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727B1 -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727B1
KR101370727B1 KR1020130088409A KR20130088409A KR101370727B1 KR 101370727 B1 KR101370727 B1 KR 101370727B1 KR 1020130088409 A KR1020130088409 A KR 1020130088409A KR 20130088409 A KR20130088409 A KR 20130088409A KR 101370727 B1 KR101370727 B1 KR 10137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receiver
transmitter
d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3008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3/00Pistols, e.g. revol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 레이저발사기에서 실총효과음 및 실총의 섬광을 묘사하여 발광시키는 동시에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 신호를 감지하여 효과묘사기와 함께 실총효과음을 더 발생시켜 실제 전투상황을 묘사하며, 마일즈시스템훈련 및 통신범위가 확장되고 레이저발사거리를 확장시키고, 기존 마일즈시스템훈련의 관리감독 및 통제관에만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무전기를 배제시켜 마일즈 훈련자와 훈련자(1;1) 또는 마일즈 훈련자와 다수의 훈련자 및 중앙통제부 등(1:n)에 통신이 가능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저격자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피격자를 저격자의 레이저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로 피격자를 피격시 저격자는 피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서 피격된 것을 저격자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저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 저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저격자는 피격자를 저격시킨 것을 쉽게 인지하며, 저격자의 구비된 개인용감지부의 감지소자에 레이저가 피격시 저격자가 구비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피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피격을 알리도록 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 레이저발사기에서 실총효과음 및 실총의 섬광을 묘사하여 발광시키는 동시에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 신호를 감지하여 효과묘사기와 함께 실총효과음을 더 발생시켜 실제 전투상황을 묘사하며, 마일즈시스템훈련 및 통신범위가 확장되고 레이저발사거리를 확장시키고, 기존 마일즈시스템훈련의 관리감독 및 통제관에만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무전기를 배제시켜 마일즈 훈련자와 훈련자(1;1) 또는 마일즈 훈련자와 다수의 훈련자 및 중앙통제부 등(1:n)에 통신이 가능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저격자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피격자를 저격자의 레이저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로 피격자를 피격시 저격자는 피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서 피격된 것을 저격자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저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 저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저격자는 피격자를 저격시킨 것을 쉽게 인지하며, 저격자의 구비된 개인용감지부의 감지소자에 레이저가 피격시 저격자가 구비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피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피격을 알리도록 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 몇 해 동안 군에서는 소총류 및 기타 발사체 무기에 부착해서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소형 발사기(Small Arms Transmitter, 이하 SAT(레이저발사기)라 칭한다)와 이 레이저를 감지하여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장치(optical detector)로 구성된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이하 마일즈 시스템이라 칭한다)을 병사들의 훈련에 도입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모의 전투 훈련을 수행하여 왔다.
도 1에 도시된 마일즈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사가 목표물을 조준하여 개인화기나 공용화기(111)의 방아쇠를 당기면 공포탄 등이 발사되는데, 이 때 생성되는 소리나 빛을 SAT(레이저발사기)(112)의 내부 장치인 음향 센서 또는 수광 센서가 감지하여 역시 SAT(레이저발사기)(112)에 장착된 적외선 레이저 다이오드를 활성화시키면, 이로부터 펄스형 적외선 레이저가 조준된 목표에 발사된다.
만약 발사된 레이저가 각 병사의 헬멧 및 몸에 두른 하네스(harness), 또는 전차 등 목표물의 외부에 장착된 감지장치(116)의 다수 개의 감지소자(113) 중 일부를 피격하면,피격된 감지소자에 입사된 레이저 신호는 전기신호로 전환된 후 감지장치 모듈부(114)에 내장된 MPU(Microprocessor Unit, 이하 감지장치 MPU라 한다)에 전달된다. 감지장치 MPU는 이 신호를 피격신호로 인식한 후, 정해진 로직에 따라 병사의 몸에 장착된 경광등으로 피격여부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병사의 발사체인 SAT(레이저발사기)(112)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장치 모듈부(114)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원거리에 위치한 중앙통제 시스템(115)에 전송하여 그 피격 여부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개별 수광모듈을 감지소자(113)로, 이러한 감지소자들과 감지장치 모듈부(14)로 구성되어 하나의 목표물에 장착되는 단위를 감지장치(116)라 구분하여 칭한다.
그러나, 상기 SAT(레이저발사기)(112)에서 단순히 레이저가 발사만 될뿐 공용화기(111)에서 실탄을 실질적으로 발사하는 소리감으로 실전상황재현 능력이 없어 상기 SAT(레이저발사기)(112)로만 갖고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하는 병사에게 실전상황에서 발생되는 실탄발사소리를 듣지 못하여 실전에서 발생되는 교전현장감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용화기(111)에 설치된 상기 SAT(레이저발사기)(112)로 레이저를 발사하는 저격자가 발사한 상기 레이저가 상대 피격자의 상기 감지장치 MPU의 상기 감지소자(113)에 피격여부를 피격자가 착용한 상기 감지장치(116)와 연결된 소리 및 발광장치로 피격여부를 피격자는 바로 알수 있을뿐, 피격자에게 레이저를 발사한 저격자가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저격자인 자기가 발사한 레이저가 피격자의 상기 감지장치(116)에 피격여부를 바로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일즈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앙통제부는 건물에 설치하여 중앙통제부를 이동시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마일즈시스템에서는 저격자와 저격자와(아군) 및 피격자와 피격자(적군)간, 저격자와 피격자, 저격자 및 피격자와 중앙통제부간의 서로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무선 또는 GPS로 연결되는 무선 및 GPS음성통신 및 무선 및 GPS문자통신이 불가하여 서로간의 의사가 소통없이 레이저발사기로 저격 또는 피격만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마일즈시스템에서는 마일즈훈련범위가 국한적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그 범위를 확장시키지못하였으며, 마일즈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인 저격자와 훈련자인 피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 레이저발사기에서 실총효과음 및 실총의 섬광을 묘사하여 발광시키는 동시에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 신호를 감지하여 실총효과음을 더 발생시키고 마일스시스템훈련범위를 확장시키고 레이저발사기의 발사거리를 확장가능하도록 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연결된 효과묘사기와,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를 제어하는 레이저재장전부로 구비하여 마일즈시스템 훈련시 실제 전투상황을 묘사하고,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저격자가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피격자를 저격자의 레이저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로 피격자를 피격시 저격자는 피격자의 개인통제기에서 피격된 것을 저격자 개인용무선통제기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저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 저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저격자는 피격자를 저격시킨 것을 쉽게 인지하며, 저격자의 구비된 개인용감지부의 감지소자에 레이저가 피격시 저격자가 구비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피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피격을 알리도록 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 레이저발사기에서 실총효과음 및 실총의 섬광을 묘사하여 발광시키는 동시에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 신호를 감지하여 효과묘사기와 함께 실총효과음을 더 발생시켜 실제 전투상황을 묘사하며, 마일즈시스템훈련 및 통신범위가 확장되고 레이저발사거리를 확장시키고, 기존 마일즈시스템훈련의 관리감독 및 통제관에만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무전기를 배제시켜 마일즈 훈련자와 훈련자(1;1) 또는 마일즈 훈련자와 다수의 훈련자 및 중앙통제부 등(1:n)에 통신이 가능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저격자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피격자를 저격자의 레이저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로 피격자를 피격시 저격자는 피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서 피격된 것을 저격자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저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 저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저격자는 피격자를 저격시킨 것을 쉽게 인지하며, 저격자의 구비된 개인용감지부의 감지소자에 레이저가 피격시 저격자가 구비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피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피격을 알리도록 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소총(10)의 소염기(11)에 설치되고, 자동소총(10)의 방아쇠(12)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스위치(13)와 연결된 제1제어부(C1)와, 제1제어부(C1) 및 제1배터리(B1)에 연동되어 레이저(R)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부(21)와, 레이저발생부(21) 및 제1배터리(B1)와 각각 연동되어 작동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부(E1) 및 제1효과음발생부(ES1)와, 제1송수신부(W1)가 구비된 레이저발사기(20)와; 레이저발사기(2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R)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감지소자(31)가 헬멧(H)과 조끼(J)에 설치되어 구성된 개인용감지부(30)와; 감지소자(31)들과 연동되는 마이크로컴퓨터(C)와,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다수개의 제2발광부(E2) 및 발광이 선택적으로 되는 디스플레이부(Z)를 작동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된 제2송수신부(W2), GPS송수신부(A1), 디스플레이부(Z)와 연동되고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으로 제어되는 문자송수신부(A3) 및 음성송수신부(A4), 음성송수신부(A4)와 연결된 스피커부(A5)로 연동되어 구비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3발광부(E3)와, 진동발생장치(Q)와,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하고,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C1)와 연계된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제2송수신부(W2)로 전달하여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된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효과묘사기(50)와; 제2송수신부(W2) 또는 GPS송수신부(A1)와 연계되고, 휴대용 컴퓨터(61)로 연결된 이동형 중앙통제기(62)로 구비된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와; 제1스위치(13)와 연계되고, 제1스위치(13)와 연결된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도록 자동소총(10)의 노리쇠멈치(14)에 설치되는 레이저재장전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재장전부(70)는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와, 감지센서(S)를 온 및 오프하는 제2스위치(13a)와, 감지센서(S)로 감지되는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C2)로 구성되고, 제2제어부(C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도록 구성되며, 제2제어부(C2)는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효과묘사기(50)의 제2효과음발생부(ES2)에 레이저발사수의 제한을 알리는 효과음을 발생시키고, 제2제어부(C2)는 마이크로컴퓨터(C)로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가능한 횟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발사기(20)의 제1제어부(C1)에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고,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2)를 통하여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디스플레이부(Z)를 제어하며, 마이크로컴퓨터(C)를 제어하여 마이크로컴퓨터(C)가 설치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결된 효과묘사기(50)의 제3발광부(E3) 및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제어하는 통제관리기(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는 음성송수신부(A4)에 이어폰(52)의 이어폰잭(53)이 삽입되는 이어폰잭삽입공(5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를 발사시 레이저발사기에서 실총효과음 및 실총의 섬광을 묘사하여 발광시키는 동시에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 신호를 감지하여 효과묘사기와 함께 실총효과음을 더 발생시켜 실제 전투상황을 묘사하며, 마일즈시스템훈련 및 통신범위가 확장되고 레이저발사거리를 확장시키고, 기존 마일즈시스템훈련의 관리감독 및 통제관에만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무전기를 배제시켜 마일즈 훈련자와 훈련자(1;1) 또는 마일즈 훈련자와 다수의 훈련자 및 중앙통제부 등(1:n)에 통신이 가능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저격자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레이저발사기, 개인용감지부, 효과묘사기, 레이저재장전부를 구비한 피격자를 저격자의 레이저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로 피격자를 피격시 저격자는 피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서 피격된 것을 저격자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저격자의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 저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저격자는 피격자를 저격시킨 것을 쉽게 인지하며, 저격자의 구비된 개인용감지부의 감지소자에 레이저가 피격시 저격자가 구비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피격표시와, 효과묘사기에서 발광 및 진동발생으로 피격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재장전부를 더 구비하여 레이저발사기에서 레이저발사의 횟수를 제한하여 실탄창에 장전되는 실탄 20발, 30발을 장전하는 것과 같이 레이저발사횟수를 20,30으로 제한하여 전자탄창기능을 갖게하고, 레이저발사횟수가 다 소진되면, 레이저재장전부는 레이저발사기를 통해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전달하여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연결된 효과묘사기에서 탄창비움의 소리음을 발생하고,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레이저발사횟수소진을 알리도록하여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발사횟수를 실탄창에 장탄되는 실탄처럼 구현하여 마일즈시스템으로 인한 훈련을 더 실감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제관리기를 더 구비하여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시 훈련에 부적합한 훈련자를 훈련에 더이상 참가하지 못하도록하고,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시 훈련에서 더이상 훈련에 참가하지 못하는 훈련자를 마일즈시스템 훈련에 다시 복귀하여 훈련하도록하며, 레이저발사기에서 소진된 레이저발사횟수를 부여하도록하여 마일즈시스템 훈련을 보다 실전과 같이 하도록 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음성송수신부에 이어폰을 꽂을수 있는 이어폰잭삽입공을 더 설치하여 이어폰잭삽입공에 삽입되는 이어폰잭을 구비한 이어폰으로 야간 또는 주간에 총소리없는 총포무성음 훈련시, 레이저발생기의 제1효과음발생부를 사용하지않고, 효과묘사기의 제2효과음발생부만 사용하여 제2효과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효과음을 이어폰으로 듣도록하여 야간에도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GPS송수신부를 더 구성하여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를 구비한 훈련자를 이동휴대중앙통제부에서 위치를 보다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송수신을 GPS송수신으로 전환하여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송수신거리가 광범위로 확장되어 마일즈시스템의 그 훈련범위가 무한대로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음성송수신부이외에 문자송수신부를 더 구성하여 문자송신부에 문자숫자기호입력수단으로 음성이외 문자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간에 문자송수신을 가능하게 하여 문자로 마일즈시스템훈련에 참가자간의 의사소통 및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상황 또는 저격자와 저격자(아군) 및 피격자와 피격자(적군)의 상황을 마일즈시스템훈련자간에 알릴수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에 구비된 GPS송수신부로 사용하여 마일즈시스템훈련시 그 훈련범위가 확장되어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연계된 발사범위가 확장되도록 구성된 레이저발사기의 레이저발사거리도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발사기를 이용한 마일즈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일즈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발사기가 자동소총의 소염기에 설치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재장전부가 자동소총의 노리쇠멈치에 설치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재장전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발사기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염기와 레이저발사기의 결합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중앙통제부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관리기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효과묘사기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음성송수신부의 다른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일즈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발사기가 자동소총의 소염기에 설치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재장전부가 자동소총의 노리쇠멈치에 설치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재장전부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발사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염기와 레이저발사기의 결합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중앙통제부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관리기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와 효과묘사기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의 음성송수신부의 다른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은 자동소총(10)과, 레이저발사기(20)와, 개인용감지부(30)와,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효과묘사기(50)와,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와, 레이저재장전부(70)로 구성된다.
마일즈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은 군에서 소총류 및 기타 발사체 무기에 부착해서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와 이 레이저를 감지하여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소자로 구성된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으로 불리워진다.
상기 자동소총(10)은 K1, K2, K3 자동소총 및 M16A1, M4A1 자동소총이 적용되나 기타 다른 자동소총이 될 수 있다.
상기 자동소총(10)는 소염기(11)와, 방아쇠(12)와, 노리쇠멈치(14)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레이저발사기(20)는 도 2,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사기(20)는 제1제어부(C1)와, 제1배터리(B1)와, 레이저발생부(21)와, 제1발광부(E1)와, 제1효과음발생부(ES1)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발사기(20)는 상기 자동소총(10)의 상기 소염기(11)에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소총(10)의 방아쇠(12)에 설치된 제1스위치(13)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13)가 온되었을시 제1제어부(C1)와, 제1배터리(B1)와 연결되어 레이저(R)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부(21)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서 상기 레이저(R) 발사와 더불어 상기 레이저발생부(21) 및 상기 제1배터리(B1)와 각각 연동되어 작동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부(E1)와, 제1효과음발생부(ES1)와, 제1송수신부(W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발광부(E1)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발생부(21) 및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 제1발광부(E1), 제1송수신부(W1)는 상기 레이저발사기(20)내에 설치된 제1제어부(C1)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제어부(C1)에서 상기 스위치(13)의 온을 감지하여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 상기 제1배터리(B1)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서 상기 레이저(R)를 발사하는 동시에 상기 제1제어부(C1)는 상기 제1배터리(B1)의 전원을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에 공급하여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에서 실제 총포소리인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제어부(C1)는 상기 제1배터리(B1)의 전원을 상기 제1발광부(E1)에 공급하여 상기 제1발광부(E1)가 발광되도록 하여 실제 상기 자동소총(10)에서 실탄을 발사하는 섬광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레이저(R)를 발사시키는 상기 제1제어부(C1)는 상기 제1송수신부(W1)를 통해 후술되는 효과묘사기(50)의 제2송수신부(W2)에 레이저발사신호와 더불어 상기 제1제어부(C1)로 구동되는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을 전달하여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효과묘사기(50)에 설치된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작동하여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도 실제와 같은 총포소리인 효과음을 발생하도록하여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에서 발생되는 효과음과 더불어 입체적인 효과음인 총포소리를 발생하여 실전에서 발생되는 교전상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레이저발사기(20)는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소총(10)의 상기 소염기(11) 외측둘레가 후방에서 삽입 및 이탈될수 있도록 삽입공(22)을 형성한 소염기고정구(23)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공(22)의 전방에서 삽입 및 이탈되게 삽탈부(23a)를 후방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공(22)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삽탈부(23a)의 전방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0a)의 후방에 상기 삽탈부(23a)의 전방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a)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부(23b)와, 상기 전방부(23b)에 레이저발사공(24), 복수개의 제1발광부(E1)에서 발광을 확산시키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확산공(25)이 온오프스위치(26), 상기 제1배터리(B1)가 출입하는 배터리삽입부(27)가 형성된 본체부(20a)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본체부(20a)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배터리(C1), 상기 레이저발생부(21), 상기 제1제어부(C2), 제1효과음발생부(ES1), 제1발광부(E1)로 구성된다.
상기 소염기고정구(23)의 후방에 형성된 안착턱(28)과, 상기 안착턱(28)은 상기 소염기(11)에 형성된 안착홈(11a)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염기고정구(23)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9)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29)는 상기 소염기(11)가 상기 삽입공(22)에 입출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소염기고정구(23)에 개구부(29) 및 안착턱(28)을 형성하는 것은 자동소총(10)의 소염기(11)를 상기 삽입공(22)에 손쉽게 출입하고, 상기 소염기(11)를 안정적으로 상기 삽입공(22)내에 안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소염기(11)를 상기 삽입공(22)에서 손쉽게 착탈하게 하여 상기 삽입공(22)을 갖는 상기 소염기고정구(23)와 결합된 상기 본체부(20a)를 상기 소염기(11)에 손쉽게 부착 및 탁,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13)는 상기 방아쇠(12)가 삽입되는 통공(13b)을 형성한 스위치본체(13c)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본체(13c)의 전방에 형성된 압착부(13d)와, 상기 압착부(13d)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단자(13e,13f)가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자(13e,13f)들은 상기 레이저발생부(21)를 제어하는 상기 제1제어부(C1)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단자(13e)와 상기 단자(13f)가 서로 붙을경우, 상기 제1제어부(C1)는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서 레이저를 발생시키고, 상기 단자(13e)와 상기 단자(13f)가 서로 떨어질경우, 상기 제1제어부(C1)는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서 레이저 발생을 중지시킨다.
상기 개인용감지부(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사기(2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R)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감지소자(31)가 헬멧(H)과 조끼(J)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인용감지부(30)에는 후술되는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효과묘사기(50)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소자(31)와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결되고,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는 상기 효과묘사기(50)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감지소자(31)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소자(31)들은 후술되는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는 마이크로컴퓨터(C)와, 제2송수신부(W2)와, 제2배터리(B2)와, 제2발광부(E2)와, 디스플레이부(Z), GPS송수신부(A1),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 문자송수신부(A3), 음성송수신부(A4), 스피커부(A5)로 구성된다.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된 등록버튼(X)이 설치되어 상기 등록버튼(X)으로 인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가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상기 제2배터리(B2)와, 상기 제2발광부(E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Z)와, GPS송수신부(A1)와, 문자송수신부(A3)와, 음성송수신부(A4)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2송수신부(W2) 또는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인해 후술되는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에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작동을 무선으로 알려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에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작동을 등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소자(31)들과 연결된 마이크로컴퓨터(C)와, 상기 감지소자(31)들과 연결된 마이크로컴퓨터(C2)와, 상기 레이저발사기(20)에서 발사된 레이저(R)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소자(31)에서 상기 레이저발사(R)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다수개의 제2발광부(E2) 및 디스플레이부(Z)와, 문자송수신부(A3)와, 음성송수신부(A4)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발사기(20)에서 상기 레이저(R)발사와 더불어 상기 제1제어부(C1)로 구동되는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을 상기 제1제어부(C1) 및 상기 제1송수신부(W1)로부터 레이저(R)의 발사신호와 더불어 구동되는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부(W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어 상기 GPS송수신부(A1)와 같이 연계되어 작동되거나,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상기 GPS송수신부(A1)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송수신부(W2) 또는 상기 GPS송수신부(A1)는 후술되는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의 상기 이동형 중앙통제기(41)와 무선으로 송수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송수신부(W2) 및 상기 GPS송수신부(A1)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다수개의 제2발광부(E2) 및 디스플레이부(Z), 문자송수신부(A3)와, 음성송수신부(A4)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발광부(E2)는 발광다이오드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발광부(E2)는 3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2발광부(E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에 의해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가 온되었을시 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Z)는 발광기능을 선택적으로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GPS송수신부(A1)는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와 송수신되게 구성되고, 마일즈시스템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에 구비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설치되어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에서 훈련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송수신부(A1)로 마일즈시스템훈련을 전환하여 사용시 마일즈시스템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송수신범위가 무한대로 확대가능하여 마일즈시스템훈련장소의 범위를 확대하여서 그 훈련범위를 무한정으로 넓힐수 있어 대규모의 병력을 동원한 멀티 마일즈시스템으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하게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가 상기 GPS무선송수신부(A1)로 인해 통신범위가 넓어져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레이저발사거리가 확장되도록 구성된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레이저발사거리도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문자송수신부(A3)는 상기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과, 상기 디스플레이부(Z)와 연동되게 구성되어 마일즈시스템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의 서로간에 상기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으로 문자로 의사소통 및 훈련상황을 입력하여 상기 문자송수신부(A3)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송수신부(A4)는 상기 스피커부(A5)와, 상기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과, 상기 디스플레이부(Z)와 연동되게 구성되어 마일즈시스템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의 서로간에 상기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으로 상기 음성송수신부(A4)를 제어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 및 훈련상황을 상기 스피커부(A5)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음성송수신부(A4)와 상기 스피커(A5)를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부가하여 기존에 마일즈시스템훈련시 훈련자 또는 훈련자를 지휘 또는 감독자가 별도 음성무전기를 구비해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마일즈훈련시스템에서는 훈련자를 관리감독 및 지휘하는 훈련감독관에게만 지급되던 무전기를 배제시키도록 상기 음성송수신부(A4)와 상기 스피커(A5)를 구비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로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자와 훈련자(1:1), 훈련자와 다수훈련자, 중앙통제부 등(1;n)과 직접적으로 음성으로 의사소통 및 훈련상황을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Z)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가 상기 제2송신부(W2)로 수신되는 상기 제2송신부(W1)로부터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레이저발사횟수를 표시하고, 상기 제2제어부(C2)를 구비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레이저발사횟수의 음성과, 레이저발사횟수가 다 소진시 실제 탄창을 교체하는 소리인 탄창비움소리를 발생하여 알려준다.
또한, 저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피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에 레이저로 저격하게 되면,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구비된 상기 제2송수신부(W2)로부터 피격자의 피격사실을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구비된 상기 제2송수신부(W2)로 송신되어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에 수신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전달하여 상기 제2제어부(C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저격자의 피격을 표시하고, 저격자에 구비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진동발생장치(Q) 및 상기 제3발광부(E3)를 발광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알수 있도록 한다.
즉, 저격자는 원거리에서 피격자를 저격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되어 작동되거나,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시 저격자는 피격자를 원거리에서 저격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가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22)에 무선 또는 GPS로 직접알리거나,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가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제2송수신부(W2) 및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에 무선 또는 GPS로 직접알릴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GPS송수신부(A1)와 함께 작동되거나, 상기 GPS송수신부(A1)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에서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피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를 레이저로 저격시, 상기 감지소자(31)는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에 전달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저격자로부터 피격된 사실인 사망 또는 부상을 표시함과 더불어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피격자의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진동발생장치(Q) 및 상기 제3발광부(E3)를 발광하여 피격자가 저격자로부터 저격되어 사망 또는 부상사실을 알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피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저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를 레이저로 저격시, 상기 감지소자(31)는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2)에 전달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피격자로부터 피격된 사실인 사망 또는 부상을 표시함과 더불어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저격자의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진동발생장치(Q) 및 상기 제3발광부(E3)를 발광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로부터 피격되어 사망 또는 부상사실을 알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Z)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B2)의 상태를 표시하여준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를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고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를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마일즈시스템훈련시 그 훈련범위가 광법위하게 확장되게 저격자 및 피격자가 구비한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발사거리도 또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효과묘사기(50)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효과묘사기(50)는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3발광부(E3)와, 진동발생장치(Q)와,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를 상기 제1제어부(C1)로 구동시 상기 제1제어부(C1)와 연계된 상기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신호를 상기 제2송수신부(W2)로 전달하여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GPS송수신부(A1)와 함께 작동되거나, 상기 GPS송수신부(A1)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에서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에 레이저(R)의 감지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3발광부(E3)와, 진동발생장치(Q)와,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발광부(E3)는 발광다이오드 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상기 제3발광부(E3)는 서로 다른색깔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빨강과 녹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를 상기 제1제어부(C1)로 구동시 상기 제1제어부(C1)와 연계된 상기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신호를 상기 제2송수신부(W2)로 전달하여 상기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와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는 동시에 구동되어 실전에서 발생되는 총포음을 입체적으로 발생하여 실전과같은 교전상태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GPS송수신부(A1)와 함께 작동되거나, 상기 GPS송수신부(A1)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에서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저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피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에 레이저로 저격하게 되면,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구비된 상기 제2송수신부(W2)로부터 피격자의 피격사실을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에 구비된 상기 제2송수신부(W2)로 송신되어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제2송수신부(W2)에 수신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전달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저격자의 피격을 표시와 동시에, 저격자에 구비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3발광부(E3)중 어느하나가 발광되어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송수신부(W2)는 상기 GPS송수신부(A1)와 함께 작동되거나, 상기 GPS송수신부(A1)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송수신부(W2)에서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송수신부(W2)를 상기 GPS송수신부(A1)로 전환하여 범위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3발광부(E3)가 발광동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피격자를 저격하여 사살한 사실을 음성으로 알려주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상기 진동발생장치(Q)가 진동되도록 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를 저격한 사실을 원거리에서 시각, 청각, 감각을 통해 입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피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를 레이저로 저격시, 상기 감지소자(31)는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에 전달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저격자로부터 피격된 사실인 사망 또는 부상을 표시함과 더불어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피격자의 효과묘사기(50)에 구비된 상기 진동발생장치(Q)는 피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어 진동을 발생과 동시에, 피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실을 음성으로 알려주고, 피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3발광부(E3)중 어느하나가 발광하여 피격자가 저격자로부터 저격되어 사망 또는 부상사실을 시각, 청각, 감각을 통해 입체적으로 알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피격자의 상기 레이저발사기(20)로 저격자의 상기 감지소자(31)를 레이저로 저격시, 상기 감지소자(31)는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에 전달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피격자로부터 피격된 사실인 사망 또는 부상을 표시함과 더불어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동되는 저격자의 효과묘사기(50)에 구비된 상기 진동발생장치(Q)는 저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어 진동을 발생과 동시에, 저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실을 음성으로 알려주고, 저격자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상기 제3발광부(E3)중 어느하나가 발광하여 저격자가 피격자로부터 피격되어 사망 또는 부상사실을 시각, 청각, 감각을 통해 입체적으로 알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는 실제의 총포소리와 같은 효과음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동되어 발생되고, 상기 효과음은 전술하는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와 더불어 입체적인 효과음인 총포소리를 구현하여 실제전투상황에서 발생되는 총포소리를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로 레이저발사횟수가 컨트롤되는 상기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가 다 소진되면 그 소진 상태를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와 연계된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제어부(C1), 상기 제1송수신부(W1)에서 상기 제2송수신부(W),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알려주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된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탄창비움음을 발생하여 레이저발사를 더 할 수없다는 것을 소리로서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와 연동되는 스피커(55)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55)는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발생되는 효과음을 외부를 표출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는 음성송수신부(A4)에 이어폰(52)의 이어폰잭(53)이 삽입되는 이어폰잭삽입공(5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음성송수신부(A4)에 설치된 상기 이어폰잭삽입공(54)에 삽입되는 상기 이어폰잭(53)을 구비한 상기 이어폰(52)으로 야간 또는 주간에 총포음이 없는 총포무성음 훈련시,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효과음발생부(ES1)를 사용하지않고,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만 사용하여 야간에도 상기 이어폰(52)으로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발생되는 효과음을 듣도록하여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인한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은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훈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는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 및 상기 제2송수신부(W2) 또는 상기 GPS송수신부(A1)와 연계되어 송수신 가능하게 중앙무선송수신부(미도시)와, 중앙GPS송수신부(미도시)가 구성된 이동형 중앙통제기(6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형 중앙통제기(62)는 휴대형 컴퓨터(61)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형 중앙통제기(62)와 상기 휴대형 컴퓨터(61)는 무선 또는 USB연결선(63)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형 중앙통제기(62)는 기존의 마일즈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앙통제부가 건물내에 설치된 것을 극복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휴대용으로 구현하고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는 저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피격자의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를 중앙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 무선 또는 중앙GPS송수신부(미도시)의 GPS로 온 및 오프하여 저격자 및 피격자가 마일즈훈련에 참가 또는 참가 하지 못하게 하거나, 마일즈훈련의 종료를 무선으로 컨트롤 할수 있다.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는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는 상기 제1스위치(13)와 연계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는 상기 제1스위치(13)와 연결된 상기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자동소총(10)의 노리쇠멈치(14)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는 상기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S)를 온 및 오프하는 제2스위치(13a)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S)로 감지되는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C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제어부(C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제어부(C2)는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제2효과음발생부(ES2)에 레이저발사수의 제한을 알리는 효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제어부(C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상기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가능한 회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레이저발사기(20)에서 레이저발사의 횟수를 제한하여 실탄창에 장전되는 실탄 20발, 30발을 장전하는 것과 같이 레이저발사횟수를 20,30으로 제한하고, 레이저발사횟수가 다 소진되면,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는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에 레이저발사횟수의 소진을 알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Z)에 레이저발사횟수소진을 표시하여 마일즈시스템에서 레이저발사횟수를 실탄창에 장탄되는 실탄처럼 구현하여 마일즈시스템으로 인한 훈련을 더 실감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로 레이저발사횟수가 컨트롤되는 상기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가 다 소진되면 그 소진 상태를 상기 레이저재장전부(70)와 연계된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제어부(C1), 상기 제1송수신부(W1)에서 상기 제2송수신부(W),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알려주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된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에서 탄창비움음을 발생하여 레이저발사를 더 할 수없다는 것을 소리로서 알려 새로이 탄창교체(레이저발사횟수 부여)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재장전부(70)로 전자탄창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제관리기(8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제관리기(80)는 상기 레이저발사기(20)의 상기 제1제어부(C1)에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고,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하여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Z)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를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가 설치된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결된 상기 효과묘사기(50)의 상기 제3발광부(E3) 및 상기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통제관리기(80)는 상기 제1송수신부(W1)에 레이저발사횟수를 전송하는 송신부(W)가 구비되고, 상기 송신부(W)와 연결된 제3제어부(C3)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제어부(C3)는 상기 제3배터리(B3)와 연결된 제4발광부(E4)를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제어부(C3)가 상기 송신부(W)로 상기 제1송수신부(W1)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C1)에 레이저발사횟수를 부여하는 제1버튼(8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제어부(C3) 및 상기 송신부(W)를 통해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2)로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 부적격자로 판단하는 제2버튼(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제어부(C3) 및 상기 송신부(W)를 통해 상기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로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시 사망 또는 부적격자로 판단되어 마일즈 시스템으로 훈련할 수 없는 훈련자를 다시 마일즈시스템으로 훈련할수 있도록 판단하는 제3버튼(8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3버튼(81,82,83)중 선택된 어느하나의 버튼으로 상기 개인용감지부(30)의 상기 감지소자(31)들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제관리기(80)를 더 구비하는 것은 마일즈훈련시스템의 훈련의 특성상,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에 참가하는 훈련자의 부적함을 판단하고,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에서 사망 또는 부상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하거나, 부적격자로 판정된자를 다시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에 참가하도록 하고, 마일즈시스템의 훈련에서 제한되어 사용되어 소진된 레이저발사횟수를 상기 레이저발사기(20)에 부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자동소총 11: 소염기
12: 방아쇠 13: 제1스위치
13a: 제2스위치 14: 노리쇠멈치
20: 레이저발사기 21: 레이저발생부
30: 개인용감지부 31: 감지소자
40: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 50: 효과묘사기
51: 음성무전기 52: 이어폰
53: 이어폰잭 54: 이어폰잭삽입공
60: 이동휴대중앙통제부 61: 휴대용노트북
62: 이동형중앙통제기 70: 레이저재장전부
80: 통제관리기 A1: GPS송수신부
A2: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 A3: 문자송수신부
A4: 음성송수신부 A5: 스피커부
B1: 제1배터리 B2: 제2배터리
C: 마이크로컴퓨터 C1: 제1제어부
C2: 제2제어부 E1: 제1발광부
E2: 제2발광부 E3: 제3발광부
E4: 제4발광부 ES1: 제1효과음발생부
ES2: 제2효과음발생부 H: 헬멧
J: 조끼 Q: 진동발생장치
S: 감지센서 W1: 제1송수신부
W2: 제2송수신부 Z: 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자동소총(10)의 소염기(11)에 설치되고, 자동소총(10)의 방아쇠(12)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스위치(13)와 연결된 제1제어부(C1)와, 제1제어부(C1) 및 제1배터리(B1)에 연동되어 레이저(R)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발생부(21)와, 레이저발생부(21) 및 제1배터리(B1)와 각각 연동되어 작동되는 복수개의 제1발광부(E1) 및 제1효과음발생부(ES1)와, 제1송수신부(W1)가 구비된 레이저발사기(20)와;
    레이저발사기(2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R)를 감지하도록 다수개의 감지소자(31)가 헬멧(H)과 조끼(J)에 설치되어 구성된 개인용감지부(30)와;
    감지소자(31)들과 연동되는 마이크로컴퓨터(C)와,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다수개의 제2발광부(E2) 및 발광이 선택적으로 되는 디스플레이부(Z)를 작동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된 제2송수신부(W2), GPS송수신부(A1), 디스플레이부(Z)와 연동되고 문자 숫자 도형입력수단(A2)으로 제어되는 문자송수신부(A3) 및 음성송수신부(A4), 음성송수신부(A4)와 연결된 스피커부(A5)로 연동되어 구비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배터리(B2)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3발광부(E3)와, 진동발생장치(Q)와,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하고, 제1효과음발생부(ES1)의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C1)와 연계된 제1송수신부(W1)로부터 제2송수신부(W2)로 전달하여 제2송수신부(W2)와 연계된 마이크로컴퓨터(C)는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효과묘사기(50)와;
    제2송수신부(W2) 또는 GPS송수신부(A1)와 연계되고, 휴대용 컴퓨터(61)로 연결된 이동형 중앙통제기(62)로 구비된 이동휴대중앙통제부(60)와;
    제1스위치(13)와 연계되고, 제1스위치(13)와 연결된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도록 자동소총(10)의 노리쇠멈치(14)에 설치되는 레이저재장전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레이저재장전부(70)는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횟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와, 감지센서(S)를 온 및 오프하는 제2스위치(13a)와, 감지센서(S)로 감지되는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C2)로 구성되고, 제2제어부(C2)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도록 구성되며, 제2제어부(C2)는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를 통해 효과묘사기(50)의 제2효과음발생부(ES2)에 레이저발사수의 제한을 알리는 효과음을 발생시키고, 제2제어부(C2)는 마이크로컴퓨터(C)로 레이저발생부(21)의 레이저발사가능한 횟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레이저발사기(20)의 제1제어부(C1)에 레이저발사횟수를 제어하고,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2)를 통하여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디스플레이부(Z)를 제어하며, 마이크로컴퓨터(C)를 제어하여 마이크로컴퓨터(C)가 설치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와 연결된 효과묘사기(50)의 제3발광부(E3) 및 제2효과음발생부(ES2)를 제어하는 통제관리기(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DMR(Data Mobile Radio)개인용통제기(40)의 마이크로컴퓨터(C)와 연계되는 음성송수신부(A4)에 이어폰(52)의 이어폰잭(53)이 삽입되는 이어폰잭삽입공(5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20130088409A 2013-07-26 2013-07-26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137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09A KR101370727B1 (ko) 2013-07-26 2013-07-26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09A KR101370727B1 (ko) 2013-07-26 2013-07-26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727B1 true KR101370727B1 (ko) 2014-03-06

Family

ID=5064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409A KR101370727B1 (ko) 2013-07-26 2013-07-26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6775A (zh) * 2015-08-15 2015-11-18 张臣 Cs射击对抗训练系统
CN105066774A (zh) * 2015-08-15 2015-11-18 张臣 激光模拟射击对抗训练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897A (ja) * 1991-09-09 1993-03-23 Kokusai Electric Co Ltd 対抗訓練用装置の射撃停止方法及び装置
KR20090044165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032124B1 (ko) 2010-11-02 2011-05-02 송승준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20110108645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선도 사격을 모사하는 화기 모사 시스템, 레이저 발사 장치 및 표적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897A (ja) * 1991-09-09 1993-03-23 Kokusai Electric Co Ltd 対抗訓練用装置の射撃停止方法及び装置
KR20090044165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20110108645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선도 사격을 모사하는 화기 모사 시스템, 레이저 발사 장치 및 표적 감지 장치
KR101032124B1 (ko) 2010-11-02 2011-05-02 송승준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6775A (zh) * 2015-08-15 2015-11-18 张臣 Cs射击对抗训练系统
CN105066774A (zh) * 2015-08-15 2015-11-18 张臣 激光模拟射击对抗训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521B2 (en)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33162B1 (ko)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20100227298A1 (en) Training aid
US20110111374A1 (en) Training system
US9605927B2 (en)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US20180142994A1 (en)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US9297618B2 (en) Personal casualty simulator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WO2015093680A1 (ko) 모의 총기용 적외선 발사유닛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US20130309633A1 (en)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41988B1 (ko)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KR101272360B1 (ko) 지능형 레이저 발사모듈부와 효과음 및 진동발광부를 구비한 마일즈 시스템
RU2347171C2 (ru) Система лазерного имитатора стрельбы (слис)
KR20160043248A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화기의 독립적 발사장치
KR20170128793A (ko) 레이저 발사기를 구비한 사격훈련 장치
TW202138740A (zh) 用於傳導式電性武器之警報系統
KR101382096B1 (ko) 마일즈레이저탄환과 무선표적감지기를 구비한 마일즈시스템
KR200228419Y1 (ko) 서바이벌 게임용 완구
US20230044352A1 (en) Training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US8894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activated laser
KR20170133180A (ko) 탈/장착 형 적외선 광탄 발사장치
KR101229867B1 (ko) 화기 장착용 범용 레이저 발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