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718A -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718A
KR20010046718A KR1019990050598A KR19990050598A KR20010046718A KR 20010046718 A KR20010046718 A KR 20010046718A KR 1019990050598 A KR1019990050598 A KR 1019990050598A KR 19990050598 A KR19990050598 A KR 19990050598A KR 20010046718 A KR20010046718 A KR 2001004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ester film
composition
biaxially oriented
la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규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9005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6718A/ko
Publication of KR2001004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인라인 코팅되어 접착력이 향상된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른 고분자, 특히 고무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보인다.

Description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인라인 코팅되어 접착력이 향상된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라인 코팅이란 용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열고정 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오프라인 코팅이란 용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가 완료된 후에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배향성 고분자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높은 투명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포장재, 자기 테이프, 그래픽 필름, 보호필름 등의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성 잉크와 적성이 나쁘고 다른 고분자 특히 고무와의 접착력이 나쁘기 때문에 가공 공정의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후가공업체에서는 필름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거나, 앵커(anchor)코팅을 한 다음, 포장재, 자기 테이프, 그래픽 필름으로 가공하거나 고무 성분의 재료를 라미네이션하여 산업용 필름을 제조하고 있으나, 이러한 코로나 방전 처리장치나 앵커 코터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며. 특히, 앵커 코팅액에 대한 환경 규제로 인한 생산 제약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고무와 폴리에스테르 필름 간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 3,641,518호에서는 실란액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였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 3,711,321호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바인더로 사용한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한 코팅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표면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3,730,892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상용성이 있는 오일, 실란 및 폴리에틸렌 탈로우 아민(polyethylene tallow am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켰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 4,054,634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yarn)제조 공정에서 방사 후 연신 공정 전에 폴리알킬렌글리콜이 주성분인 조성액으로 개질한 다음 연신 후 공정에서 폴리옥시에틸레이티드-폴리옥시프로필레이티드 모노에테르와 실란을 수용화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개질하여 고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타 물질과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프라이머 코팅 기술은 현재까지 계속 개발 중에 있는대,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2,698,240호에서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를 코팅하는 방법, 미합중국 특허 제 3,819,773호에서는 열경화성 아크릴이나 메타아크릴을 코팅하는 방법, 미합중국 특허 제 3,563,942호, 제 3,779,993호에서는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코팅하여 나일론 필름과의 라미네이팅에 접착층으로 활용하는 방법 및 용제형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접착층으로 응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 방법들은 다른 고분자, 특히 고무와의 접착력이 부족하여 디라미네이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거나, 접착력이 향상된 경우에도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고, 후가공업체에서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는 등 환경 규제 및 생산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고분자, 특히 고무와 접착력이 우수하며, 용제형 잉크 및 수성 잉크와 우수한 적성을 보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축배향된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층;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0.1 내지 10중량포함하며, 나머지는 중량비가 19:1 내지 4: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은 NH2, H, CH3O 및 C6H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식에서, R'은 CH3또는 OH이고, x는 1 내지 3의 정수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웨팅제를 0.1 내지 2.0중량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알콜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n 및 m은 각각 2 내지 8의 정수이며, R"은 수소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8개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고형분으로 0.001g/m2내지 0.1g/m2함유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0.1 내지 10중량포함하며, 나머지는 중량비가 19:1 내지 4: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쉬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비결정 쉬트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는 상기 비결정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는 상기 비결정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는 상기 비결정 쉬트를 횡방향으로 연신한 후 열고정 단계 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0.1 내지 10중량포함하며, 나머지는 중량비가 19:1 내지 4: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테르알콜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웨팅제(wetting)를 0.1 내지 2.0중량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팅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그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포스포레이트에스테르, 플루오르계 계면활성제, 에톡실레이티드알콜 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콜로이달 실리카, 이산화 규소와 같은 무기입자 및 pH 조절제 등을 소정량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글리콜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축합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 칩을 제조한 후 상기 칩을 용융압출하여 비결정질 쉬트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비결정 쉬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글리콜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다이올, 1,4-싸이클로헥산 디메탄올, 파라-자이렌글리콜, 비스페놀-A-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레노사이드를 들 수 있으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 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4-싸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2-포타슘-설포-테레프탈산, 5-소듐-설포-이소프탈산, 파라-하이드록시 벤조산 또는 세바스산을 들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비결정질 쉬트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포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열고정 단계 이전의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 할 수 있다. 즉, 영국 특허 제 1,41,564에서와 같이 종연신 공정 전에 도포하는 방법과 미합중국 특허 제 4,214,035에서와 같이 종연신과 횡연신 사이에서 도포하는 방법과 횡연신 후 열고정 전에 도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방법으로는 그라비어 롤(gravure roll) 이나 리버스 그라비아 롤(reverse gravure roll)과 같은 롤을 이용하는 도포법,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는 도포법,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는 도포법과 같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는 프라이머층이 고형분을 0.001g/m2내지 0.1g/m2함유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미합중국 특허 제4,214,035호에서 사용한 열경화성 아크릴이나 메타아크릴 고분자와 병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일면에 코팅하는 경우에 그 반대면에 열경화성 아크릴이나 메타아크릴 고분자를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연신단계의 조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비결정 쉬트를 종방향으로 3 내지 5배 연신시킨 후 다시 횡방향 3 내지 5배 연신시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된 프라이머 조성물은 210 내지 240℃가 유지되는 열고정 구간에서 열경화와 건조가 이루어져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코팅되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폐필름은 순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에 혼합하여 가공하여도 재생필름의 물리적 특성의 저하나 변색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라인 코팅방식에 의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된 조성액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연신될 때 함께 연신되어 도포층이 얇아지며, 폴리에스테르필름과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활성화 에너지가 증가하고, 열고정 구간을 거치면서 프라이머층 역시 열경화되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프라이머층이 강인화되기 때문에 오프라인 방식으로 코팅할 때보다 접착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어 220 내지 240℃에서 가황공정을 거친 고무를 120 내지 150℃에서 280 내지 480psi의 압력으로 라미네이팅할 때 우수한 접착력을 보인다. 이 경우에 사용 가능한 고무의 예를 들면, 천연고무, 탄소수 4 내지 12개를 가진 디엔 합성고무, 탄소수 8 내지 12개를 가진 비닐 치환 아로마틱과 탄소수 8 내지 12개를 가진 디엔의 공중합 합성고무, 질소계 고무, EDPM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복합 유리 쉬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함은 명백하다.
[실시예 1]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으로써 훽스트 셀라니스(Hoechst Celaness)사에서 제조한 상표명 XAMA-2로 구입가능한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0중량, 입경이 0.5㎛인 이산화규소 0.5중량및 3M사에서 제조한 상표명 FC-430으로 구입가능한 플루오로계 계면활성제 0.5중량를 중량비가 9: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부가한 후 교반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의 당량비로 혼합하고 통상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를 넣어 비스-히드록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HET)를 생성한 다음, 중축합촉매로서 안티몬 트리옥사이드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03중량만큼 넣고 중축합반응을 완결하여 PET 칩을 제조하였다.
상기 칩을 용융압출하여 비결정질 쉬트를 제조한 후 비결정질 쉬트를 종방향으로 80℃에서 3.5배 연신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 한 쪽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메이어 바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도포한 다음, 다시 횡방향으로 230℃에서 3.5배 연신하면서 건조시켜 수용성 조성액이 도포된 두께 5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상술한 XAMA-2의 농도를 3.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바스프(Basf)사에서 제조한 상표명 Lupasol로 구입가능한 폴리에틸렌 이민계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을 3.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상술한 Lupasol의 농도를 5.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제네카(Zeneca)사에서 제조한 상표명 CX-100으로 구입가능한 이민-에스테르계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을 1.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상술한 CX-100의 농도를 3.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미합중국 특허 제 4,571.363에서와 같이 아크릴 라텍스를 4.0중량로 물에 분산시킨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미합중국 특허 제 4,493.872에서와 같이 수용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4.0중량로 물에 분산시킨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되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라인속도 40m/min, 건조기 온도 150℃의 조건으로 그라비어 실린더(150quad)의 조건에서 오프라인으로 상기 조성물을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와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상술한 Lupasol의 농도를 0.1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3에서와 동일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되, 상술한 CX-100을 3.0중량로 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접착력 평가방법]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220 내지 240℃에서 유니로얄 러버사(Uniroyal Rubber Co)로부터 구입가능한 변성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가황공정을 거친 고무판을 120 내지 150℃에서 280 내지 450psi의 압력으로 라미네이팅한 후 25mm x 300mm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제작하여 필링(peeling) 접착력을 시험하였다.
필링 접착력은 약 23℃에서 인스트롱(Instron)사의 UTM을 이용하여 200mm/min의 속도로 T형 박리를 5번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코팅방식 코팅물질 코팅량(중량) 필링 강도(Kg/inch)
실시예 1 인라인 XAMA-2 1.0 1400
실시예 2 인라인 XAMA-2 3.0 1700
실시예 3 인라인 Lupasol 3.0 1200
실시예 4 인라인 Lupasol 5.0 1300
실시예 5 인라인 CX-100 1.0 1100
실시예 6 인라인 CX-100 3.0 1300
비교예 1 인라인 아크릴라텍스 4.0 300
비교예 2 인라인 코폴리에스테르 4.0 200
비교예 3 오프라인 XAMA-2 1.0 700
비교예 4 오프라인 Lupasol 1.0 600
비교예 5 오프라인 CX-100 1.0 600
필링 접착력이 1000kg/inch 이상인 경우가 상품으로서 적합한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XAMA-2가 도포된 실시예 1과 2, Lupasol이 도포된 실시예 3과 4 및 CX-100이 도포된 실시예 5와 6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상품으로서 적합한 필링 접착력을 보이나, 종래의 프라이머 코팅된 비교예 1 및 2는 필링 적합력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각각 XAMA-2, Lupasol 및 CX-100이 도포된 비교예 3, 4 및 5는 동일한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이 도포된 실시예 1 내지 6에 비해 필링접착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프라이머 조성물일자라도 오프라인 방식으로 도포하였을 경우 인라인으로 도포한 경우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력이 약해짐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다른 고분자, 특히 고무와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기존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프라이머 조성물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은 물을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 및 화재 위험성이 적으며, 생산원가를 낮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축배향된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층;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0.1 내지 10중량포함하며, 나머지는 중량비가 19:1 내지 4: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은 NH2, H, CH3O 및 C6H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임.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은 CH3또는 OH이고, x는 1 내지 3의 정수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웨팅제를 0.1 내지 2.0중량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4>
    <화학식 5>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알콜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6>
    상기 식에서, n 및 m은 각각 2 내지 8의 정수이며, R"은 수소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8개의 알킬기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고형분으로 0.001g/m2내지 0.1g/m2함유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다관능 아지리딘 수지를 0.1 내지 10중량포함하며, 나머지는 중량비가 19:1 내지 4:1인 물과 폴리에테르알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은 NH2, H, CH3O 및 C6H5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임.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은 CH3또는 OH이고, x는 1 내지 3의 정수임.
    (b)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쉬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비결정 쉬트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가 상기 비결정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가 상기 비결정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도포단계가 상기 비결정 쉬트를 횡방향으로 연신한 후 열고정 단계 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90050598A 1999-11-15 1999-11-15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6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598A KR20010046718A (ko) 1999-11-15 1999-11-15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598A KR20010046718A (ko) 1999-11-15 1999-11-15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718A true KR20010046718A (ko) 2001-06-15

Family

ID=1962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598A KR20010046718A (ko) 1999-11-15 1999-11-15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67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24B1 (ko) * 2006-12-01 2008-11-05 율촌화학 주식회사 프라이머 층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540A (ja) * 1988-08-15 1990-02-21 Teijin Ltd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361668A (ja) * 1991-01-02 1992-12-15 Bridgestone Corp 接着性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糸
JPH10114872A (ja) * 1996-07-16 1998-05-06 E I Du Pont De Nemours & Co 改善された接着特性を有する下塗コーティングした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10010069A (ko) * 1999-07-15 2001-02-05 장용균 수용성 조성액이 도포된 직압출 코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540A (ja) * 1988-08-15 1990-02-21 Teijin Ltd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361668A (ja) * 1991-01-02 1992-12-15 Bridgestone Corp 接着性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糸
JPH10114872A (ja) * 1996-07-16 1998-05-06 E I Du Pont De Nemours & Co 改善された接着特性を有する下塗コーティングした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10010069A (ko) * 1999-07-15 2001-02-05 장용균 수용성 조성액이 도포된 직압출 코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24B1 (ko) * 2006-12-01 2008-11-05 율촌화학 주식회사 프라이머 층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870B1 (ko) 열가소성 적층 필름
CN103756526B (zh) 一种抗静电水性涂布液
JP200210523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605816B2 (ja) 蒸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123703A1 (en) Highly adhesive film
JP2001138459A (ja) ガスバリアー性積層ポリアミドフィルム
KR20010046718A (ko) 라미네이팅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202027961A (zh) 雙軸配向聚醯胺膜以及聚醯胺膜輥
KR910007308B1 (ko) 표면 경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법
JPH0367626B2 (ko)
KR100718920B1 (ko)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H06293875A (ja) コーティング剤及び該剤を塗布した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20220094204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5088389A (ja) 離形フィルム
JP2605817B2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着フィルム
KR100439625B1 (ko)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4441198B2 (ja) 感光性材料
JPH1158655A (ja) 易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81714B2 (ja) 被覆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440347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0238218A (ja) 易接着性ポリアミドフィルム
JPH0367625B2 (ko)
JP3572762B2 (ja) 印刷適性に優れた易滑性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法
JP3206552B2 (ja) 積層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
JP2001106808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