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92B1 -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92B1
KR101371692B1 KR1020120022807A KR20120022807A KR101371692B1 KR 101371692 B1 KR101371692 B1 KR 101371692B1 KR 1020120022807 A KR1020120022807 A KR 1020120022807A KR 20120022807 A KR20120022807 A KR 20120022807A KR 101371692 B1 KR101371692 B1 KR 10137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
result information
information
random number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794A (ko
Inventor
권오연
김철현
임승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to KR102012002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58Random or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 교전 시스템에서의 개인용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인용 감지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지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2 이상의 훈련자가 동시 피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각 개인용 감지기에 의해 생성된 난수들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1명의 피해자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Man-worn laser detector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in a combat training simulation system }
본 발명은 모의 교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 모의 화기 장치의 단발의 레이저 빔이 2 이상의 훈련자를 동시 피격하더라도 실제의 화기와 같이 단발의 레이저 빔에 의해 1명의 훈련자만이 피격되도록 시뮬레이션하는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해 동안 군(軍)에서는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을 병사들의 훈련에 도입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모의 전투 훈련을 수행하여 왔다.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은 M16, K2 등의 소총류나 기관총의 총열에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발사기(Small Arms Transmitter)를 장착하고, 레이저 감지장치를 부착한 적 병사 또는 적의 차량에 레이저를 발사함으로써, 피격 여부를 판단하는 훈련 방식이다. 이와 같은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은 실제 살상을 하지 않고도 적과의 교전 훈련이 가능하므로 병사 개개인의 전투 능력 향상과 지휘관들의 지휘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전술한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은 실탄을 대신하여 레이저를 발사하는 발사기를 장착한 화기 모사 장비, 및 상기 화기 모사 장비들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개인용 감지기 및 차량용 감지기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은 발산각이 있기때문에, 발사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빔 폭이 커지게 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저 발사기의 레이저 빔은 최대 사거리 내에서 거리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빔폭을 유지하도록 특수하게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K-2와 같은 개인용 화기의 빔 단면은 훈련자의 상체 크기와 유사한 가로 ( 40cm ~ 50 cm) × 세로( 50cm ~ 70 cm) 정도로 설정한다. 한편, 실화기의 경우에는 단발을 발사했을 때 실탄의 단면적(수 ㎠)과 유사한 크기의 탄착점을 형성하지만, 레이저 발사기에서 발사된 빔은 위에 보인 것과 같이 수천 ㎠의 단면적을 형성한다. 병사들이 널리 흩어져서 훈련하는 상황에서는 이 넓은 단면적이 별로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 병사 이상이 밀집 대형을 취하고 있을 때 단발의 레이저 빔이 인접한 병사에 걸쳐지도록 발사될 경우에는 두 명 이상이 동시에 피격되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발사기 모사 방법에서는, 실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단발의 레이저 빔에 의해 복수의 병사가 살상되는 상황이 시뮬레이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816388 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1번의 레이저 발사에 대해 하나의 목표물이 명중되도록 하는 개인용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레이저를 발사하는 화기 모사 장비 및 개인용 감지기들을 구비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에서의 개인용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인용 감지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지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외부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이저 빔을 감지한 후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내에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한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수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피격 결과 정보는 상기 레이저 코드로부터 검출한 발사 화기 정보와 발사자 식별 정보, 피격 시각 정보 및 난수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수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가 동일한 경우, 재생성한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재생성하여 외부로 재송신하고,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송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재수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 방법은, (a) 감지 소자들에 의해 감지된 레이저 신호들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b) 난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d)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전송한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f) 동시 피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송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용 감지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지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피해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은 상기 개인용 감지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및 개인용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피격 결과 정보들 중 난수들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용 감지기들 중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한 피격된 피해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피해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감지기들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 화기 모사 장비로부터의 1 회(回)의 레이저 발사에 의해 1명의 병사 또는 1개의 목표물이 피격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모의 교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는 서바이벌 게임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단발의 레이저 빔이 인접한 병사에 걸쳐지도록 발사되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들을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들을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개인용 감지기를 소지하거나 착용한 다수의 훈련 병사(A,B,C,...)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화기 모사 장비(2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가 임의의 병사(A)에게 명중되고, A 병사의 개인용 감지기가 레이저 빔을 감지한 후, A 병사는 인접한 다른 병사들과 통신하여 자신이 피해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며, 피해자로 결정된 병사의 해당 개인용 감지기는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사항을 해당 병사의 개인용 감지기의 표시 장치 등을 통해 알려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3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용 감지기(30)는 훈련에 참가하는 모든 병사들이 개별적으로 소지하는 것으로서, 제어부(3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감지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310), 신호 처리부(320), 무선 신호 송수신부(330), 표시부(340), 메모리부(350) 및 위험 상황 알림부(360)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310)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 센서들은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하네스(harness)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골고루 배치된다. 상기 감지 센서들은 외부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광을 감지하여 펄스 형태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부(320)로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의 다른 실시 형태는 레이저 빔이외의 다른 신호들(예컨대, 음향 신호 등)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320)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센서들로부터 펄스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신호 처리부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감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증폭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320)는 인접한 다른 개인용 감지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그비(Zigbee)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사용한다.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지그비 통신 모듈이외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라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어부(300)는 개인용 감지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레이저 코드, 새로이 생성한 난수, 피격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피격 결과 정보와 외부의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피해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피해자로 결정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고, 피격 상황 및 자신의 피해 정도를 상기 표시부 등을 통해 통지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2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하더라도 난수 생성 및 비교 과정을 통해 1명의 훈련자만이 피해자가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어부(300)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LCD 등과 같은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340)를 통해 외부의 화기 모사 장비들에 의한 피격여부 또는 위험 상황임을 알려주게 되는데, 이때, 발사 화기 정보, 사망/중상/경상 중 하나를 나타내는 피격에 따른 피해 정도 정보,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피격 상황 정보들을 알려준다. 따라서, 해당 개인용 감지기를 장착한 훈련자는 자신의 표시부를 통해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 피격된 경우에는 사망, 중상, 부상과 같은 피해 정도 정보, 피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위험 상황이었음을 알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는 경광등이나 스피커와 같은 위험 상황 알림부(3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경광등 또는 스피커를 작동시켜 피격 여부, 사망/부상 여부, 위험 상황 등을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상기 개인용 감지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30)의 제어부(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나의 화기 발사에 따른 레이저 빔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개인용 감지기가 동시에 감지하여 동시 피격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각 개인용 감지기가 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난수를 서로 비교하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개인용 감지기를 피해자로 결정한다. 예컨대, 다수 개의 개인용 감지기 중 가장 큰 난수를 발생하거나 가장 작은 난수를 발생한 감지기를 피해자로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한 난수를 발생한 경우, 난수 생성과 비교 과정을 되풀이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피해자를 결정한다. 이하, 전술한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레이저 빔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400), 감지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들로부터 발사 화기 정보, 발사자 식별 정보, 사망 코드(Hit Code)의 반복 횟수, 근탄 코드(Near Miss Code)의 반복 횟수 등을 판독한다(단계 410).
다음, 난수를 생성한다(단계 412).
다음, 상기 레이저 코드로부터 사망 코드가 판독된 경우, 발사자 식별 정보, 발사 화기 정보, 피격 시간, 상기 난수를 포함하는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들로 전송한다(단계 420). 만약, 상기 레이저 코드로부터 사망 코드가 판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지 아니하고 종료한다.
만약,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 후 다른 개인용 감지기들로부터 소정의 피격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430), 상기 전송한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40).
단계 440에 있어서, 자신의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의 발사자 식별 정보, 발사 화기 정보 및 피격 시간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자신이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피해자로 결정한다.
단계 440에 있어서, 자신의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의 발사자 식별 정보, 발사 화기 정보 및 피격 시간이 동일하면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된 것으로 판단하고, 난수를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해자를 결정한다. 예컨대,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난수가 가장 큰 경우 또는 난수가 가장 작은 경우를 피해자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난수를 비교한 결과 난수가 동일하면 난수를 재생성하고, 피격 결과 정보를 재생성하여 재전송하며, 외부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를 재수신하고, 재전송한 피격 결과 정보와 재수신한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들을 비교하여 피해자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난수 중복이 발생한 개인용 감지기들만이 난수를 재생성하여 재송신하고 비교하는 과정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의 반복 과정에서는 난수의 중복 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신이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피해자라고 결정되면(단계 450), 피해 정도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고,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피해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460). 상기 피해 상황 정보를 표시부 및/또는 위험 상황 알림부를 통해 해당 병사에게 통지한다(단계 470).
제2 실시예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개인용 감지기(30)의 제어부(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개인용 감지기가 직접 피해자를 결정하지 아니하고, 중앙 통제 시스템이 피해자를 결정하고 이를 각 개인용 감지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30)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기들(60, 61, 62) 및 중앙 통제 시스템(70)를 구비한다. 상기 개인용 감지기(60, 61, 62)는 제어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저 감지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신호 처리부, 무선 신호 송수신부, 표시부, 메모리부 및 위험 상황 알림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개인용 감지기의 해당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의 중앙 통제 시스템(7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사용한다.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70)는 각 개인용 감지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기의 동작 및 중앙 통제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대한 레이저 코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들로부터 발사 화기 정보, 발사자 식별 정보, 사망 코드(Hit Code)의 반복 횟수 등을 판독하고, 피격 시간을 확인한다(단계 710). 또한, 상기 제어부는 난수를 생성한다(단계 712).
다음, 발사 화기 정보, 발사자 식별 정보, 피격 시간 및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피격 결과 정보를 중앙 통제 시스템(70)으로 전송한다(단계 720).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70)의 중앙 제어부는 각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들을 이용하여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시 피격된 경우 난수들을 비교하여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단일의 피해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해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생성하여 각 개인용 감지기로 전송한다(단계 730). 다만,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이 피해자를 결정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피해자 결정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기는, 상기 피해자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피해자인지 확인한다. 만약 자신이 피해자임이 확인되면, 기설정된 피해 정도 결정 방법에 따라 피해 정도를 결정하며(단계 740), 상기 피해 정도는 사망, 중상, 경상 중의 하나로 판단하거나 사망과 부상 중의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피해 정도가 결정되면, 자신의 표시부 등으로 통해 피격 상황 및 피해 정도를 통지하거나, 스피커 또는 경광등을 작동시켜 해당 상황을 통지한다(단계 750).
상기 피해 정도 결정 방법은 별도의 피해 부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망/부상/경상 등을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 개인용 감지기가 피해자 결정 정보로부터 자신이 피해자가 아님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레이저 코드에 사망 코드 또는 근탄 코드가 검출된 경우, 해당 피격에 대한 피해는 없으나 위험 상황이었음을 상기 표시부, 스피커, 또는 경광등 등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앙 통제 시스템(70)의 중앙 제어부는 개인용 감지기들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들을 수신한 경우, 단일의 피해자를 결정하여 피해자 결정 정보를 생성하고, 각 개인용 감지기로 상기 피해자 결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중앙 통제 시스템(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피격 결과 정보 및 해당 개인용 감지기에 대한 식별 정보들을 수신한다. 수신된 피격 결과 정보들로부터 발사 화기 정보, 발사자 식별 정보 및 피격 시간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3가지 항목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라도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피격 결과 정보들을 서로 다른 화기의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만약 전술한 3가지 항목의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경우 동일한 화기에 의하여 동시 피격된 것으로 판단하고, 피격 결과 정보 중 난수 정보들을 추출하여 비교한다. 그리고,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난수가 가장 큰 개인용 감지기 또는 난수가 가장 작은 개인용 감지기를 피해자로 결정한다.
특정 레이저 빔의 피격에 대한 피해자를 결정한 중앙 통제 시스템은 상기 결정된 피해자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감지기들로 전송한다.
따라서,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피해자 결정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기들은 자신이 피해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기설정된 피해 정도 결정 프로그램에 따라 피해 정도를 결정하여, 표시부 등을 통해 해당 병사에게 통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들과 송수신하는 피격 결과 정보의 내용, 각 무선 신호 송수신부가 사용하는 통신 모듈의 종류 등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레이저 빔을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이나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20 : 화기 모사 장비
30 : 개인용 감지기
60, 61, 62 : 제1, 제2 및 제3 개인용 감지기
70 : 중앙 통제 시스템
300 : 제어부
310 : 감지부
312 : 필터부
314 : 증폭부
320 : 신호 처리부
330 : 무선 신호 송수신부
340 : 표시부
350 : 메모리부
360 : 위험 상황 알림부

Claims (9)

  1. 레이저를 발사하는 화기 모사 장비 및 개인용 감지기들을 구비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지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제1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외부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는 상기 레이저 코드로부터 검출한 발사 화기 정보와 발사자 식별 정보, 피격 시각 정보 및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를 송신한 후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내에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제2 피격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제2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제2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가 동일한 경우, 재생성한 난수를 이용하여 제1 피격 결과 정보를 재생성하여 외부로 재송신하고,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제2 피격 결과 정보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송신한 제1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재수신한 제2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기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만약 자신이 피격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자신의 피격 상황을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신이 피격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피해 정도를 결정하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
  7. 레이저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a) 감지 소자들에 의해 감지된 레이저 신호들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b) 난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제1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d)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기로부터 제2 피격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피격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레이저 빔에 의해 동시 피격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f) 동시 피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와 상기 제2 피격 결과 정보의 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자신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피격 결과 정보는 상기 레이저 코드로부터 검출한 발사 화기 정보와 발사자 식별 정보, 피격 시각 정보 및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기의 제어 방법.
  8. 삭제
  9. 레이저를 발사하는 화기 모사 장비 및 다수 개의 개인용 감지기 및 중앙 통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지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레이저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레이저 코드 및 상기 난수를 이용하여 피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해 피격된 피해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은
    상기 개인용 감지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 및
    개인용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피격 결과 정보들 중 난수들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개인용 감지기들 중 특정 레이저 빔에 의한 피격된 피해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피해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피해자 결정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감지기들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격 결과 정보는 발사 화기 정보와 발사자 식별 정보, 피격 시각 정보 및 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시스템.
KR1020120022807A 2012-03-06 2012-03-06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07A KR101371692B1 (ko) 2012-03-06 2012-03-06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807A KR101371692B1 (ko) 2012-03-06 2012-03-06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94A KR20130101794A (ko) 2013-09-16
KR101371692B1 true KR101371692B1 (ko) 2014-03-10

Family

ID=4945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807A KR101371692B1 (ko) 2012-03-06 2012-03-06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36B1 (ko) * 2018-06-25 2019-06-12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직사화기에 의한 객체의 피해 평가 시스템, 피해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88B1 (ko) * 2006-10-02 2008-03-25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6983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빔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88B1 (ko) * 2006-10-02 2008-03-25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6983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빔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94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162B1 (ko)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US86168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fire shot event in a weapon
US9057582B2 (en) Simulation system
US20030027103A1 (en) Simulated weapon training and senso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504907B2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JPWO2017043147A1 (ja) 射撃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
CN108302977A (zh) 一种外挂式射击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71692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KR20160068361A (ko) 서바이벌 게임 오프라인 시스템 및 이의 전사자 리스폰 방법
KR101664770B1 (ko)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사살자 탐지 방법
ES2829820T3 (es) Un simulador de disparos y de blancos de arma y procedimientos del mismo
KR101941988B1 (ko)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JP2004085033A (ja) 射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14145531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JP2014145531A5 (ko)
KR101285064B1 (ko) 마일즈장비 착용하 모의교전훈련시 중상자 및 사망자 표시장치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KR101229872B1 (ko) Led를 이용한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101229862B1 (ko) 대인탄 모의 화기에 의한 피해를 모의하는 레이저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501B1 (ko)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KR102091278B1 (ko)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JP2020012615A (ja) 訓練システム及び射撃判定方法
JP4954565B2 (ja) レーザ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