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278B1 -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278B1
KR102091278B1 KR1020180097264A KR20180097264A KR102091278B1 KR 102091278 B1 KR102091278 B1 KR 102091278B1 KR 1020180097264 A KR1020180097264 A KR 1020180097264A KR 20180097264 A KR20180097264 A KR 20180097264A KR 102091278 B1 KR102091278 B1 KR 10209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ignal
information
damag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621A (ko
Inventor
김수범
김상훈
우태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ublication of KR2019012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6Aiming or laying means with rangefind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교전 장비는 레이저발사기; 레이저감지기; 통신모듈; 및 피해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감지기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신호판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에 제한 받지 않고 야전에서 실전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전차에 장착된 레이저거리측정기와 마일즈 장비의 레이저 감지기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교전처리 및 피해를 묘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DIRECT-FIRE DEVICES}
본 발명은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전적 전투훈련을 위해 운용되고 있는 마일즈(다중 통합 레이저 교전 체계,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MILES’) 장비의 레이저 감지기와 전차에 장착된 레이저거리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 를 상호 연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거리측정기는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으며, 발사 후 목표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를 감지하여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장비로서, 전차는 일반적으로 레이저거리측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마일즈 장비는 실전적 전투훈련을 위해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여 피격대상에 부착된 감지기를 통해 피해여부를 판단하는 장비로서, 마일즈 발사기와 마일즈 감지기로 나뉜다.
모의 교전이란 레이저 등을 구비한 장비를 이용해 가상 교전을 벌이면서 교전상황, 피해결과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가상훈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소총 등의 개인화기, 전차포, 수류탄 등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를 부착하고, 상대편에는 레이저 감지기를 부착하여, 실제 탄환 등에 의한 사격이 없어도 레이저의 발사와 감지를 통해 피격, 피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기에서 발사된 레이저를 수신한 사용자는 해당 무기에 의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001) (1) KR 10-1032124B1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특허문헌 002) (2) US 5,199,874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DIRECT-FIRE DEVICES WITH MILES)
(특허문헌 003) (3) KR 10-2014-0125504A (피해 정도를 측정하는 교전 훈련용 화기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001)은 마일즈 기능을 갖는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거리 측정에 의한 결과 정보, 화기정보, 피아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피폭자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허문헌 002)는 수류탄과 같은 방향가변성 간접화기의 마일즈 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음향수신기의 음향신호 생성·감지에 따른 마일즈 전원의 차단·연결에 관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003)은 교전 훈련용 화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RF 신호를 통해 실거리를 측정하여 피해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비용을 필요로 하는 마일즈 발사기와 유사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일즈 발사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 없이, 전차에 내장된 레이저거리측정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전차에 내장된 적외선 레이저거리측정기와 마일즈 감지기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실전적 전투훈련 효과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교전 장비는 레이저발사기; 레이저감지기; 통신모듈; 및 피해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감지기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신호판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신호의 정보는 상기 레이저 신호의 패턴 및 수신감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판단부는 상기 패턴의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과 일치하고, 상기 수신감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감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판단부가 상기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한 경우, 해당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은 피격, 피해처리 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상기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의 피격, 피해 여부에 관한 정보를 모의 교전 관리 서버 및 다른 모의 교전 참가 대상과 주고받을 수 있다. 피해표시기는 상기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의 피격, 피해 여부를 디스플레이, 기타 발광체에 의한 시각 정보, 스피커 등에 의한 청각 정보, 진동에 의한 감각 정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에 제한 받지 않고 야전에서 실전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전차에 장착된 레이저거리측정기와 마일즈 감지기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교전처리 및 피해를 묘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감지기의 구성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신호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장비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모의 교전 장비’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그 구성 및 동작을 기술하도록 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장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장비는 레이저발사기(110), 상기 레이저발사기(110)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레이저 신호가 유효한 신호인지 판단하는 레이저감지기(120), 상기 레이저 신호에 의한 피해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130), 및 상기 피해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피해표시기(1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감지기(120)의 구성도이다.
상기 레이저감지기(120)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1),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22), 및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신호판단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레이저발사기(11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미리 설정된 레이저 신호를 발사할 수 있다(S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발사기(110)는 소총, 기관총, 전차포, 미사일, 발칸포, 기타 직사화기 및 곡사화기, 수류탄, 크레모아, 기타 반경살상무기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화기에 의한 공포탄 발사나 기계적인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레이저 신호를 발사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신호는 상기 레이저발사기(110)가 부착된 화기의 종류, 상기 화기가 발사하고자 하는 탄의 종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감지기(120)는 상기 레이저발사기(110)가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감지기(120)는 병사, 전차, 헬리콥터, 각종 차량 등 모의 교전 참가 대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신호를 감지하여 피격, 피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저감지기(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121), 신호수신부(122), 신호판단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1)에는 설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1)에는 모의 교전에 사용되는 화기의 종류, 탄의 종류, 피격, 피해의 정도, 레이저 신호의 감도, 레이저 신호의 패턴 정보 등 모의 교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신호판단부(123)는 상기 신호수신부(122)가 수신한 신호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의 교전 장비가 발사한 유효한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S223). 즉, 상기 신호수신부(122)가 수신한 신호를, 신호판단부(123)가 유효한 신호인지 판단을 할 때, 데이터베이스부(121)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 신호인지 판단 할 수 있다(S223).
구체적으로 신호판단부(123)는 패턴비교(S221) 및 감도비교(S222)를 포함하는 단계를 거처, 상기 신호수신부(122)가 수신한 레이저 신호가 유효한 신호인지 판단(S223)할 수 있다.
도면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신호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패턴비교(S22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발사기(110)는 정보 전송을 위해 특정 패턴으로 각종 정보를 인코딩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발사기(110)는 n 개의 펄스를 가지는 레이저 신호에 각종 정보를 인코딩 하여 발사할 수 있으며, 상기 펄스 사이의 지연시간은 일정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발사기(110)가 발사하는 레이저 신호의 펄스 사이의 지연시간을 설정시간이라 한다. 신호판단부(123)는 신호수신부(122)가 수신한 임의의 레이저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수신된 상기 임의의 레이저 신호의 펄스 사이의 지연시간이 데이터베이스부(121)에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패턴이 일치한 것으로 판단한다(S221).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감도비교(S222)를 실시한다.
감도비교(S22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신호는 ① 파장 및 ② 거리, 즉 해당 레이저의 파장 및 레이저발사기(110)와 레이저감지기(120)간 거리에 의해 레이저의 수신 감도가 결정된다. 레이저감지기(120)가 레이저발사기(110)가 발사한 레이저 신호의 파장에 최적화된 감지기가 아닌 경우에는, 레이저감지기(120)가 수신된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기 위한 적정 감도를 도출할 수 있고, 이를 설정감도로 한다. 이때, 해당 화기의 사거리를 고려하여 설정감도를 정할 수 있다.
레이저감지기(120)의 신호판단부(123)는 신호수신부(122)가 수신한 상기 임의의 레이저 신호의 감도를 데이터베이스부(121)에 미리 설정된 설정감도와 비교한다. 수신 신호의 감도가 설정감도 이상인 경우, 상기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판단부(123)가 상기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한 경우, 해당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은 피격, 피해처리 될 수 있다.
도면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차에는 일반적으로 레이저거리측정기(119)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마일즈 장비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 이용되는 레이저를 레이저거리측정기(119)에 이용되는 레이저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레이저거리측정기(119)에 사용되는 레이저는 파장이 λ1이고(제1파장), 2개의 펄스로 정보가 인코딩 될 수 있다. 마일즈감지기(129)는 λ2 파장(제2파장)의 펄스 레이저에 저장된 정보를 디코딩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거리측정기(119)와 마일즈감지기(129)는 물리적으로 연동이 불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마일즈감지기(129)와 레이저거리측정기(119)를 연동하기 위하여, 마일즈감지기(129)의 ‘레이저 파장에 따른 감도 비율’을 고려한 적정 감도와 내장형 SW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이저거리측정기(119)와 마일즈감지기(129) 사이의 거리를 모의 교전에 필요한 임의의 기준 거리로 고정한 상태에서, ‘레이저 파장에 따른 감도 비율’을 고려하여 모의 교전에 필요한 적정 감도 및 내장형 SW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거리측정기(119)와 마일즈감지기(129)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보다 가까울 경우, 마일즈감지기(129)가 수신한 레이저 신호의 감도는 상기 적정 감도 보다 클 것이다. 왜냐하면 레이저 신호의 감도는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일즈감지기(129)가 수신한 임의의 레이저 신호의 감도가 상기 적정 감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임의의 레이저 신호를 발사한 레이저거리측정기(119)와 상기 임의의 레이저 신호를 감지한 상기 마일즈감지기(129)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준 거리 보다 가까운 것이고, 이 경우 상기 임의의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임의의 레이저 신호의 감도와 적정 감도를 비교함으로써, 기준 거리 내에서 모의 교전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저거리측정기(119)가 발사한 레이저는 2개의 펄스를 갖는 레이저로서, 상기 2개의 펄스 사이의 지연시간은 일정하고, 이 지연시간을 설정시간이라 한다. 나아가 레이저의 펄스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펄스가 3개 이상이 되어 지연시간이 2개 이상이 될 수 있고, 다수의 지연시간들이 여러 가지로 조합됨에 따라 레이저는 더 많은 정보를 내포할 수 있다.
마일즈감지기(129)는 임의로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펄스 사이의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설정시간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마일즈감지기(129)는 임의로 수신된 레이저 신호의 정보를 상기 설정감도 및 설정시간과 비교하여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레이저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고, 피격, 피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상기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의 피격,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모의 교전 관리 서버 및 다른 모의 교전 참가 대상과 주고받을 수 있다(S230). 상기 통신모듈(130)은 RF신호, 레이저 신호, 유선 신호 등으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피해표시기(140)는 상기 모의 교전 참가 대상의 피격,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타 발광체에 의한 시각 정보, 스피커 등에 의한 청각 정보, 진동에 의한 감각 정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S2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레이저 발사기
119 레이저거리측정기
120 레이저 감지기
121 데이터베이스부
122 신호 수신부
123 신호 판단부
129 마일즈감지기
130 통신 모듈
140 피해표시기
S210 레이저 발사 단계
S220 레이저 수신 단계
S221 패턴 비교 단계
S222 감도 비교 단계
S223 유효 신호 판단 단계
S230 피해 여부 통신 단계
S240 피해 표시 단계

Claims (4)

  1. 삭제
  2. 레이저 발사기;
    상기 레이저 발사기가 발사한 레이저를 감지하는 레이저 감지기;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피해표시기;를 포함하는 모의교전장비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감지기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신호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판단부는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의 정보는 상기 레이저 신호의 패턴 및 수신감도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설정정보는 설정시간과 설정감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판단부는 상기 패턴의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시간과 일치하고, 상기 수신감도가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감도 이상인 경우에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장비
  3. 레이저 발사기;
    상기 레이저 발사기가 발사한 레이저를 감지하는 레이저 감지기;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피해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피해표시기;를 포함하는 모의교전장비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감지기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신호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판단부는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수신된 상기 레이저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레이저 발사기는 전차에 장착된 레이저거리측정기이며,
    상기 레이저 감지기는 전차에 장착된 마일즈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교전 장비
  4. 삭제
KR1020180097264A 2018-04-26 2018-08-21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KR102091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8232 2018-04-26
KR1020180048232 201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21A KR20190124621A (ko) 2019-11-05
KR102091278B1 true KR102091278B1 (ko) 2020-03-19

Family

ID=6857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64A KR102091278B1 (ko) 2018-04-26 2018-08-21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2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93B1 (ko) * 2016-05-13 2016-08-17 김영준 마일즈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저빔 신호코드 검증 및 검출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77B1 (ko) * 2008-04-25 2011-01-14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직사화기 모사장치 및 표적장치와 이들을 포함하는직사화기 모사시스템
KR101038272B1 (ko) * 2008-08-14 2011-06-01 이교현 전차의 무탄 사격훈련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93B1 (ko) * 2016-05-13 2016-08-17 김영준 마일즈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저빔 신호코드 검증 및 검출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21A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6330B (en) Precision gunnery simulator system and method
US86168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fire shot event in a weapon
EP1007896B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KR100833162B1 (ko)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US8414298B2 (en) Sniper training system
US9057582B2 (en) Simulation system
US8678824B2 (en) Shoot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optical recognition system
US20070264616A1 (en) Structure of Detecting Device Used in Miles System and Gun Simulator
US20030027103A1 (en) Simulated weapon training and senso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6139323A (en) Weapon effect simulation method and appliance to perform this method
KR100914320B1 (ko) 곡사화기 모의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278B1 (ko) 모의 교전 장비 및 모의 교전 방법
JP2014145531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0409211B1 (ko) 유탄 발사기 레이저 교전훈련장비
EP0136915A2 (en) Area weapon simulation
KR20140125504A (ko) 피해 정도를 측정하는 교전 훈련용 화기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KR20120027772A (ko) 곡사화기 훈련용 정보처리단말기
EP1840496A1 (en) A shoot-back unit and a method for shooting back at a shooter missing a target
KR100947589B1 (ko) 화기 모의 장치 및 개인용 감지기
KR101371692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9862B1 (ko) 대인탄 모의 화기에 의한 피해를 모의하는 레이저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705079A (zh) 一种智能射击枪械及智能火炮控制系统
WO20232814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act detection in training
AU783018B2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