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31B1 -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31B1
KR102106031B1 KR1020200000893A KR20200000893A KR102106031B1 KR 102106031 B1 KR102106031 B1 KR 102106031B1 KR 1020200000893 A KR1020200000893 A KR 1020200000893A KR 20200000893 A KR20200000893 A KR 20200000893A KR 102106031 B1 KR102106031 B1 KR 10210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l
sensor
game
game service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순
Original Assignee
임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순 filed Critical 임형순
Priority to KR102020000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정상모드인 경우 레이저를 조사하고, 감지된 파울(Foul)로 경고모드로 전환된 경우, 트리거(Trigger)의 입력유무에 관계없이 레이저 발사가 블록(Block)되는 게임용 권총, 게임용 권총이 거치되고, 게임용 권총의 탈거 또는 탈착을 감지하는 탈착센서가 내장된 권총집, 게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벨 또는 경광등을 턴 온(Turn On)시키는 알림장치, 게임용 권총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수광기, 및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연결부,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경고부,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하는 벌칙부를 포함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BASED SHOOTING GAME SERVICE USING SENSOR}
본 발명은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권총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여 스코어를 기록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국내에서 기능성 게임의 개발은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게임과 사회 각 분야의 접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초보적인 단계인 반면, 가상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가상현실은, 체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며 화상 카메라를 통한 영상 처리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위를 분석하고 적절한 반응을 사용자에게 피드백시키게 된다. 이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벗어나 영상과 센서 융합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성 게임의 개발 분야에서 체감형 게임은 직접적인 신체감각의 접촉 및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실제적인 동작을 모방하여 실재감과 현실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와 정보통신 기기 간 정보교환의 새로운 방식으로써 더 큰 재미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표적을 향하여 레이저 발사를 하는 방식의 권총 게임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085호(2006년01월24일 공고)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0263호(2011년01월10일 공개)에는, 표적을 향해 레이저 발사가 가능한 게임용 권총 및 레이저가 표적에 도달하면 센서가 감지하고 제어동작에 따라 표적이 소정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 후 다시 원위치 되도록, 방아쇠 조작에 따라 레이저가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총구부분에 레이저 방사부가 구비되는 게임용 총, 게임용 총으로부터 방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표적부, 표적부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 신호에 따라 표적부를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씩 회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몸체부의 구성과, FPS(First-Person Shooter) 게임용 권총형 광레이저마우스와 작동에 필요한 장치를 통하여, 실재감 및 슈팅감을 주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기술력도 같이 성장하고 있으며, 성장과 더불어 게임 애플리케이션도 다양화 되고 있으나, 고전게임, 그 중에서도 센서를 기반으로 오프라인에서 실제로 권총을 들고 게임을 하는 권총형 슈팅 게임 분야의 개발이 가장 빈약하다. 대부분의 오락실 또는 아케이드에서도 80년대에 개발된 기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선형으로 기계와 권총이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 활동반경이 넓지 않다. 이에, 오프라인에서 권총을 이용한 슈팅 게임의 무선 플랫폼화 및 흥미요소를 추가한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권총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권총집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권총의 탈착을 감지하며, 경광등의 점등 이전에 권총이 탈거되는 경우 파울로 처리하여 권총 발사를 차단하고, 권총 발사에 의해 상대방의 인체 어느 한 부분에 부착된 센서 수광기가 광을 감지하는 경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로 벌칙을 적용하고, 일대일 게임이 아닌 솔로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과녁에 내장된 센서 수광기에 의해 광이 모니터링되면, 시간 및 기록을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함으로써 기록갱신을 위한 게임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상모드인 경우 레이저를 조사하고, 감지된 파울(Foul)로 경고모드로 전환된 경우, 트리거(Trigger)의 입력유무에 관계없이 레이저 발사가 블록(Block)되는 게임용 권총, 게임용 권총이 거치되고, 게임용 권총의 탈거 또는 탈착을 감지하는 탈착센서가 내장된 권총집, 게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벨 또는 경광등을 턴 온(Turn On)시키는 알림장치, 게임용 권총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수광기, 및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연결부,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경고부,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하는 벌칙부를 포함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단계,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권총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권총집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권총의 탈착을 감지하며, 경광등의 점등 이전에 권총이 탈거되는 경우 파울로 처리하여 권총 발사를 차단하고, 권총 발사에 의해 상대방의 인체 어느 한 부분에 부착된 센서 수광기가 광을 감지하는 경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로 벌칙을 적용하고, 일대일 게임이 아닌 솔로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과녁에 내장된 센서 수광기에 의해 광이 모니터링되면, 시간 및 기록을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함으로써 기록갱신을 위한 게임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수광기(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알림장치(700)도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AR 콘텐츠 또는 VR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AR 또는 VR 콘텐츠를 스트리밍시키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VR 콘텐츠를 HMD(Head Mounted Display)와 연동시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HMD와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을 연결시켜주는 AP(Access Point)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기반으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즉 사용자 단말(100), 게임용 권총(400),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을 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와 연동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림장치(700)가 턴 온되기 이전에 권총집(500)에 내장된 탈착센서의 포지티브(Positive)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게임용 권총(400)에서 레이저가 출력되더라도 무시하는 블록처리를 하거나, 파울모드로 레이저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림장치(700)가 턴 온된 후 권총집(500)에서 포지티브 이벤트가 출력된 경우, 센서 수광기(600)가 먼저 울린 측으로 벌칙을 위하여 PLC 제어로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과녁에 권총을 쏘는 경기의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광기(600)의 ID 및 과녁 점수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권총집(500)에서 탈거된 후 게임용 권총(400)에서 레이저가 발사된 시간과, 센서 수광기(600)에 레이저가 도달한 시간 등을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여 기록갱신을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연동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AR 또는 VR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AR 마커를 저장하고, AR 마커에 대응하여 출력될 AR 콘텐츠를 AR 마커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발광기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파울모드로 진입한 경우, 레이저가 발사되지 않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용 권총(400)의 탈착을 모니터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적어도 하나의 탈착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수광기(600)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용 권총(400)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수광기(600)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경우, 포지티브 신호를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수광기(600)가 복수로 설치될 경우, 각각의 위치나 ID를 포지티브 신호와 함께 헤더(Header)에 삽입하여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수광기(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수광기(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 수광기(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장치(700)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경광등이나 벨을 턴 온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알림장치(700)가 턴 온되는 시점을 피드백으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만약,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턴 온 명령 출력 시점과, 알림장치(700)의 턴 온 시점의 딜레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드백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장치(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알림장치(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알림장치(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연결부(310), 경고부(320), 벌칙부(330), 로그부(340), 스코어관리부(350), 업데이트부(360), 및 증강현실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로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310)는, 게임용 권총(400), 권총집(500), 알림장치(700), 및 센서 수광기(600)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310)는, IoT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노드에 ID를 등록하고, 각 노드와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동되도록 통신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IoT 통신프로토콜은 IETF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된 표준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자원 제약적 디바이스로 구성된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로컬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가정하고 자원-제약적 디바이스(Constrained Node)에 인터넷 연결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IETF는, 자원-제약적 노드로 구성된 LLN(Low power and Lossy Network)을 사물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환경으로 이용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프라 (Infrastructure) 기반 네트워크로 구성된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인프라(Infrastructure-less) 기반 IoT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네트워킹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 스스로 효율적 데이터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SON(Self-Organization Networking) 기법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쉬형태로 배열된 노드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노드 중 제어노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노드는 그 주변의 노드를 그룹원으로 하는 그룹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두 개의 도메인은 실제 노드가 위치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물리적 도메인과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으로 구분되는데, 제어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성 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형태의 도메인이다. 특히, 제어노드는 자신이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노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 내에 속한 노드와 제어 메시지를 제어노드에 대신 전달한다. 또한 인프라 기반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제어노드와 연결하는 SON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로 지정하고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의 최상위 권한을 가진 노드로 지정한다. 따라서, SON 코디네이터는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IoT 네트워크 구성 시 생성되는 링크 생성의 최종적 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이웃노드 탐색 과정인 ND(Neighbor Discovery)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대표가 선출되어 제어노드가 되면, 이웃노드를 탐색하여 그룹핑을 해야 한다. 이때, ND 수행 시 아웃노드 중 6LoWPAN Router(6LR) 노드를 선정하고 6LR 노드를 통해 6LoWPAN Border Routers(6LBR)로 Duplicate Address Request/Duplicate Address Confirmation(DAR /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ND 과정을 수행하는 IPv6 ND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6LBR이 수행하던 게이트웨이까지 DAR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 대신, 자신을 관리하는 제어노드까지 DAR/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네트워크 내에 ND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 수를 줄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면, 노드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해 경로 설정 및 탐색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계층 기반 경로 설정 및 탐색 방법을 이용하 할 수 있다. 계층 영역은 제어노드가 관리하는 영역이고, 경로탐색에 필요한 제어메시지는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 내에서만 전달된다. 따라서 물리 도메인에 있는 각 노드는 제어노드에 의해서 탐색된 경로를 통해 물리 도메인 내에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IoT 노드나 센서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경고부(320)는, 알림장치(700)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권총집(500)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게임용 권총(400)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용 권총(400)은, 정상모드인 경우 레이저를 조사하고, 감지된 파울(Foul)로 경고모드로 전환된 경우, 트리거(Trigger)의 입력유무에 관계없이 레이저 발사가 블록(Block)될 수 있다. 또, 권총집(500)은, 게임용 권총(400)이 거치되고, 게임용 권총(400)의 탈거 또는 탈착을 감지하는 탈착센서가 내장되며, 알림장치(700)는, 게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벨 또는 경광등을 턴 온(Turn On)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작을 알리는 경광등이 점등되기 이전에 권총집(500)에서 게임용 권총(400)을 꺼낸 사용자는 상대방이 공격을 해도 반격을 할 수 없게 된다.
벌칙부(330)는, 알림장치(700)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게임용 권총(400)의 레이저 조사로 센서 수광기(600)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수광기(600)는, 게임용 권총(400)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미도시)는, 벌칙신호가 출력된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를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로 동작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제어 방법이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장치는 언급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로그부(340)는, 일대일 게임 외에 솔로모드(Solo Mode)로 게임이 진행되는 경우, 권총집(500)으로부터 게임용 권총(400)이 탈거된 시각, 센서 수광기(600)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시각, 및 센서 수광기(600)에 레이저가 조사되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점수를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할 수 있다. 일대일 게임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존재하고, 각각의 사용자가 게임용 권총(400), 권총집(500), 및 센서 수광기(600)를 착용하거나 부착하고, 서로에게 쏘는 제 1 실시예,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게임용 권총(400), 및 권총집(500)만 구비하고 센서 수광기(600)가 부착된 과녁을 향해 쏘면서 스코어를 올리는 제 2 실시예가 존재한다. 이때, 솔로모드는, 1인 게임으로, 사용자가 게임용 권총(400) 및 권총집(500)을 착용하거나 부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광기(600)가 부착된 과녁에 총을 쏘는 게임으로 제 3 실시예이다. 여기서, 과녁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을 가지고, 센서 수광기(600)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수가 낮게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 관리부(350)는, 일대일 게임으로 진행되고, 센서 수광기(600)가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센서 수광기(600)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되었는지의 여부로 스코어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벌칙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이용될 수 있는데, 센서 수광기(600)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경우,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의 센서 수광기(600)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대방을 맞춘 경우, 격발감 및 타격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게임용 권총(400)과 제어 장치(미도시)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두 내장시킬 수 있다. 권총 게임이 방아쇠(트리거)를 당김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바로 게임용 권총(400)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공압으로 권총게임의 반동감을 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총알(레이저)을 맞는 사람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공압으로 타격감을 받을 수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수광기(600)가 복수로 구비되고, 업데이트부(360)는, 일대일 게임으로 진행되고, 센서 수광기(600)가 과녁에 분포된 경우, 복수의 센서 수광기(600)에 ID 및 점수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센서 수광기(600)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수광기(600)에서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경우, 레이저를 감지한 센서 수광기(600)의 ID를 추출하여 추출된 ID에 매핑된 점수로 스코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총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비가시 레이저를 사용함으로, 실재감을 주기 위해서는 빠른 시간 내에 타겟에 명중 유무를 파악해야 한다. 총을 격발했으나 명중 유무 파악이 느리다면 권총 게임의 흥미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속으로 비가시 레이저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수광기(600)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딜레이 없이 수행해야 하는데, IoT 환경에서 경쟁 윈도우를 대체하여 지연과 충돌율을 줄이도록 DSA(Deep Sleep Avoid)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DSA는,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다음 주기에서 임의의 단위 충돌구간(Collision Condition Range) 시간 배수만큼 늦게 웨이크업(Wakeup)하여 가용 채널 평가를 다른 송신자인 IoT 기반 노드와 엇갈리게끔 만드는 것이다. 만약 다음 주기에서 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초기 듀티사이클에서 이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고,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이 송신자는 마지막 늦게 기상(Deep Sleep)한 시간을 기준으로 듀티사이클을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실제 권총은 직진하는 레이저와는 달리, 권총의 기울기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방아쇠를 급작스럽게 당기는 급작사격을 하는 경우, 사수의 호흡이 불량한 경우, 명중을 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권총의 탄도곡선 때문인데, 권총에서 발사된 탄은 레이저와 같이 직선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탄도 곡선을 이루며 운동하는데 이 탄도곡선 때문에 권총의 미세한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에도 명중률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인지하지 못하고 레이저로 권총 게임을 하는 경우, 권총 게임에서는 명중을 잘했다고 할지라도 실제 소총 등을 이용하는 경우 명중률이 낮아진다.
우선 문제점을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권총에서 탄이 발사되는 순간이 언제인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권총의 방아쇠가 당겨져 총알이 발사될 때에는 빛과 열, 소음이 방출되는데, 트리거 신호를 통하여 정확히 이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격 조준 과정, 격발시, 격발 후의 세 단계를 구분하여 격발 단계에서 사수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권총이 격발되는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였다면, 권총의 기울기에 따른 실재감을 주기 위하여, 탄이 격발되는 그 순간에 권총이 좌우로 수평이 맞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게임용 권총(400)에 수평 센서를 더 부가하여 격발시에 권총의 기울기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각도를 단계별로 설정하고, 기울기가 클수록 센서 수광기(600)에 수광, 즉 명중을 했다고 할지라도,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점수를 깎거나 명중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다.
사수의 호흡 불량 문제도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호흡 모션 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호흡이 들이 마시는 중인지, 내뱉는 중인지를 파악하여 격발시에 사수가 호흡이 불량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역시 캘리브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은 오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조정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선, 실제 권총이 아닌 레이저 권총으로 줄어드는 실재감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오류를 늘리는 방향으로 조정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사격시에는 숨을 2/3정도 내쉰 후 멈춘 상태로 격발하도록 되어있다. 만약 호흡 센서가 격발시에 호흡 중, 즉 호흡 모션 센서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중일 때에는, 사수의 호흡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사격을 하는 순간에서 사수의 호흡 상태는 정지가 되어야 하므로 호흡 모션 센서는 변함이 없어야 한다. 이에, 호흡 상태가 진행중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으로 오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급작사격의 문제는 격발기(트리거)에 격발 모션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사수가 격발기를 부드럽게 당기는지, 아니면 빠르게 당겨서 권총이 흔들리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격발기를 당기는 모션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움직인다면, 격발의 문제가 아니지만 당기는 모션이 불규칙적이거나 갑작스럽게 된다면 그것은 격발 단계에서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레이저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게임용 권총(400)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경우, 그 순간이 권총을 격발한 순간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도 격발시를 알 수 있으므로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센서를 이용한 일 실시예를 보면, A 사수가 격발을 하였는데, 수평 센서는 변화가 없었다면, 권총의 수평을 잘 유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격발 모션 센서는 격발하는 순간에 증가한 경우에는, 사수는 격발시에 급작 사격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호흡 모션 센서에 변화가 없다면, 사수는 호흡을 안정하게 멈춘 상태로 사격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각종 센서들을 통합하여 그래프와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물론, 레이저가 발사되고 이를 센싱하는 값에 오류를 부가하는 경우, 실제 소총이나 권총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은 실재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상에 센서 수광기(600)를 AR 마커로 한 AR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 AR 콘텐츠를 HTML5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다운로드나 설치없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는 표준인데, 물론 다운로드나 설치를 수행해야 하는 플랫폼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HTML5의 표준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용 권총(400), 적어도 하나의 권총집(500), 센서 수광기(600), 및 알림장치(700)와 IoT 기반으로 연동하면서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다. 이때, (b) 알림장치(700)가 켜진 후 권총집(500)으로부터 탈거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정상모드, 즉 정상적인 경기로 진행하면 되는데, (c)와 같이 알림장치(700)가 켜지기도 전에 권총집(500)으로부터 탈거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파울모드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탈거신호를 출력시킨 권총집(500)과 연동된 게임용 권총(400)의 트리거를 제한하거나, 발사가 되더라도 무시하게 된다. 또, (d)와 같이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대일 게임 또는 솔로모드에서 과녁을 맞추는 경우, 중앙에 근접할수록 점수를 높게 부여하여 점수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격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시간간격을 측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어느 부분에서 속도가 느렸는지, 또는 빨랐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b)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대일 모드에서 각각에게 슈팅을 하는 경우, 그 점수를 확인하여 누적되도록 카운팅할 수 있다. 더불어,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AR 마커로 과녁을 이용할 수도 있고, AR 마커 상에 각각의 점수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AR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고, 슈팅 대상을, 예를 들어, 사람, 동물, 건물 등으로 변경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고(S5100),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S5200).
또,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정상모드인 경우 레이저를 조사하고, 감지된 파울(Foul)로 경고모드로 전환된 경우, 트리거(Trigger)의 입력유무에 관계없이 레이저 발사가 블록(Block)되는 게임용 권총;
    상기 게임용 권총이 거치되고, 상기 게임용 권총의 탈거 또는 탈착을 감지하는 탈착센서가 내장된 권총집;
    게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벨 또는 경광등을 턴 온(Turn On)시키는 알림장치;
    상기 게임용 권총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수광기; 및
    상기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연결부, 상기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상기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경고부, 상기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상기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상기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하는 벌칙부를 포함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벌칙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게임용 권총에 내장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로 동작시키는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대일 게임 외에 솔로모드(Solo Mode)로 게임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권총집으로부터 상기 게임용 권총이 탈거된 시각, 상기 센서 수광기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시각, 및 상기 센서 수광기에 레이저가 조사되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점수를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로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대일 게임으로 진행되고, 상기 센서 수광기가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센서 수광기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되었는지의 여부로 스코어를 기록하는 스코어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광기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일대일 게임으로 진행되고, 상기 센서 수광기가 과녁에 분포된 경우, 복수의 센서 수광기에 ID 및 점수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수광기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수광기에서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경우, 상기 레이저를 감지한 센서 수광기의 ID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ID에 매핑된 점수로 스코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센서 수광기를 AR 마커로 한 AR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AR 콘텐츠를 HTML5 기반으로 제공하는 증강현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단계;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되기까지 상기 권총집의 탈착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파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게임용 권총을 경고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장치에서 벨 또는 경광등이 턴 온된 후, 상기 게임용 권총의 레이저 조사로 상기 센서 수광기에 포지티브(Positive)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벌칙을 위한 벌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권총, 권총집, 알림장치, 및 센서 수광기를 IoT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권총집으로부터 상기 게임용 권총이 탈거된 시각, 상기 센서 수광기에 레이저가 모니터링된 시각, 및 상기 센서 수광기에 레이저가 조사되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점수를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00893A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93A KR102106031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93A KR102106031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031B1 true KR102106031B1 (ko) 2020-04-29

Family

ID=7046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93A KR102106031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4922A1 (en) * 2012-05-15 2015-12-10 Force Training Solutions, Inc.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13438A (ko) * 2016-07-29 2018-02-07 정우락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JP2019027661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941988B1 (ko) * 2017-10-16 2019-04-12 (주)케이티피테크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KR102059024B1 (ko) * 2018-02-27 2019-12-24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온오프라인 융합형 슈팅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4922A1 (en) * 2012-05-15 2015-12-10 Force Training Solutions, Inc. Firearm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13438A (ko) * 2016-07-29 2018-02-07 정우락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JP2019027661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941988B1 (ko) * 2017-10-16 2019-04-12 (주)케이티피테크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KR102059024B1 (ko) * 2018-02-27 2019-12-24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온오프라인 융합형 슈팅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057B2 (en) Automated game modification based on playing style
CN111773696B (zh) 一种虚拟对象的展示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US20190022531A1 (en) Automated tuning of computer-implemented games
EP2992938B1 (en) Dart game device, dart gam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315675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dart game match-up mode with virtual player
US20160166938A1 (en) Gaming platform utilizing a fraud detection platform
US20150057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ag game
JP2018535705A (ja) ダーツゲームのレッスンモード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4936664A (zh) 包括用于捕获飞镖游戏图像的图像捕获设备的飞镖游戏设备
US11351461B2 (en) Adaptive object placement in computer-implemented games
US20170100674A1 (en) Dynamic virtual environment customization based on user behavior clustering
EP3031501A1 (en) Offline match mak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8795080B1 (en) Gaming platform providing a game action sweep mechanic
KR20190127196A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야구 경기 실시간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106031B1 (ko)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42405B1 (ko) 승마 운동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N110102047B (zh) 游戏操作处理方法和装置、游戏效果展示方法和装置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US201900389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based mobile gaming
JP6843410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
KR20210115465A (ko) 인공지능 스마트 탁구 연습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454784B1 (ko) 비대면 온라인 기반 양궁경기 시스템
KR20180022740A (ko) 다트 게임에서 고유 특성이 할당된 가상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1000498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kinetic disasters
US98755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input detection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