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988B1 -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988B1
KR101941988B1 KR1020170133904A KR20170133904A KR101941988B1 KR 101941988 B1 KR101941988 B1 KR 101941988B1 KR 1020170133904 A KR1020170133904 A KR 1020170133904A KR 20170133904 A KR20170133904 A KR 20170133904A KR 101941988 B1 KR101941988 B1 KR 10194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ser
gun
management server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균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피테크 filed Critical (주)케이티피테크
Priority to KR102017013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61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target to the weap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두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저가에 운영되며 통신사의 네트워크가 단절이 되거나 정전시에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운영될 수 있고,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위치 추적 및 경로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여 서바이벌 게임(Survival Game)은 물론 예비군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Laser tag gun and shoo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Survival Game)은 물론 예비군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두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저가에 운영되며 통신사의 네트워크가 단절이 되거나 정전시에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운영될 수 있는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서바이벌 게임에 사용되는 모의총기는 페인트볼이나 BB탄을 이용한다. 그러나 외부로 발사된 페인트볼이나 BB탄은 의복 등이 페인트에 의해 오염되거나 BB탄의 충격으로 인해 게임 참여자들에게 외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발사된 BB탄의 수거가 어려우며, 수거되지 못한 BB탄들에 의해 사격장 주변의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군(軍)에서는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이하 '마일즈 시스템'이라 칭한다)을 병사들의 훈련에 도입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모의 전투 훈련을 수행하여 왔다. 마일즈 시스템이란, M16, K2 등의 소총류나 기관총의 총열에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발사기(Small Arms Transmitter)를 장착하여 하네스나 헬멧에 감지장치를 부착한 적 병사 또는 적 무기시스템에 이 레이저를 발사함으로써 피격 여부를 판단하는 훈련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마일즈 시스템의 경우 자체 무선망이나 와이-파이(Wi-Fi)를 통하여 운영하다 보니 비용이 높거나 무선 인터넷 공유기 등의 영향을 많이 받고 통신사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서비스가 안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번호 제1995-001160호(등록일 1995.01.1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36274호(공개일 2010.12.28)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593153호(등록일 2016.0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두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저가에 운영되며 통신사의 네트워크가 단절이 되거나 정전시에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운영될 수 있는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위치 추적 및 경로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여 서바이벌 게임(Survival Game)은 물론 예비군 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CT기반의 사물 인지기술을 적용하여 장비의 무선화 및 다양한 총기와 군장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태그건은, 방아쇠, 총구 및 몸체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총기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조끼센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아쇠가 당겨져 격발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는 격발 감지부와; 상기 총구 선단에 부착되거나 총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빔 발사부와; 상기 격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모의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격발정보를 상기 조끼센서로 전송하고 레이저 제어신호를 상기 레이저 빔 발사부로 출력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 발사부를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경기참자가의 머리부위에 장착되며, 적외선 레이저 수신 신호를 검출하면 점등 및 경고음을 출력하고 피탄정보를 송출하는 머리띠센서와; 경기참자가의 신체에 착용되며, 각 부위에 장착되어 적외선 레이저를 인지하는 수신부,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검출부, 정형화된 신호에 대한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피격 여부를 검출하는 피격부위 분석부, 피격부위 분석부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신체 부위의 부상정도에 대응하도록 진동체나 혹은 발광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태그건과 무선 연결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끼센서와;
모의사격 경기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사격경기정보와 상기 조끼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교전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상기 조끼센서로 전송하고, 상기 조끼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중계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경기참가자의 허리에 부착되며, 피탄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통증벨트와; 서로 이격된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와;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의 식별정보와 RSSI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면에 위치를 표시하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는 상대편의 위치정보와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와 모의총기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는 경기참자가의 머리부위와 신체 부위의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태그건은 사격시 75∼80데시벨의 실제 총소리 및 반동이 일어나며 실전과 같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총기 모형으로 레이저태그건이 제작되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둘째, 첨단 사물 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되어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 없이, 사용자는 비콘(Beacon) 및 와이-파이(Wi-Fi)를 기반으로 교전상황을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셋째,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두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저가에 운영되며 통신사의 네트워크가 단절이 되거나 정전시에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운영될 수 있다.
넷째,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포함하는 교전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을 판단하고, 신체 생명력에 대응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생성하여 이를 레이저태그건의 사용을 통제함으로써, 모의사격 경기를 실전처럼 진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태그건(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교전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 머리띠센서(10), 조끼센서(20), 통증벨트(30), 스마트폰(40), 레이저태그건(200), 무선중계기(250), 및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는 사격훈령장 곳곳에 설치되며 장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스마트폰(40)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의 장치 식별정보와 RSSI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머리띠센서(10)는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머리부위에 장착되는 센서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범용 저전력 무선 표준인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모듈을 탑재한다. 머리띠센서(10)는 적외선 레이저를 인지하는 수신부 및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검출부와 피탄시 점등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띠센서(10)는 적외선 레이저 수신 신호가 검출되면 점등 및 경고음을 출력하고 피탄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조끼센서(20)는 신체 각 부위에 장착되어 적외선 레이저를 인지하는 수신부,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검출부, 정형화된 신호에 대한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피격 여부를 검출하는 피격부위 분석부, 피격부위 분석부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신체 부위의 부상정도에 대응하도록 진동체나 혹은 발광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끼센서(20)는 머리띠센서(10)와 통증벨트(30)와 스마트폰(40)과 레이저태그건(20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조끼센서(20)는 관리 서버(3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Wi-Fi) 모듈과 머리띠센서(10)에서 송출되는 피탄정보를 수신하는 비콘수신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끼센서(20)는 머리띠센서(10)에서 전송된 피탄정보와 검출한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무선중계기(250)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30)는 조끼센서(20)로부터 전송된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을 판단하고,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에 대응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생성하여 무선중계기(250)를 통해 조끼센서(20) 또는 레이저태그건(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증벨트(30)는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허리에 부착하는 센서로서, 피탄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자극을 발생한다. 통증벨트(30)는 일례로, 비콘신호 수신기와 전기자극기와 제어기와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레이저태그건 소지자는 전기자극에 의하여 피탄 충격을 감지할 수 있으며, 통증벨트(30)에서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피탄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40)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 머리띠센서(10), 조끼센서(20), 통증벨트(30), 레이저태그건(200), 및 무선중계기(250)를 통해 관리서버(3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스마트폰(40)은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의 식별정보와 RSSI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면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40)은 머리띠센서(10) 또는 조끼센서(20)에서 전송된 피탄정보와 검출한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무선중계기(250)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40)은 관리서버(30)로부터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수신하여 조끼센서(20), 통증벨트(30) 또는 레이저태그건(2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40)은 관리서버(30)로부터 상대편의 위치정보와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와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레이저태그건(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아쇠(210), 총구 및 몸체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총기 형상을 갖는 하우징,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및 모의총기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레이저태그건(200)은 권총형 또는 적외선 실탄 30∼150격발이 가능한 소총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저태그건(200)은 격발 시 반동과 소음이 발생하도록 구현되며, 관리서버(30)로부터 유효탄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조끼센서(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업/다운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의총기 제어부(240)는 방아쇠(210)가 당겨져 격발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격발 감지부와 레이저 제어부와 레이저 제어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빔 발사부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격발 감지부는 방아쇠(210)가 당겨지면 압축기가 동작하여 공기압이 발생하며 이 상태를 압력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는 격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모의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격발정보를 조끼센서(20)로 전송하고 레이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레이저 제어부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입력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수신하면 이를 모의총기 제어정보에 따라 레이저 빔 발사부를 제어한다. 출력부는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레이저 빔 발사부는 통상의 소음기 형태로 제작하여 총구 선단에 탈, 부착시키거나 총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총기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빔 발사부는 적외선을 발사하는 다이오드 및 이 다이오드의 작동에 맞춰 점등하는 엘이디 램프와 회로모듈을 포함한다.
무선중계기(250)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무선중계기(25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예; 상대편의 위치정보와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와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스마트폰(40) 또는 조끼센서(20)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중계기(250)는 조끼센서(2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30)는 모의사격 경기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310), 출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Wi-Fi) 모듈과 이동통신모뎀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3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프린터기, 복사기와 같은 인쇄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음성 입력수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 인간-판독 가능한 코드 등을 비롯해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실시 예들로서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타입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플로피 디스크들, 제거 가능한 하드 디스크들, 광학 저장 매체들, 예컨대, CD-ROM들, DVD들, 바코드들, 반도체 메모리들,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들, 판독-전용 메모리들(ROM들), 배터리-백킹(battery-backed) 휘발성 메모리들, 네트워킹된 저장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50)는 사격경기정보 처리부와 교전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격경기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330)로부터 경기 참가팀 식별정보와 참가팀의 구성원 식별정보와 경기진행방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사격경기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330)로부터 참가팀의 구성원이 사용하는 모의총기의 식별정보와 머리띠센서 식별정보와 조끼센서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사격경기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330)로부터 참가팀의 구성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식별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참가팀의 구성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사격경기장 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머리띠센서 또는 조끼센서에서 전송된 피탄정보와 검출한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무선중계기(25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교전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관리서버의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전송된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각 구성원의 남아있는 실탄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에 대응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실탄 사용 가능정보, 또는 총기사용불능 등)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조끼센서로 전송한다.
관리서버의 교전데이터 처리부는 총기사용을 불능으로 만든 후 다시 일정한 조건 혹은 시간이 지난 후에는 총기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를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조끼센서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1대의 관리서버로 모든 교전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비콘(Beacon)과 와이-파이(Wi-Fi) 두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저가에 운영되며 통신사의 네트워크가 단절이 되거나 정전시에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운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방아쇠, 총구 및 몸체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총기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조끼센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아쇠가 당겨져 격발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는 격발 감지부와, 상기 총구 선단에 부착되거나 총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빔 발사부와, 상기 격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모의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격발정보를 상기 조끼센서로 전송하고 레이저 제어신호를 상기 레이저 빔 발사부로 출력하는 레이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제어부는 관리서버로부터 입력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 발사부를 제어하는 레이저태그건;
    경기참자가의 머리부위에 장착되며, 적외선 레이저 수신 신호를 검출하면 점등 및 경고음을 출력하고 피탄정보를 송출하는 머리띠센서;
    경기참자가의 신체에 착용되며, 각 부위에 장착되어 적외선 레이저를 인지하는 수신부,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검출부, 정형화된 신호에 대한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피격 여부를 검출하는 피격부위 분석부, 피격부위 분석부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신체 부위의 부상정도에 대응하도록 진동체나 혹은 발광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태그건과 무선 연결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끼센서;
    모의사격 경기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사격경기정보와 상기 조끼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교전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상기 조끼센서로 전송하고, 상기 조끼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중계기;
    서로 이격된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 및
    상기 복수의 비콘 디바이스(beacon device)의 식별정보와 RSSI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화면에 위치를 표시하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는 상대편의 위치정보와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와 모의총기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는 경기참자가의 머리부위와 신체 부위의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포함하는,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모의총기 제어정보는 실탄 사용 가능정보, 총기사용불능 정보, 또는 총기사용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조끼센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하는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경기참자가의 머리부위와 신체 부위의 피탄정보와 신체 부위의 부상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태그건 소지자의 신체 생명력을 판단하고, 신체 생명력에 대응하는 모의총기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끼센서로 전송하는 교전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은,
    경기참가자의 허리에 부착되며, 피탄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통증벨트;
    를 포함하는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7. 삭제
KR1020170133904A 2017-10-16 2017-10-16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KR10194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04A KR101941988B1 (ko) 2017-10-16 2017-10-16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04A KR101941988B1 (ko) 2017-10-16 2017-10-16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988B1 true KR101941988B1 (ko) 2019-04-12

Family

ID=6616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04A KR101941988B1 (ko) 2017-10-16 2017-10-16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031B1 (ko) * 2020-01-03 2020-04-29 임형순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9723A (ko) * 2020-02-27 2021-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A (ja) 1993-06-21 1995-01-06 Fujikura Ltd 複合線材の製造方法
KR200396707Y1 (ko) * 2005-06-27 2005-09-26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레이저총을 이용한 모의전투용 진동장치
KR20100136274A (ko)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벨애틀란틱코리아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301350B1 (ko) * 2013-02-18 2013-08-29 김영준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KR101593153B1 (ko) 2013-12-18 2016-02-12 소리텔레콤(주)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0A (ja) 1993-06-21 1995-01-06 Fujikura Ltd 複合線材の製造方法
KR200396707Y1 (ko) * 2005-06-27 2005-09-26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레이저총을 이용한 모의전투용 진동장치
KR20100136274A (ko)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벨애틀란틱코리아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301350B1 (ko) * 2013-02-18 2013-08-29 김영준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KR101593153B1 (ko) 2013-12-18 2016-02-12 소리텔레콤(주)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031B1 (ko) * 2020-01-03 2020-04-29 임형순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9723A (ko) * 2020-02-27 2021-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KR102449146B1 (ko) * 2020-02-27 2022-10-04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162B1 (ko)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EP1546633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link embedded in simulated weapon systems
US9759521B2 (en)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87888A1 (en) Simulated Firearm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KR100914270B1 (ko)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US9504907B2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KR101941988B1 (ko)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WO2015093680A1 (ko)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KR20100136274A (ko)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20160043248A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화기의 독립적 발사장치
KR101272360B1 (ko) 지능형 레이저 발사모듈부와 효과음 및 진동발광부를 구비한 마일즈 시스템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US20220268546A1 (en) Weapon training assembly
KR101371692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3090589U (zh) 一种单兵激光模拟对抗系统
KR101382096B1 (ko) 마일즈레이저탄환과 무선표적감지기를 구비한 마일즈시스템
IL308309A (en) A weapon training system
KR20170133180A (ko) 탈/장착 형 적외선 광탄 발사장치
CN105066774A (zh) 激光模拟射击对抗训练系统
CN105004217A (zh) 激光模拟射击cs对抗训练系统
CN117915997A (zh) 扩展现实弹丸发射游戏系统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