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839A -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 Google Patents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839A
KR20010033839A KR1020007007398A KR20007007398A KR20010033839A KR 20010033839 A KR20010033839 A KR 20010033839A KR 1020007007398 A KR1020007007398 A KR 1020007007398A KR 20007007398 A KR20007007398 A KR 20007007398A KR 20010033839 A KR20010033839 A KR 2001003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sensor device
hgrm
ksim
weapon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돌프 데인레인
Original Assignee
도르니에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르니에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르니에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3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Navig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혹은 다수의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 시물레이션 공정에 관한 것이다. 지뢰 또는 수류탄을 모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 시물레이터KSIM)와 개별 참가자에게 부착된 센서장치HGRM-S)가 사용되고 지뢰와 수로탄의 효과는 무기 시물레이터(KSIM)와 참가자 센서장치(HGRM-S) 사이의 중게 데이터에 의해 모방된다. 본 발명데 따르면, 데이터는 무기 시물레이터(KSIM)와 개별 참가자의 센서장치(HGRM-S) 사이의 투-웨이(Two-way) 라디오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중계된다.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대한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로 부터의 리디오 트란스미션은 관련 안테나를 송,수신하는 니어필드 영역 내에서 실행된다. 언급된 트란스미션은 무기 시물레이터(KSIM)로부터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로의 라디오 트란스미션이 지뢰 또는 수류탄이 목표물을 명중했는 지를 확인하거나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동안 지뢰 또는 수류탄의 효력영역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METHOD FOR SIMULATING THE DANGER POSED BY HAND GRENADES OR MINES TO PARTICIPANTS IN A MILITARY EXERCISE}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으로 지뢰 또는 수류탄의 착탄거리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어 작동된 지뢰 또는 수류탄의 효력범위 내에 스스로 처하는 참가자들을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는 공정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1항에 따른 공정으로 해소되고 하기 장점을 지닌 실시예는 계속되는 청구항의 주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청구1항의 상위개념에 따른 군사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훈련참가자들, 특히 군인과 차량이 개인 지뢰들, 지뢰차단물들 및 수류탄들에 처하는 위험의 현실적 시물레이션을 위해 사용된다. 이리하여 훈련시 모든(위험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 조작의 훈련이 가능해지고 또한 모방 전투시 수류탄과 지뢰가 미치는 객관적 영향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지뢰 또는 수류탄은 무기 시물레이터에 의해 모방된다. 개별 훈련 참가자들은(특히 사람, 차량)은, 다음에서 참가자 센서장치로 표기되는 센서장치를 공급받는다. 지뢰 및 수류탄의 효력범위는 무기 시물레이터와 참가자 센서장치 사이의 전산자료중계에 의해 모방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진행에 있어 출발상황을 도시하고;
제2도는 무기 시물레이터와 참가자 센서장치로부터의 전체시스템의 블록(block)회로도를 도시하고;
제3도는 서로 다른 무기 시물레이터와 참가자 센서장치의 무선 방송영역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시물레이터 사이의 전산자료중계는 개별 참가자들을 위하여 투-웨이(Two-way) 전송형태로 실행된다. 상기 공정으로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의 전송은 모방될 수 있는 지뢰 또는 수류탄의 효력범위를 구분하기 위한 무기시물레이터에 사용된다. 상기 공정을 위해 참여 송-수신 안테나의 니어필드(Nearfield)내에서 자장력진행이 이용된다. 참가자 센서장치의 송신 안테나의 니어필드가 무기시물레이터의 수신안테나의 니어필드와 겹쳐질 때만 명중타가 가능하다.
중계주파수로서 하나의 주파수가 선택되고, 선택된 주파수의 니어필드영역은 모방될 수 있는 지뢰 또는 수류탄의 최대 필요 효력범위 넓이 보다 더 크다 니어필드 r과 주파수 f 사이의 결합을 위해 일반적으로 물리학 원칙
r≤c/2πf (c: 광속)
을 따라 통용된다.
전형적인 지뢰와 수류탄의 효력범위를 모방하기 위해(몇몇은 m부터 몇몇은 km까지), 따라서 전송을 위한 주파수가 몇몇은 kHz부터...10 MHz까지의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MW- 및 LW-영역(LW 종축파장, 약 30 - 300 kHz; MW 중앙파장, 약 300 kHz-3 MHz)이 상기 주파수 영역에 속한다.
개별 참가자들의 센서장치를 위한 무기시물레이터의 전송은 지뢰- 또는 수류탄-명중타의 확인 또는 증명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전송에 있어 사용된 주파수와 관련하여 어떠한 원칙적 제한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파수는 VHF- 또는 UHF-영역(VHF 고주파, 약 30 - 300 MHz; UHF 초고주파, 약 300 - 3000 MHz)영역에 유리하게 삽입된다.
참가자 센서장치와 무기시물레이터 사이에서 확인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때 참가자의 명중타가 이루어진다.
니어필드 영역(예를 들면 LW- 또는 MW-영역)에서 참가자센서장치에서 무기 시물레이터로의 전송에 의한 본 발명엥 따른 효력범위경계는 서로 다른 수류탄 형태와 지뢰의 정확하고 원본과 일치하는 효력복제를 가능하게한다. 특히, 가려졌을 뿐만 아니라 개별 이전도 가능하다.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를(예를 들면, UHF 또는 VHF-영역에서) 위한, 명중타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무기 시물레이터의 전송에 의해 무기 시물레이터를 인식할 때 높은 안전성이 달성된다.
고주파 전송에서 수위측정을 가진 정확한 광범위경계를 성취하기 위해 안테나를 포함하는 중계매체에 적절한 높은 완충이 존재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참가자 센서장치에서 무기 시물레이터로의 중계를 위해 자기 안테나(예를 들면, 안테나 코일을 가진 페라이트 스틱)가 유리하게 설치되고, 수류탄 또는 지뢰의 광범위경계가 자장력진행의 이용에 의해 상기 안테나의 니어필드에서 달성된다.
전송로 내 높은 완충이 가지는 장점은 자연과 문명에 존재하는 완충영향이 날씨에 근거한 다양한 토질과 건축 또는 공개된 그리고 가려진 이동에 의해서만 아주 적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지뢰의 시물레이션 뿐만 아니라 수류탄(HGR)을 위해서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서로 다른 특성은 따라서 동일한 기술의 출발로 모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다음의 지뢰형태들이 모방될 수 있다.
전차(탱크)-방어-차단-지뢰(PzAbwVMi)
보병-방어-지뢰(SchtzAbwMi)
보병-방어-차단-지뢰(SchtzAbwVMi)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지뢰차단 예를 들면, 지뢰차단(PzAbwVMi) 및 개별지뢰(SchtzAbwVMi)의 혼합된 차단의 모든 투입원칙을 지지한다.
상기공정은 연합 무기전투를 위한 전투훈련 중심의 지뢰전 시물레이션 뿐만 아니라 완벽한 지뢰전 트레이닝을 위한 독립형 해결책을 위해서 설치된다.
차량 또는 사람에 부착된 참가자센서장치는 지뢰탐지와 함께 다른 기기의 무선 공학적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근거한 구체적인 예에 의해 다음과 같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전체 실시에서, 참가자 센서장치로부터 무기시물레이터로의 이동이 MW-영역 내에서 모범적으로 이루어지고 참가자 센서장치로부터 무기시물레이터로의 이동이 UHF-주파수 범위 내에서 모범적으로 이루어진다.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도 역시 가능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진행에 있어 출발상황을 도시한다. 두 형태의 연습참가자 즉, 사람과 전차가 도시되고 참가자 각각에게는 참가자 센서장치 HGRM-S가 부착된다. 가능한 무기 시물레이터 KSIM의 세 가지 형태(HGR-KSIM, PzAbwVMi-KSIM, SchtzAbwVMi-KSIM)가 도시되고, 상기 세 가지 형태의 무기 시물레이터는 특정 지뢰타입 또는 수류탄을 모방한다. SchtzAbwVMi-KSIM(보병-방어-차단-지뢰 무기시뮬레이터)은 장애물 철사줄 STR에 의해 작동된다. 개별 KSIM과 HGRM-S 사이의 화살표는 무기 시물레이터가 작동될 경우의 가능한 이동통로를 상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실행시 설치되는 바와 같이, 제2도는 무기 시물레이터 KSIM과 참가자 센서장치 HGRM-S로부터의 전체 시스템의 블록 회로도를 모범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무기 시물레이터 KSIM과 참가자 센서장치 HGRM-S 사이의 두 무선전송 구간의 결합에 근거한다. 도2에서 도시된 무기 시물레이터 KSIM은 UHF-트란스미터(Transmitter) 뿐만 아니라 MW-리시버(Receiver)도 적절하게 포함한다. 참가자 센서장치 HGRM-S는 UHF-리시버 뿐만 아니라 MW-트란스미터를 적절하게 포함한다. 참가자 센서장치의 무기 시물레이터(니어필드영역 내 이동)를 위한 MW-트란스미션 패스(Transmission Path)는 수신 유효거리부분과 정보전달에 사용된다. 참가자 센서장치를 위한 무기 시물레이터의 UHF-트란스미션 패스는 단지 정보전달(MW-리시빙(Receiving)의 확인)을 위해서 사용된다.
참가자 센서장치와 무기 시물레이터 사이의 확인된 커뮤니테이션(Communication)이 이루어질 때 지뢰 내지 수류탄에 의해 명중타가 이루어진다. 이때, 무기 시물레이터와 참가자 센서장치 사이의 커뮤니테이션은 특히, 다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두 개의 유사한 공정에 의해서 진행된다.
참가자 센서장치 내부의 제어장치로 참가자 센서장치와 본문에서는 설명되지 않은 중앙 가공- 및 제어유닛 사이의 추가 데이타 이동의 현실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예를들면, 마주친 참가자가 명중된 사실이 다음 평가에 중개될 수 있다.
본 공정의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무선 충돌의 개연성은 지역적으로 한계 지어진 중계방송 유효거리에 근거할 뿐만 아니라 약간의 사건발생빈도(지뢰/수류탄-작동, 데이타중계방송)와 짧은 중계방송시간(높은 비트 전송률, 적은 양의 데이타) 및 비동시성 지뢰/수류탄-작동의 비동시성에 근거하여 매우 적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그 이상의 기기의 연결을 위해 라디오에 데이타의 중계방송을 목적으로 개방된다. 다양한 무기 시물레이터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기기의 코드화는 외부에 대해 명료하고, 이것은 추가의 기기들이 불변의 참가자 센서장치로 데이타 전송구간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참가자센서장치 HGRM-S의 단부에서 데이타와 한편으로는 중앙 처리- 및 제어유닛을 위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 이상의 기기를 위하여 무기 시물레이터 KSIM의 양도단부(2도에서 도시되지 않은)에서의 데이타는 동일하다. 여기서 전송구간의 파라미터가 더 지속되고 약 0,1 m 부터 3,0 m까지의 작은 수신 유효거리가 극복되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사람과 차량에로의 데이타전송을 위한 송신출력은 지뢰시물레이션에 대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지뢰 시물레이션에 대한 데이타 전송은 참가자 센서장치내에서 자동으로 고려되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사용된 주파수의 시간적 한계용량은 지뢰작동 및 데이타 전송과의 직접 결합에 있다. 상기 한계용량은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 의해서 최소한도로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을 위해 설치되는 바와 같이 도3에서 개별 무기시물레이터와 참가자센서장치의 전송 영역이 모범적으로 도시된다. 도 3 a)에서 PzAbwVMi-무기 시물레이터 뿐만 아니라 차량-참가자 센서장치의 중계영역이 도시된다. 도 3 b)에서 SchtzAbwMi-무기 시물레이터 뿐만 아니라 사람과 참가자 센서장치의 중계영역이 도시된다. UHF-중계영역은 따라서 동심의, 밀집된 선들에 의해 도시된다. 아주 더 작은 MW-중계영역은 선영(線影)을 그리며 기입된다. 상기 MW-중계영역은 사용된 자기 안테나의 근접영역과 일치한다.
차량-참가자 센서장치의 중계영역에서의 이중화살표는 차량의 수송방향을 나타낸다.
MW-중계가 효력범위를 구분 짓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도시된 MW-중계영역은 PzAbwVMi 또는 SchtzAbwMi의 효력범위에 정확하게 일치한다. 효력범위의 모방은 자기 안테나(예를 들면, 페라이트 안테나)의 방향작용에 의해서 현실화된다. 각각 배열에 따라 예를들면, 360°- 효력범위 내지 가로 놓인 축(차량-참가자센서장치)의 형태로 효력범위가 산출된다. 계속하여 다수의 자기 안테나(예를들어 x-/y-/z- 축 방향으로 설정되는)의 조합이 가능해진다. 다양한 수신유효거리는 무기 시물레이터 내부 MW-수신 안테나의 다양한 발전 제어에 의해서 즉, 참가자 센서장치 내부 MW-송신출력의 제어에 의해 얻어진다. SchtzAbwMi-무기시물레이터에 있어서 UHF-중계영역내 방향작용은 UHF-영역 내에서 방향 잡힌 방사(放射)에 의해 달성된다.
완전한 투-웨이 전송은 도 3a), 3b)에서 두 가지로 도시된 상황에서 각각의 참가자 센서장치 HGRM-S 및 무기 시물레이터 KSIM의 십자형으로 선영을 그린 MW-수신영역의 단순하게 선영을 그린 MW-송신 영역이 겹쳐질 때만 이루어진다. SchtzAbwMi에서 참가자는 추가로 도시된 UHF-"Keule"에 여전히 있어야만 한다.
다음에서 두 개의 특히 장점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실시는 다음의 도표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도표는 다음과 같다.:
도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첫번째 실시진행을,
도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계속되는 실시진행을,
도표 3에서 7까지는 전송시 전보구조를 위한 예를 도시한다.
PzAbwVMi에 의한 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차량에 부착된 참가자센서장치는 도표 4에 따라 MW-유발신호에 지속적으로 방출한다. PzAbwVMi-무기 시물레이터는 MW(중앙 파장)로 방송을 수신하고, 따라서 무기 시물레이터-호출신호와 참가자센서장치의 발신인 호출신호를 UHF-트란스미터에 방출한다(도표 5에 다른 전보구조). 작동된 차량의 참가자 센서 장치는 상기 과정을 인지하고 명중타로서 수신을 기록하고 보도한다. 또한 다른 참가자 센서장치는 UHF-방출을 수신하고 따라서, 방출이 유발과정에 비동시적으로 나타나고 동시에 낯선 참가자 호출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참가자 센서장치는 상기 방출이 참가자 센서장치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사람에 있어 상기 참가자 센서장치는 어떠한 방출유발도 실행하지 않고(에너지절약기초) 따라서, 실질적 투입이 고려되는 PzAbwVMi에 의해서 명중될 수 없다. 상기에서 기술된 공정은 무기 시물레이터 내에서 소비된 오리지날 지뢰 센서장치를 대체하고 차량과 무기 시물레이터 사이에서 높은 상대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기술된 MW-중계방송에 대한 대안, 예를들면 LW-중계방송이 설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언급된 UHF-중계 대신에 예를 들면 VHF-중계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있어 참가자 센서장치의 지속적인 MW-작동방출이 약 8m x 16m 정도의 평면에 공간적으로 제한되어 차량은 서로 훼방놓지 않는다. 주파수의 대면적 이용 가능성이 이를 통해 보증된다.
도표 1에서 본 공정의 상기 기술된 실행이 다시 한 번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SchtzAbwVMi, SchtzAbwMi, HGR에 의한 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이러한 다양성에서 무기 시물레이터들은 정해진 액션(Action), 예를 들면 장애물 철사 작동, 전기점화, 투척에 의해 무기 시물레이터에서 자체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전기 뿐만 아니라 무기 시물레이터의 송,수신소는 작동될 때까지 비활동의 배터리를 아끼는 상황에 놓인다("슬립"(sleep)). 무기 시물레이터는 작동할 경우 UHF-송신소를 통해 지뢰/수류탄(도표 3에 의한 전보)의 호출신호를 보내고 참가자는 지뢰/수류탄보다 훨씬 큰 효력범위인 UHF-중계영역에서 상기 뉴스(News)를 수신한다. 수신에 따라 바로 이러한 참가자 센서장치들이 시험되고 확률 제너레이터(Generator) 위에서 제어되어 지뢰/수류탄을 위하여 MW-중계로 위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표 4에 의한 참가자 센서장치의 방출은 무기 시물레이터에 의해 UHF-밴드 내에서 바로 응답하게된다(트란스폰더(Transponder)공정). 참가자 센서장치 각각이 송신시 UHF-리시버(Receiver)에서 동시에 도청되기 때문에 자신의 방출 또는 또 다른 참가자의 방출이 응답된다고 해도 곧장 확인될 수 있다. MW-중계영역의 외부에서 있지만 UHF-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참가자는 이러한 결합구조를 참조하지 않는다(명중타가 되지 않는다). 결합구조를 참조한 각 참가자는 지뢰/수류탄에 의해 명중하게 된다. 작동된 지뢰/수류탄은 선발될 수 있는 최고 참가자수(예를 들면 31)에 도달할 때 다양한 결합수용의 차단에 의하거나 표준 시간의 완료에 의해 다시 중지된다. 공정의 지속시간은 기껏해야 즉, 작동하는 무기 시물레이터의 UHF-중계영역에 존재하는 참가자가 31일때 1초 밖에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우수한 실행에서 참가자 센서장치는 특히 작동된 지뢰유형에 의한 참가자의 훼손/부상이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인지한다(훼손/피해가 가능하지 않은 예는 철갑 차량/수류탄의 결합이다). 따라서 단지 훼손된/부상입은 참가자만이 기술된 송신소 공정을 실행한다.
도2에서 기술된 공정의 실행이 다시 한 번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MW-중계 예를 들면, LW-중계 및 UHF-중계에 의하여 그리고 VHF-중계에 의해서도 대체될 수 있다.
사용된 주파수의 시간적 완전가동은 매우 적다. 사람의 참가자 센서장치가 어떠한 파견유발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장치는 추가의 어떠한 방송적재에도 기여하지 않는다. UHF-주파수는 지뢰의 작동시 송신소 공정의 틀안에서 수차 단시간에(한정시간 최대 1초/지뢰) 약 50m에서 200m내의 지역에서 이용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것처럼,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의 UHF-수신영역 내에 존재하는 참가자 센서장치는, 작동하는 무기 시물레이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한 후에 송신소 공정를 사용하여 지뢰/수류탄을 위한 MW-중계로를 통과하는 결합을 이룰려고 시도한다.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의 방출이 어떻게 조정되는 지, 그리도 또한 충돌해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다음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무기 시물레이터-호출신호의 수신에 따라 참가자 센서장치 각각은 확률을 산출해 낸다. 확률에 의해 결정되는 정해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는 또 다른 참가자 센서장치가 벌써 보내지는 지 아닌지를 컨트롤한다. 어떤 다른 참가자 센서장치로 보내지지 않는다면, 센서장치는 제 1 참가자 센서장치를 가진 도표4에 따른 텔레그람의 MW-방출에 의해 송신소 공정으로 시작한다.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는 참가자 센서장치의 방출에 응답하여(도표 4에 따른 텔레그람) 참가자 센서장치 각각은 MW-밴드 내로 보내졌는 지를 UHF-밴드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 또 다른 참가자 센서장치가 보내졌다면, 시험된 참가자 센서장치는 송신소 공정이 다른 참가자 센서장치를 끝낼 때 까지 기다린다. 이때 모든 참가자 센서장치들은 송신소 공정을 곧 바로 실행하는 참가자 센서장치의 현실적 승인을 수신한다. 송신소 공정을 시작하는 가장 마지막 참가자 센서장치는 더 높은 참가자-번호.. 중 하나를 송신한다.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들이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로 송신소 공정을 실행하는 순서의 상기 기술된 조종에 의해 그리고 확률의 산출과 편입에 의해 큰 어드레스(Address) 기억장소(전체적으로 테스트에 참여하는 총 참가자의 수는 예를들면 참가자 1000의 범위 내에서 클 수 있다)는 매우 더 작은 어드레스 기억장소(무기 시물레이터의 작동시 그 UHF-수신영역에서 존재하는 참가자의 수는 보통 10보다 작게 된다)를 얻게된다. 이를 통해 특히, 빠르게 움직이는 참가자(예를들면, 차량)에게서 의미를 가지는 공정의 속도는 매우 증가한다.
두 참가자 센서장치가 우연히 동일한 확률을 산출해서 서로서로 송신했다면 보다 가까운 수신자가 차지하거나 정해지지 않은 UHF-방출과 일치하게 된다. 송신소 공정 내 수신오류에 따라 참가자 센서장치 각각에 새로운 확률이 정해지고 마지막 유효한 참가자-번호로 공정이 반복된다.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를 위한 결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 참가자 센서장치 각각은 혼자서 송신소 공정을 종결한다. 참가자 센서장치가 큰 거리 및 전파방해에 근거하여 무기 시물레이터로부터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한다면 센서장치는 이러한 결합을 이루어내기 위해 또 다시 두번 시도한다. 상기 공정도 성공하지 못한다면, 센서장치는 상기 공정을 종결한다. 무기 시물레이터가 승인의 첫번째 방출에 따라 송신소공정 형태의 아무런 반응도 받지 못한다면, 무기 시물레이터는 약 1초 간격으로 승인을 두번 반복한다. SchtzAbwVMi-, SchtzAbwMi- 및 수류탄(HGR)-무기시물레이터가 지뢰승인의 첫번째 방출에서 이미 다른 SchtzAbwVMi-, SchtzAbwMi- 및 수류탄(HGR)-참가자 센서장치에 있어서 송신소 공정이 실행되는 것을 인지한다면, 인지된 무기시물레이터는 송신소공정이 종결되어 우선 첫번째 지뢰승인을 송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상기 기술된 행동양식은 작동된 지뢰/수류탄의 효력범위 내에 존재하는 참가자들의 확실한 도발을 가능케 한다.
지뢰/수류탄의 발견/위치확인
지뢰/수류탄의 발견/위치확인을 위하여 예를들면, 종결된 테스트에 따라 우수한 방향설치가 대체될 수 있다.
약 80m 직경의 십자형 영역은 유발수신자(참가자 센서장치와 동일한)에 의해 수색된다. 이에 더해 모든 발굴된 지뢰(단지 폭발에 의한 수류탄)는 MW-수신자로 방향운행을 위한 유발 송신자의 특별한 승인을 인지한다. 지뢰/수류탄에서 유발 송신자가 활동하는 한, 특별한 UHF-신호가 방향과정을 위해 생산된다. 상업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방향 탐지기가 방향설치기로서 적합하다.
SchtzAbwvMi, SchtzAbwMi에 의한 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상기 기술된 공정에서 MW-수신기는 단지 공정의 종결에 의해서만 발사되어, 방향설치의 유발송신자를 발견하기 위해 수신될 수 있도록 전류를 절약하면서 운행된다. SchtzAbwVMi 및 SchtzAbwMi에서 MW-수신기는 또한 작동되지 않은 지뢰를 수색할 수 있도록 이미 실탄장소에 따라 발사 운행된다.
데이타 중계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장점은, 차량 또는 사람에게 부착된 참가자 센서장치가 지뢰탐지와 함께 그 이상의 기기의 무선공학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표 6은 데이타 중계를 위한 예로서 텔레그람을 나타낸다. 도표 7은 확인을 위하여 모범적인 텔레그람을 나타낸다.
도표 1
도표 2
도표 3
도표 4
도표 3의 의거한 텔레그람이 부정확하게(예를 들어 패리티 오류, 중계 방해) 수신될 경우, 지뢰호출신호는 참가자 번호 "0"으로 새로이 요구될 수 있다.
도표 5
도표 6
도표 7
도표 6에 의거한 텔레그람이 부정확하게(예를들면 패리티 오류, 중계방해) 수신될 경우, 텔레그람은 목표물 주소 "0"(부정 승인)으로 새로이 요구될 수 있다.

Claims (9)

  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지뢰 또는 수류탄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을 시물레이션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적어도 지뢰- 또는 수류탄을 모방하는 무기 시물레이터(KSIM) 뿐만 아니라 개별 참가자들에게 부착된 참가자 센서장치(HGRM-S)가 설치되고, 지뢰와 수류탄의 효과는 무기 시물레이터(KSIM) 및 참가자 센서장치(HGRM-S) 사이 데이타중계에 의해 모방되는 공정으로서, 데이타 중계가 무기 시물레이터(KSIM) 및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 사이 투-웨이(Two-Way)-무선중계에 의해 실행되고,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로 부터 무기 시물레이터(KSIM)로의 무선중계가 관련 송신- 및 수신안테나의 니어필드(Nearfield)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는 지뢰 또는 수류탄의 효력범위를 구분짓는데 사용되고, 무기 시물레이터(KSIM)로부터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로의 무선중계는 지뢰 또는 수류탄의 명중타를 승인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HGRM-S)로 부터 무기 시물레이터(KSIM)로의 무선중계가 MW- 또는 LW-주파수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무기 시물레이터로부터 개별 참가자 센서장치로의 무선중계가 VHF- 내지 UHF-주파수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 앞선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어필드 영역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자기 안테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5. 앞선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시물레이터(KSIM) 및 참가자 센서장치(HGRM-S) 사이 투-웨이(Two-Way)-중계가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 참가자 센서장치(HGRM-S)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반복되는 송신;
    -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수신, 이때 중계의 성공은 수신된 무기 시물레이터(KSIM)의 작동으로서 그리고 송신된 참가자 센서장치(HGRM-S)의 명중타로서 간주되고;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 뿐만 아니라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참가자 센서장치HGRM-S)에서의 송신;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 뿐만 아니라 참가자 센서장치(HGRM-S) 및 명중타의 기록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수신.
  6.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시물레이터(KSIM) 및 참가자 센서장치(HGRM-S) 사이 투-웨이(Two-Way)-중계가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 무기 시물레이터(KSIM)의 작동시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한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의 송신;
    - 참가자 센서장치(HGRM-S)에 의한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의 수신;
    - 참가자 센서장치(HGRM-S)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송신;
    -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수신, 이때 중계의 성공은 수신된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해 송신된 참가자 센서장치(HGRM-S)의 명중타로서 간주되고;
    -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참가자 센서장치(HGTM-S)에서의 송신;
    - 참가자 센서장치(HGRM-S)및 명중타의 기록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수신
  7. 제 6항에 있어서, 참가자 센서장치(HGRM-S) 뿐만 아니라 참가자 호출신호의 수신에 의한 참가자 호출신호의 송신이 참가자 센서장치에 의해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제 6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참가자 센서장치(HGRM-S)가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KSIM)로 부터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를 수신한다면, 상기 참가자 센서장치(HGRM-S)가 자신의 참가자 호출신호를 무기 시물레이터(KSIM)에서 송신하는 순서가 확률 제너레이터(Generator)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제 6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된 무기 시물레이터(KSIM)의 유형어 근거하여 배열된 참가자의 명중타가 허용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참가자 센서장치(HGRM-S)가 무기 시물레이터 호출신호의 수신에 의해 어떤 테스트(Test)를 실행하고, 부정적인 결과의 경우 더 이상의 공정처치가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KR1020007007398A 1998-01-29 1999-01-08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KR20010033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3337A DE19803337C2 (de) 1998-01-29 1998-01-29 Verfahren zur Simulation der Bedrohung von Teilnehmern einer militärischen Übung durch Handgranaten oder Minen
DE19803337.0 1998-01-29
PCT/DE1999/000022 WO1999039148A1 (de) 1998-01-29 1999-01-08 Verfahren zur simulation der bedrohung von teilnehmern einer militärischen übung durch handgranaten oder mi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839A true KR20010033839A (ko) 2001-04-25

Family

ID=785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398A KR20010033839A (ko) 1998-01-29 1999-01-08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450817B1 (ko)
EP (1) EP1051589B1 (ko)
KR (1) KR20010033839A (ko)
AU (1) AU741926B2 (ko)
CA (1) CA2319061C (ko)
CZ (1) CZ290680B6 (ko)
DE (1) DE19803337C2 (ko)
ES (1) ES2211042T3 (ko)
HU (1) HU223241B1 (ko)
ID (1) ID27604A (ko)
NO (1) NO318822B1 (ko)
NZ (1) NZ505993A (ko)
PL (1) PL343274A1 (ko)
PT (1) PT1051589E (ko)
TR (1) TR200002186T2 (ko)
WO (1) WO1999039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097B1 (en) * 2000-11-22 2003-06-17 Cubic Defens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in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SG96259A1 (en) 2000-11-29 2003-05-23 Ruag Electronics Method and device for simulating detonating projectiles
SE521874C2 (sv) 2001-01-10 2003-12-16 Saab Ab Stridssimulering
SE520607C2 (sv) * 2001-03-30 2003-07-29 Saab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räffindikering
SE0102297D0 (sv) * 2001-06-25 2001-06-25 Saab Ab Associationsmetod och associationsanordning
US7354271B2 (en) * 2003-05-08 2008-04-08 Michael Brunn Training grenade
US20080092766A1 (en) * 2003-05-08 2008-04-24 Michael Brunn Trainer grenades
EP1519136A1 (en) * 2003-09-23 2005-03-30 Saab Ab Nuclear, biological or chemical warfare simulator
ATE374921T1 (de) * 2004-06-19 2007-10-15 Saab Ab System und verfahren zur simulation von explosiven vorrichtungen
US7657358B2 (en) * 2004-07-02 2010-02-02 Greycell, Llc Entertainment system including a vehicle with a simulation mode
US7927102B2 (en) 2005-01-13 2011-04-19 Raytheon Company Simul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rocket propelled grenades and other weapons
US7621062B2 (en) * 2005-03-23 2009-11-24 Gregory Anthony Cugliari Bulle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device
US8145382B2 (en) * 2005-06-17 2012-03-27 Greycell, Llc Entertainment system including a vehicle
US7507089B2 (en) * 2005-07-15 2009-03-24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US7922491B2 (en) * 2005-09-28 2011-04-12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GB2453900B (en) * 2006-07-19 2011-05-04 Cubic Corp Automated improvised explosive device training system
KR100815501B1 (ko) * 2006-08-18 2008-03-20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폭탄 모의 장치 및 상기 폭탄 모의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JP5849972B2 (ja) * 2013-01-08 2016-02-03 日油株式会社 無線起爆雷管、親ダイ、無線起爆システム、及び無線起爆方法
CN103884241B (zh) * 2014-04-11 2015-11-25 北京中铭恒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d的特征信号识别方法及装置
ES2760998T3 (es) * 2015-11-09 2020-05-18 Detnet South Africa Pty Ltd Detonador inalámbrico
AU2020325224A1 (en) * 2019-08-06 2022-03-03 Layer 3 Services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blast effects of an explosive
CN113819796A (zh) * 2021-09-18 2021-12-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地雷对抗模拟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3564A (en) * 1972-07-29 1974-02-12 Solartron Electronic Group Umpires ray gun for use in weapon training systems
US4141295A (en) * 1978-02-13 1979-02-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ctuation mine simulator
GB2176271B (en) 1985-06-13 1988-11-30 Schlumberger Electronics Improvements in weapon training systems
DE3837998A1 (de) * 1988-11-09 1990-05-10 Diehl Gmbh & Co Verfahren zur simulation der auswirkung eines wirkungsfeldes
US5027709A (en) * 1990-04-26 1991-07-02 Slagle Glenn B Magnetic induction mine arming, disarming and simulation system
US5074793A (en) * 1990-07-30 1991-12-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ine effects simulator system
US5246372A (en) * 1990-11-05 1993-09-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raining grenade
JPH04281200A (ja) * 1991-03-07 1992-10-06 Fujitsu Ltd 模擬システム
US5207579A (en) * 1991-05-22 1993-05-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ntipersonnel training mine
GB9220412D0 (en) * 1992-09-28 1992-11-11 Texas Instruments Holland Transponder systems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purposes
US5292254A (en) * 1993-01-04 1994-03-08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minefield effects in a simulated battlefield
US5692029A (en) * 1993-01-15 1997-11-25 Technology International Incorporated Detection of concealed explosives and contraband
US5556281A (en) 1994-02-17 1996-09-17 Motorola, Inc. Simulated area weapons effects display arrangement
US5474452A (en) * 1994-03-04 1995-12-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raining simulation system for indirect fire weapons such as mortars and artillery
EP0773699A1 (en) * 1994-05-31 1997-05-14 Capcom Co., Ltd. Sound feeling device, play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playing device, playing device using light beam, and acoustic device
IL111556A0 (en) * 1994-11-08 1995-07-31 Ramta Israel Aircraft Industry Mine simulation system
FR2730557B1 (fr) * 1995-02-10 1997-04-11 Giat Ind Sa Mine d'exercice, dispositif de programmation et dispositif de simulation mettant en oeuvre une telle mine
US5788500A (en) * 1995-12-04 1998-08-04 Oerlikon-Contraves Ag Continuous wave laser battlefield simulation system
DE19617060C2 (de) 1996-04-29 1998-07-23 C O E L Entwicklungsgesellscha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imulation der Wirkung von Steilfeuerwaffen auf Gefechtseinheiten
US5941708A (en) 1996-05-24 1999-08-24 Motorola, Inc. Method for simulating temporal aspects of area weapons
ES2143840T3 (es) * 1997-01-13 2000-05-16 Se Schweizerische Elektronikun Sistema de apoyo acustico.
FR2758635B1 (fr) * 1997-01-22 1999-04-09 Aerospatiale Systeme d'aide au deminage
US6254394B1 (en) * 1997-12-10 2001-07-03 Cubic Defense Systems, Inc. Area weapons effect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9061C (en) 2005-01-04
NO318822B1 (no) 2005-05-09
CA2319061A1 (en) 1999-08-05
ID27604A (id) 2001-04-12
NZ505993A (en) 2003-01-31
HUP0100545A2 (hu) 2001-06-28
HU223241B1 (hu) 2004-04-28
DE19803337A1 (de) 1999-08-12
EP1051589A1 (de) 2000-11-15
EP1051589B1 (de) 2003-11-12
CZ290680B6 (cs) 2002-09-11
PT1051589E (pt) 2004-03-31
TR200002186T2 (tr) 2000-12-21
AU2608999A (en) 1999-08-16
DE19803337C2 (de) 2002-11-21
US6450817B1 (en) 2002-09-17
ES2211042T3 (es) 2004-07-01
CZ20002724A3 (cs) 2001-11-14
HUP0100545A3 (en) 2002-01-28
NO20003822L (no) 2000-07-26
PL343274A1 (en) 2001-08-13
WO1999039148A1 (de) 1999-08-05
AU741926B2 (en) 2001-12-13
NO20003822D0 (no) 200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3839A (ko) 군사 훈련 참가자들의 수류탄 또는 지뢰에 의해 야기되는위험 시물레이션을 위한 공정
CA1251277A (en) Remote actuation device
EP1038150B1 (en) Area weapons effect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WO200800203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EP1350074B1 (en) Combat simulation wherein target objects are associated to protecting object by means of a local co-oper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s and the relevant protecting objects
AU2002217717A1 (en) Combat simulation wherein target objects are associated to protecting object by means of a local co-oper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s and the relevant protecting objects
JP5650000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CN105214302A (zh) 一种飞碟打靶系统、飞碟及电子枪
US20030064763A1 (en) Robot game system
WO200508589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ving object in a secluded space
JPH0712498A (ja) 模擬交戦システム
KR101371692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532992U (zh) 无线对射式激光射击器
CN115930675A (zh) 单兵火箭筒模拟终端及与其联合使用的单兵装具
CN115790261A (zh) 一种反坦克火箭筒模拟终端、基站
Sorgi et al. Surveillance and control data link network (scdln) for joint st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