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38A -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38A
KR20180013438A KR1020160097182A KR20160097182A KR20180013438A KR 20180013438 A KR20180013438 A KR 20180013438A KR 1020160097182 A KR1020160097182 A KR 1020160097182A KR 20160097182 A KR20160097182 A KR 20160097182A KR 20180013438 A KR20180013438 A KR 2018001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tal module
virtual reality
senso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219B1 (ko
Inventor
정우락
Original Assignee
정우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락 filed Critical 정우락
Priority to KR102016009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H04N13/04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MD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은 총 모듈에 장착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를 촬영하여 분석함으로써 파악하거나, 총 모듈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 진행 수단은 가상현실 화면을 출력하고, 방아쇠의 상태와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슈팅 게임을 진행한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고, 총 모듈을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게임장 등 전문적인 장비가 구비된 장소에 가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실감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움직임이나 기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바닥 판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역동적인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Apparatus for Shooting Game in Virtual Reality }
본 발명은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과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총 모듈을 이용하여, 가상현실에서 서바이벌 게임 등 다양한 슈팅게임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 하드웨어, 센서, 디스플레이 등의 발달로 가상공간 시뮬레이션과 인간-가상공간의 상호 작용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게임 분야에도 가상현실이 다양하게 접목되고 있다.
한편, 총 모형을 이용하는 슈팅 게임은 오래전부터 끊임없이 사용자들의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 분야 중 하나이다.
가상현실 세계와 접목되는 슈팅 게임에 있어서, 가상현실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단순히 총을 쏘기만 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총의 위치와 방향까지 감지하여 가상현실에 사실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전에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이용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여 개별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 성능이 뛰어난 모바일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과, 저렴한 HMD(Head Mounted Display)의 보급 등으로 인해 개별 사용자도 손쉽게 가상현실을 접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더욱 현실성을 높이고, 개별 사용자가 저렴하고 손쉽게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HMD(Head Mounted Display)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과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는 총 모듈을 이용하여, 현실감 높은 슈팅 게임을 처리할 수 있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는 HMD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며, 방아쇠의 상태를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총 모듈;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위치 확인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가상현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방아쇠의 상태와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을 통해 파악된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슈팅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총 모듈은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판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판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판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총 모듈에 장착된 이미지 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현재 촬영된 이미지 판의 이미지에 대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해당 위치 확인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총 모듈의 여러 위치와 방향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은 특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 수단은 현재 촬영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총 모듈의 종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총 모듈은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총 모듈의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는,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눌러 가상현실에서의 사용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각 센서의 상태를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 바닥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판의 센서는 동, 서, 남, 북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4개의 센서, 점프를 지시하기 위한 센서, 및 몸을 숙일 것을 지시하는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과 저렴한 총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글'의 카드 보드 등과 같이 매우 저렴한 HMD 장비가 시판되고 있으므로, 게임장 등 전문적인 장비가 구비된 장소에 가지 않더라도, 적은 비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감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움직임이나 기타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바닥 판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역동적인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시판되는 저가형 HMD에 관한 예,
도 3은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 판을 사용하는 실시예,
도 4는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
도 5는 위치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는 실시예,
도 6은 바닥 판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사용자는 머리에 HMD(Head Mounted Display, 10)를 착용한 후 손에 총 모듈(33)을 들고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진행한다. 즉, 사용자는 HMD(10) 내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화면(21)에 나타나는 가상현실 화면을 보면서 손에 든 총 모듈(33)을 이용하여 적에게 총을 쏘면서 슈팅 게임을 즐기게 된다.
HMD(10)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은 HMD(10)에 장착된다.
도 2는 '구글'에서 시판중인 종이로 만든 조립식 카드 보드 제품(10)에 스마트폰(20)이 장착되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게임이 시작되면 스마트폰(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가상현실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HMD(10)의 구조로 인해 주변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실감나는 가상현실 화면을 보게 된다.
모바일 단말(20)에는 게임 진행 수단(31)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게임 진행 수단(31)은 게임을 진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PC)로부터의 다운로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 마켓을 통한 설치, 게임 서버를 통한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될 수 있다.
게임 진행 수단(31)은 모바일 단말(20)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게임 서버와 연결되어 온라인으로 실행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게임 진행 수단(20)에 의해 진행되는 슈팅 게임의 구성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창작 아이디어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팅 게임은 사용자 홀로 가상의 적들과 대결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될 수도 있고, 복수 사용자가 가상 현실 공간에 함께 동시에 참여하여 서로 대결하는 서바이벌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30)는 게임 진행 수단(31), 위치 확인 수단(32), 및 총 모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총 모듈(33)은 종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태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총 모양일 필요도 없다.
총 모듈(33)은 기본적으로 방아쇠의 상태(사용자가 총을 쏘았는지를 알려 주는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총 모듈(33)은 방아쇠 센서(33-2), 및 블루투스나 와이파이(wifi) 등 각종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아쇠 센서(33-2)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33-1)을 구비할 수 있다.
방아쇠는 실제 총과 같이 당기는 형식뿐 아니라 터치 방식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방아쇠 센서(33-2)는 그에 맞게 방아쇠 조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수단(32)은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한다.
위치 확인 수단(32)은 총 모듈(33) 측의 요소와 모바일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요소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요소는 게임 진행 수단(31)의 일부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독립적 모듈로 구성되어 게임 진행 수단(31)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게임 진행 수단(31)은 모바일 단말(20)에서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화면(21)에 가상현실 화면을 출력하고, 방아쇠의 상태 및 위치 확인 수단(32)을 통해 파악된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슈팅 게임을 진행한다.
위치 확인 수단(32)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총 모듈(33)은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판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판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총 모듈(33)은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 판을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판 장착용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종이로 만든 권총 모양의 총 모듈(33)에 관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미지 판(33-6)을 장착하기 위한 이미지 판 장착부(33-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미지 판 장착부(33-5)에는 이미지 판(33-6)을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잘린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판 장착부(33-5)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판(33-6)은 종이나 플라스틱 등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판(33-6)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각각 다른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여러 이미지 판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판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판(33-6)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위치 확인 수단(32)은 모바일 단말(20)의 카메라를 통해 총 모듈(33)에 장착된 이미지 판(33-6)의 위치 확인용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자면, 위치 확인 수단(32)은 총 모듈(33)에 장착된 이미지 판(33-6)의 위치 확인용 이미지를 촬영하고(41),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한다(42). 여기서 특징정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이미지의 고유한 특징점들일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수단(32)은 단계 42에서 추출된 특징정보를 미리 실험적으로 파악하여 저장해 놓은 특징정보와 비교하여,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한다(43).
여기서, 미리 실험적으로 파악하여 저장해 놓은 특징정보란 위치 확인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여러 위치와 방향별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미리 추출해 놓은 특징정보를 말하며,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위치 확인용 이미지별로 각 위치와 방향에 대해 저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 판(33-6)이 장착된 총 모듈(33)을 움직임에 따라 모바일 단말(20)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다르므로, 각 특징점의 존재 여부, 특징점들 사이의 방향, 위치, 거리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미리 실험적으로 파악하여 저장해 놓은 특징정보들 중에서 현재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정보와 가장 유사한 특징정보를 찾으면,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판(33-6)의 위치 확인용 이미지를 이용하여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자면, 위치 확인 수단(32)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전체 이미지에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중심점을 찾고, 게임 진행 수단(31)은 가상현실 내에서 이 중심점의 위치에 총구가 위치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특징점 배열과 현재 입력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특징점 배열을 비교하여, 촬영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축소되었는지 아니면 확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같은 특징점 배열을 가지면서 축소되었다면 총이 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확대되었다면 총이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게임 진행 수단(31)은 가상현실 화면에서 사용자의 총을 멀어지도록 처리하거나(이미지 축소의 경우), 가까워지도록 처리(이미지 확대의 경우)할 수 있다.
이미지 판(33-6)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게임 진행 수단(31)은 현재 촬영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총의 종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 판(33-6)이 6 종류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현재 총 모듈(33)에 장착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가상현실 내에서 사용자가 소유한 총을 6가지 서로 다른 성능을 갖는 총들 중 하나의 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확인용 이미지는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게임 효과와도 연계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수단(32)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총 모듈(33)은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자면, 총 모듈(33)에는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방아쇠 센서(33-2) 이외에 자이로 센서(34-1)와 가속도 센서(34-2) 등이 구비되며, 무선통신모듈(33-1)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위치 확인 수단(32)은 총 모듈(33)의 자이로 센서(34-1)와 가속도 센서(34-2)에서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값을 분석하여 총 모듈(33)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한다.
한편,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30)는 사용자의 발 밑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바닥 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 판은 사용자가 게임 도중 발바닥으로 눌러 가상현실 내에서의 사용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각 센서의 상태를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바닥 판의 센서들은 사용자가 발 바닥으로 눌러 작동시킨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압력식, 접촉 버튼식, 전자식, 기계식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식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닥 판에 구비되는 센서의 개수, 각 센서에 대응하여 가상현실 내에서 어떤 움직임 효과를 적용할 것인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동, 서, 남, 북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4개의 센서(60-1, 60-2, 60-3, 60-4), 점프를 지시하기 위한 센서(60-5), 및 몸을 숙일 것을 지시하는 센서(60-6) 등 6개의 센서를 구비한 바닥 판(60)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사용자는 필요한 센서를 발로 밟아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자면, 바닥 판(60)은 무선통신모듈(33-1)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센서(60-1~60-6)의 상태를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한다.
그러면, 게임 진행 수단(31)은 바닥 판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가상현실 내의 사용자 움직임을 처리한다.
바닥 판의 형태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게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4개의 센서, 점프를 지시하기 위한 센서, 몸을 숙일 것을 지시하는 센서 등을 구비한 조이스틱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HMD 20: 모바일 단말
21: 디스플레이 화면 30: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31: 게임 진행 수단 32: 위치 확인 수단
33: 총 모듈 33-1: 무선통신모듈
33-2: 방아쇠 센서 33-5: 이미지 판 장착부
33-6: 이미지 판 34-1: 자이로 센서
34-2: 가속도 센서 60: 바닥 판
60-1~60-6: 바닥 판 센서

Claims (7)

  1. HMD(Head Mounted Display)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에 있어서,
    방아쇠의 상태를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총 모듈;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위치 확인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가상현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방아쇠의 상태와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을 통해 파악된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슈팅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 모듈은 위치 확인용 이미지가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판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판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총 모듈에 장착된 이미지 판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현재 촬영된 이미지 판의 이미지에 대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정보를 해당 위치 확인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총 모듈의 여러 위치와 방향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은 특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수단은 현재 촬영된 위치 확인용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총 모듈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 모듈은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 확인 수단은 상기 총 모듈의 각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총 모듈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눌러 가상현실 내에서의 사용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각 센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 바닥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의 센서는 동, 서, 남, 북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4개의 센서, 점프를 지시하기 위한 센서, 및 몸을 숙일 것을 지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KR1020160097182A 2016-07-29 2016-07-29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KR10188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82A KR101882219B1 (ko) 2016-07-29 2016-07-29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82A KR101882219B1 (ko) 2016-07-29 2016-07-29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38A true KR20180013438A (ko) 2018-02-07
KR101882219B1 KR101882219B1 (ko) 2018-08-24

Family

ID=6120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82A KR101882219B1 (ko) 2016-07-29 2016-07-29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421A (zh) * 2018-03-30 2018-09-11 福建幸福家园投资管理有限公司 提升混合现实与日常健康监测的方法
CN108744484A (zh) * 2018-05-15 2018-11-06 苏州妙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手机实现的模拟枪战游戏击中检测方法
KR102106031B1 (ko) * 2020-01-03 2020-04-29 임형순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98Y1 (ko) * 2012-02-01 2012-08-29 전형진 스크린 사격 게임 장치
JP2013218535A (ja) * 2012-04-09 2013-10-24 Crescent Inc 三次元モデリングされたcg画像内にcg画像化された手指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三次元モデリングされたcg画像を表示する広視野角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421A (zh) * 2018-03-30 2018-09-11 福建幸福家园投资管理有限公司 提升混合现实与日常健康监测的方法
CN108744484A (zh) * 2018-05-15 2018-11-06 苏州妙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手机实现的模拟枪战游戏击中检测方法
KR102106031B1 (ko) * 2020-01-03 2020-04-29 임형순 IoT 기반 센서를 이용한 슈팅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219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754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831064B2 (en) Position calculation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US8223120B2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249754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3756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493382B2 (en) Storage medium storing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program,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JP5780755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KR101366444B1 (ko)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US8764564B2 (en) Game system, gam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game device
JP5756299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KR101882219B1 (ko) 가상현실 슈팅 게임 장치
US10537814B2 (en) Screen coding methods and camera based game controller for video shoot game
CN112138383B (zh) 虚拟道具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2497543A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988549B2 (ja) 位置算出システム、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算出方法
EP2497544A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330823B (zh) 虚拟道具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301595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126110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ving position of target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
US8753207B2 (en) Game system, gam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game device
US8425319B2 (en) Direction control system, direction control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direction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CN109806594B (zh) 虚拟环境中的弹道显示方法、装置及设备
JP5912289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7919685A (zh) 基于按键和姿态的体感游戏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