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146B1 -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146B1
KR102449146B1 KR1020200024615A KR20200024615A KR102449146B1 KR 102449146 B1 KR102449146 B1 KR 102449146B1 KR 1020200024615 A KR1020200024615 A KR 1020200024615A KR 20200024615 A KR20200024615 A KR 20200024615A KR 102449146 B1 KR102449146 B1 KR 10244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vest
firearm
helmet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723A (ko
Inventor
박오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이음
Priority to KR102020002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6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하는 헬멧 장치,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를 광 표시하는 조끼 장치, 총기 형상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방아쇠 격발 동작에 대응되는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총기 장치,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게임값에 따라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고, 서바이벌 게임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게임 운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운영 장치는 플레이어 각각이 선택한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를 파악하여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생성한 후 제어 장치 각각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되는 헬멧 장치, 조끼 장치, 무기 장치를 식별한 후 개별 IOT 통신망을 형성 및 운영하며,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는 아이템 종류에 따라 외관 및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survival game}
본 발명은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 진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량을 최소화하고, 플레이어 취향을 반영하여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은 여러 명의 사람들이 안전한 전투 장비를 갖추고 모의 전쟁놀이를 하는 레포츠인데, 최근 들어 온라인 슈팅 게임의 게임 운영 방식을 서바이벌 게임에서 그대로 차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동일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바이벌 게임에 참여한 사람들이 센서가 부착된 헬멧과 레이저 총으로 무장하고, 상대편 팀원을 발견하는 순간 레이저 총으로 총을 쏴 맞히면 점수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만, 종래의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에서는 게임 운영 장치가 플레이어 장치내 센서 각각과 직접 통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시스템 통신 부하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을 오프라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 있어, 게임 운영의 편이를 위해 플레이어 모두가 동일 장비를 이용하여 게임 진행을 수행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온라인 게임에서는 플레이어의 취향을 고려하여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으나, 오프라인 상에서는 플레이어의 개인 취향을 전혀 반영할 수 없는 문제도 존재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레이어 장치 단위로 게임 운영 장치와의 통신함으로써, 시스템 통신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플레이어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운영 장치와 상호 연동되는 플레이어 장치는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하는 헬멧 장치;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를 광 표시하는 조끼 장치; 총기 형상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방아쇠 격발 동작에 대응되는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총기 장치; 및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게임 운영 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및 상기 총기 장치와의 IOT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고, 상기 IOT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센싱값에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며,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는 아이템 종류에 따라 외관 및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용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헬멧 장치는 플레이어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 및 상기 헬멧에 배치되어,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끼 장치는 플레이어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에 부착되어,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센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발광색을 가변함으로써, 플레이어 생명 에너지를 표시하는 LED 등화 모듈;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총격 충격을 재현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끼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총기 장치는 총기류 형상으로 구현된 총기 몸체; 상기 총기 몸체에 구비된 방아쇠의 격발 동작을 센싱 및 통보하는 방아쇠 센서; 상기 방아쇠 센서의 센싱 결과에 응답하여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총기 몸체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어 장치는 플레이어 위치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하는 위치 추적 장치를 추가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게임값과 상기 플레이어 위치 정보를 함께 상기 게임 운영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하는 헬멧 장치,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를 광 표시하는 조끼 장치, 총기 형상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방아쇠 격발 동작에 대응되는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총기 장치,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게임값에 따라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고, 서바이벌 게임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게임 운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운영 장치는 플레이어 각각이 선택한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를 파악하여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생성한 후 제어 장치 각각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되는 헬멧 장치, 조끼 장치, 무기 장치를 식별한 후 개별 IOT 통신망을 형성 및 운영하며,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는 아이템 종류에 따라 외관 및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센서 단위가 아니라 플레이어 장치로 단위로 게임 운영 장치와의 통신함으로써, 시스템 통신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레이어 장치를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로 기본 구성하나,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 각각의 아이템 종류를 플레이어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 각각의 개인 취향을 적극 반영한 게임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뿐 아니라,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의 조합에 따라 플레이어 장치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유지 관리 동작 또한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 단위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플레이어 장치 단위가 아닌 세부 구성 단위로 고장 장치를 확인 및 교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시스템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도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운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은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100), 및 게임 운영 장치(200) 등을 포함한다.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100)는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에 참여한 다수의 플레이어 각각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장치로, 서바이벌 게임 진행을 위한 게임 값을 획득 및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어 장치가 일체형 장치가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로 구분 구성되도록 하고, 이들 장치에 각종 센서를 내장시킴으로써 게임 진행을 위한 게임 값을 획득하도록 한다.
다만, 센서 각각에서 게임 운영 장치(200)에 센싱 값을 직접 출력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량이 센서 개수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플레이어 장치 단위로 게임 운영 장치(200)로의 정보 제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플레이어 각각이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여 장치 세부 구성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게임 몰입도 및 흥미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게임 운영 장치(200)는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이 제공하는 게임 값을 수신 및 처리하여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한다. 그리고 서바이벌 게임 진행 결과를 플레이어 장치(100)에 피드백함으로써, 플레이어 장치(100)가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에 상응하는 총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플레이어 장치가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로 기본 구성되나,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 각각의 아이템 종류가 플레이어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소속 팀 구별을 위해, 팀 단위로 헬멧 장치 및 조끼 장치의 아이템 종류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되, 총기 장치의 아이템 종류는 플레이어 각각의 개인 취향에 따라 모두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b)와 같이, 팀 리더 식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리더 플레이어의 헬멧 장치 또는 조끼 장치의 아이템 종류도 나머지 팀원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게임과 유사하게 플레이어가 자신이 원하는 헬멧, 조끼, 총기의 아이템 종류를 마음대로 선택 및 조합하여 플레이어 장치를 최종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플레이어 장치 단위가 아닌 세부 구성 단위(부품 단위)로 고장 장치를 확인 및 교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시스템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도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플레이어 장치, 특히 헬멧 장치와 조끼 장치를 전신 슈트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온라인 게임상 게임 캐릭터 외관을 그대로 반영한 플레이어 장치를 플레이어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게임 몰입도 및 흥미가 더욱 높아질 수도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플레이어 장치(100)는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 및 제어 장치(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헬멧 장치(110)는 플레이어의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111), 헬멧(111)에 배치되어, 플레이어 머리쪽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여 제어 장치(140)에 통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센서(112) 등을 포함한다.
조끼 장치(120)는 플레이어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121), 조끼(121)의 가슴 부위와 등판 부위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의 레이저 센서(122), LED 등화 모듈(123), 진동 모듈(124) 등을 포함한다.
레이저 센서(122) 각각은 플레이어 가슴 또는 등판쪽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 장치(140)에 통보한다.
LED 등화 모듈(123)는 제어 장치(140)의 제어하에 발광색을 수시 가변한다. 즉, 발광색을 통해 플레이어 생명 에너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백색광을 통해 정상임을, 주황색 광을 통해 총상 상태임을, 적색 광을 통해 다수 총상으로 인한 사망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진동 모듈(124)는 제어 장치(140)의 제어하에 총격 충격을 재현하는 진동을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 모듈(124)는 중량 충격을 발생할 수 있는 캠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의 구체적 구현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총기 장치(130)는 각종 총기류 형상으로 구현된 총기 몸체(131), 방아쇠 센서(132), 레이저 조사 모듈(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아쇠 센서(132)는 총기 몸체(131)에 구비된 방아쇠 부분에 위치되어, 압력, 접촉, 또는 소리 기반으로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한 후, 센싱 결과를 레이저 조사 모듈(133) 및 제어 장치(140)에 동시 통보한다.
레이저 조사 모듈(133)는 방아쇠 센서(132)의 센싱 결과에 응답하여 레이저를 전방 조사한다.
다만, 본 발명의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의 형상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 각각의 아이템 종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140)는 IoT 통신부(141),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 및 프로세서(143) 등을 포함한다.
IoT 통신부(141)는 게임 운영 장치(200)로부터 동일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되는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를 통보받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장치들과의 IOT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비콘,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게임 운영 장치(200)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프로세서(143)는 게임 운영 장치(200)에서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전송하면, 동일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될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를 식별한 후, 이들 장치로 구성되는 개별 IOT 통신망을 형성한다. 즉,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에 상응하는 세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어 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IOT 통신망을 통해 헬멧 장치(110), 조끼 장치(120), 총기 장치(130)의 센싱값을 수집하고 통합 분석하여 플레이어 게임값을 생성하고, 한 후 게임 운영 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때, 게임 값은 플레이어의 피격 부위, 공격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게임 운영 장치(200)의 원격 제어값이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플레이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게임 운영 장치(200)로부터 플레이어 생명 에너지를 통보받는 경우에는, LED 등화 모듈(123)의 발광색을 가변하여 플레이어 생명 에너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총기 장치(130)의 공격 세기를 조정하고, 게임 종료를 통보받았을 경우에는, 총기 장치(130)의 구동을 즉각 중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 장치(140)는 위치 추적 장치(144)를 추가 구비하여, 플레이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추적한 후, 이를 게임 운영 장치(200)에 추가 제공함으로써, 게임 운영 장치(200)가 플레이어 각각의 게임값 뿐 아니라 위치 값까지 추가 고려하여 게임 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운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게임 운영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 게임 환경 설정부(220), 게임 운영부(230) 등을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비콘,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100)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게임 환경 설정부(220)는 플레이어 등록부(221)와 플레이어 장치 구성부(222)등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등록부(221)는 게임에 참가하는 플레이어 각각의 이름과 소속팀을 등록한다.
플레이어 장치 구성부(222)는 플레이어 각각이 사용할 플레이어 장치, 그리고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등록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플레이어 장치 구성부(222)는 플레이어 각각이 자신이 사용할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의 아이템 종류를 직접 선택하면, 플레이어 선택 결과를 반영한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생성하여 다수의 제어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제어 장치가 해당 장치들을 식별하고 개별 IOT 통신망 다수개를 형성함으로써 플레이어 장치를 실제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레이어 장치(즉, 제어 장치)의 고유 통신 ID를 플레이어 이름에 매핑시킨 후, 이를 기반으로 플레이어 장치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플레이어 각각에 대응되는 플레이 장치가 등록 및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게임 운영부(230)는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이 제공하는 게임 값에 기반으로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고, 서바이벌 게임 진행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값을 생성한 후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에 피드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 단위가 아니라 플레이어 장치 단위로 게임 운영 장치(200)와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 장치(100)와 게임 운영 장치(200)간의 통신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온라인 게임과 동일하게 플레이어 각각이 플레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가 자신의 취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부 구성 단위로 부품 교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게임 운영 장치(200)는 플레이어 각각의 이름 및 소속팀을 입력받아 다수의 플레이어를 등록한다(S1).
그리고 게임 운영 장치(200)는 플레이어 각각이 선택한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를 파악한 후, 이에 대응되는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생성한 후 다수의 제어 장치 각각에 개별 통보한다(S2).
그러면 다수의 제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과 IOT 통신해야 할 장치들을 파악한 후, 이들과의 IOT 통신망을 형성함으로써, 플레이어 각각에 대응되는 플레이어 장치를 최종 구성한다(S3).
이러한 상태에서, 게임이 시작되면(S4), 다수의 제어 장치는 플레이어 장치내 센서들을 통해 게임 진행 상태를 실시간 센싱 및 분석함으로써, 다수의 플레이어 각각에 대응되는 게임값을 획득하여 게임 운영 장치(200)에 제공한다(S5).
그러면 게임 운영 장치(200)는 이들 게임값 모두를 수신 및 분석하여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고, 서바이벌 게임 진행 결과를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에 피드백한다(S6).
그러면 플레이어 장치(100) 각각은 서바이벌 게임 진행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플레이어 장치내 LED 등화 모듈, 방아쇠 센서, 레이저 조사 모듈 등의 동작 상태를 가변함으로써, 플레이어 각각이 서바이벌 게임 진행 결과를 실시간 인식하면서 게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7).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하는 헬멧 장치,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를 광 표시하는 조끼 장치, 총기 형상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방아쇠 격발 동작에 대응되는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총기 장치,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게임값을 획득함과 동시에 위치 추적 장치를 통해 플레이어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게임값과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게임값과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서바이벌 게임을 진행하고, 서바이벌 게임 결과에 따라 상기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게임 운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운영 장치는 플레이어 각각이 선택한 헬멧 장치, 조끼 장치, 총기 장치를 파악하여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를 생성한 후 제어 장치 각각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 장치 조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 플레이어에 의해 사용되는 헬멧 장치, 조끼 장치, 무기 장치를 식별한 후 개별 IOT 통신망을 형성 및 운영하며,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는 아이템 종류에 따라 외관 및 기능이 달라지며,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의 선택하에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및 상기 총기 장치의 조합을 달리하되,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및 상기 총기 장치의 조합을 통해 소속 팀을 구분하거나 팀 리더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플레이어 장치 각각은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하는 헬멧 장치;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플레이어의 생명 에너지를 광 표시하는 조끼 장치;
    총기 형상으로 구현되어, 플레이어의 방아쇠 격발 동작을 센싱 및 출력함과 동시에 방아쇠 격발 동작에 대응되는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총기 장치; 및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게임 운영 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및 상기 총기 장치와의 IOT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고, 상기 IOT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센싱값에 수집 분석하여, 상기 게임값을 획득 및 출력하며,
    상기 헬멧 장치, 상기 조끼 장치, 상기 총기 장치는 아이템 종류에 따라 외관 및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장치는
    플레이어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 및
    상기 헬멧에 배치되어, 플레이어 머리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장치는
    플레이어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에 부착되어, 플레이어 상체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센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발광색을 가변함으로써, 플레이어 생명 에너지를 표시하는 LED 등화 모듈;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총격 충격을 재현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끼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장치는
    총기류 형상으로 구현된 총기 몸체;
    상기 총기 몸체에 구비된 방아쇠의 격발 동작을 센싱 및 통보하는 방아쇠 센서;
    상기 방아쇠 센서의 센싱 결과에 응답하여 레이저를 전방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총기 몸체의 외관 및 기능이 아이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6. 삭제
KR1020200024615A 2020-02-27 2020-02-27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KR10244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15A KR102449146B1 (ko) 2020-02-27 2020-02-27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15A KR102449146B1 (ko) 2020-02-27 2020-02-27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23A KR20210109723A (ko) 2021-09-07
KR102449146B1 true KR102449146B1 (ko) 2022-10-04

Family

ID=7779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615A KR102449146B1 (ko) 2020-02-27 2020-02-27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765A (ja) * 2012-05-15 2013-11-28 Nobuhiro Takahashi サバイバルゲームの運営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サバイバルゲー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装備品セット
KR101941988B1 (ko) * 2017-10-16 2019-04-12 (주)케이티피테크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765A (ja) * 2012-05-15 2013-11-28 Nobuhiro Takahashi サバイバルゲームの運営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サバイバルゲー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装備品セット
KR101941988B1 (ko) * 2017-10-16 2019-04-12 (주)케이티피테크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23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1439B2 (en) Gaming device
US8550916B2 (en) Interactive game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a transceiver and transponder receptor
US846982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tag game
US89201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ardware in a motion capture environment
CN106964157A (zh) 射击模拟游戏系统
CN104697398B (zh) 激光模拟射击训练系统
WO2008147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jectile play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449146B1 (ko) 서바이벌 게임 지원 시스템
KR101664609B1 (ko) 서바이벌 게임 오프라인 시스템 및 이의 전사자 리스폰 방법
WO2018218496A1 (zh) 适用于真人cs游戏的可穿戴设备及系统
US11813537B2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KR20220076596A (ko) 체험형 게임 지원 시스템
US11092410B1 (en) Laser tag gam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20077797A (ko) 체험형 게임 지원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구현 방법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US11986739B2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77796A (ko) 스마트 고글 디바이스
CN212593914U (zh) 游戏装置
KR20230097391A (ko) 스마트 건 디바이스
KR20230081475A (ko) 스마트 슈트 장치
US11759717B2 (en) Extended-reality projectile-firing gam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81473A (ko) 스마트 헬멧 디바이스
WO2024015238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