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100A -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재습윤성의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재습윤성의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100A
KR20010043100A KR1020007011985A KR20007011985A KR20010043100A KR 20010043100 A KR20010043100 A KR 20010043100A KR 1020007011985 A KR1020007011985 A KR 1020007011985A KR 20007011985 A KR20007011985 A KR 20007011985A KR 20010043100 A KR20010043100 A KR 20010043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bsorbent
absorbent article
stora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른츠실케
에름스페어게어부르노요하네스
슈미츠마티아스
라본게리딘
뉴만프랭크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2669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431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4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facing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87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87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 A61F2013/1552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with specific diffusion velo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61F2013/15552Ai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 A61F2013/530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with special pore dimension or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 A61F2013/53085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foam or sponge other than superabsorbent being collapsed or collapsible fo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한 유체 저장 영역; 및 극한 유체 저장 영역과 유체 연통되어 있고, 상기 극한 저장 영역과 제품의 의복 대향면 사이에 위치한 유체 분배 영역을 포함하는, 예를 들면 위생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흡수 제품에 관한 것으로, 이때 유체 연통은,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의 100 ㎝ 모세관 흡탈착 용량(CSDC 100)이 10 g/g 이상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추가로, 액체 분배 층은, 최대 용량의 30%에서의 모세관 흡착 흡수 높이가 25㎝ 이상인 물질을 포함한다. 전체 제품은 재습윤 경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을 위해 특히 적당한 분배 물질은 발포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평면내 수중 유적형 현탁액에서 유도되는 중합체성 발포체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 재습윤성의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REDUCED REWET WITH DISTRIBUTION MATERIALS POSITIONED UNDERNEATH STORAGE MATERIAL}
뇨 또는 변과 같은 신체 배출물을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흡수 제품,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성인 실금자용 제품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보다 우수한 성능의 기저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가능한지 여부는, 다량의 배출된 체액, 특히 뇨를 포획하고 저장할 수 있고, 특히 수용된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로 다시 유출되는 경향을 최소화하는 비교적 얇은 흡수 코어 또는 구조물을 개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드로겔", "초흡수체" 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로 종종 지칭되는 특정 흡수성 중합체들의 사용이 특히 중요하였다[예를 들면, 흡수 제품에 상기 흡수성 중합체(이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는, 1972년 6월 13일자로 하퍼(Harp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699,103 호 및 1972년 6월 20일자로 하몬(Harm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70,731 호 참조]. 사실상, 보다 얇은 기저귀의 개발은 전형적으로 섬유상 매트릭스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다량의 배출된 체액을 흡수하는 상기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능력의 이점을 취한 보다 얇은 흡수성 코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예를 들면, 얇고 치밀하고 부피감이 적은 기저귀를 만드는데 유용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및 섬유상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이중-층 코어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는, 1987년 6월 16일자로 웨이즈만(Weise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73,402 호 및 1990년 6월 19일자로 라쉬(L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35,022 호 참조. 또한, 고농도의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의 영역을 포함하고, 중합체가 팽윤시 겔-연속성 유체 수송 대역을 형성하는 흡수 코어에 관한, 1996년 10월 8일일자로 골드만(Goldma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2,646 호 및 1997년 2월 4일일자로 골드만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99,335 호 참조].
흡수 제품의 저장 구조물의 주성분으로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또는 그의 대안으로, 고 내부상 유중 수적형(water-in-oil) 유화액("HIPE")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발포 물질의 사용이 확인되었다[예를 들면, 1993년 11월 9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0,345 호, 1995년 2월 7일일자로 다이어(Dy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 및 1997년 7월 22일자로 데스마라이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0,222 호 참조].
또한, 착용자의 다리 사이의 영역에서 낮은 용량을 갖는 구조물이 예컨대 1997년 3월 27일자로 출원된 PCT 97/05046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우수한 포획 및 분배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의 특정 영역을 통하여 특정 액체 저장 용량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다른 영역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PCT 공개 제 WO 98/43570 호에, 개선된 재습윤 성능과 함께 개선된 정합성을 제공하는 흡수성 구조물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선행 기술은, 예를 들어, 흡수 코어와 상면시이트 사이에 "서지(surge) 처리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유체 포획/분배 성능을 갖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예를 들면, EP-A-0,397,110 호 또는 EP-A-0,312,118 호 참조).
다른 문헌들은 미시적으로 보아 흡수성 물질을 침투하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그 아래의 분배 층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 이동로"를 갖는 저장 층 아래의 분배 층을 갖는 흡수 제품을 개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EP-A-0,565,606 호 또는 EP-A-0,343,940 호). 상부의 저장 층이, 예를 들어, 단지 소량의 초흡수성 물질을 가짐으로써 비교적 낮은 극한 저장 용량을 갖기 때문에, 유체가 상부 저장 층을 통해 침투할 수 있는 대체 디자인이 개시되었다(예를 들면, EP-A-0,512,010 호)
미국 특허 제 5,454,800 호(허트(Hirt) 등)에서는, 하부 층(예를 들면, 종이 티슈)이 제 1 층보다 우수한 흡상 특성을 갖도록 적층 배열된 최소한 제 1 및 제 2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흡수 부재는 코-폼(co-form) 또는 공기-적층 티슈 웹과 같은 큰 기공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유체를 하부 층으로 침투시키는 간극 또는 천공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른 제품은, 흡수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초흡수성 물질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물질은 미국 특허 제 5,599,335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염수 유동 전도도(Saline Flow Conductivity)"로 표시되는 액체 투과도를 나타낸다.
또다른 부류의 문헌에는, EP-A-0,809,99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유속(flux)를 갖거나 또는 1998년 3월 13일자로 데스마라이스 등에 의해 "수성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흡수 제품(Absorbent materials for distributing aqueous liquids)"의 명칭으로 출원되어,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 09/04241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높은 흡상 능력을 갖는 등의 개선된 유체 분배 특성을 갖는 물질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분배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분배 물질을 배수시키고, 제품의 우수한 재습윤 성능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저장물질에 비교적 높은 모세관 흡수 압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얇은 두께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착용자의 편안함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우수한 포획, 우수한 분배를 제공하고, 특히 제품의 외면상에 딱딱한 촉감(종종 "다중-얽은 자국화(poly-pockmarking"으로 지칭됨)을 방지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침투되도록 할 수 있는 양호한 성능의 제품을 위해, 개선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얇은 두께와 작은 코어 크기의 결합은 전체 "기본 용량", 즉, 단위 면적 당 높은 수준의 유체 저장 용량에 대한 필요성을 야기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개선점을 갖고, 특히 통상적인 생산 라인에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유형의 유체 저장 물질 또는 부재를 포함하되 특히 적합한 분배 물질의 이점을 이용하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극한 유체 저장 영역; 및 상기 극한 저장 영역과 제품의 의복 대향면 사이에 위치하고 극한 유체 저장 영역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유체 분배 영역을 갖는, 예를 들면 위생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흡수 제품으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은, (1) 100 ㎝ 모세관 흡탈착 용량 (CSDC 100)이 10 g/g 이상이고, 또한 (2) 0 ㎝ 모세관 흡탈착 용량(CSDC 0)이 상기 CSDC 100 보다 높고, 이로써 (3) CSDC 0과 CSDC 100 사이의 차이인 느슨하게 구속된 액체 용량(Loosely Bound Liquid Capacity, LBLC)을 갖고, (4) 상기 LBLC의 50%가 방출되는 경우의 모세관 흡탈착 방출 높이(CSDRH 50)가 60 ㎝ 미만인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액체 분배 층은 그 최대 용량의 30%에서의 모세관 흡착 흡수 높이(Capillary Sorption Absorption Height, CSAH 30)가 25 ㎝ 이상인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은 25 x 10-73초/g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70 x 10-73초/g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x 10-73초/g보다 크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x 10-73초/g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x 10-73초/g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x 10-73초/g보다 큰 SFC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50 ㎝ 이상의 CSAH 30을 갖는 유체 분배 영역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유체 분배 영역 물질은 150 ㎝ 미만의 CSDH 50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유체 분배 물질의 이점은, 50% 포화도에서의 유체 투과도(k(50))가 100% 포화도에서의 유체 투과도(k(100))의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의 18%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25%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보다 큰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유체 분배 영역 물질은 1 Darcy 이상, 바람직하게는 8 Darcy 이상의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분배 영역 물질은 4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팽창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수직 흡상 시험(Vertical Wicking test)의 15 ㎝에서의 누적 유속 값(Cumulative Flux value)이 0.02 g/㎝2/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0.04 g/㎝2/분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g/㎝2/분보다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4 g/㎝2/분보다 큰 분배 영역 물질을 갖는다.
유체 분배 및/또는 저장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은, 발포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발포 물질,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 내부상 유중 수적형 유화액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발포 물질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배 영역은 섬유 물질, 바람직하게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셀룰로즈, 및/또는 합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분배 물질은 제조 후에 기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영역은 단일 층 물질일 수 있거나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지며, 필수적으로 균일한 조성 및/또는 밀도 및/또는 기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은 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은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질은 50 x 10-73초/g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x 10-73초/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3초/g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3초/g 이상의 SFC를 갖는다.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은 필수적으로 조성이 균일하며, 단일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 영역은 필수적으로, 10 ㎜3보다 큰 개별적인 공극, 천공 또는 간극 체적을 갖는 공극, 천공 또는 간극들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을 가랑이 영역과 하나 이상의 허리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 가랑이 영역은 하나 이상의 허리 영역보다 일제히 낮은 극한 유체 저장 용량, 바람직하게는 전체 코어의 극한 유체 저장 용량의 49%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미만의 극한 유체 저장 용량을 갖는다.
또다른 양태으로, 본 발명은 450 g/m2미만의 비교적 낮은 기본 중량의 액체 저장 부재를 가지며, 예를 들면, 가랑이 영역 중의 극한 저장 물질의 기본 중량이 제품 전체에 걸쳐 20%(건조 중량 기준) 미만의 차이를 갖는 것과 같이, 액체 저장 부재의 기본 중량이 그 전체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한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제품은 전체 흡수 코어 길이의 절반인 가랑이 영역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은 상기 유체 분배 영역의 표면적의 1.2배 이상의 표면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로 뇨와 같은 신체 배출물을 수용하고 보유하도록 고안된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품은 유아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성인 실금자용 제품 등과 같은 일회용 위생 제품이다.
도 1은 흡수 제품의 한 예로서의 기저귀이고,
도 2는 포획 시험용 스탠드이며,
도 3은 포획후 콜라겐 재습윤 방법(PACORM) 시험용 스탠드이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흡수 제품"이란 용어는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함유하는 장치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로부터 배출된 다양한 분비물을 흡수하고 함유하기 위해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또는 신체에 인접하여 배치된 장치를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체액"이란 용어는 뇨, 생리혈 및 질 분비물, 땀 및 변을 포함하나, 이로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일회용"이란 용어는, 세탁하거나 또는 아니면 흡수 제품으로 복구되거나 또는 재사용되지 않는 흡수 제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즉, 이들은 사용 후 폐기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퇴비화 또는 아니면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처리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Z-차원"이란 용어는 부재, 코어 또는 제품의 길이 및 폭에 직교되는 치수를 말한다. Z-차원은 통상적으로 부재, 코어 또는 제품의 두께에 상응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X-Y 치수"은 부재, 코어 또는 제품의 두께에 직교되는 평면을 말한다. X-Y 치수는 통상적으로 부재, 코어 또는 제품의 길이 및 폭에 각각 상응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란 용어는 체액을 포획, 수송, 분배 및 저장함을 포함하여, 제품의 유체 처리 성질을 주로 담당하는 흡수 제품의 성분을 말한다. 이와 같이, 흡수 코어는 전형적으로 흡수 제품의 상면시이트 또는 배면시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흡수 부재"란 용어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기능, 예를 들면, 유체 포획, 유체 분배, 유체 수송, 유체 저장 등을 제공하는 흡수 코어의 성분을 말한다. 흡수 부재는 전체 흡수 코어를 이루거나 또는 흡수 코어의 일부분만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흡수 코어는 하나 이상의 흡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성 흡수 부재"는 주로 흡수된 유체를 궁극적으로 저장하는 작용을 하는, 흡수 코어의 흡수 부재 성분(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성 흡수 부재는 또한 그 수직 흡상 능력의 결과로서 유체를 분배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영역(들)" 또는 "대역(들)"이란 용어는 흡수 부재의 부분들 또는 구역들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층"이란 용어는 주 치수가 X-Y 치수인, 즉, 그 길이 및 폭에 나란한 흡수 부재를 말한다. 층이란 용어가 반드시 물질의 단일 층 또는 시이트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층은 필요한 유형의 물질들의 여러 시이트 또는 웹의 적층체 또는 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층"이란 용어는 "층들" 및 "적층된"이란 용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란 용어는 사용 중에 흡수 제품의 착용자와 가장 근접하여 있으며, 전형적으로 흡수 제품의 상면시이트에 접하고 있는 흡수 부재, 예를 들면, 층을 말하며; 반대로, "하부"란 용어는 흡수 제품의 착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있으며, 전형적으로 배면시이트에 접하고 있는 흡수 부재를 지칭함을 또한 주지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백분율(%), 비 및 비율은, 모두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으로 산출된 것이다.
흡수 제품 - 일반적 설명(도 1)
흡수 제품은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하위구조물(sub-structure) 또는 흡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 유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실질적으로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임의로 폐쇄 요소 또는 탄성화 요소와 같은 추가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1은 기저귀인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의 예시적인 양태의 평면도이다.
기저귀(20)는 기저귀(20)의 구조를 더욱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구조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착용자로부터 멀리 대향되는 기저귀(20) 부분인 외면(52)이 관찰자를 향하고 있는, 편평한, 수축되지 않은 상태로(즉, 탄성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는 측면 패널에서를 제외하고 탄성 유도된 수축이 잡아 당겨진 상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저귀(20)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4), 상면시이트(24)에 연결된,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26), 및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6)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28); 탄성화된 측면 패널(30);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32); 탄성 허리 특징부(34); 및 일반적으로 (36)으로 중복 표시되는 이중 인장 패스닝 시스템을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면시이트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시이트는 액체 투과성이어서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뇨)가 상면시이트의 두께를 통해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할 수 있다. 적합한 상면시이트는 직물 및 부직물(예를 들면, 섬유의 부직물 웹); 천공 성형된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가소성 필름 및 하이드로폼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성 물질;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망상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과 같은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직물 및 부직물은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화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중합체 섬유), 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혼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된 중합체는 이들의 특성상 친수성일 수 있거나, 중합체의 표면에 첨가하거나 중합체에 도입된 적당한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친수성을 보유하게 할 수 있거나, 이러한 중합체가 소수성일 수 있다(소수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가 부직물 웹을 포함하는 경우, 웹은 다수의 공지된 기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이 스펀본딩(spunbonding)되거나, 카딩(carding)되거나, 습윤 적층되거나, 용융 취입되거나, 하이드로인탱글화되거나, 이들의 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상면시이트는 추가로 유럽 특허원 제 0 794 804 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로션 또는 에몰리언트(emmolient)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시이트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뇨) 불투과성이고,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얇은 가소성 필름으로 제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이라는 용어는 유연하고, 신체의 일반적인 형태 및 체형에 쉽게 부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 배면시이트는 흡수성 코어에서 흡수되고 보유되어 있는 분비물이 흡수 제품과 접촉하고 있는 제품, 예를 들어 침대 시이트, 팬츠, 파자마 및 속옷을 습윤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면시이트는 직물 또는 부직물, 중합체성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 또는 필름 피복된 부직물과 같은 복합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당한 배면시이트는 약 0.012 mm(0.5 mil) 내지 약 0.051 mm(2.0 mil)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이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예로는, 상품명 XP-39385으로서, 미국 인디아나주 테레 호트 소재의 트레데가 필름 프로덕츠(Tredegar Film Product)에 의해 공급되는 필름 및 P18-1401의 상품명으로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서 제조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배면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되고/되거나 매트 마감처리되어 보다 천같은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배면시이트는, 분비물이 배면시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흡수성 코어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즉, 통기성일 수 있다). 이러한 습기 통기성 배면시이트는 미공질 필름 또는 필름 적층제와 같은 물질, 피복된 부직물, 플라즈마 처리된 부직물 등을 포함하는 부직물, 단층 필름, 적층체 또는 성형 필름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은, 예를 들어 경사진 원뿔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체 등을 통해서 액체를 한쪽 방향으로 투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면시이트에 대해, 다수의 물질이 시판중이며, 예로 들면 프랑스 소재의 Elf 아토켐( Elf Atochem)의 PEBAX(등록상표), 미국 소재의 BF 굿리치(BF Goodrich)의 이스테인(ESTANE, 등록상표), 미국 일리노이주 버팔로 그로브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Exxon Chemical Company)의 엑손 엑세어(Exxon Exxair, 등록상표) XFB-100W;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중인 듀퐁 하이트렐(DuPont Hytrel, 등록상표) 필름 블렌드 #P18-3097 또는 듀퐁 하이트렐 필름 블렌드 #P18-309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필름에서, 소위 말하는 '단층 필름'의 형태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이 특정량의 물을 흡입하는 경우, 물에 대한 이들의 투과성은 실제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이러한 물질과 직접 접촉하고 액체 연통된 액체 분배 층을 포함하는 디자인에 특히 유용할 수 있고, 이는 이러한 필름이 제품에 분비된 액체에 의해 쉽게 습윤되고, 이는 흡수 제품의 비교적 넓은 영역을 통해 분배 영역의 분산 및 분배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중 인장 패스닝 시스템(36)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패스닝 시스템(38) 및 허리 폐쇄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제 1 패스닝 시스템(38)은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고정 부재(42) 및 랜딩 부재(44)를 포함한다. 허리 폐쇄 시스템(40)은 도 1에 제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제 1 부착 요소(46) 및 제 2 부착 요소(48)를 포함한다. 기저귀(2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 1 부착 요소(46)에 인접하여 위치한 배치용 패치(50)을 포함한다.
기저귀(20)는 도 1에 외면(52)(도 1에서 관찰자를 향하고 있음), 외면(52)과 대향되는 내면(54), 제 1 허리 영역(56), 제 1 허리 영역(56)과 대향되는 제 2 허리 영역(58), 및 기저귀(20)의 외부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둘레(60)(여기서, 종방향 가장자리는 (62)로 표시되고 말단 가장자리는 (64)로 표시된다)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저귀(20)의 내면(54)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저귀(20) 일부분을 포함한다(즉, 내면(54)은 일반적으로 상면시이트(24)의 적어도 일부 및 상면시이트(24)에 연결된 다른 성분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외면(52)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기저귀(20) 일부분을 포함한다(즉, 외면(52)은 일반적으로 배면시이트(26)의 적어도 일부분 및 배면시이트(26)에 연결된 다른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제 1 허리 영역(56) 및 제 2 허리 영역(58)은 각각 둘레(60)의 말단 가장자리(64)로부터 기저귀(20)의 측방향 중심선(66)으로 연장되어 있다. 허리 영역들은 각각 중심 영역(68), 및 전형적으로 허리 영역의 외부 측방향 부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측면 패널을 포함한다. 제 1 허리 영역(56)에 위치한 측면 패널은 (70)으로 표시하고, 제 2 허리 영역(58)에 위치한 측면 패널은 (72)로 표시한다. 한쌍의 측면 패널 또는 각각의 측면 패널이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이들은 서로의 거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허리 영역(58)에 위치한 측면 패널(72)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장가능하다(즉, 탄성화된 측면 패널(30)). (측방향(x 방향 또는 폭)은 기저귀(20)의 측방향 중심선(66)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되고; 종방향(y 방향 또는 길이)은 종방향 중심선(67)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의되며; 축 방향(Z 방향 또는 두께)은 기저귀(2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도 1은, 상면시이트(24) 및 배면시이트(26)가 코어 및 몸통 영역에 걸쳐 일체형이며,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28)보다 길이 및 폭 치수가 큰 기저귀(20)의 특정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상면시이트(24) 및 배면시이트(26)는 흡수 코어(28)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어, 기저귀(20)의 둘레(60)를 이룬다. 둘레(60)는 외부 둘레 또는, 즉, 기저귀(20)의 가장자리를 한정한다. 둘레(60)는 종방향 가장자리(62) 및 말단 가장자리(64)를 포함한다.
각각의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32)는 임의의 다리 밴드, 측면 플랩, 차단벽 커프스 또는 전술한 탄성 커프스에 유사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지만, 각각의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32)는 전술한 미국 특허 제 4,909,80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차단벽 플랩(85) 및 이격 탄성 부재(86)를 포함하는 내부 차단벽 커프스(84)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으로,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32)는 또한 전술한 미국 특허 제 4,695,278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차단벽 커프스(84)의 바깥쪽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탄성 스트랜드(105)를 갖는 탄성 가스켓 커프스(104)를 포함한다.
기저귀(20)는 또한 개선된 정합성 및 봉쇄성을 제공하는 탄성 허리 특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허리 특징부(34)는 적어도 중심 영역(68)에서의 흡수 코어(28)의 허리 가장자리(83)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종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기저귀(20)의 말단 가장자리(6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탄성 허리 특징부(34)는 흡수 코어(28)의 허리 가장자리(83)로부터 기저귀(20)의 말단 가장자리(64)로 최소한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의 일부분을 포함하며, 착용자의 허리에 인접하여 놓인다. 일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2개의 탄성 허리 특징부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하나는 제 1 허리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허리 영역에 배치된다.
탄성 허리 특징부(34)의 탄성화된 허리 밴드(35)는 상면시이트(24)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신장된 배면시이트(26)의 일부, 및 상면시이트(24)와 배면시이트(26)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성 부재(76) 및 배면시이트(26)와 탄성체성 부재(76) 사이에 위치한 탄성 부재(77)를 포함하는 이중-적층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귀의 상기 성분들 뿐 아니라 다른 성분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3/16669 호에 보다 상세히 나와 있다.
착용자의 피부에 가장 근접한 물질로서 상면시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면시이트 없이도 적합한 흡수 코어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편안함 및 흡수성 뿐 아니라 제조상의 단순성 및 재료비 절감과 같은 바람직한 결과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흡수 코어 자체의 신체 대향면이 개별적인 상면시이트를 이루도록, 액체 투과성이며 부드럽고, 유연하며, 비-자극적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흡수 코어는, 배면시이트와 함께 사용되어 흡수 제품에 편안함 및 흡수성을 제공한다.
흡수 제품의 영역 및 이들의 상대적 배치
일반적으로, 흡수성 위생 제품은 신체의 하체 말단 주위로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각각의 신체 개구부 주위로 연장되어, 배출이 일어나는 신체의 영역("배출 영역")을 덮는 것이 이들 제품의 필수적인 디자인 특징이다. 배출 영역을 덮는 흡수 제품의 개별적인 대역은 상응하게 "부하 대역"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사용 중에, 제품은 일반적으로 다리 사이의 가랑이로부터 착용자의 전방 및 후방 양쪽으로 위로 연장되도록(착용자의 서 있는 위치에 대해) 착용자에게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의 폭 치수가 길이 치수를 초과하여, 작용자가 직립한 경우 길이 치수이 착용자의 키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면, 제품의 폭 치수는 착용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선에 따라 배치되도록 제품을 착용한다.
인간 착용자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착용자의 다리 사이의 공간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영역내의 제품을 위한 이용가능한 공간으로 한정된다. 양호한 정합성을 위해, 흡수 제품은 가랑이 영역에 잘 부합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제품의 폭이 착용자의 가랑이 폭에 대해 과도하게 넓은 경우, 제품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성능이 저하되고 착용자의 편안함이 감소될 수 있다.
제품이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서 가장 양호하게 부합되도록 하는 최소의 폭을 갖는 부위는, 다리 사이의 거리가 가장 좁고 (본 발명의 범주에서) "가랑이 부위"로 지칭되는 착용자의 부위와 일치한다.
제품의 가랑이 부위가 그 형태로부터 명확하지 않은 경우, 바람직하게는 서 있는 사용자 그룹(예를 들면, 유아)의 착용자에 제품을 배치한 다음, 연장가능한 필라멘트를 숫자 8의 형태로 다리 주위에 놓음으로써 가랑이 부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필라멘트의 교차 부위에 상응하는 제품의 부위가, 제품의 가랑이 부위이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품 내에 첨부되어 있는 흡수 코어의 가랑이 부위인 것으로 생각된다.
제품의 상기 가랑이 부위는 종종 제품의 중심부(종방향에서)에 위치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전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 제품 부분이, 그의 길이 치수, 또는 폭 치수, 또는 둘다의 치수 또는 표면적에 있어서 등쪽(또는 후방) 부분보다 작은 것이 알맞다. 또한, 가랑이 부위는, 특히 흡수 코어가 제품에서 종방향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흡수 코어의 중심부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가랑이 영역은 각각의 신체 개구부, 즉 개별적인 배출 영역을 덮기 위해 가랑이 부위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영역은 전체 코어 길이의 50%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된다(상기 전체 코어 길이는 코어의 전방 및 후방 허리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며, 이것은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직선으로 어림할 수 있다). 가랑이 부위가 제품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경우, 가랑이 영역은 전체 길이의 25% 부분에서 시작하여(전방 코어 가장자리로부터 계산하는 경우), 전체 코어 길이의 75% 부분까지 연장된다. 또는, 흡수 코어의 길이의 전방 1/4 및 후방 1/4은 가랑이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전체 흡수 코어 길이의 50%에 달하는 가랑이 영역 길이는 유아 기저귀용으에서 유도되었으며, 이것이 유체 취급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임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이 매우 상이한 치수를 갖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길이를 50% 감소시키거나(중증 실금자용 제품의 경우에서처럼) 또는 상기 비를 증가시킬(매우 경미하거나 또는 경미한 실금자용 제품의 경우에서처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견지에서, 제품의 상기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배출 영역을 훨씬 능가하도록 연장되지 않아야 한다.
가랑이 부위가 제품의 중앙에서 치우쳐 위치하는 경우, 가랑이 영역은 여전히 전체 제품 길이의 50%를 (종방향으로) 덮지만, 전방 및 후방 사이에 고르게 분배되지 않고, 상기 치우친 정도에 비례하여 조정된다.
500 ㎜의 전체 코어 길이를 가지며 가랑이 부위가 중앙에 위치한 제품에 대한 한가지 예로서, 가랑이 영역은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125 ㎜ 떨어진 곳에서부터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375 ㎜ 떨어진 곳까지 연장될 것이다. 또는, 가랑이 부위가 전방 코어 가장자리 쪽으로 50 ㎜ 치우쳐 있는 경우(즉, 전방 코어 가장자리로부터 200 ㎜ 떨어져 있는 경우), 가랑이 영역은 100 ㎜로부터 350 ㎜까지 연장된다.
일반적인 견지에서, LC의 전체 코어 길이, 전방 코어 가장자리로부터 LCP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가랑이 부위, 및 LCZ의 가랑이 대역 길이를 갖는 제품의 경우, 상기 가랑이 대역의 전방 가장자리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거리에 위치할 것이다.
예를 들면, 흡수 제품은 (즉, 약 12 내지 18 ㎏의 유아 체중의) 유아가 착용하기 위한 유아용 기저귀일 수 있으며, 이는, 판매되는 제품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MAXI 크기로 지칭되기 때문이다. 그다음, 제품은 변 물질 및 뇨 둘 다를 수용하고 보유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가랑이 영역은 주로 뇨 부하물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가랑이 영역의 전체 면적 및 크기는 (물론) 또한 흡수 코어의 개별적인 폭에 따라 달라진다. 즉, 코어가 가랑이 영역 이외에서 보다 가랑이 영역에서 더 좁은 경우, 가랑이 영역은 흡수 코어의 나머지 면적보다 보다 적은 면적(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가랑이 영역과 제품의 나머지 부분들간의 경계면은 또한 곡선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상기 경계면은 본원의 설명 안에서 제품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 직선에 가깝다.
"가랑이 영역"은 또한 상기 개별적인 영역에서의 코어의 폭에 의해 한정되며, "가랑이 영역 면적"은 가랑이 영역 길이 및 개별적인 폭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가랑이 영역에 대한 보완 요소로서, 흡수 코어는 또한 가랑이 영역외의 흡수 코어의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대부분 2개인 허리 영역(들)을 포함한다.
흡수 제품 및 특히 흡수 코어의 다양한 요소들은 그 기능에 의해서도 구분될 수 있다.
그래서, 제품의 부하 지점에 가장 근접한 영역은 일반적으로 제품에 의해 흡수될 신체 분비물이 제품의 표면 위에(여기서, 신체 분비물이 착용자의 피부와 너무 많은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을 가질 수 있다) 잔류하지 않도록 충분히 신속히 포획할 필요가 있다. 상기 영역은 종종 포획 영역으로 지칭된다.
수용된 신체 분비물이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또다른 영역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포획 영역이 직접 인접할 수 있는 한 영역에서 행해질 수 있거나, 또는 주로 포획 영역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영역에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직접 접촉하거나(예를 들면, 각각의 상부에 2개의 저장 물질 층을 위치시키는 경우), 또는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예를 들면, 제품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각각 하나의 저장 영역을 위치시키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경우들 중 임의의 경우에, 주로 유체 분배 기능을 갖는, 즉, 유체를 주로 제품의 x-y 방향으로, 예를 들면, 포획 영역으로부터 저장 영역 또는 영역들로 수송하는 추가의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흡수 제품에서, 영역들은 하나의 단일하고 균일한 구조물 또는 물질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들의 특정 기능에 더 잘 맞추기 위해 상이한 유체 처리 성질을 갖는다. 종종 상이한 성질을 갖는 물질들로 영역을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디자인의 경우,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 영역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유체 포획/분배 영역이 존재해야 한다.
영역들 각각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편평하거나(즉, 필수적으로 일정한 두께 치수를 갖는 x-y 연장부를 필수적으로 갖는) 또는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영역은 서로에 대해 다양한 상대적 위치로 배열, 예를 들면,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x-y 방향으로 외접될 수 있다.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품의 바람직한 모양은 상기 영역들이 착용자의 편안함에 불리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고, 이상적으로는 불리한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도록 배열된 영역들을 갖는다. 이점은 부하되지 않은 ("건조한")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부하된 상태에서의 제품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부하된 상태의 경우, 특히 바람직한 모양은 가랑이 영역에 작은 폭 치수를 가지며, 또한 부하된 제품에 대해서도 다리 사이에 부피감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상기 영역에 비교적 낮은 유체 저장 용량을 갖는다.
다양한 영역들은 서로 유체 연통되도록 접촉되어야 한다. 즉, 신체 분비물이 포획 대역에서 저장 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존재해야 하며, 존재하는 경우, 분배 영역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각각의 영역은 이들의 주된 기능에 의해 지칭되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다른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유체 흡수 저장 영역도 유체 분배 기능을 가지며, 유체 포획/분배 영역은 다소의 유체 보유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 용량 및 극한 저장 용량
다양한 최종 사용 조건에 대해 흡수 제품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의 제품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자인 용량"이 적합한 척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유아가 전형적인 사용자 그룹을 대표하지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 그룹 내에서도 뇨 부하물의 양, 부하 빈도, 뇨의 조성은 보다 어린 유아(신생아)에서 유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다양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여러 개개인의 유아들 중에서도 광범위하게 다를 것이다.
또다른 사용자 그룹은, 특정 형태의 실금증을 가지고 있는 보다 큰 아동일 수 있다.
또한, 성인 실금자도, 일반적으로 경미한 실금에서 중증 실금까지로 지칭되는 광범위한 부하 조건하에서 상기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추후의 고찰을 위해 다른 크기에 대한 교지를 쉽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지만, 초점은 아장아장 걷는 정도의 유아에 맞춰질 것이다. 상기 사용자의 경우, 1회 배설 당 75 ㎖ 이하의 뇨 부하물(착용 기간 당 평균 4회의 배설로 총 300 ㎖가 부하됨) 및 15 ㎖/초의 배설 속도가 충분히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상기 요구조건을 처리할 수 있는 제품은 상기 양의 뇨를 포획하는 용량을 가져야 하며, 이것은 하기에서 "디자인 용량"으로 지칭될 것이다.
이러한 양의 유체는, 체액이(만일 있다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제품의 표면 상에 거의 남지 않도록, 체액 또는 적어도 이들의 수성 부분들을 최종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물질에 의해 흡수되어야 한다. "극한"이란 용어는 한편으로는 오랜 착용 시간의 흡수 제품과 같은 상황을 말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 환경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의 "극한" 용량에 도달한 흡수성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오랜 착용 시간 후에 실질적인 사용 중의 조건하에 있는 흡수 제품의 상황일 수 있거나, 또는 순수한 물질 또는 물질 복합체에 대한 시험 절차에서의 상황일 수 있다. 고려 중인 방법들 중 대부분이 점근선적 동적 양태를 갖기 때문에,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실제 용량이, 예를 들면, 장치 측정 정확성에 비례하여 점근선 종점에 충분히 근접한 값에 도달되는 경우 도달될 "최종" 용량을 쉽게 고려할 것이다.
흡수 제품은 주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저장하도록 디자인된 물질, 및 주로 유체의 포획 및/또는 분배와 같은 다른 기능을 충족시키도록 디자인되지만 여전히 특정의 극한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적합한 코어 물질은 상기 기능을 인위적으로 구분하려는 시도 없이 기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한 저장 용량은 전체 흡수 코어에 대해, 그의 영역들에 대해, 흡수 구조물에 대해, 또는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하위구조물 뿐 아니라 임의의 선행 기술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물질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제품의 다양한 치수에 대해 상기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다른 의도된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적절한 디자인 용량을 쉽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흡수 부재
기능성의 견지에서 흡수 코어의 다양한 영역들을 관찰하는 것에서 벗어나, 하나 이상의 흡수 부재, 또는 하위구조물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흡수 코어를 고려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므로, 하나 또는 (현행 흡수 제품 디자인의 대부분의 경우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상이한 "물질들"로 이루어지는 흡수 코어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흡수 부재를 형성하는 물질은, 물질이 "순수한" 물질(예를 들면, 초흡수성 물질의 입자), 균일한 물질의 축적물(예를 들면, 셀룰로즈 섬유의 덩어리, 또는 발포체 구조물, 또는 초흡수성 입자의 덩어리), 2개 이상의 순수한 물질 또는 물질 축적물의 혼합물(예를 들면, 상이한 성질을 갖는 초흡수성 입자들의 혼합물, 또는 초흡수성 입자와 셀룰로즈 섬유의 블렌드); 또는 별개의 흡수 부재를 형성하는 여러 물질들의 또다른 배열(예를 들면, 2층 복합체)인지에 관계없이 그의 "물질 특성"에 대해 시험될 수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유체 처리 부재"의 유체 처리 성질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특정 부재에 대해서는 그 안에 포함된 하위구조물 또는 물질들의 성질을 평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성 영역들은 동일한 물질(예를 들면, 셀룰로즈 웹, 또는 셀룰로즈와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상이한 영역들은, 예를 들면,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한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상이한 성질들은 상이한 부재 및/또는 물질을 사용하여 친수성을 제공함으로써 광범위한 디자인 유연성, 또는 기공 크기 또는 매우 광범위하게 변하는 유체 처리와 관련된 다른 성질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유체 분배 영역이 유체 저장 영역의 아래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제품의 의도한 사용 중에 상기 두 영역의 상대적 위치를 관찰하는 경우) 저장 영역이 사용 중에 착용자 쪽에 더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또는, 흡수 제품이 제품의 착용자 대향면을 이루도록 의도한 상면시이트 및 제품의 의복 대향면을 이루는 배면시이트를 갖는 경우, 저장 영역은 상면시이트의 아래에 위치하며, 분배 영역은 저장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고, 배면시이트는 분배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것은 또한 착용자에 의해 방출된 바와 같은 액체가 분배 영역에 이르기 전에 저장 영역을 통해 z-방향으로 배향되는 흐름 경로를 따를 것임을 의미한다. 이때, 유체는 분배 부재를 통해 제품의 다른 영역, 즉, 제품의 부하 지점으로부터 측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영역들로 수송될 것이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종종, 영역들은 분배 물질의 층 위에 놓이는 저장 층과 같이 층의 형태이다. 이들 층은 동일한 x- 및/또는 y-차원을 가질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부 저장 층 또는 영역들은 적어도 부하 영역, 즉, 신체 분비물이 흡수 제품과 접촉하는 영역에서는 분배 영역을 덮어야 한다.
분배 및 저장 영역의 특히 바람직한 배열은 저장 영역이 불균일한 기본 용량 분포를 가져서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이 말단 영역에서보다 낮은 용량을 갖도록 하는 배열이다. 상기 기본 용량은, 전체 기본 중량 프로필의 변화에 의해, 즉, 보다 많은 흡수성 물질을 말단 영역 쪽으로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 용량은 단위 중량 당 보다 높은 흡수성을 갖는 물질(또는 물질 혼합물)을 말단 영역 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모세관 흡착
본 발명에 유용한 다양한 부재 또는 물질의 유체 취급 특성은 유체 흡수 및 탈착 특성에 매우 좌우된다. 소위 모세관 흡착 시험은 이러한 특성에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시험법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중이고 PCT 출원인 미국 특허 제 98/08515 호로서 1998년 4월 28일자로 본 출원인의 명의로 "저장용 물질 하부에 위치하는 분배용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이라는 제목으로 출원된 PCT 출원서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기록
이러한 시험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하기 측정치가 계산될 수 있고, 이는 물질의 성능 설명을 위해 유용하다.
- 모세관 흡탈착 높이(CSDH x; ㎝로 나타냄): 물질이 0 ㎝에서 달성된 그의 용량(즉, CSAC 0)중 x%를 방출하는 높이.
- 모세관 흡착 흡수 높이(CSAH y; ㎝로 나타냄): 물질이 0 ㎝에서 달성된 그의 용량(즉, CSAC 0)의 y%를 흡수하는 높이.
- 특정 높이 z 모세관 흡착 흡수 용량(CSAC z; g(유체)/g(물질)의 단위로 나타냄); 특히, 0㎝ 높이(CSAC 0) 및 35 ㎝, 40 ㎝ 등의 높이에서 측정함.
- 특정 높이 z 모세관 흡착 흡수 효율(CSAE z, %로 나타냄): CSAC 0과 CASC z에 대한 값의 비.
- 다른 파라미터는 물질, 특히 분배 물질에 느슨하게 구속된 액체의 양과 관련된다. 이러한 느슨하게 구속된 액체 용량(LBLC)은 (1) 0 ㎝ 모세관 흡탈착 용량(CSDC 0)과 (2) 100 ㎝ 모세관 흡탈착 용량(CSDC 100)의 차이에 의해 측정된다. 100 ㎝ 이상의 압력에서의 탈착 실험에서 방출되지 않은 액체는 견고하게 결합된 액체(TBLC)로 부른다. 물질의 TBLC는 그 물질의 CSDC 100과 같다. 0 ㎝ 모세관 흡탈착 용량은 0 ㎝ 모세관 흡착 흡수 용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또한 쉽게 인지할 것이다.
- 따라서, 또다른 파라미터는 상기 LBLC의 50%가 방출될 때의 탈착 압력(즉, 높이)과 관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는 상기 LBLC의 50%가 방출될 때의 모세관 흡탈착 방출 높이(CSDRH 50)이다.
두 물질이 혼합되는 경우(예를 들면, 첫 번째는 포획/분배 물질로 사용되고, 두 번째는 액체 저장 물질로 사용됨), 두 번째 물질의 CSAC 값(및 따라서 각각의 CSAE 값)은 첫 번째 물질의 CSDH x 값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분배 영역의 요구조건
한 영역에서 제대로 작용하는 물질 또는 부재의 필요한 성질은 다른 영역에서의 흡수 부재 또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지만, 다음 특성들은 적합한 분배 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체 분배 물질은, 예를 들면, 흡수 제품에 적용되기 위한 물질로서, 상기 제품에서 유체 수송 메카니즘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및 횡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종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의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를 왼쪽 및 오른쪽 반씩으로 양분하는 수직 평면과 일직선이 되는(예를 들면, 대략 평행한) 제품의 평면으로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제품에서 부하 영역, 즉, 신체 배출물이 흡수 제품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제품의 영역보다 더 큰 영역 위로 퍼져갈 수 있는 흡수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유체 수송 메카니즘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수송은 중력과 같은 구동력을 통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력의 방향에 대해서는 유체 분배가 되지 않고, 따라서 종종 흡수 제품에 대해 나타낸 바와 같은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유체는 배출액이 흡수 제품 위에 배출되는 부하 지점로부터 "보다 높이", 즉, 중력의 방향에 대해 위쪽으로 위치하는 제품의 다른 부위들로 수송될 필요가 있다.
흡상은 일반적으로 모세관 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물질을 수직 배향으로 시험함으로써, 즉, 물질들을 중력 방향에 따라 배치시킴으로써 가장 잘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수송되어야 하는 유체의 양도 똑같이 중요하다. 유아용 기저귀에 대한 특징적인 부하량은 종종 1회 배설 당 75 ㎖ 및 15 ㎖/초 이하의 배설 속도로 뇨 부하물 300 ㎖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상당량을 수송시키는 능력에 대한 필요성이 명백해진다. 그러나, 물질의 경제적 사용 및 착용자에 대한 편안함과 정합성의 필요성 둘다를 위해 낮은 물질 이용에 대한 추가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물질은 상기 물질의 작은 횡단면을 통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유체를 수송시킨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하기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수직 흡상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것과 같은 "수직 흡상 유속(Vertical Wicking Flux)"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는 ㎖/㎝2/초로 나타내는, 특정 시간에 물질의 특정 횡단면을 통해 주어진 높이로 수송되는 유체의 누적량, 및 유체가 중력에 대해 물질에서 특정 높이 이하로 전방 침투하는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파라미터는, 중력 또는 원심력과 같은 외부 힘이 일정하게 존재하거나 또는 부재할 때 그 내부 공극(예를 들면, 기공)을 통해 유체를 수송시키는 물질의 능력을 측정하는, 하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직 흡상 시험을 이용함으로써 가장 쉽게 측정할 수 있다. 필수적으로, 물질의 시험편을 유체 수용기의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 위치에 놓는다. 습윤 전선의 상부로의 이동 및 물질에 의해 포획되는 유체의 양 둘 다를 측정함으로써 중력에 대한 수송을 관찰할 수 있다.
흡상 높이는 모세관 시스템에 대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루카스-와시번(Lucas-Washburn) 관계(유사한 다공성 시스템에도 또한 종종 적용됨)에 따라, 분배 물질의 유효 기공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정해진 유체, 예를 들면, 뇨 또는 생리액, 및 특정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특정 물질에 대해, 필요한 모세관(또는 기공) 직경은 특정 요구 높이까지 흡상시키도록 접근할 수 있다. 큰 흡상 높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상기 관계는 작은 모세관 직경을 필요로 함은 명백하다.
그러나, 상기 작은 모세관은 많은 양의 유체를 처리할 수 없으며, 작은 기공을 갖는 상기 물질을 통한 상기 유체에 대한 누적된 유속은 상당히 감소된다. 이것은 (하겐-포이쉴레(Hagen-Poisseuille) 관계에 따라) 작은 기공과 관련된 높은 내부 마찰(또는 낮은 투과도)에 의해 야기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분배 물질은 15 ㎝ 높이에서 0.02 g/㎝2/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0.04 g/㎝2/분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g/㎝2/분보다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4 g/㎝2/분보다 큰 누적 유속을 갖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속은 적합한 분배 물질을 고려하는 한 파라미터이지만, 웹의 투과도도 또다른 중요한 성질이다. 바람직하게, 분배 물질 또는 부재는 약 1 Darcy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약 2 Darcy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Darcy보다 크거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Darcy보다 큰,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를 가짐으로써 충분히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더욱 더, 상기 물질들은 이들이 포화될 때 뿐 아니라, 완전히 포화되지 않을 때에도 우수한 투과도를 나타낸다. 즉,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의 약 14%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약 18%보다 크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보다 크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 보다 큰, 5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50)), 및/또는 포화시의 투과도의 약 3.5%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보다 크거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보다 큰, 이들의 3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30))를 갖는다.
본 발명에 적합한 특정 물질은 건조시(예를 들면, 제품의 제조 동안)에 얇고, 습윤시(예를 들면, 사용시 액체가 부하될 때)에는 두께가 증가하는 특이한 양태를 갖는다. 상기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팽창 계수(즉, 그의 건조 상태와 습윤 상태에서 비교된 물질의 층의 캘리퍼)를 갖는다. 또다른 양태에서, 상기 물질은 또한 예를 들어, 사용시에, 액체가 최종 액체 저장 매질에 의해 포획되는 경우 습윤된 후에 그의 캘리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들 물질은 배수되는 경우 팽창 계수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재수축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유용한 물질의 본질적이 성질은 중력과 같은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작용과 같이 유체를 유지하거나 방출하는 물질의 능력과 관련된, 전술한 바와 같은 "모세관 흡착 시험"에서 평가될 수 있다.
유체가 분출 직후에 상부 저장 영역의 공극으로부터 분배 층으로 쉽게 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유용한 유체 분배 물질은 모세관 흡착 시험에서 측정시 35 ㎝ 이상의 높이에서 그 최대 용량(즉 0 ㎝ 높이에서의 용량)의 30%를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분배 물질의 바람직한 모양은 액체를 그다지 강하게 보유하지 않아서, 극한 저장 영역으로 - 물질의 보다 작은 기공 부분에 액체를 견고하게 보유할 수 있는 이미 습윤된 영역 내로, 또는 분출 동안 액체가 부하되지 않는 보다 멀리 있는 저장 영역에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물질은, 그 최대 용량(즉, 0 ㎝ 높이에서의 용량)의 50%에 대한 모세관 흡탈착 높이가 150 ㎝ 미만이어야 한다.
분배 요구조건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물질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체 분배 부재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부재는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웹일 수 있는데, 상기 섬유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공기-적층 또는 습윤 적층 등에 의해 상기 웹으로 성형된다. 매우 다양한 탄성 섬유가 본 발명에 따른 부재에 잘 이용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민, 탄성 폴리올레핀 또는 그의 혼합물, 예를 들면, 이성분 섬유 형태를 기재로 하는 것과 같은 공지된 합성 섬유 이외에, 특히 바람직한 섬유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꼬인 벌킹 셀룰로즈 섬유이다.
강화된 셀룰로즈 섬유는 미국 특허출원 제 304,925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가 건조되고 탈섬유소화되는(즉, "플러핑(flulled)") 동안 또는 그 후에 비교적 탈수된 형태로 상기 섬유를 내부적으로 가교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으로부터 다른 친수성의, 화학적으로 강화되고, 꼬이고 비틀린 섬유, 예를 들면, 전술한 미국 특허 제 3,224,926 호; 미국 특허 제 3,440,135 호; 미국 특허 제 4,035,147 호 및 미국 특허 제 3,932,209 호(이로 제한되지 않음)에 기술된 기타 섬유들을 반드시 제외시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강화되고 꼬이고 컬링된(curled) 셀룰로즈 섬유를 제공하는 다른 비-화학적 수단, 예를 들면, 고도의 점조도(일반적으로 약 30%보다 큼)의 기계적 처리(예를 들면, 프로타펄핑(frotapulping) 및/또는 정련 등)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방법은 각각 1990년 12월 11일 및 1993년 9월 14일자로 마리 엘. 민튼(Mary L. Minton)에게 "펄프 처리 방법(Pulp Treatment Methods)"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76,819 및 5,244,541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웹은 또한 비교적 높은 표면적을 갖는 두 번째 유형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매우 작은 직경을 갖거나("미세섬유") 또는 특별한 표면 구조를 갖는 합성 섬유도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지만, 상기 높은 표면적 용도를 위해 현재 바람직한 섬유는 유칼립투스 부류의 목재 펄프 섬유이다. 유칼립투스는 화학적으로 강화되고 꼬이고 컬링된 섬유와 함께 바람직한 모세관 압력 특성을 제공하며, 하기에 나타낸 상당량의 셀룰로즈 미분이 그러하듯이 성형 망을 쉽게 통과하지 못할 것이다. 특히 적합한 유칼립투스 섬유로는 유칼립투스 그랜디스(eucalyptus grandis) 종이 포함된다.
가교결합되고 꼬이고 강화된 섬유와 같은 탄성 섬유를 전술한 바와 같은 높은 표면적 섬유와 혼합하는 경우, 생성된 웹은, 특히 습윤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습윤 및 건조 상태 둘 다에서,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생성물-특이적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기 위해, 웹 중에 또는 웹 상에 결합 수단을 통합적으로 혼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혼입은 성형 와이어 상에 침착시킨 후에, 및 건조 전, 건조 후 또는 그의 조합으로 습윤 적층된 웹에 결합 수단을 적용하여, 웹 형성 전에 펄프에 결합수단을 부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섬유 웹에 대안적으로, 비교적 개방 셀을 갖는 중합체 발포체, 특히 상호연결된 개방-셀의 친수성, 가요성 중합체 발포체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의 경우,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는, 그 액체를 제거할 때, 수반된 모세관 가압하에서 발포체가 수축되는 정도일 수 있다. 수축 과정은 하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발포체의 밀도와 관련된 실질적인 요인에 의해 유효 발포체 용량을 감소시킨다. 수축이 구조 전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경우, 액체 배출 지점에서 그 자리에 보유된 액체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발포체 물질의 강도는 발포체에 의해 발휘되는 모세관 압력 미만이어서, 코어의 저장성 성분에 의해 수성 액체가 제거되는 경우 발포체가 수축된다. 모세관 압력은 본원에서 주로 발포체 셀 크기(이것은 단위 체적당 표면적에 역비례적으로 관련됨)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된다. 강도는 가교결합 밀도와, 하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단위 체적당 가교결합 밀도로 나타낼 수 있는 발포체 밀도의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가교결합제 및 기타 성분들의 유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중합체 발포체는 비교적 개방 셀을 갖는 것들이다. 상기 실질적으로 개방 셀을 갖는 발포체 구조물 중의 셀은 발포체 구조 내에서 하나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액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에 충분히 큰, 셀 사이의 개구부 또는 "창"을 갖는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개방된 세포를 갖는 발포체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상호 연결된 3차원으로 분지된 웹에 의해 한정되는 개별적인 셀을 갖는 망상조직 특성을 가질 것이다. 상기 분지된 웹을 구성하는 중합체 물질의 스트랜드는 "지주(strut)"로 부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크기가 1 ㎛ 이상인 발포체 구조물 중의 셀의 80% 이상이 하나 이상의 인접 셀과 유체 연통되는 경우, 발포체 물질은 "개방 셀을 갖는다".
개방 셀을 갖는 것 이외에, 상기 중합체 발포체는 발포체가 수성 액체를 흡수하기에 충분히 친수성이다. 발포체 구조물의 내부 표면은 중합 후 발포체 구조물에 남아 있는 잔류 친수성화 계면활성제 및/또는 염에 의해, 또는 하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된 중합-후 발포체 처리 절차에 의해 친수성으로 된다.
상기 중합체 발포체의 "친수성"인 정도는, 흡수성 시험 액체와 접촉할 때 나타내는 "접착 장력"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상기 발포체가 나타내는 접착 장력은, 시험 액체, 예를 들면, 합성 뇨의 흡수 중량을, 공지된 치수 및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을 알고 있는 샘플에 대해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1995년 2월 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다이어(Dyer) 등)의 시험 방법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분배 물질로 유용한 발포체는, 일반적으로 65 ± 5 dyne/㎝의 표면 장력을 갖는 합성 뇨의 모세관 흡입 흡수량에 의해 측정시, 약 15 내지 약 65 dyne/㎝,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65 dyne/㎝의 접착 장력 값을 나타내는 것들이다.
숙련자라면 매우 다양한 개방 셀을 갖는 중합체 발포체가 본 발명에 유용한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기의 두 문단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상기 발포체의 일반적인 두 부류를 설명하는데, 첫째 부류는 특히 높은 유속을 갖는 발포체를 포함하는 부류이고, 둘째 부류는 특히 높은 CSAH 30을 갖는 발포체이다. 두 성질이 조합된 다른 중합체 발포체가 특히 유용할 수도 있다.
(i) 높은 흡상 유속을 갖는 중합체성 분배 발포체
이러한 발포체의 중요한 측면은 그의 자유 전이 온도(Tg)이다. Tg는 중합체의 유리 상태와 고무 상태 사이 전이의 중간점을 나타낸다. 사용 온도보다 높은 Tg를 갖는 발포체는, 매우 강할 수 있으나 또한 매우 경질일 수 있고 부서지기 쉬울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또한 보다 낮은 사용 온도에서 서서히 팽창하는 경향이 있으며, 응력하에서 휘거나 또는 중합체의 Tg보다 낮은 온도에서 사용될 때 불량한 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기계적 성질, 특히 강도 및 탄성의 바람직한 조합이 전형적으로 적절히 선택된 범위에서, 상기 바람직한 성질을 달성하기 위한 단량체 유형 및 수준을 요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분배 발포체의 경우, Tg는 발포체가 허용되는 강도를 갖는 한, 가능한 한 낮아야 한다. 따라서, 보다 낮은 Tg를 갖는 상응하는 단독중합체를 제공하는 단량체를 가능한 한 많이 선택한다.
중합체의 자유 전이 영역의 형태, 즉, 온도의 함수로서 좁은지 또는 넓은지의 여부도 중요할 수 있다. 중합체의 사용 온도(통상적으로 주위 온도 또는 체온)가 Tg 또는 그 부근인 경우, 상기 자유 전이 영역의 형태가 특히 관련된다. 예를 들면, 보다 넓은 전이 영역은, 전이가 사용 온도에서 불완전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전이가 사용 온도에서 불완전한 경우, 중합체는 보다 큰 강도를 나타낼 것이며 덜 탄성일 것이다. 역으로, 전이가 사용 온도에서 완료되는 경우, 중합체는 보다 빠른 팽창 및 압축으로부터의 회복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계적 성질을 달성하기 위해, 중합체의 Tg 및 전이 영역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Tg는 사용 온도보다 적어도 약 10 ℃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Tg 및 전이 영역의 폭은 1996년 10월 8일자로 스톤(Sto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3,179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기계적 분석(DMA)으로부터 탄젠트 손실량 대 온도 곡선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중합체성 발포체는 다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발포체는 수성 액체를 중력에 대해 상당한 높이, 예를 들면, 약 15 ㎝ 이상으로 흡상할 수 있다. 발포체 안에 유지되는 액체의 기둥이 상당한 수축성 모세관 압력을 발휘된다. 발포체의 강도(압축시) 및 발포체의 단위 체적당 표면적 둘 다에 의해 측정된 높이에서, 발포체는 수축될 것이다. 이러한 높이는, 제로(0) 헤드 압력에서 발포체 체적의 50%가 손실되는 모세관 수축 압력(CCP)(㎝로 나타냄)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바람직한 분배 발포체는 약 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 이상 또는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약 70 ㎝ 이상의 CCP를 가질 것이다. 전형적으로, 바람직한 분배용 발포체는 약 15㎝ 내지 약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70㎝의 모세관 수축 압력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한 중합체 발포체를 정의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특징은 셀 구조이다. 발포체 셀, 및 특히 비교적 단량체-비함유 수성 상 소적을 둘러싸는 단량체-함유 유성 상을 중합시켜 생성되는 셀은 종종 형태가 실질적으로 구형일 것이다. 이들 구형 셀은 개구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는 이하에서 셀 사이의 구멍으로 부른다. 상기 구형 셀의 크기 또는 "직경", 및 셀 사이의 개구부(구멍)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발포체를 일반적으로 특성화하는데 이용된다. 주어진 중합체 발포체의 샘플에서 셀 및 셀 사이의 구멍은 반드시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평균 셀 및 구멍 크기, 즉, 평균 셀 및 구멍 직경은 흔히 지정될 것이다.
셀 및 구멍 크기는 상기 발포체의 액체 흡상 성질 뿐 아니라, 발포체 구조물 안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압력을 포함하여, 발포체의 많은 중요한 기계적 및 성능적 특징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발포체의 평균 셀 및 구멍 크기를 측정하는데 많은 기술들이 이용가능하다. 유용한 기술로는 발포체 샘플의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을 근거로 하는 간단한 측정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액체를 위한 흡수체로서 유용한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60 ㎛, 전형적으로는 약 30 내지 약 50 ㎛의 수평균 셀 크기, 및 약 5 내지 약 15 ㎛, 전형적으로는 약 8 내지 약 12 ㎛의 수평균 구멍 크기를 가질 것이다.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은 시험 액체에 접근하기 쉬운 중합체 망상조직의 시험 액체-접근가능한 표면적의 척도이다.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은 발포체 내의 셀 단위의 치수 및 중합체 밀도 둘 다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상기 표면이 흡수도에 관여하는 정도로 발포체 망상조직에 의해 제공되는 고체 표면의 총 량을 정량화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은 질량 및 치수를 알고 있는 발포체 샘플 내에서 일어나는 낮은 표면 장력 액체(예를 들면, 에탄올)의 모세관 흡수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모세관 흡입 방법을 통한 발포체 비표면적을 측정하는 상기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의 시험 방법 부분에 나와 있다.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합당한 대체 방법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분배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3 m2/㎖ 이상의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을 가질 것이다. 전형적으로,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은 약 0.01 내지 약 0.20 m2/㎖,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0.10 m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4 내지 약 0.08 m2/㎖의 범위이다.
"발포체 밀도"(즉, 공기 중 발포체 체적의 ㎝3당 발포체의 g)는 본원에서 건조 상태 기준으로 나타낸다. 모세관 흡입 비표면적과 마찬가지로 발포체의 밀도는 흡수 발포체의 다수의 성능 및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특성들로는 수성 액체에 대한 흡수 용량 및 압축 편향 특성이 포함된다. 발포체 밀도는 발포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수축된 상태에서의 발포체는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의 동일한 발포체보다 높은 밀도를 가짐은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유용한 수축된 상태의 발포체는 전형적으로 약 0.11의 건조 밀도를 갖는다.
발포체 구조물의 단위 체적당 고체 발포체 물질의 질량의 측정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중량측정 절차를 이용하여 발포체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의 시험 방법 부분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ASTM 중량측정 절차는 밀도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한 방법이다. 발포체 밀도는 유화제, 충전제, 염과 같은 표면 처리제 등을 함유하지 않는 세척된 발포체의 단위 체적당 중량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8g/㎤ 내지 약 77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1g/㎤ 내지 약 63g/㎤,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3g/㎤ 내지 약 48g/㎤의 건조 밀도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중합체 발포 물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중이며 PCT 출원인, 미국 특허원 제 98/08515 호로서 1998년 4월 28일자로 본 출원인의 명의로 "저장 물질 하부에 위치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이라는 명칭으로 특허원의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저장 영역 부재의 요구조건
하부 분배 영역에 대한 요구조건 이외에, 저장 영역은 특정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먼저, 저장 영역은 극한 저장 용량이라는 용어에 의해, 또는 모세관 흡착 시험 파라미터의 견지에서, 10 g/g(건조 중량 기준) 이상의 100 ㎝ 높이 모세관 흡탈착 용량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된 액체를 견고하게 보유할 수 있어야 한다. 느슨하게 구속된 유체를 아래의 분배 층으로 쉽게 방출시키기 위해, 유체 저장 영역은 60 ㎝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의, 느슨하게 구속된 액체 용량의 50%가 방출된 경우의 모세관 흡탈착 방출 높이(즉, 모세관 흡착 시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CSDRH 50)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중요한 성질은 저장 부재의 염수 유동 전도도(SFC) 시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유체가 물질을 투과하는 채널로서 작용할 수 있는 천공, 간극 또는 거대 공극을 저장 부재가 갖는 경우, 유체가 저장 부재 물질을 통해 흘러가게 하는 것과 관련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이점은 유체가 저장 부재의 부피감 있는 물질을 통해 침투하게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저장 영역 부재 또는 물질은 액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투과성이어야 하며, 상기 유체 투과도는 습윤 시작부터 끝까지, 가능한 다수회의 배뇨 주기에 걸쳐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디자인 배열은 유체가 분배 영역에 도달하여 제품의 x- 및/또는 y- 방향으로 추가로 분배되기 전에 저장 영역을 통해 이동할 것을 요한다. 그러므로, 저장 영역이 높은 평면 통과 투과도(transplanar permeability)를 갖는 것 이외에 유체 수송 평면(xy 방향) 내의 상기 유체에 대해 충분히 투과성인 것이 핵심 조건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저장 부재는 25 x 10-73초/g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x 10-73초/g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x 10-73초/g보다 크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x 10-73초/g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0 x 10-73초/g보다 크거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1000 x 10-73초/g보다 큰 값을 나타내야 한다.
초흡수성 물질 이외에, 저장 영역은 투과성 부재를 만드는 다른 물질 또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가 전체 흡수 제품을 통해 분배되거나, 또는 제품의 말단에 증가된 유체 저장 용량으로, 또는 저장 영역 자체의 초흡수체로 유체를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장 영역 요구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물질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본 발명의 저장성 흡수 부재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초흡수성 물질" 또는 "초흡수체"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는 다량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수-불용성이지만 수-팽윤성인 다양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물질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흡수 부재에 유용하다. 유용한 하이드로겔 형성 흡수성 중합체에 대한 설명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중이며, PCT 출원인 미국 특허인 US 98/08515 호로서 1998년 4월 28일자로 본 출원인의 명의로 "저장 물질 아래에 위치한 분배 물질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의 명칭으로 출원된 PCT 출원의 설명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성분은, 양이온-교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 및 음이온-교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된 이온-교환 조성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이들의 흡수 특성, 즉, 가압하에서의 성능 값, 염수 유동 전도도, 및 자유 팽윤 속도가 특히 균형잡힌 성질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혼합-베드 이온-교환 조성물, 및 상기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예를 들면, 1998년 1월 7일 허드(Hird) 등의 명의로 출원한 미국 특허원 제 09/003565 호(발명의 명칭: 가압하에서의 고도의 흡착 용량을 가지는 흡수성 중합체 조성물(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1998년 1월 7일 애쉬래프(Ashraf) 등의 명의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9/003905 호(발명의 명칭: 가압하에서 고도의 흡착 용량 및 고도의 유체 투과성을 갖는 흡수성 중합체 조성물(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With High Sorption Capacity And High Fluid Permeability Under An Applied Pressure)); 및 1998년 1월 7일자로 애쉬래프 등의 명의로 출원한 미국 특허원 제 09/003918 호(발명의 명칭: 가압하에서의 고도의 흡착 용량 및 팽윤 상태에서의 개선된 일체성을 갖는 흡수성 중합체 조성물(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High Sorption Capacities Under An Applied Pressure And Improved Integrity In The Swollen State))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원은 각각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한 물질은 가압하에서의 우수한 성능 및 염수 유동 전도도, 및 느린 자유 팽윤 속도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기술되어 있고 1초당 1그램의 물질당 흡수된 유체의 양(g/g/초)의 단위로 측정되는 바와 같은, 자유 팽윤 속도는 제한되지 않는 압력 조건하에서도 액체를 흡수할 수 없는 흡수 물질 및 특히 중합체성 초흡수성 물질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팽윤속도는 특징적인 액체 수용성 표면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입경, 입자의 형태, 다공성, 및 액체와 관련된 물질의 습윤 특성 및 물질내에 액체를 분배시키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적당한 물질은 약 0.02g/g/초 내지 약 1g/g/초의 범위의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시판중인 물질의 범위는 약 0.2g/g/초 내지 약 0.8g/g/초, 종종 약 0.4g/g/초 내지 약 0.6g/g/초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구조물에 도입되는 경우, 낮은 자유 팽윤 양태를 나타내는 물질이 특히 유리한 효과를 보유할 수 있으며, 즉, FRS가 0.4g/g/초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0.2g/g/초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0.5g/g/초 이하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은, 비교적 느리게 흡수하는 초흡수성 물질이 부하 지점(즉, 가랑이 대역)에 비교적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보다 빠르게 흡수하는 물질이 구조물의 말단을 향해 위치하도록(즉, 착용자에게 배치되는 경우, 허리 영역을 향해서)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흡수 물질에 더불어, 액체 저장 영역을 위한 투과성 구조물/부재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그밖의 물질이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상기한 파라미터를 만족시키는 경우, 이로부터의 다수는 적당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흡수 부재의 정해진 영역내 하이드로겔 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합체를 함유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임의의 그밖의 성분(예를 들어 섬유, 열가소성 물질 등)에 대한 하이드로겔 형성 중합체의 중량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흡수 부재의 정해진 영역내의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농도는 약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100%의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물질이 이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우(예를 들어 순수한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 또는 순수한 발포체 물질), 저장용 흡수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부재는 2개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것은 종종 이들 자체가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지만, 이들의 조합은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액체 저장 부재의 기본 원리는,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흡수 부재(예를 들어 액체 포획/분배 부재)로부터의 배설된 체액을 흡수하고, 그다음, 착용자의 움직임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압력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체액을 보유하는 것이다.
흡수 부재에 함유된 하이드로겔-형성 흡수성 중합체의 양은 상당히 변할 수도 있다. 추가로, 하이드로겔의 농도는 정해진 부재를 통해 변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부재는 비교적 높은 하이드로겔 농도 및 비교적 낮은 하이드로겔 농도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혼합물의 일체성을 부여하는 물질의 다른 예로서, 하이드로겔 형성 중합체 및 입자성 중합체성 발포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흡수 부재에서, 부재는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되는 경우, 전형적으로 입자간 또는 섬유간 삼투압 구배로 인하여 적어도 일부분의 이러한 열가소성 물질은 개별적인 부재 성분의 교차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교차점이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결합 부위가 될 것이다. 냉각되는 경우, 이러한 교차점에서 열가소성 물질이 고형화되고, 물질의 매트릭스를 함께 고정시키는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유용한 그밖의 열가소성 물질은, PCT 출원인 미국 특허 제 98/08515 호의 전술한 참고문헌에 추가로 예시한 바와 같이, 입자, 섬유 또는 입자와 섬유의 조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저장 영역과 분배 영역의 상호작용
개별적인 영역의 특성이 전술한 내용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다른 영역에 의존하는 영역에서 조절해야만 하는 요구사항이 추가로 존재한다. 따라서, 저장 영역은 특정 기본 용량을 가짐으로써 기술되어 있고, 이것은 특정 압력 조건하에서 분배 영역으로부터 유출되는 경우 액체가 저장 영역(저장 영역을 통해서 액체는 유동 경로를 통과함)에 의해 재포획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효과는, 분배층 물질의 바람직한 압축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논의되었다. 정해진 압축율에 있어서, 이는 상기 물질의 기본 중량에 대해 단위 영역 당 압축되어 유출되는 액체의 상응하는 양이 될 것이다. 즉, 압축 물질이 두꺼울수록, 보다 다량의 액체가 유출될 것이다. 액체 저장 층이 적어도 이러한 양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어서, 저장 물질의 "기본 용량"이 방출되는 액체 유출량에 비해 높아야 한다는 것이 요구조건이다. 기본 용량은, 초흡수제/플러프 혼합물에 대해, 예를 들어 적당한 물질 및 농도를 선택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유체 처리 부재 성분 및 물질
전술한 유체 분배 및 유체 저장 부재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다른 유체 처리 부재 및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면시이트와 저장 영역 사이에, 뇨 및/또는 변과 관련하여 흡수 제품의 포획 기능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하는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들은 섬유 층 또는 개방 기공 발포체 영역의 형태로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있으며, 본 출원인의 사건 번호인 CM1096(유럽 특허원 제 96111895.7 호), CM1453(PCT 출원 제 PCT/US97/05046 호), CM1640(PCT 출원 제 PCT/US97/20842 호), CM1642(PCT 출원 제 PCT/US97/20840 호), CM1643(PCT 출원 제 PCT/US97/20701 호), CM1809(유럽 특허원 제 98110154.6 호), CM1879(유럽 특허원 제 98114190.6 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원들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한 분비물을 수용하고 함유하기 위한 주머니, 분비물용 공극을 제공하는 스페이서, 제품에서의 분비물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벽, 기저귀에 침적된 분비물을 수용하고 함유하는 구획 또는 공극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주머니 및 스페이서의 예는 1996년 5월 7일자로 로에(Ro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4,121 호(발명의 명칭: 구축성 스페이서를 갖는 기저귀(Diaper Having Expulsive Spacer)); 1992년 12월 15일에 드레이어(Drei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71,236 호(발명의 명칭: 코어 스페이서를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Core Spacers)); 1995년 3월 14일자로 드레이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97,318 호(발명의 명칭: 포켓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A Pocket Cuffs)); 1996년 6월 30일자로 트레이어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40,671 호(발명의 명칭: 정점을 갖는 포켓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gng A Pocket Cuff With An Apex)); 및 1993년 12월 3일자로 공개된 PCT 출원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3/25172 호(발명의 명칭: 이러한 간극을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 및 위생용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s For Use In Hygienic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Such Spacer)); 및 1994년 4월 26일 프리랜드(Freelan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06,266 호(발명의 명칭: 일회용 흡수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요성 스페이서(Flexible Spacers For Use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에 기술되어 있다. 구획 또는 공극의 예는, 1990년 11월 6일자로 칸(Kh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68,312 호(발명의 명칭: 일회용 변 구획화 기저귀(Disposable Fecal Compartmenting Diaper)); 1991년 2월 5일자로 프리랜드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90,147 호(발명의 명칭: 폐기물 단리를 위한 탄성 라이너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1991년 11월 5일 홀트(Hol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2,840 호(발명의 명칭: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s)); 및 1993년 12월 14일자로 프리랜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9,755 호(발명의 명칭: 일회용 흡수 제품을 위한 3구획화 상면시이트 및 이러한 3구획화 상면시이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에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횡방향 차단막의 예는 1996년 9월 10일자로 드레이어 등의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54,142 호(발명의 명칭: 다수의 효과적인 높이의 횡방향 칸막이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ple Effective Height Transverse Partition)); 1994년 7월 7일자로 프리랜드 등의 명의로 공개된 PCT 특허인 국제특허 공개공보 94/14395 호(발명의 명칭: 직립한 횡방향 칸막이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An Upstanding Transverse Partition)); 및 1997년 8월 5일자로 로에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53,703 호(발명의 명칭: 각진 직립 횡방향 칸막이를 갖는 흡수 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Angular Upstanding Transverse Partition))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인용된 참조문헌들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흡수 부재는 흡수 웹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 임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화 스크림이 저장용 흡수 부재 내에, 또는 흡수 코어의 각각의 흡수 부재들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강화 스크림은, 특히 흡수 코어의 각각의 흡수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액체 이동에 대한 계면 차단벽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또한, 흡수 코어 및/또는 흡수성 저장 부재 자체에 건조 및 습윤 일체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친수성 접착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결합제의 양은 흡수 부재의 모세관 흡착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숙련가라면, 충분히 높은 표면적을 갖는 섬유화된 친수성 접착제와 같이 흡수 부재의 모세관 흡착 성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결합제도 존재함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높은 표면적의 친수성 접착제는 한 물질에서 액체 처리 기능 및 일체성 기능 둘 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흡수 부재 또는 전체 흡수 코어는 티슈 페이퍼 시이트와 같은 액체 투과성 시이트 내에 싸서, 모세관 연속성이 파괴되지 않는 한, 느슨한 입자성 흡수 중합체에 관한 사용자의 관심을 방지할 수 있다.
포함가능한 다른 임의의 성분들은 냄새를 제어하고 변을 함유하는 등의 물질이다. 또한, 입자성 삼투성 흡수제 또는 높은 표면적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흡수 부재, 또는 전체 흡수 코어가 티슈 페이퍼 시이트와 같은 액체 투과성 시이트 내에 싸여서, 느슨한 미립상 흡수 중합체에 관한 사용자의 관심을 억제할 수 있다.
결합제 물질에 의해 일체성이 도입되는 경우, 적합한 결합제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1996년 10월 1일자로 드래구(Drago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60,878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용융-취입 접착제이다. 용융-취입 접착제를 필요한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및 높은 표면적 물질과 혼합하는 방법도 상기 5,560,878 호 특허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적당한 샘플을 제조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중이고 PCT 출원인 미국 특허 제 98/08515 호로서 1998년 4월 28일자로 본 출원인의 명의로 "저장용 물질 하부에 위치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이라는 명칭의 PCT 출원의 전술한 설명 부분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참고문헌에는, 수직방향 흡상 유속 시험, 염수 유동 전도도(SFC), 및 액체 투과 시험, 액체 점도 측정, 및 디자인 용량 측정과 같은 상세한 시험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시험법에 있어서도, 기술된 시험 조건은 역시 부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험법과 더불어, 흡수 제품의 성능은 "포획후 콜라겐 재습윤(Post-Acquisition collagen Rewet)" 시험법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품 또는 흡수 구조물을 우선 포획 시험 프로토콜에 적용하고, 그다음 특정한 재습윤 프로토콜에 적용시킨다.
포획 시험
이러한 시험은 약 22±2℃ 및 35±15%의 상대 습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험법에서 사용된 합성 뇨는, 미국 펜실바니아 캠프 힐 소재의 제이코 파마슈티칼즈 캄파니(Jayco Pharmaceuticals Company)에서 시판중이며 제이코 신뉴린(Jayco SynUrine)으로 공지되어 있다. 합성 뇨의 성분은, 2.0g/ℓ의 KCl, 2.0g/ℓ의 Na2SO4; 0.85g/ℓ의 (NH4)H2PO4; 0.15g/ℓ의 (NH4)H2PO4; 0.19g/ℓ의 CaCl2; 약 0.23g/ℓ의 MgCl2이다. 모든 화학 약품은 시약 등급이다. 합성 뇨의 pH는 6.0 내지 6.4의 범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펌프(예를 들어, 미국 시카고 소재의 콜 파머 인스트루먼트(Cole Parmer Instruments)에서 공급하는 모델 7520-00)를 사용하여, 15㎖/s의 속도로, 샘플의 표면으로부터 5㎝의 높이에서, 75㎖의 합성 뇨를 15㎖/초의 속도로 흡수 구조물(910)에 부하한다. 뇨를 흡수하는 시간을 타이머로 기록한다. 제품이 충분히 부하될 때까지, 정확하게 5분의 분출 간격으로 계속 분출하였다. 현재 시험 결과는 4회 부하함으로써 일반화되었다.
흡수성 코어,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를 포함하는 완전한 흡수 제품 또는 흡수 구조물이 될 수 있는 시험 샘플은, 방풍 유리 박스(도면중 기저부(912))내에 발포체 플랫폼(911)상에 편평하게 놓여 배열되어 있다. 5㎝의 직경의 개구를 가지는 방풍 유리 판(913)이, 구조물의 부하 대역 위의 샘플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합성 뇨는 고정된 실린더(914)를 통해서 샘플에 도입되고, 개구에 집중되게 된다. 흡수성 구조물(910)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전극(915)를 판의 최하면상에 위치시킨다. 전극을 타이머와 연결시킨다. 부하물(916)은, 예를 들어 아이의 체중을 모의하기 위해서 판의 상분에 놓는다. 예를 들어 시판중인 MAXI 사이즈 20㎏과 같은 추(916)을 배치시킴으로써, 약 50g/㎠(0.7 psi)의 압력이 달성한다.
시험 유체가 실린더에 도입됨에 따라, 이것은 점차적으로 흡수 구조물의 상부에 쌓여서, 전극 사이의 전기 회로를 완성시킨다. 시험용 유체는, 시험용 유체로 충전되어 있는 약 8㎜의 직경의 튜빙에 의해, 펌프로부터 시험용 집합체로 이동한다. 유체는 펌프가 작동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튜브를 떠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타이머도 작동하기 시작하고, 흡수 구조물이 뇨의 분출물을 흡수하여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는 시점에서 타이머를 끈다.
포획 속도는, 단위 시간(초)당 흡수된 분출물의 체적(㎖)로 정의된다. 포획 속도는, 샘플에 도입된 각각의 분출물에 대해 계산된다. 현재 발명의 견지에서 4개의 분출물중 첫 번째와 마지막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시험은 주로 약 300㎖의 디자인 용량에 대한 MAXI 사이즈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되고 약 300㎖ 내지 400㎖의 개별적인 극한 저장 용량을 가지는 제품을 평가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당히 상이한 용량을 가지는 제품이 평가되어야 하는 경우(예를 들어, 보다 어린 유아를 위한 제품, 또는 성인 실금자용 제품에 대해 관찰하는 경우), 특히 분출물 당 유체의 체적에 대한 설정량은 총 제품 디자인 용량의 20%까지 조절하여야 하고, 표준 시험 프로토콜로부터의 편차가 기록되어야 한다.
포획후 콜라겐 재습윤 방법(도 3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COFFI의 상품명(또는 동급)으로 독일 베인하임 소재의 나투린 게임베하(NATURIN GmbH)에서 시판중이고, 기본 중량이 약 28g/㎡인 콜라겐 필름은, 예를 들어 샘플 커터 장치를 사용하여, 90㎜의 직경으로 시이트를 절단하고, 12 이상의 시간 동안 시험실(전술한 바와 같은)의 조절된 환경하에서 필름을 평형화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콜라겐 필름을 취급하기 위해서 핀셋을 사용함).
전술판 포획 시험의 마지막 분출물이 흡수된 후, 5분 내지 6분 경과시에, 덮개 판 및 추를 제거하고, 시험용 샘플(1020)을 실험실용 벤치에 조심스럽게 편평하게 놓았다.
미리 절단되어 있고 평형화된 콜라겐 물질(1010) 4개의 시이트를 적어도 1㎎ 이상의 정확도로 측량하고, 그다음 제품의 부하 지점의 중심에 놓이도록 배치한 후, 90㎜의 직경 및 약 20㎜의 두께의 방풍 유리 판(1030)으로 덮었다. 15㎏의 추(1040)을 조심스럽게 (역시 중앙에 위치하도록) 부가하였다. 30±2 초 후에, 추 및 방풍 유리 판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콜라겐 필름을 다시 측량하였다.
포획후 콜라겐 재습윤 방법의 결과는 ㎎의 단위로 콜라겐 필름이 빨아올린 수분으로 표시하였다.
추가로, 이러한 시험 프로토콜은 상이한 유아용 기저귀 크기 또는 성인용 실금자용 제품, 또는 생리 용품과 같은 특정 제품의 형태, 또는 부하 액체의 형태에 따라, 및 흡수성 물질의 양 및 크기의 편차에 의해, 또는 적용가능한 압력의 범위에 의해,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관련 파라미터가 정의되면, 이러한 변종은 당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조절된 시험용 프로토콜로부터의 결과를 고려하는 경우, 제품은 사용 경계 조건하에서 현실적인 표준 통계 방법에 따라 고안된 시험과 같이 이러한 확인된 관련 파라미터를 손쉽게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적하 측정하에서의 압축
수축성이거나 비수축성인 본 발명에서 유용한 흡수성 중합체성 발포체의 중요한 기계적인 특징은, 압축 편향에 대한 이들의 저항성(RTCD)에 의해 측정되는, 이들의 팽창된 상태에서의 이들의 강도이다. 발포체에 의해 나타내는 RTCD는 중합체 모듈러스와 발포체 망상의 밀도와 구조의 함수이다. 중합체 모듈러스는, 다시 (a) 중합체 조성물; (b) 발포체가 중합되는 조건(예를 들어, 구체적인 가교결합과 관련되어 수득되는 중합화의 완성도); 및 (c) 중합체가, 잔류 물질, 예를 들어 가공후에 발포체 구조물내에 잔류하는 유화제에 의해 가소화된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흡수 제품, 예를 들어 기저귀내의 흡수체로서 유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발포체는 이러한 흡수 물질이 유체의 흡수 및 보유에 사용되는 경우, 부여되는 힘에 의한 변형 또는 압축에 대해 적당하게 저항성을 가져야만 한다. RTCD의 형태로 충분한 발포체 강도를 보유하지 않는 발포체는, 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당한 양의 체액을 포획 및 저장할 수 있지만, 발포체를 보유하는 흡수 제품의 사용자의 움직임 및 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압축 응력하에서 이러한 유체를 쉽게 유출할 것이다.
본원에서 유용한 중합체성 발포체에 의해 나타나는 RTCD는, 특정 온도 및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제한 가압하에서 포화 발포체의 샘플내에서 형성된 스트레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형태의 시험법을 수행하는 방법은, PCT 출원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6/2168 호의 시험 방법편에 기술되어 있다. 흡수체로서 유용한 발포체는, 5.1kPa(0.74 psi)의 제한 압력이, 65±5 dynes/㎝의 표면장력을 갖는 합성 뇨로 이들의 유리 흡수 용량까지 포화시키는 경우, 발포체 구조물의 압축율의 바람직하게는 75% 미만, 전형적으로 50% 이하의 스트레인을 나타내도록 하는 RTCD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건하에서 형성된 스트레인은 약 2 내지 약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일 것이다.
자유 팽윤 속도 방법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 시험 방법 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초흡수성 물질, 특히 중합체성 하이드로겔화 물질,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제이코 유형의 합성 뇨 중에서 팽윤되는 속도를 측정한다. 측정 원리는, 초흡수성 물질로 하여금 공지된 양의 유체를 흡수시키고, 유체를 흡수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 이어서, 결과를 초 당 물질 g당 흡수된 유체의 g으로 나타낸다.
시험 샘플은 그의 "그대로의" 수분하에 시험할 수 있으나, 드라에라이트(황산 칼슘 또는 실리카겔) 또는 등가물에서 건조기에서 2 일간 실험실 조건하에 상기 샘플을 평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 g(± 0.1 g)의 시험 시험편을 ± 0.0001 g의 정확도로 25 ㎖의 비이커(32 내지 34 ㎜의 직경 및 높이 50 ㎜의 높이를 가짐) 중으로 계량한다. 물질을 바닥 위에 고르게 편다. 20 ㎖의 합성 뇨를 ± 0.01 g의 정확도로 50 ㎖의 비이커에서 계량한 후, 시험 물질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조심스럽지만 신속하게 붓는다. 액체가 물질과 접촉하면 즉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비이커는 팽윤 동안 이동하거나 진탕시키지 않는다.
휘젓지 않은 유체의 마지막 부분이 팽윤 입자에 이르면,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가장 근접한 초(또는 적절하다면 정확하게)로 시간을 기록한다. 말단 지점의 측정의 재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은 램프로, 액체 표면이 가열되지 않을 정도로 램프로 액체 표면을 비출 수 있다. 비이커를 재계량하여 실제로 흡수된 액체를 조사한다.
결과는 실제로 흡수된 액체의 양을 상기 흡수에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서 산출하며, "g/g/초"로 표시한다.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방법을 반복해야 한다.
시험 물질이 증가된 수분 함량을 갖는 경우, 이 증가분은 유체의 양(g)을 초당 건조 흡수 물질의 양(g)으로 나누어 결과에 혼입되거나, 진공과 같은 온화한 조건하에서 물질을 조심스럽게 건조한 다음 상기 절차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서, 특정 지시사항이 없을 때 결과는 따라서 반복되어야 하며, 시험은 10% 수분 함량 미만의 건조되지 않은 물질을 가지고 실행하고 "그대로" 기록된다.

Claims (30)

  1. 사용중에 착용자를 향하는 유체 수용면 및 상기 유체 수용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의복 대향면을 가지고, 극한 유체 저장 영역, 및 상기 극한 저장 영역과 상기 의복 대향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유체 분배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PACoRM 시험시 150㎎ 미만의 재습윤 값을 가지고,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이 100 ㎝ 모세관 흡탈착 용량(CSDC 100)이 10g/g 이상인 극한 유체 저장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영역이 최대 용량의 30%에서의 모세관 흡착 흡수 높이(CSAH 30)가 25 ㎝ 이상인 유체 분배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미만,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인 재습윤 값을 갖는 흡수 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 물질의 CSDC 100값이 20g/g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0g/g 보다 큰 흡수 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25×10-7㎤초/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10-7㎤초/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10-7㎤초/g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10-7㎤초/g 이상의 SFC 값을 갖는 흡수 제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10 Darcy 이상의 평면내 투과도를 갖는 흡수 제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물질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의 CSAH 30을 갖는 흡수 제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유체 분배 물질의 5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50))가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의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흡수 제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물질의 100% 포화도에서의 투과도(k(100))가 1 Darcy 이상, 바람직하게는 8 Darcy 이상인 흡수 제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물질이 4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팽창 인자를 갖는 흡수 제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영역이 발포체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물질이 중합체 발포 물질인 흡수 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발포 물질이 고 내부상의 유중 수적형 유화액으로부터 유도되는 흡수 제품.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발포 물질이, 5.2 kPa(0.74 psi)의 부하시 75%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의 압축율을 갖는 흡수 제품.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영역의 발포체 물질이 비균일한 흡수 제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균일 물질이, 공극의 크기, 친수성, 부하시의 압축율, CSDC 및 상응하는 높이에서의 CSAC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특성이 비균일한 흡수 제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영역이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이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이 약 50중량% 내지 약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내지 약 100중량%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이 상기 초흡수 물질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융용 취입 접착제 및 화학적 가교결합제 유형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흡수 제품.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50×10-7㎤초/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10-7㎤초/g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10-7㎤초/g 이상의 SFC를 갖는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0.4g/g/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0.3g/g/초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g/g/초 미만,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g/초 미만의 자유 팽윤 속도를 갖는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이 혼합-베드 이온 교환 유형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이 10 ㎜3보다 큰 개별 체적을 갖는 공극, 천공 또는 간극이 필수적으로 없는 흡수 제품.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이 하나 이상의 허리 영역보다 낮은 극한 유체 저장 용량을 가지는 흡수 제품.
  26. 제 25 항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의 가랑이 폭이 7.5㎝(3 인치) 이하, 바람직하게는 3.8㎝(1.5 인치) 내지 6.4㎝(2.5인치)인 흡수 제품.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의 총 극한 저장 용량의 60% 이상을 제공하는 극한 액체 저장 물질을 포함함을 추가의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한 저장 물질의 평균 기본 중량이 450g/㎡ 미만인 흡수 제품.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이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분배 영역을 통해 유체 연통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소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유체 저장 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흡수 제품의 부하 지점으로부터 종방향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소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부하 지점의 종방향 후방에 위치한 흡수 제품.
KR1020007011985A 1998-04-28 1999-04-23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재습윤성의 흡수 제품 KR20010043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PCT/US98/08515 1998-04-28
PCT/US1998/008515 WO1999055267A1 (en) 1998-04-28 1998-04-28 Absorbent articles with distribution materials positioned underneath storag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100A true KR20010043100A (ko) 2001-05-25

Family

ID=222669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20A KR20010043051A (ko) 1998-04-28 1999-04-23 저장 물질 하부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갖는 흡수 제품
KR1020007011994A KR20010043108A (ko) 1998-04-28 1999-04-23 습윤시 개선된 정합성을 제공하는 흡수제품
KR1020007011985A KR20010043100A (ko) 1998-04-28 1999-04-23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재습윤성의 흡수 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920A KR20010043051A (ko) 1998-04-28 1999-04-23 저장 물질 하부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갖는 흡수 제품
KR1020007011994A KR20010043108A (ko) 1998-04-28 1999-04-23 습윤시 개선된 정합성을 제공하는 흡수제품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EP (3) EP1075241B1 (ko)
JP (3) JP2002512846A (ko)
KR (3) KR20010043051A (ko)
CN (4) CN1307461A (ko)
AR (3) AR019840A1 (ko)
AT (1) ATE234059T1 (ko)
AU (4) AU7261698A (ko)
BR (3) BR9910051A (ko)
CA (3) CA2329787A1 (ko)
CO (3) CO5090880A1 (ko)
CZ (1) CZ296724B6 (ko)
DE (2) DE69905870T2 (ko)
EG (2) EG22124A (ko)
ES (1) ES2194451T3 (ko)
HU (3) HUP0102692A3 (ko)
ID (3) ID28849A (ko)
IL (3) IL139001A0 (ko)
IN (1) IN2000DE00258A (ko)
MX (3) MX241213B (ko)
NZ (2) NZ507502A (ko)
PE (3) PE20000672A1 (ko)
SA (1) SA99200667B1 (ko)
TR (3) TR200003138T2 (ko)
TW (3) TW569768U (ko)
WO (4) WO1999055267A1 (ko)
ZA (2) ZA2001055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9992B1 (en) 1998-06-29 2003-1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stanteously storing liquid in a predefined pattern
EP1103239A1 (en) * 1999-11-29 2001-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fecal management layer
JP4812995B2 (ja) * 1999-11-29 2011-11-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高圧下で潰れる液体取扱い部材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5230048B2 (ja) * 2000-01-31 2013-07-10 ビーケイアイ・ホールディ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 改良された垂直ウィッキングとリウェット能力を有する吸収性製品
CN1450884A (zh) * 2000-03-10 2003-10-22 宝洁公司 表现出改进的扭曲和弯曲柔软度的吸湿用品
US20030191442A1 (en) 2000-08-11 2003-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sheet for contacting hydrous body tissues and absorbent device with such a topsheet
JP5030193B2 (ja) * 2001-08-08 2012-09-19 独立行政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高吸水性デンプンゲル
JP4146110B2 (ja) * 2001-08-16 2008-09-03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体製品
KR100772363B1 (ko) * 2001-09-2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추에이터용 자석
DE10247241A1 (de) * 2002-10-10 2004-04-22 Basf Ag Superabsorbierender Schaum,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JP2005288265A (ja) 2004-03-31 2005-10-20 Procter & Gamble Co 水性液吸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2005016905D1 (de) * 2004-03-31 2009-11-12 Procter & Gamble Windel mit verbesserter körperpassung
MX2009013415A (es) * 2007-06-12 2010-02-09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ulo absorbente con un nucleo absorbente ranurado.
US8281609B1 (en) 2008-03-14 2012-10-09 Rothschild Jesse B Man portable micro-climate
JP5461804B2 (ja) * 2008-08-29 2014-04-0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2151199B (zh) * 2011-05-02 2015-05-27 曹乃承 新型纸尿裤
CA2840641A1 (en) * 2011-06-30 2013-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an oil-scavenger component
CN103757822B (zh) * 2014-01-28 2018-08-28 嘉兴学院 一种泡泡型柔软无纺布及其制造方法
WO2018000410A1 (en) *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CN106644823B (zh) * 2016-12-21 2023-03-28 山西大学 煤壁涂料的气密性测试装置及其气密性测试方法
EP3569210B1 (en) 2018-05-15 2022-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GB2573994A (en) 2018-05-15 2019-11-27 Glatfelter Falkenhagen Gmbh Liquid absorbent system comprising intermediate and ultimate storage member
EP3569209A1 (en) 2018-05-15 2019-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7174760B2 (ja) * 2018-08-09 2022-11-1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収性物品
JP7174761B2 (ja) * 2018-08-09 2022-11-1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収性物品
WO2020032283A1 (ja) * 2018-08-09 2020-02-13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水性物品
CN109283111B (zh) * 2018-09-20 2021-01-19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一种织物透水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7280185B2 (ja) * 2019-01-15 2023-05-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細孔構造を有する可撓性多孔質溶解性固体シート物品を作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CN113375846B (zh) * 2021-05-17 2021-12-03 西南石油大学 一种管道轴向应力快速检测装置与方法
CN115505064A (zh) * 2022-09-27 2022-12-23 连云港铭磊科技有限公司 一种低可溶出物高吸水性树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840069A4 (ko) 1969-12-10 1972-06-15
US3699103A (en) 1970-10-07 1972-10-17 Hoffmann La Roch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5-desoxy-l-arabinose and novel intermediates
US3860003B2 (en) 1973-11-21 1990-06-19 Contracta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
US4515595A (en) 1982-11-26 198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610678A (en) 1983-06-24 1986-09-09 Weisman Paul T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s
PH23956A (en) 1985-05-15 1990-01-2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dual layered cores
US4935022A (en) 1988-02-11 1990-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gelling agent
US5098423A (en) 1988-10-27 1992-03-24 Mcneil-Ppc, Inc. Low bulk disposable diaper
IT1241592B (it) * 1990-04-30 1994-01-19 Faricerca Spa Elemento assorbente perfezionato incorporante materiale assorbente idrogelificante e articolo assorbente comprendente tale elemento
US4994037A (en) * 1990-07-09 1991-0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US5643588A (en) * 1994-11-28 1997-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 lotioned topsheet
SE508400C2 (sv) * 1993-12-29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ptionskropp i ett absorberande alster
US5599335A (en) 1994-03-29 1997-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s for body fluids having good wet integrity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US5558655A (en) * 1994-05-03 1996-09-24 Confab, Inc. Absorbent article with dry surface composite construction
DE4438527C2 (de) * 1994-10-31 2002-05-23 Lohmann Therapie Syst Lts Verwendung eines mehrschichtigen Verpackungsmaterials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für Wirkstoffpflaster mit kindersicherer Aufreißfestigkeit
US5849000A (en) * 1994-12-29 1998-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improved liquid permeability
US5650222A (en) * 1995-01-10 1997-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foam materials for aqueous fluids made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having very high water-to-oil ratios
US5767168A (en) * 1995-03-30 1998-06-16 The Proctor & Gamble Company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polymers made from conjugated dienes such as isoprene and 2,3-dimethyl-1, 3-butadiene
AUPN573195A0 (en) * 1995-10-03 1995-10-2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material having improved absorbent permeabili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5843852A (en) * 1995-12-21 1998-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for liquid distribution
US5855572A (en) * 1996-03-22 1999-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fluid acquisition zone
US6372952B1 (en) * 1996-03-22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ATE250403T1 (de) * 1996-03-29 2003-10-15 Procter & Gamble Wegwerfbare absorbierende artikel, mit kontrollierter hydratisierung der haut
EP0809991B1 (en) * 1996-05-28 2002-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distribution materials with improved wicking properties
EP0820746A1 (en) * 1996-07-24 1998-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use storage capacity for low and medium low viscosity faeces
US6152904A (en) * 1996-11-22 2000-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controllable fill patterns
US5827253A (en) * 1997-03-27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high flux capabilities
ATE229311T1 (de) * 1997-03-27 2002-12-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artikel mit verbesserten materialien zur flüssigkeitsverteilung
DE69724111T2 (de) * 1997-06-25 2004-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verbesserter Hauttrocknung und Hautbelüftung
DE69724295T2 (de) 1997-11-14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hautpflegesalbe auf der perforierten obersten schi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07502A (en) 2002-09-27
WO1999055264A1 (en) 1999-11-04
TR200003127T2 (tr) 2001-03-21
CO5090873A1 (es) 2001-10-30
ZA200105559B (en) 2002-02-20
CN1631347A (zh) 2005-06-29
TR200003138T2 (tr) 2001-03-21
EP1075239B1 (en) 2003-06-04
PE20000672A1 (es) 2000-10-06
CN1303256A (zh) 2001-07-11
MX217629B (es) 2003-11-17
CA2329807C (en) 2006-08-01
TR200003125T2 (tr) 2001-03-21
WO1999055263A1 (en) 1999-11-04
WO1999055265A1 (en) 1999-11-04
TW406015B (en) 2000-09-21
EG22665A (en) 2003-06-30
ID28849A (id) 2001-07-05
AU3163999A (en) 1999-11-16
AR019840A1 (es) 2002-03-20
CA2329807A1 (en) 1999-11-04
MXPA00010680A (es) 2001-05-31
AU3164199A (en) 1999-11-16
CA2329793A1 (en) 1999-11-04
MX241213B (es) 2006-10-18
HUP0102692A3 (en) 2001-12-28
HUP0103185A3 (en) 2002-01-28
AU3164699A (en) 1999-11-16
CZ296724B6 (cs) 2006-05-17
CO5090869A1 (es) 2001-10-30
IL139054A0 (en) 2001-11-25
TW421589B (en) 2001-02-11
EG22124A (en) 2002-08-30
EP1075241B1 (en) 2003-03-12
JP2002512846A (ja) 2002-05-08
TW569768U (en) 2004-01-01
CA2329787A1 (en) 1999-11-04
CZ20003916A3 (cs) 2001-09-12
ATE234059T1 (de) 2003-03-15
HUP0102692A2 (hu) 2001-11-28
AR015029A1 (es) 2001-04-11
NZ507503A (en) 2003-09-26
KR20010043108A (ko) 2001-05-25
JP4498603B2 (ja) 2010-07-07
AR029297A1 (es) 2003-06-25
IL139137A0 (en) 2001-11-25
PE20000669A1 (es) 2000-10-06
IL139001A0 (en) 2001-11-25
HUP0102691A2 (hu) 2001-11-28
BR9910052A (pt) 2000-12-26
BR9909990A (pt) 2000-12-26
WO1999055267A1 (en) 1999-11-04
DE69905870T2 (de) 2003-11-20
JP2002512847A (ja) 2002-05-08
ID28522A (id) 2001-05-31
MXPA00010679A (es) 2001-05-01
ZA200005709B (en) 2002-01-16
DE69908580D1 (de) 2003-07-10
CN1307461A (zh) 2001-08-08
HUP0102691A3 (en) 2001-12-28
CN100408009C (zh) 2008-08-06
KR20010043051A (ko) 2001-05-25
BR9910051A (pt) 2000-12-26
AU7261698A (en) 1999-11-16
PE20000604A1 (es) 2000-09-08
SA99200667B1 (ar) 2006-05-13
IN2000DE00258A (ko) 2006-03-03
CO5090880A1 (es) 2001-10-30
DE69908580T2 (de) 2003-12-11
HU225177B1 (en) 2006-07-28
EP1075239A1 (en) 2001-02-14
MXPA00010515A (es) 2001-05-01
HUP0103185A2 (hu) 2001-11-28
JP2003521266A (ja) 2003-07-15
ID28551A (id) 2001-05-31
ES2194451T3 (es) 2003-11-16
CN1305361A (zh) 2001-07-25
EP1075241A1 (en) 2001-02-14
DE69905870D1 (de) 2003-04-17
EP1075240A1 (en) 200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100A (ko) 저장 물질 아래에 배치된 분배 물질을 포함하는 감소된재습윤성의 흡수 제품
KR100625713B1 (ko) 다기능성 흡수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한 제품
KR100679204B1 (ko) 개선된 유체 처리용 전달 지연층을 갖는 흡수용품
KR20000069072A (ko) 흡수 제품용 고효율 서지 재료
CZ20003300A3 (cs) Vysoce savý polymerní pěnový materiál a způsob jeho výroby a absorpční prostředek
US6720471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reduced rewet with distribution materials positioned underneath storage material
MX2011001483A (es) Nucleo absorbente.
KR100256476B1 (ko) 겔화 물질을 갖는 절반 부분을 포함하는 흡수체
WO2001017475A1 (en) Embossed liner for absorbent article
EP1231879B1 (en) Absorbent structure in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of producing it
KR100249614B1 (ko) 이중 층 필름 상면시이트를 갖는 생리용품
MXPA06007410A (es) Estructura absorbente y articulo absorbente que comprende la estructura absorbente
JP3989952B2 (ja) 粒子を含有しないヒドロゲル吸収性構造体上に二重層フィルムトップシートを具備する薄い生理用品
GB2573994A (en) Liquid absorbent system comprising intermediate and ultimate storage member
US20070038196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absorbent structure
US20050165374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absorbent structure
CZ20003768A3 (cs) Absorpční výrobky mající zmenšené zpětné navlhčování a rozdělovači materiály umístěné pod zásobním materiálem
KR20020013906A (ko) 유체 취급성이 개선된 개인 위생 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