 및 수납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수납장 케이스(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수납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는 도어 래크(331)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는 수납부 래크(332)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래크(331)와 상기 수납부 래크(332)는 승강 기어(310)에 동시에 기어결합 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와 상기 수납부(200)는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거나 허용하는 멈춤쇠(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가 최하단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상기 멈춤쇠(320)가 상기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와 맞물려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상기 멈춤쇠(320)가 상기 승강 기어(310)와 떨어져 있어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지 않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멈춤쇠(320)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멈춤쇠(32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쇠(320)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멈춤쇠 중량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멈춤쇠(320)의 타측에는 상기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물려 상기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을 수 있는 멈춤쇠 쐐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00)의 승하강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댐퍼(3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퍼(340)의 상단은 상기 수납부(200) 상부의 소정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340)의 하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댐퍼 지지대(140)에 고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승강 기어(310)를 구동시켜 상기 수납부(200)를 상승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은 슬라이딩 도어와 승하강 가능한 수납부가 하나의 승강 기어에 의하여 연동하여 작동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슬라이딩 도어 조작만으로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도 안전하게 수납부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수납부와 수납장 케이스 사이에는 댐퍼가 설치될 공간이 제공되어 있어서, 수납부의 승하강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여 수납부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의 내부 구조(슬라이딩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멈춤쇠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멈춤쇠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수납장 케이스의 후면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의 내부 구조(슬라이딩 도어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의 내부 구조(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멈춤쇠 중량부가 멈춤쇠 안내부에 접해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멈춤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수납장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수납장이 닫혀 있는 상태를, 도 1(b)는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납장은 건물의 벽 부분에 고정되는 수납장 케이스(100) 및 상기 수납장 케이스(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는 수납부(200)를 포함한다. 수납부(200)는 물건을 보관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소로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30)를 상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수납부(200)는 하강하게 된다. 케이스(100)는 전면 플레이트(110) 및 이와 수직으로 결합된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데, 슬라이딩 도어(130)는 전면 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하단에는 도어 손잡이(131)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쉽게 슬라이딩 도어(130)를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도어(130)가 완전히 내려와 수납장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도어 가이드 레일(411)과 수납부 가이드 레일(412), 그리고 멈춤쇠(320)의 회전축 및 승강 기어(310)의 회전축은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데, 도 2에서는 측면 플레이트(120)가 생략된 상태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도어(130)의 측면에는 도어 가이드 요소(421)가 형성되고, 수납부(200)의 측면에는 수납부 가이드 요소(4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가이드 요소(421)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측면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도어 가이드 레일(411)에 의하여 안내되고, 수납부 가이드 요소(422)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측면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수납부 가이드 레일(412)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슬라이딩 도어(130)와 수납부(200)는 각각 도어 가이드 레일(411) 및 수납부 가이드 레일(412)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어 가이드 요소(421) 및 수납부 가이드 요소(422)는 일종의 돌기 구조물로 도시되었으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한 로울러 또는 바퀴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슬라이딩 도어(130)의 일측에는 도어 래크(331)가, 수납부(200)의 일측에는 수납부 래크(332)가 형성되는데, 도어 래크(331)와 수납부 래크(33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래크(331)와 수납부 래크(332)는 하나의 승강 기어(310)에 기어 결합되므로, 슬라이딩 도어(1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일 경우, 승강 기어(310)에 의하여 수납부(200)는 슬라이딩 도어(310)의 움직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2의 상태는 슬라이딩 도어(130)가 최하단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이고, 이 때 슬라이딩 도어(130)의 도어 가이드 요소(421)는 도어 가이드 레일(411)의 리미터(413)에 걸려서 더 이상 하방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이 상태에서는 도어 래크(331)가 승강 기어(310)와 맞물려 있지 아니하다. 위 상태에서 도어 래크(331)는 승강 기어(310)에 맞물려 있지 않고, 수납부 래크(332)만이 승강 기어(310)에 맞물려 있는데, 수납부(332)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려 하므로 승강 기어(3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토크를 받게 된다. 그렇지만 승강 기어(310)는 멈춤쇠(320)에 걸려서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수납부(200) 역시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댐퍼(3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댐퍼(340)의 상단은 수납부(200)의 상단 일부분에, 댐퍼(340)의 하단은 고정된 구조물, 예를 들면 측면 플레이트(120) 또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 댐퍼 지지대(140)에 연결된다. 댐퍼(340)는 수납부(200)가 갑작스럽게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막아 수납부(200)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한다. 댐퍼(340)로는 싱크대 분야에서 도어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압/공압 쇼바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멈춤쇠(3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멈춤쇠(320)는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데, 멈춤쇠 회전축(322)은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된다. 멈춤쇠 쐐기(323)는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물려서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는 부분이다. 그리고 멈춤쇠 중량부(321)는 멈춤쇠(320)가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토크를 부여하기 위한 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는, 멈춤쇠 중량부(321)에 의하여 멈춤쇠(320)가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항상 받게 된다. 그러므로 멈춤쇠(320)에 가해지는 별도의 외력이 없을 경우에는 멈춤쇠 쐐기(323)는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숙여지려는 힘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하여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멈춤쇠(320)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서, 멈춤쇠(320)의 멈춤쇠 쐬기(323)가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닿아 승강 기어(310)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멈춤쇠 접촉부(133)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슬라이딩 도어(130)가 상승과 함께 상승하면서 멈춤쇠(320) 중량부(321)에 맞닿아 멈춤쇠 중량부(321)를 밀어올림으로써, 멈춤쇠(320)가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요소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하나씩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 래크(331)가 상하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도어 가이드 요소(421)가 슬라이딩 도어(13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래크(331)와 평행한 방향으로 멈춤쇠 안내부(324)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슬라이딩 도어(130)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멈춤쇠 중량부(321)와 맞닿게 되는 영역이다.
도 6은 수납장 케이스(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전면 플레이트(110) 및 이와 수직으로 결합된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있다. 측면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도어 가이드 레일(411) 및 수납부 가이드 레일(412)이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고, 멈춤쇠(320)와 승강 기어(3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더 나아가, 댐퍼(340)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댐퍼 지지대(140)가 측면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수납부(2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수납부(200)의 측면에 수납부 래크(332)가 상하 방향으로 부착되고, 수납부 가이드 요소(4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소들의 기능은 이전에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슬라이딩 도어(130)를 승강시키기 시작한 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30)를 살짝 들어올리게 되면, 도어 래크(331)가 승강 기어(310)에 맞물리기 시작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 도어(130)의 멈춤쇠 접촉부(133)가 멈춤쇠 중량부(321)에 맞닿게 되는데, 슬라이딩 도어(130)가 상승함에 따라 멈춤쇠 접촉부(133)가 멈춤쇠 중량부(321)를 밀어올림으로써, 멈춤쇠(320)가 회전하여 멈춤쇠 쐬기(323)와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의 접촉이 해제된다. 참고로, 도 2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어 래크(331)가 승강 기어(310)에 맞물리지 않는 순간이 존재하다가, 맞물리게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 래크(331)가 항상 승강 기어(310)에 맞물려 있다고 해도(도어 래크의 상단이 도 2 및 도 8의 실시예보다 길게 형성) 본 발명에 따른 메커니즘은 작동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것이다.
멈춤쇠(320)가 승강 기어(310)로부터 해제되는 순간과 도어 래크(331)가 승강 기어(310)에 맞물리는 시점은 거의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안전하게는 멈춤쇠(320)가 승강 기어(310)로부터 완전히 해제되는 순간에는 도어 래크(331)가 승강 기어(310)에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점부터는 멈춤쇠(320)가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방해하지 못하므로, 승강 기어(310)는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130)는 수납부(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힘을 들이거나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수납부(200)는 자동으로 하강하기 시작하고, 그에 맞추어 슬라이딩 도어(130)는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멈춤쇠 중량부(321)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후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멈춤쇠 안내부(324)에 맞닿은 상태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수납부(200)가 갑자기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수납부(200)의 상단의 소정 부분과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댐퍼 지지대(140) 사이에 댐퍼(3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수납부(200)가 최하단까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납부 가이드 요소(422)가 수납부 가이드 레일(412)에 의하여 안내된 상태로 하강하다가, 리미터(413)에 걸리게 되면 수납부(200)의 하강은 멈추게 된다. 혹은 리미터(413)가 없더라도, 댐퍼(340)의 최대 수축 영역까지 댐퍼(340)가 수축하게 되면 수납부(200)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 이 때 멈춤쇠(32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승강 기어(31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그로 인하여 슬라이딩 도어(130) 역시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상, 승하강식 수납장의 개방하는 과정을 도 2, 도 8 및 도 9 순서로 설명하였다. 승하강식 수납장을 닫는 과정은 정확히 위 과정의 역순(도 9, 도 8, 도 2 순서)이 된다. 도 9와 같이 수납장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3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승강 기어(310)의 회전에 의하여 수납부(200)가 상승하게 된다. 도 8의 상태까지 도달하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130)의 멈춤쇠 안내부(324)가 멈춤쇠 중량부(321)로부터 분리되고, 멈춤쇠 중량부(321)의 자중에 의해서 멈춤쇠(320)가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2의 상태가 되면, 멈춤쇠 쐐기(323)가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물려 승강 기어(31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되고, 슬라이딩 도어(13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도어(130)의 도어 가이드 요소(421)가 리미터(413)에 걸려서 더 이상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멈춤쇠(320)의 멈춤쇠 중량부(321)가 멈춤쇠 안내부(324)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멈춤쇠 중량부(321)는 자중에 의해서 멈춤쇠 안내부(324)에 맞닿는 방향으로 멈춤쇠(320)에 토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30)의 승하강에 의하여 멈춤쇠 안내부(324) 역시 승하강하게 되므로, 멈춤쇠 중량부(321)와 멈춤쇠 안내부(324)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같이 멈춤쇠 안내부(324)와 맞닿는 멈춤쇠 중량부(321)의 부분에 멈춤쇠 롤러부(325)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여, 멈춤쇠 중량부(321)와 멈춤쇠 안내부(324)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멈춤쇠 롤러부(325)의 외주면을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감싸서 마찰 및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승강 기어(31)에 토크를 공급하는 구동부(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부(200)의 하강/슬라이딩 도어(130) 상승 동작은 사용자가 특별히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작동하게 되지만, 수납부(200)의 상승/슬라이딩 도어(130) 하강 동작은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들여야 한다. 그러므로 수납부(200)의 상승/슬라이딩 도어(130) 하강 동작을 돕기 위한 구동부(5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측면 플레이트(120)에 구동모터 지지대(520)를 이용하여 구동모터(510)를 설치하게 된다. 구동모터(510)는 변속기어(530)를 통하여 승강 기어(310)에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부(500)의 작동은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시작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30)를 내리려는 힘을 감지하여 이를 구동부(500)의 작동 신호로 인식하여 구동모터(510)를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수납장 케이스 110: 전면 플레이트
120: 측면 플레이트 130: 슬라이딩 도어
131: 도어 손잡이 133: 멈춤쇠 접촉부
140: 댐퍼 지지대 200: 수납부
310: 승강 기어 320: 멈춤쇠(pawl)
321: 멈춤쇠 중량부 322: 멈춤쇠 회전축
323: 멈춤쇠 쐐기 324: 멈춤쇠 안내부
325: 멈춤쇠 롤러부 331: 도어 래크
332: 수납부 래크 340: 댐퍼
411: 도어 가이드 레일 412: 수납부 가이드 레일
413: 리미터
421: 도어 가이드 요소 422: 수납부 가이드 요소
500: 구동부 510: 구동모터
520: 구동모터 지지대 530: 변속기어

Claims (5)

  1. 수납 공간의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는 수납장 케이스(100);
    승하강이 가능하고, 도어 래크(331)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130);
    수납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수납장 케이스(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승하강이 가능하고, 수납부 래크(332)를 포함하는 수납부(200);
    상기 도어 래크(331) 및 상기 수납부 래크(332)와 동시에 기어결합되어 있는 승강 기어(310); 및
    상기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거나 허용하는 멈춤쇠(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와 상기 수납부(200)는 연동하여 움직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가 최하단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상기 멈춤쇠(320)가 상기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와 맞물려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30)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상기 멈춤쇠(320)가 상기 승강 기어(310)와 떨어져 있어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지 아니하며,
    상기 멈춤쇠(320)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멈춤쇠(32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쇠(320)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멈춤쇠 중량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쇠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멈춤쇠(320)의 타측에는 상기 승강 기어(310)의 기어이에 맞물려 상기 승강 기어(310)의 회전을 막을 수 있는 멈춤쇠 쐐기(3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수납장.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00)의 승하강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댐퍼(3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퍼(340)의 상단은 상기 수납부(200) 상부의 소정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340)의 하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댐퍼 지지대(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수납장.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어(310)를 구동시켜 상기 수납부(200)를 상승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수납장.
KR1020200086132A 2020-07-13 2020-07-13 승하강식 수납장 KR10220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32A KR102202582B1 (ko) 2020-07-13 2020-07-13 승하강식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32A KR102202582B1 (ko) 2020-07-13 2020-07-13 승하강식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582B1 true KR102202582B1 (ko) 2021-01-13

Family

ID=7414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32A KR102202582B1 (ko) 2020-07-13 2020-07-13 승하강식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5608A (zh) * 2022-06-22 2022-09-06 江西轩源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取放功能的智能存图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132U (ja) * 1984-04-28 1985-11-2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吊り棚
JPH0537139U (ja) * 1991-10-29 1993-05-21 大塚化学株式会社 昇降式家具類
JP2009011728A (ja) * 2007-07-09 2009-01-22 Fukushin Denki Kk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101133838B1 (ko) * 2011-11-03 2012-04-06 허숙희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JP2013528753A (ja) * 2010-04-07 2013-07-11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コンソールのブレーキ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40663B1 (ko) 2007-06-29 2014-09-23 크린업 코포레이션 승강식 찬장
KR101477416B1 (ko) 2013-08-20 2014-12-29 안은영 싱크대 수납시스템
KR101868705B1 (ko) 2016-12-30 2018-07-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식 싱크대 상부장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132U (ja) * 1984-04-28 1985-11-2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吊り棚
JPH0537139U (ja) * 1991-10-29 1993-05-21 大塚化学株式会社 昇降式家具類
KR101440663B1 (ko) 2007-06-29 2014-09-23 크린업 코포레이션 승강식 찬장
JP2009011728A (ja) * 2007-07-09 2009-01-22 Fukushin Denki Kk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JP2013528753A (ja) * 2010-04-07 2013-07-11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コンソールのブレーキ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33838B1 (ko) * 2011-11-03 2012-04-06 허숙희 도어의 연동 유닛 및 이를 갖는 연동 도어 장치
KR101477416B1 (ko) 2013-08-20 2014-12-29 안은영 싱크대 수납시스템
KR101868705B1 (ko) 2016-12-30 2018-07-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식 싱크대 상부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5608A (zh) * 2022-06-22 2022-09-06 江西轩源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取放功能的智能存图柜
CN115005608B (zh) * 2022-06-22 2024-03-29 江西轩源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取放功能的智能存图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582B1 (ko) 승하강식 수납장
US9512663B2 (en) Security display case
JP5094238B2 (ja) 昇降式吊戸棚
CN107550026B (zh) 智能储物柜
CN110353409A (zh) 一种公众场所防盗防占用智能储物柜
KR20010049427A (ko) 승강식 수납 유닛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200443227Y1 (ko)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WO202207387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ccessibility of storage cabinets
JP3209062U (ja) エレベータ
CN114105037A (zh) 一种机电升降系统
WO2017099791A1 (en) Security display case
JP3663827B2 (ja) 人力応動装置
JP2005349238A (ja) 昇降式収納装置
CN220160023U (zh) 一种显微镜升降台及实验台
JP2007119121A (ja) 段差解消機
JP2006141700A (ja) 食器洗い機
JP4565400B2 (ja) 空き缶潰し機
CN214403158U (zh) 柜门升降机构及其柜
JP6569239B2 (ja) 昇降装置
CN213244288U (zh) 一种话筒翻盖自动开合机构
JP4426818B2 (ja) 手動昇降の床下収納装置
JP2007252743A (ja) 昇降式キャビネット
JP2001120366A (ja) 電動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