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813A -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813A
KR20010040813A KR1020007008707A KR20007008707A KR20010040813A KR 20010040813 A KR20010040813 A KR 20010040813A KR 1020007008707 A KR1020007008707 A KR 1020007008707A KR 20007008707 A KR20007008707 A KR 20007008707A KR 20010040813 A KR20010040813 A KR 2001004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hock absorbing
absorbing layer
noise barrier
barri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798B1 (ko
Inventor
에이론니리
Original Assignee
로젠바흐 로버트 제이.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바흐 로버트 제이.,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젠바흐 로버트 제이.
Publication of KR2001004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3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for fire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2013/0807Arrangements of fasteners or clip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방화벽에 의해 분리되는 객실과 엔진실을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매트(10). 대시매트(10)는 다수의 개구부(44)를 가진 충격흡수층(14) 및 충격흡수층과 소음장벽층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충격흡수층 개구부(44)내에 수용되는 일체형 성형 패스너(22)를 가진 소음장벽층(12)을 포함한다. 패스너(22)는 플랜지와 소음장벽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기 위해 소음장벽에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을 가진다.

Description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SOUND ABSORBER MAT WITH INTEGRALLY MOLDED RETAINER}
요즘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스틸 방화벽은 엔진실을 객실로부터 분리한다. 방화벽을 통한 엔진실로부터 객실로의 소음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시매트를 방화벽에 깔아서 방화벽을 통한 엔진실로부터 객실로의 기계적진동 및 소음진동의 전달을 방해한다. 대시매트는 통상 방화벽에 인접한 소음흡수층, 소음흡수층에 인접한 소음장벽층을 포함한다.
소음흡수층은 통상 기계적진동을 줄이기 위해 연속기포 발포체로부터 제조된다. 소음장벽층은 통상 소음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엘라스토머와 같은 비교적 조밀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소음장벽층의 외부표면은 일반적으로 차량 카펫의 바닥표면과 접촉하며 카펫을 초과하여 계기패널 뒤의 방화벽 상부까지 펼쳐진다.
뜨겁게 녹은 접착제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의 적용을 통해 흡수층을 소음장벽층에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엘라스토머에 발포재료를 결합할 수 있는 접착제는 통상 오존을 소비하며 극히 주의해서 다루어야 한다. 이들 형태의 많은 접착제는 환경적 관심과 새로운 산업표준에 따라 더이상 제조되지 않는다. 열로 고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술이 오존-소비성 접착제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층들이 적절히 정렬되어야 하며 열로 고정시키기 전에 일시적으로 함께 고정해야 한다. 접착제 또는 일시적 패스너를 사용하는 어려움없이 흡수층을 방음층에 붙이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대시매트(dash ma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중 하나에서는, 발명은 2차 층을 고정시키는 일체형 리테이너를 가진 대시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발명은 소음 흡수층을 소음 장벽층에 고정시켜서 대시매트를 형성시키는 일체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 흡수 차량 대시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발명은 대시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차량 및 대시매트 조립품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대시매트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의 패스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3에서 도시된 대시매트 일부 및 대시매트를 형성하는 몰드 조립품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대시매트 및 일체형 패스너의 제2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발명에 따른 대시매트 및 일체형 패스너의 제3구체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발명에 따른 대시매트 및 일체형 패스너의 제4구체예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10-10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요
발명은 선행기술에 대한 차량 대시매트의 소음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을 조립하기 쉽도록 개선한다. 그것의 양태중 하나에서는,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는 충격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을 포함하는 대시매트에 관한 것이다. 충격흡수층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 객실의 방화벽에 인접하도록 적용된다. 소음장벽층은 충격흡수층에 인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장벽층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패스너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으며, 충격흡수층의 일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지며 그것에 의해 리테이닝 플랜지와 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여 소음장벽층을 충격흡수층에 고정시킨다.
대시매트는 실질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향해있어서 충격흡수층의 서로다른 부분을 파지하고 그것에 의해 충격흡수층을 소음장벽층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는 동일한 충격흡수층 개구부내에 위치하거나 두개의 서로 다른 충격흡수층 개구부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패스너는 흡수층 근처에서 근단부를 가지며 원단부에서 말단을 이룬다. 근단부의 횡단면은 원단부의 횡단면보다 더 크다. 횡단면은 근단부에서부터 원단부까지 면적이 연속 감소한다. 패스너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태 또는 선형태를 갖는다. 더욱이,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돌출부는 소음장벽층으로부터 뻗어있으며 소음장벽층에서의 대응 패스너의 접점으로부터 공간이 생기며 그것에 의해 충격흡수층 일부의 파지를 강화시킨다.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대시매트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는 충격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을 포함한다. 충격흡수층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차량 객실의 방화벽에 인접하여 적용된다. 소음장벽층은 충격흡수층에 인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장벽층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다. 패스너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해있는 여러개의 부분을 가진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진다. 여러개의 부분은 충격흡수층의 일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리테이닝 플랜지 부분과 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한다.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 일반적인 평면 충격흡수층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적인 평면 소음장벽층을 포함하는 대시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패스너가 소음장벽층 부분으로부터 및 소음장벽층 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지며 그것에 의해 패스너가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삽입될때 리테이닝 플랜지와 소음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도록 장벽층을 가진 패스너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스너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는 상부 및 하부 몰드코어를 마주보게 함으로써 소음장벽층과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의 형태로 몰드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가소성 수지를 몰드 공동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공동으로부터 소음장벽 및 일체형 패스너를 제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패스너 및 소음장벽의 접점 근처 소음장벽에 압력을 인가하면서 상부 및 하부 몰드코어를 분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음장벽층에 대한 공동은 하부 몰드코어 및 상부 몰드코어의 하부표면에서 형성되고 패스너에 대한 공동은 상부 몰드코어에서 형성된다.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코어들이 분리될때 상부 몰드코어로부터 뻗어있는 상부 몰드코어의 푸시 핀을 제공하여 소음장벽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및 푸시 핀을 접점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배치하여 패스너가 몰드코어로부터 제거될때 상부 몰드코어와 푸시 핀 사이에 패스너의 조임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푸시 핀은 푸시 핀의 외표면과 상부 몰드코어 공동의 접점 사이에 최단거리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부 몰드코어 하부면은 소음장벽 및 일체형 패스너를 제거하는 동안 최단거리를 통과하는 패스너의 일부분의 두께보다 항상 더 크다.
대시매트는 리테이닝 플랜지가 충격흡수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중첩될때까지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가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제 도 1을 참고하면, 대시매트 조립품이 차량 바디의 일부로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더 도시된 것처럼, 대시매트 조립품(10)은 외부 소음장벽매트 또는 외부 소음장벽층(12) 및 내부 소음흡수매트 또는 내부 소음흡수층(14)을 포함한다. 외부 소음장벽층(12)이 바람직하게 비교적 딱딱한 열가소성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반면에 내부 흡수층(14)은 바람직하게 유연한 연속기포 발포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소음흡수층(14)의 내부표면(18)이 일반적으로 차량 방화벽(8)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반면에 그것의 외부표면(16)은 소음장벽층(12)의 내부표면(19)에 접하여 배치된다. 소음장벽층(12)의 외부표면(20)은 차량 카펫(도시되지 않았음)의 밑면에 접해있고 일반적으로 계기패널 뒤의 카펫을 넘어 펼쳐져있다.
여러개의 패스너(22)가 소음장벽층(12)을 소음흡수층(14)에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패스너(22)는 소음장벽층(12) 및 외면 확장 플랜지 부분(28)과 일체형으로, 바람직하게는 한 조각으로 형성된 환형 기재(26)를 가지는 외면 확장벽(2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기재(22)는 소음장벽층(12)과 패스너의 교차점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면이 비교적 두꺼운 반면에, 플랜지 부분(28)은 벽(24)에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면이 비교적 얇다. 벽(24)의 내부표면(30) 및 소음장벽층(12)의 내부표면(19)은 내부공간(32)을 형성한다.
도 3에서는 패스너의 단면이 패스너의 두께 또는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장 잘 도시하고 있으며, 패스너의 단면은 그것의 근단부 또는 기재의 최대 단면으로부터 그것의 끝 또는 원단부의 훨씬 작은 단면까지 가늘어진다. 패스너는 또한 일반적으로 단면이 아치모양이고, 결과적으로 플랜지 부분은 소음장벽층상에 돌출된다.
소음흡수층(14)은 소음흡수층(14) 및 소음장벽층(12)이 각각 장착되었을때 패스너(22)를 충분히 수용하기위해 치수를 잰 개구부(44)를 포함한다. 개구부(44)는 패스너(22)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44)는 플랜지(28)와 소음장벽층(12) 사이에 적어도 일부의 충격흡수층을 보유하도록 설치될때 최소한 개구부(44)에 인접하는 단단한 기재(26) 및 벽(24) 그리고 플랜지(28)를 충분히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소음흡수층(14)을 개구부(44)를 패스너(22)와 조합함으로써 소음장벽층(12)에 장착시키고 두 층을 함께 압박하여 패스너(22)를 개구부(44)를 통과하게 한다. 흡수층(14)의 개구부(44)가 플랜지 부분(28)의 유효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더라도, 매트는 플랜지 부분(28)상에 개구부(44)의 팽창을 허용할정도로 충분히 유연하다. 유연한 플랜지 부분(28) 및 벽(24)은 또한 플랜지 부분(28)이 조립공정 동안 변형되기에 충분히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패스너(22)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삽입에 도움이 된다. 플랜지 부분(28)의 곡선형태 및 유연성은 또한 개구부(44)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며 소음장벽매트(12)상에 설치되는 동안 흡수층(14)의 찢어짐을 방지한다. 일단 패스너(22)가 충분한 간격으로 삽입되면, 플랜지(28)는 플랜지(28)의 고유복원력 때문에 그것의 변형위치로부터 되돌아갈 수 있으며 개구부(44)의 표면에 대항해 놓여서 소음장벽층(12)의 흡수층(14)에로의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몰드 조립품은 매트 및 패스너를 성형하는 단일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서로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일체형으로 성형된 매트 및 패스너를 빼내기 위해 성형 후에 서로에서부터 멀어지도록 통상의 사출성형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장착되는 상부코어 및 하부코어(34 및 36)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여러 성분 및 부품을 가지는 코어에 대한 성형 및 제조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상부코어(34)는 패스너(22)의 내부공간(32)과 조합된 보어(40)를 포함한다. 푸시 핀(38)은 보어(40)내의 이동성 부품에 대해 장착된다. 성형조작 후, 코어(34)는 화살표(42)에 의해 표시되는 코어(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동시에, 핀(38)은 내부챔버(32)내의 대시매트의 내부표면(19)에 마주보게 유지된다. 상부코어가 하부코어(36)로부터 계속 멀어질때, 패스너(22)의 벽(24)은 상부코어가 패스너에 가까와질때까지 핀(38)을 향해 수축한다. 그 후 핀(38)은 하부코어(36)로부터 대시매트를 분리하도록 풀리게된다.
일반적으로, 패스너(22)의 두께는 기재두께B-B로부터 원단부까지 점점 가늘어져서 두께가 길이를 따라 변화하더라도 반쪽의 몰드(34)로부터 패스너(2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화살표 A-A 사이에 위치한 패스너(22)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기재에서의 패스너(22)의 두께 B-B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것이 중요하다. 일부의 경우에, A-A에서 패스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A-A는 패스너(22)가 몰드로부터 제거될때 개구부(44)와 푸시핀(38) 사이의 패스너(22)의 최대 유효 두께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재료의 고유탄성때문에 최대 유효 두께 A-A보다 약간 작은 틈새 B-B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틈새 B-B는 최대 유효 두께 A-A에 비해서 좀더 좁고, 손상없이 몰드로부터 매트를 분리하는 것이 좀더 어렵다.
도 5 및 도 6은 발명에 따른 대시매트 조립품의 제2구체예를 도시한다. 제2구체예는 제1구체예와 유사하며 해당부품들은 동일한 숫자와 끝에 붙인 '로 구별한다.
제2구체예 대시매트 조립품(10')은 패스너(22')에 의해 충격흡수층(14')에 연결되는 소음장벽층(12')을 포함한다. 패스너(22')는 소음장벽층(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플랜지(28')를 포함하며, 그것은 바람직하게 역의 관계에 있다.
각각의 플랜지(28')는 벽 또는 돌출부분(26')으로 변환되는 기재 또는 부분(24')을 포함한다. 하부부분(24')은 실질적으로 플랜지(28') 보다 두꺼우며, 그것은 점점 가늘어져서 부분(24')으로부터 두께가 감소된다.
도 7 및 도 8은 발명에 따른 제3구체예를 도시한다. 제3구체예는 제1 및 제2구체예와 유사하며 유사 부품들은 동일한 숫자와 끝에 붙인 "로 구별한다.
제3구체예(10")는 패스너(22")가 소음장벽층(12")을 충격흡수층(14")에 연결시키도록 뻗어있는 여러개의 개구부(44")를 갖는 소음장벽층(12") 및 충격흡수층(14")을 포함한다.
각각의 패스너(22)는 소음장벽층(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소음장벽층(12")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으며 패스너(22")와 소음장벽층(12") 사이의 충격흡수층(14")의 일부를 파지하기 위해 충격흡수층(14")의 일부에 중첩된 뾰족한 플랜지(28")로 전환되는 기재부분(24")을 포함한다. 패스너(22")는 개구부(44")를 통해 뻗어있는 단지 하나의 단일 플랜지(28")와 충격흡수층(14")을 가진다. 단일 플랜지(28")는 두꺼운 기재 또는 하부 부분(24") 및 뾰족한 상부부분(26")을 포함한다. 여러개의 패스너(22")가 소음장벽층(12")과 충격흡수층(14")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소음장벽층(12")에 충격흡수층(14")을 고정하는 것을 돕기위해 패스너(22")의 일부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도 10은 발명에 따른 대시매트의 제4구체예를 도시한다. 제4구체예의 대시매트는 선행 구체예들과 유사하며 유사 부품들은 선행 구체예와 동일한 숫자와 끝에 붙인 '''로 구별한다.
제4구체예에 따른 대시매트(10''')는 패스너(22''')가 소음장벽층(12''')을 충격흡수층(14''')에 연결시키도록 뻗어있는 여러개의 개구부(44''')를 갖는 소음장벽층(12''') 및 충격흡수층(14''')을 포함한다.
트랩(50)이 바람직하게 또한 소음장벽층(12''')에서 형성되고 패스너(22''')의 아래에 위치하여 패스너(22''') 아래 충격흡수층(14''')을 보유하도록 도와준다.
각각의 패스너(22''')는 소음장벽층(12''')의 표면에 대해 예각으로 향해있는 한 쌍의 마주보는 핑거(52)를 포함한다. 각각의 마주보는 핑거(52)는 바람직하게는 핑거(52)가 소음장벽층(12''')으로부터 뻗어나갈때 직경이 점점 가늘어지거나 또는 축소되는 원형 단면을 가진다. 점점 가늘어지는 단면은 핑거(52)의 찢어짐이나 손상없이 상부 몰드코어로부터 패스너(22''')를 쉽게 제거하는 것을 도와준다.
트랩(50)은 핑거(52)의 가장 바깥쪽 아래에 직접 배치된 그것의 중심선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트랩(50)의 위치는 발명이 고안된 기능을 행하기에 그렇게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트랩(50)은 핑거(52)와 트랩(50) 사이에 충격흡수층(14''')의 적어도 일부를 충분히 배치하는 한 소음장벽층(12''')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랩(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충격흡수층(14''')의 일부를 더 잘 취하거나 붙들고 보유하기 위해 뾰족한 끝을 갖는다. 그러나, 뾰족하지 않은 끝을 갖는 것도 트랩(50)의 발명범위내에 있다. 소음장벽층(12''')으로부터 돌출된 적당한 크기의 돌출부가 파지기능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트랩(50)은 선행의 구체예중 어느 것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의 구체예는 트랩(50)없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고정기술에 대한 본 일체형 패스너 장치의 유일한 이점은 고정될때 좀더 뻣뻣한 엘라스토머 재료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발포재료의 전단부를 제거하고 전단면에서의 엘라스토머 재료로부터 발포재료를 분리한다. 그러므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비용절감된 패스너가 흡수층을 소음장벽층에 붙이기 위해 제공된다.
발명이 흡수층을 차량 방화벽으로 사용하는 소음장벽층에 붙여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는 반면에, 발명은 필수적으로 그렇게 제한적이지는 않으며, 발명이 두 층의 재료(그중의 한 층은 유연하다)가 함께 결합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단지 하나의 일체형으로 성형된 패스너가 설명되었으나, 다수의 일체형 성형 패스너가 흡수층을 안전하게 보유하는 대시매트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패스너는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주보는 부분없이 단일 플랜지를 갖는 패스너에 대해, 플랜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할때 패스너는 소음흡수층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개의 플랜지를 갖는 패스너에 대해, 플랜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로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합리적인 변화 및 변경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채 상기 명세서 및 도면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패스너의 전체 높이가 서로 다른 흡수층들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Claims (24)

  1. 방화벽에 의해 분리되는 객실 및 엔진실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시매트로서, 대시매트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는 충격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을 포함하고, 충격흡수층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방화벽에 인접하고, 소음장벽층이 충격흡수층에 인접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는 장벽층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으며, 충격흡수층의 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지고 그것에 의해 리테이닝 플랜지와 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마주보고 있는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충격흡수층 개구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와 적어도 두개의 충격흡수층 개구부가 있고 적어도 두개의 리테이닝 플랜지는 적어도 두개의 충격흡수층 개구부의 서로 다른 개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흡수층 근처에서 근단부를 가지며 원단부에서 말단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원단부의 횡단면 보다 더 큰 근단부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근단부에서부터 원단부까지 연속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실질적으로 아치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실질적으로 선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9. 제 5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충격흡수층에서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패스너와 소음장벽층의 접점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패스너들중 하나에 해당하고 소음장벽층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그것에 의해 충격흡수층의 부분의 파지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소음장벽층이 탄성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층이 연속기포 발포체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4. 방화벽에 의해 분리되는 객실 및 엔진실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시매트로서, 대시매트가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는 충격흡수층 및 소음장벽층을 포함하고, 충격흡수층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방화벽에 인접하고, 소음장벽층이 충격흡수층에 인접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는 장벽층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으며, 충격흡수층의 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해있는 여러개의 부분을 가진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지며 그것에 의해 리테이닝 플랜지 부분과 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5.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가 장벽층 근처에서 근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플랜지 부분이 원단부에서 말단을 이루며 플랜지가 원단부에서 보다 근단부에서 더 큰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부분이 실질적으로 아치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8. 제 15 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근단부에서부터 원단부까지 연속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
  19. 방화벽에 의해 분리되는 객실 및 엔진실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시매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대시매트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진 일반적인 평면 충격흡수층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된 일반적으로 평면의 소음장벽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패스너가 소음장벽층의 부분으로부터 및 소음장벽층의 부분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측면 돌출 리테이닝 플랜지를 가지며 그것에 의해 패스너가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삽입될때 리테이닝 플랜지와 소음장벽층 사이에 충격흡수층의 일부를 파지하도록 장벽층을 가진 패스너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시매트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단계가 상부 및 하부 몰드코어를 마주보게 함으로써 소음장벽층과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의 형태로 몰드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 및 열가소성 수지를 몰드 공동으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패스너와 소음장벽 접점근처에서 소음장벽에 압력을 가하면서 상부 및 하부 몰드코어를 분리함으로써 몰드 공동으로부터 소음장벽 및 일체형 패스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소음장벽층에 대한 공동이 하부 몰드코어 및 상부 몰드코어의 하부표면에서 형성되고 패스너에 대한 공동은 상부 몰드코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압력을 가하는 단계가 코어들이 분리될때 상부 몰드코어로부터 뻗어있는 상부 몰드코어의 푸시 핀을 제공하여 소음장벽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및 푸시 핀을 접점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배치하여 패스너가 상부 몰드코어로부터 제거될때 상부 몰드코어와 푸시 핀 사이에 패스너의 조임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플랜지가 충격흡수층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될때까지 충격흡수층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8707A 1998-02-11 1999-02-05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KR100562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32498P 1998-02-11 1998-02-11
US60/074,324 1998-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813A true KR20010040813A (ko) 2001-05-15
KR100562798B1 KR100562798B1 (ko) 2006-03-23

Family

ID=2211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707A KR100562798B1 (ko) 1998-02-11 1999-02-05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89349A (ko)
EP (1) EP1053127B1 (ko)
JP (1) JP4392126B2 (ko)
KR (1) KR100562798B1 (ko)
CN (1) CN1094847C (ko)
BR (1) BR9907808A (ko)
CA (1) CA2319790C (ko)
DE (1) DE69910175T2 (ko)
ES (1) ES2205769T3 (ko)
WO (1) WO1999041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981B1 (fr) * 2001-09-21 2004-04-16 Cera Panneau insonorisant mou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panneau
US7070848B2 (en) 2002-10-21 2006-07-04 Cascade Engineering, Inc. Vehicle acoustic barrier
US20040140306A1 (en) * 2003-01-17 2004-07-22 Arias David Anthony Collapsible swimming pool
US6899363B2 (en) * 2003-02-19 2005-05-31 Lea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component
DE112006001022T5 (de) * 2005-04-26 2008-04-17 Shiloh Industries, Inc., Valley City Schalldämpfendes Material auf Acrylatbasis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asselbe
DE102005048069B4 (de) * 2005-10-07 2012-02-09 Audi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Dämmeinrichtungen
US20080017445A1 (en) * 2006-07-21 2008-01-24 Lear Corporation Lightweight dash insulator construction
JP4257662B2 (ja) * 2006-11-27 2009-04-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トラックの遮音構造
GB2475025A (en) * 2009-07-28 2011-05-11 Zephyros Inc Laminate, for vehicle, includes foam layer and anchorage holes
CN102947134B (zh) 2010-06-16 2015-09-02 夏伊洛工业公司 面板组件以及形成面板组件的方法
US8403390B2 (en) 2011-03-10 2013-03-26 Shiloh Industries, Inc. Vehicle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WI597232B (zh) * 2012-05-07 2017-09-01 東洋紡股份有限公司 消音性與硬度優異之彈性網狀構造體
US9908485B2 (en) * 2014-11-06 2018-03-06 Cadillac Products Automotive Company Acoustic barrier assembly with acoustic seal
CN104842893A (zh) * 2015-03-20 2015-08-19 左正晓 汽车用消音复合板
US20160369865A1 (en) * 2015-06-19 2016-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oustical Absorber With Integral Fastener
CN107878354A (zh) * 2016-09-30 2018-04-06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
US11634091B2 (en) 2017-04-03 2023-04-25 Cascade Engineering, Inc. Acoustic fiber silencer
RU2019133162A (ru) * 2017-04-19 2021-05-19 Адлер Пельцер Холдинг Гмбх Шумоизоля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торцевой стенк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8725336B (zh) * 2017-04-20 2023-06-23 福特环球技术公司 车辆垫板和其制备方法
EP3898340A1 (de) * 2018-12-18 2021-10-27 Adler Pelzer Holding GmbH Schallisolationselement für die stirnwand einer fahrzeugkarosserie und trägerelement für ein derartiges schallisolationselement
DE102019102750B4 (de) 2019-02-05 2023-07-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Innenverkleidungsteil
DE102019129020B4 (de) * 2019-10-28 2021-06-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element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kleidungs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1966A1 (de) * 1985-07-27 1987-03-04 Heinz Buchal Befestigungselement fur Fussmatten
US4829627A (en) * 1987-10-15 1989-05-16 The 2500 Corporation Floor mat and method of attaching retainer thereto
US4921742A (en) * 1988-05-27 1990-05-01 The 2500 Corporation Floor mat reten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2551386Y2 (ja) * 1990-11-07 1997-10-22 東海興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US5483028A (en) * 1994-11-14 1996-01-09 Cascade Engineering, Inc. Acoustical barrier with decoupler
US5601899A (en) * 1995-03-17 1997-02-11 Cascade Engineering, Inc. Sheet with integral fastener
US5831225A (en) * 1996-07-26 1998-11-03 Cascade Engineer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insulating layers to a suppor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847C (zh) 2002-11-27
US6089349A (en) 2000-07-18
CA2319790A1 (en) 1999-08-19
DE69910175T2 (de) 2004-06-17
JP4392126B2 (ja) 2009-12-24
BR9907808A (pt) 2000-10-17
EP1053127A1 (en) 2000-11-22
ES2205769T3 (es) 2004-05-01
KR100562798B1 (ko) 2006-03-23
CA2319790C (en) 2006-10-24
EP1053127B1 (en) 2003-08-06
JP2002502768A (ja) 2002-01-29
DE69910175D1 (de) 2003-09-11
WO1999041107A1 (en) 1999-08-19
CN1290220A (zh) 200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798B1 (ko)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CA2256364C (en) System for fastening insulating layers to a support structure
JP4314698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EP1469249B1 (en) Antivibration clamp for elongated objects
US6276652B1 (en) Securing component
JP2000516880A (ja) 一体型のブーツを備えた防音層
CA2214357C (en) Sheet with integral fastener
CA2259953C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insulating layer to sheet material
EP2927510B1 (en) Fastener
JP2509562Y2 (ja) 車両用ハ―ネスグロメット
JP7280813B2 (ja) 留め具
KR100471550B1 (ko) 서포트구조물에방음층을고정시키기위한시스템
KR970002213Y1 (ko) 자동차의 휠가드 마운팅 클립
JP4465224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カバー
KR0115389Y1 (ko)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JPH0249179Y2 (ko)
JP4046081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固定構造
JPH0572309B2 (ko)
KR0140314Y1 (ko) 자동차의 트림고정용 클립
JP3204054B2 (ja) グロメット
JPH05321967A (ja) ダンパー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5868U (ja) 車両用パッド材の取り付け構造
KR100387446B1 (ko) 크래쉬 패드의 취부구조
KR19980035909A (ko)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조립구조
JPH10274215A (ja) ケーブル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