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389Y1 -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 Google Patents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389Y1
KR0115389Y1 KR2019910024279U KR910024279U KR0115389Y1 KR 0115389 Y1 KR0115389 Y1 KR 0115389Y1 KR 2019910024279 U KR2019910024279 U KR 2019910024279U KR 910024279 U KR910024279 U KR 910024279U KR 0115389 Y1 KR0115389 Y1 KR 0115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lip
panel
support
enlarged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745U (ko
Inventor
장재홍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10024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389Y1/ko
Publication of KR930014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멍이 마련된 하나의 부재를 관통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관통식 클립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와 확대단부 사이의 스템부분에 스템과 동심으로 복수개의 돌기를 마련하여 필요할 경우 돌기들이 체결부 기능을 하도록 외장과 패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지지부 및 확대단부 사이의 스템 부분에 스템과 동심으로 위치하고 삽입될 구멍의 직경보다는 크게 되어 있어 삽입 후 체결부의 기능을 하게 되는 다수의 돌기가 마련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제1도는 종래의 클립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립 16 : 지지부
18 : 확대단부 20 : 외장
22 : 패널 28: 돌기
본 고안은 구멍이 마련된 하나의 부재를 역시 구멍이 마련된 부재에 양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관통식 클립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양 부재 사이에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차량 조립시 전선류 내장부품 등과 같은 외장을 차체패널에 고정시킬 때 특히 유효하게 사용된다.
차량 조립에 있어서, 전선 등과 같은 외장을 차체패널에 고정시켜야만 차량 주행중에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불필요한 고장의 위험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장을 영구 고정시키게 되면 후일 정비 등의 목적으로 분해할 경우 그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종래에는 볼트형 관통클립을 사용하여 외장을 차체패널에 고정시켰다. 이러한 클립은 대개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되어 있어 상당한 외력을 가할 경우 발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클립은 대략 헤드, 스템, 지지부 및 확대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는 클립의 압압지점을 제공하고, 지지부는 외장 등을 패널에 대하여 누르는 힘을 제공하며, 확대단부는 스템의 말단부에 마련되어 클립이 삽입된 후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 기능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클립에 있어서는 지지부의 저면과 확대단부의 상부면 사이에 외장 및 패널이 고정되어 필요한 소정의 장착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종래 클립의 경우에는 외장 및 패널이 위치하게 되는 지지부의 저면과 확대단부의 상부면 사이의 스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벼ㅁ용섬을 위해 그 간격을 상당한 길이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사용시 외장과 패널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가 있다. 이러한 간극이 존재하게 되면 외장과 패널 사이에 마찰 등이 발생되어 본 클립을 사용하는 소정의 효과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클립의 결점을 보완하기 우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부와 확대단부 사이의 스템부분에 스템가 동신으로 복수개의 돌기를 마련하여 필요할 경우 돌기들이 체결부 기능을 하도록 하여 외장과 패널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들 돌기들은 패널에 마련된 구멍의 지경 보다는 크나 그 자체의 가요성에 의해 패널 구멍을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 후에는 다시 확개되어 클립의 발출을 억제하는 체결부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립(10)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12), 스템(14), 지지부(16)및 확대단부(18)로 구성되어 있다.
클립(10)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헤드(12)는 클립(10)을 삽입할 때 클립을 누르는 부분을 제공하며, 지지부(16)는 외장의 상면과 접촉되어 외장이 헤드(1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확대단부(18)는 재질에 의한 가요성 이외에 부가적인 가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그 일부를 중공으로 하는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확대단부(18)는 패널의 구멍을 통과한 후 다시 팽창되어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의 기능을 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클립(10)의 외장(20)을 패널(22)에 대해 고정하는 상태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에서와 같이 클립(10)이 삽입되게 되면 지지부(16)의 저면과 외장(20)의 상면 사이의 접촉 및 확대단부(18)의 상면과 패널(22)의 저면의 접촉에 의해 외장(20) 및 패널(22)은 지지부(16)와 확대단부(18)사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외장(20)을 패널(22)에 대해 고정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6)의 저면과 확대단부(18)의 상부면 사이의 스템의 간격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의 두께가 상당히 얇은 경우에는 외장과 패널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10)의 사시도로서, 헤드(12), 지지부(16)및 확대단부(18)의 구성은 제1도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클립(10)이 경우에는 지지부(16)와 확대단부(18) 사이의 스템(14) 부분에 다수의 돌기(28)를 마련하였다. 돌기(28)는 헤드, 스템, 지지부 및 확대단부와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좋다. 돌기(28)는 플랜지형 또는 스템(14)의 원주상으로 격설된 돌기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에도 그 반경 방향길이는 패널(22)의 구멍(26)의 직경 보다는 상당 정도 크게 하여, 패널(22)의 구멍(26)을 관통한 후에는 패널(22)의 저면과 접촉되어 체결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돌기(28)가 패널의 구멍(26)을 통과하는 것은 그 자체의 가요성에 의한 것으로서, 구멍(26)을 통과한 후에는 즉시 복원되어 본래의 체결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클립(10)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클립(10)을 외장(20)의 구멍(24) 및 패널(22)의 구멍(26)을 통해 삽입하면 확대단부(18)의 상부면과 패널(22)의 저면과의 접촉 및 지지부(16)의 저면과 외장(20)이 상부면과의 접촉에 의해 외장이 패널에 대해 고정되는 것은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에 외장(20)과 패널(2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클 경구에는 다수의 돌기(28) 중의 하나를 패널(22)의 구멍(26)을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외장(20)과 패널(26) 사이의 스템(14)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외장과 패널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소정의 효과가 얻어질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필요한 고정거리를 얻게 된다. 패널(22)의 구멍(26)을 통과하게 되는 돌기(28)의 개수가 많아 질수록 외장(20)과 패널(22)사이의 간극이 좁아지게 됨은 자명하게 된다.

Claims (3)

  1. 헤드(12), 헤드저부에 위치하며 삽입될 구멍(26)의 직경보다는 큰 반경방향으로의 직경을 갖는 지지부(16), 헤드(12) 및 지지부(16)를 고정하는 스템(14) 및 스템 말단부에 마련되어 고정할 양 부재에 마련된 삽입될 구멍을 탄성에 의해 통과한 후에는 팽창되어 체결부 역할을 하는 확대단부(18)로 구성된 관통식 고정클립(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6) 및 확대단부(18) 사이의 스템(14) 부분에 스템(14)과 동심으로 위치하고, 삽입될 구멍(26)의 직경 보다는 크게 되어 있어 삽입 후 체결부의 기능을 하게 되는 다수의 돌기(2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8)가 플랜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8)가 스템(14)의 원주방향으로 격설된 돌출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2019910024279U 1991-12-27 1991-12-27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KR0115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279U KR0115389Y1 (ko) 1991-12-27 1991-12-27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279U KR0115389Y1 (ko) 1991-12-27 1991-12-27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745U KR930014745U (ko) 1993-07-27
KR0115389Y1 true KR0115389Y1 (ko) 1998-04-15

Family

ID=1932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279U KR0115389Y1 (ko) 1991-12-27 1991-12-27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93B1 (ko) * 2009-03-09 2010-04-13 장기석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93B1 (ko) * 2009-03-09 2010-04-13 장기석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745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771A (en) Threaded terminal assembly for dynamoelectric machine
KR100310067B1 (ko) 형상밀봉체의고정요소
KR0158204B1 (ko) 연결구
KR0153492B1 (ko) 클립
KR880001471A (ko) 부착조립체
KR100562798B1 (ko) 일체형 성형 리테이너를 가진 소음흡수매트
US6669426B1 (en) Tree fastener
US5094563A (en) Spacer for a fixing to a panel of hollow or sandwich construction
US3216166A (en) Fastener installation
US3098273A (en) Conduit retainer
KR0115389Y1 (ko)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US5932846A (en) Wire harness assembly
JPS62132012A (ja) 支持体の溝穴に插入体を迅速に係止するための装置
US4577521A (en) Carriage drive unit
WO2000005794A1 (de) Befehls- und meldegerät zur montage in eine montagebohrung einer montageplatte
KR920003883Y1 (ko) 자동차의 트림패널 장착용 클립
KR960002160Y1 (ko) 자동차의 높이조절용 리테이너
JPH10322863A (ja) 線状体取付具
JP2000161315A (ja) クリップ
KR0140314Y1 (ko) 자동차의 트림고정용 클립
KR0128669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접지구조
JPH07253108A (ja) 部材取付用クリップ
KR200152673Y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천정 부착용 지지간
KR200156637Y1 (ko) 차량용 부품 취부 구조
KR0137330Y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