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493B1 -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493B1
KR100952493B1 KR1020090019779A KR20090019779A KR100952493B1 KR 100952493 B1 KR100952493 B1 KR 100952493B1 KR 1020090019779 A KR1020090019779 A KR 1020090019779A KR 20090019779 A KR20090019779 A KR 20090019779A KR 100952493 B1 KR100952493 B1 KR 10095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frame
joint spacer
protrus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석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장기석
(주)에이치 에스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석, (주)에이치 에스 티 filed Critical 장기석
Priority to KR102009001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일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정렬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돌기부 양측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돌기부측에 연결되는 체결수단의 일단은 구부러짐 또는 접혀짐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돌기부 타측에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체결봉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Single body joint spacer for wiper blad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블레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용이하게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윈드 실드 와이퍼(wind shield wiper)는 차량의 유리면에 부착되어 강우,강설시 또는 유리면의 오염 에 차량 유리면의 빗물,눈,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준다. 이러한 와이퍼는 와이퍼암과 와이퍼암에 부착되어 빗물 제거에 사용되는 와이퍼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와이퍼암은 와이퍼블레이드를 구동시키고 또한 와이퍼블레이드를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고, 와이퍼블레이드는 금속체의 몸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연성체로 된 블레이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와이퍼의 종류에는 평면 유리용과, 곡면 유리용이 있다. 평면 유리용의 와이퍼블레이드는 직선형태의 금속 몸체에 연성체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곡면 유리용 와이퍼블레이드는 곡면형상의 금속 몸체에 연성체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의 몸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 록 연결하여, 설치하지 않을 시에는 직선형태를 유지하지만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부착될 때 와이퍼암에 의해 곡면형상에 따라 유리면에 부착하도록 한다.
도 1의 분해도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곡면 유리용 와이퍼블레이드(100)는 와이퍼아암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10)과,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제3프레임(30)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연결과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연결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프레임들은 금속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프레임 연결간에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마찰에 의해 회전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마찰에 의해 금속재에 손상이 발생하여 금속재가 산화될 수 있다. 특히, 와이퍼블레이드는 차량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수지재로 코팅처리되는데, 프레임 연결부에서 코팅처리부의 코팅이 벗겨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들 간의 연결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진 조인트 스페이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조인트 스페이서(40)는 그 단면 형상이 "ㄷ" 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측면에는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관통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프레임들을 연결할 때, 프레임들의 연결지점 사이에 조인트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그리고 프레임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구와 조인트 스페이서의 관통구를 정열시키고, 이들 관통구 사이로 중공 형상의 연결봉(50)을 삽입한 다음에 연결봉의 양단을 소정의 도구로 연결봉의 양단(51)이 외측으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프레임과 조인트 스페이서들을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봉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더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연결봉의 양단을 가공하는 단계가 추가되기 때문에 와이퍼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들을 연결할 때 별도의 수단과 추가 공정을 사용하는 일이 없이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는 조인트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연결할 때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조인트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조인트 스페이서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일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정렬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돌기부 양측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돌기부측에 연결되는 체결수단의 일단은 구부러짐 또는 접혀짐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돌기부 타측에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체결봉이 형성된다.
곡면유리용의 와이퍼블레이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을 체결수단과 일체 로 구성된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공정이 단순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증가하고 또한 생산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b)는 A방향으로 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완성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조인트 스페이서(200)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몸체(210)와, 몸체의 일단부에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20)와, 돌기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수단(230)으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210)의 상부는 절개부(211)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관통구(212)가 형성된다. 관통구(212)는 몸체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20)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들을 연결할 때, 한 프레임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조인트 스페이서가 프레임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수단(230)은 돌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231)와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봉(232)으로 이루어진다. 돌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231)는 구부러짐 또는 접혀짐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돌기부와 연장부의 연결부분(231'1)은 연장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힌지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봉(232)은 연장부에서 연장하는 연장봉(232'1)과 연장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탄성체결체(232'2)로 이루어진다. 탄성체결체의 외측은 연장부(231)측으로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탄성체결체 내측은 공간이 형성되게 절개된다.
상기 연장봉의 직경 D는 몸체(2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구(2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탄성체결체(232'2)의 최대 직경부의 직경 D'은 관통구(2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에서 탄성체결체의 최대 직경부까지의 길이 L은 관통구(212)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또한, 체결수단은 탄성체결체가 관통구(212)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인트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을 체결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조인트 스페이서(200)를 와이퍼아암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10)의 양단에 끼운다. 그러면, 조인트 스페이서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부(220)가 제1프레임의 끝단과 접촉하게 되어 조인트 스페이서가 더 이상 제1프레임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또한 조인트 스페이서의 양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212)와 제1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212)와 동일 직경의 제1프레임의 관통구(11)가 정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2프레임(20)의 중앙부 조인트 스페이서 내측에 삽입시켜 제2프레임의 중앙 관통구(21)가 관통구(212)와 제1프레임의 관통구(11)와 정렬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제2프레임의 중앙 관통구(21)의 직경 또한 관통구(21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구(212)와 제1프레임의 관통구(11)와 제2프레임의 중앙 관통구(21)가 정렬하게 되면, 체결수단(230)을 구부리거나 또는 접어서 체결수단의 끝단에 형성된 탄성체결체(232'2)가 제1프레임의 관통구(11)와 관통구(212)와 그리고 제2프레임의 중앙 관통구(21)를 통과하여 삽입된다. 이때, 체결수단의 연장부(231)와 돌기부(220)의 연결부분(231'1)이 연장부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수단이 용이하게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혀진다.
한편, 관통구(212)에 삽입되는 탄성체결체(232'2)가 탄성력을 가지고 또한 그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개되기 때문에, 탄성체결체의 최대 직경부의 직경 D'이 관통구(212)의 직경보다 크다고 하더라도 탄성체결체의 최대 직경부가 수축이 되어 제1프레임의 관통구(11)와 관통구(212)와 제2프레임의 중앙 관통구(21)를 용이하게 통과하게 된다.
탄성체결체가 관통구를 통과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게 되고, 복원된 탄성체결체의 직경 D'이 관통구(21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체결체의 제2프레임의 중앙부 내측 접촉하게 되어, 즉 탄성체결체가 후크의 역할을 하게 되어 탄성체결체가 제2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연결되게 된다.
이때, 몸체(210)에 형성된 관통구(212)가 몸체 내측으로 연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프레임은 연장된 관통구 사이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몸체(210) 내측 전체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프레임과 몸체 간에 마찰력이 줄어들어 제2프레임이 탄성체결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을 연결하고, 제3프레임에 블레이드(60)를 설치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완성된 와이퍼블레이드가 구성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와이퍼블레이드의 분해도.
도 3은 종래 와이퍼블레이드에 사용되는 프레임 연결용 조인트 스페이서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는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b)는 A방향으로 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완성 와이퍼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Claims (3)

  1.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유리용 와이퍼블레이드의 프레임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에 있어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몸체(210)와, 몸체의 일단부에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20)와, 돌기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수단(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는 절개부(211)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몸체 내측으로 연장하는 관통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230)은 돌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231)와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봉(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봉(232)은 연장부에서 연장하는 연장봉(232'1)과 연장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탄성체결체(23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결체의 외측은 연장부(231)측으로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또한 탄성체결체 내측은 공간이 형성되게 절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연장부의 연결부분(231'1)은 연장부(231)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서 힌지 기능을 하여, 돌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231)가 자유롭게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체의 최대 직경부의 직경이 몸체에 형성되는 관통구(212)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체결시에 탄성체결체가 후크 기능을 통해 관통구에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KR1020090019779A 2009-03-09 2009-03-09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KR10095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79A KR100952493B1 (ko) 2009-03-09 2009-03-09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79A KR100952493B1 (ko) 2009-03-09 2009-03-09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493B1 true KR100952493B1 (ko) 2010-04-13

Family

ID=4221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79A KR100952493B1 (ko) 2009-03-09 2009-03-09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7010A2 (en) * 1986-11-07 1988-05-11 Trico Folberth Limited Pivot joint
KR0115389Y1 (ko) * 1991-12-27 1998-04-15 전성원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KR19980036790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패널 장착용 클립 어셈블리
JP2000168504A (ja) * 1998-12-04 2000-06-20 Denso Corp スペーサ装着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スペーサ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7010A2 (en) * 1986-11-07 1988-05-11 Trico Folberth Limited Pivot joint
KR0115389Y1 (ko) * 1991-12-27 1998-04-15 전성원 가변장착 거리를 갖는 클립
KR19980036790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패널 장착용 클립 어셈블리
JP2000168504A (ja) * 1998-12-04 2000-06-20 Denso Corp スペーサ装着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スペーサ及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1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4903210B2 (ja) 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アーム
EP2790978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8857009B2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end cap
CA2721538A1 (en) Vehicle window wiper assembly
JP2014509985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US20140373301A1 (en) Wiper blade
EP2241484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SE531427C2 (sv) Förfarande för fastsättning av en fönsterruta
KR20070041734A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20040058291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101046793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JP5565596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20140101351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20100186186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2790971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5571584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100952493B1 (ko)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일체형 조인트 스페이서
JP5928965B2 (ja) ウィンドスクリーン用ワイパー装置
US9616854B2 (e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US10259428B2 (en) Wiper blade
JP2016537244A (ja) ガラスワイパ装置
KR10059901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2007168654A (ja) 車両前部構造
JP7387356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システムブレード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