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641A -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641A
KR20010033641A KR1020007007160A KR20007007160A KR20010033641A KR 20010033641 A KR20010033641 A KR 20010033641A KR 1020007007160 A KR1020007007160 A KR 1020007007160A KR 20007007160 A KR20007007160 A KR 20007007160A KR 20010033641 A KR20010033641 A KR 2001003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uidized bed
discharge chute
dischar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560B1 (ko
Inventor
노보루 이치타니
이사오 하야시
미키오 무라오
Original Assignee
스기요 슈조
가와사키 쥬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요 슈조, 가와사키 쥬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요 슈조
Publication of KR2001003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분말입자형상의 원료를 건조시킴과 더불어 미세분말과 거친입자를 분급하기 위한 유동층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10)내의 유동층형성영역 아래쪽에 설치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과, 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 아래에 설치된 호퍼형상의 바람상자(16), 이 바람상자(16)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배출하기 위해 이 바람상자(16)의 하단부에 접속된 낙하물배출장치(29),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건조용 열풍 및 분급용 기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유동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람상자(16)에 접속된 가스공급계통(110), 상기 분말입자형상 원료를 투입하기 의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원료투입구(20), 건조된 거친입자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처리물배출슈트(24, 24b), 미세분말을 함유한 배출가스를 뽑아내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가스배출구(56)을 구비하고서, 상기 가스공급계통(110)이,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풍량을 조정해서 분급되는 입자의 직경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장치(111)와, 이 유량제어장치(111)에 의해 조정된 풍량에 대응해서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열풍오도를 조정해서 건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장치(112)를 갖추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동층 건조·분급장치{FLUIDIZED BED-CARRYING DRYING CLASSIFIER}
종래의 유동층 분급장치(流動層分級裝置)로는 일본국 특개평6 - 343927호 공보에 기재되어 개시된 것과 같이, 유동층을 형성하는 기체의 유속을 조정함으로써 분급입자직경(Freeboard 유속)을 조정하여, 유동층 내에 체류하는 굵은 입자와 유동층에서 프리보드(Freeboard)로 비산하는 미세분말로 분리해서, 굵은 입자를 유동층에서 배출하는 한편 미세분말을 함유한 배기가스를 프리보드에서 뽑아낸 다음 싸이크론 등으로 미세분말을 분리하도록 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평6 - 343927호 공보에는 굵은 입자를 유동층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Discharge chute)에 분급용(分級用) 보조기체를 공급해서 분급직경 이하인 미세분말이 배출슈트내로 혼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상기 공보에는 유동층내의 온도를 검출해서, 검출온도가 원료를 건조시키기에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유동층을 형성하는 기체를 가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석탄이나 슬레그(Slag)와 같은 원료를 유동층을 이용해서 처리하는 경우, 석탄이나 슬레그와 같은 입자는 대단히 폭넓은 입도분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스분산판의 아래쪽에서 유동화기체(流動化氣??)를 분출시켜 유동층을 형성시키더라도 유동화되지 않는 큰 입자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5 - 71875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유동화되지 않은 큰 입자를 이송하기 위해 가스분산판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히 위쪽으로 가스를 분출시켜 굵은 입자가 점프대(Jumping board)를 뛰어넘도록 한 유동층장치도 알려져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6 - 281110호 공보에는, 유동층로(流動層爐)의 가스분산판 중앙부의 바닥부분에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에 바람상자(Wind box)를 관통하는 대괴배출슈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를 한 유동층으로부터 큰 입자가 배출하도록 구성된 대괴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유동층장치로서는 캡형(Cap type)과 다공판형(多孔板型)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일본국 특개평6 - 287043호 공보에는, 유동층조립로(流動層造粒爐; Fluidized-bed granulating furnace)의 가스분산판 아래에 유동층소성로를 설치하고서, 유동층조립로의 유동층에 면한 낙하구를 통해 조립물(造粒物)을 유동층소성로로 투입함으로써 시멘트 크링커를 소성하게 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낙하구에서 유동층조립로 내로 가스를 불어넣기 위한 통풍수단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낙하구에 로본체의 옆쪽에서 출입하여 낙하구의 개구면적을 증감조정하도록 된 분급게이트(分級 Gate)가 설치되어, 낙하구에서 낙하하는 입자에서 미세분말이 분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평6 - 343927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동층 분급장치에서는 분급입자의 직경을 조정하기 위해 유동화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유동화기체의 유량(가스유량)이 변하면 원료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도 달라지기 때문에 바라는 건조도(乾燥度)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게 된다. 즉, 가스유량과 열풍온도를 상호 관련지우지 않고 개별적으로 독립해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급입자직경과 건조도를 함께 조정할 수가 없었다. 또, 굵은 입자의 배출슈트에 분급용 보조기체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분급입자직경 이하의 미세분말을 분리하기에 충분한 2차분급효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또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을 마모나 부식 등으로 교체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 하게 된다. 그리고, 원료의 입도분포가 넓어 큰 덩어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료투입구 바로 아래 근방에 큰 덩어리가 정체하게 됨으로써 유동화가 정지되기에 이를 염려가 있게 된다.
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캡형 가스분산판은, 입자가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 커서 큰 덩어리가 이동하지 않고 정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입도분포가 넓은 입자를 취급하는 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 캡이 마모되거나 노즐이 막히는 것도 문제로 된다. 한편,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은, 이를 분출의 균일성이나 노즐 사이의 입자가 움직이지 않는 부분, 슈트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잘만 설계하면 다소 큰 덩어리가 포함되더라도 전량을 유동화할 수가 있어서, 캡의 마모나 노즐의 막힘에 대해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다공판에서 처리물이 비교적 많이 낙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낙하물이 바람상자에 쌓인다고 하는 문제도 있게 된다.
또, 상기 특개평5 - 71875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대단히 빠른 유속으로 기체를 분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크고 가스분산판이 마모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서, 이를 교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된다. 더구나, 가스분산판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보수하기가 복잡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 기체의 분출속도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최대 입자직경이 결정되기 때문에, 대괴(大塊)가 가스분산판위에서 정체될 수가 있어 장치의 운전이 정지되기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거친입자를 확실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유동층의 유속도 빠르게 할 필요가 있어서 미세분말의 비산량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 상기 특개평6 - 281110호 공보에 기재된 대괴를 가스분산판 및 바람상자의 중앙부를 관통해서 배출시키는 형식으로 된 것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대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가 없어, 결국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괴가 쌓여 유동층 자체의 유동화가 나빠지게 된다.
또, 특개평6 - 287043호 공보에 기재된 유동층조립로의 바닥부에 분급게이트(분급 gate)를 설치하는 방식은, 조립로의 바닥부로부터 입자를 부유시켜가면서 분급배출하는 방식으로서, 미세분말의 분급에서는 분급가스의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입자가 한꺼번에 슈트내의 분급부에 유입되어 분급부가 충전되고 말아 분급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석탄이나 슬레그와 같이 폭넓은 입도분포를 가진 원료를 유동층을 이용해서 건조시킴과 더불어 분급되도록 할 때 양호하고 안정된 유동층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건조도와 분급입자직경을 함께 조정할 수가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해서 값이 싸고 안전하여, 운전과 유지보수하기가 쉬운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대상물인 거친입자에 미세분말이 혼입되는 것을 대폭 감소시켜 분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처리물에 큰직경입자가 혼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석탄이나 슬레그와 같이 입도분포(粒度分布)의 폭이 넓은 원료를 열풍으로 건조시킴과 더불어 풍력으로 분급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유동화가스의 가스량과 분급입자직경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유동화가스의 가스량을 매개변수(Parameter)로 해서 장치입구의 가스온도와 건조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상에 라이너를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산장치에 있어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상에 라이너를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확대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
도12는, 도11에서의 처리물배출부 주위의 평단면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처리물배출부 주위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설명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는, 분말입자형상을 한 원료를 건조시킴과 더불어 미세분말과 거친입자를 분급하기 위한 유동층을 형성시키도록 된 장치로서, 본체 내의 유동층 아래쪽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이 설치되고서, 이 가스분산판 아래에 호퍼형상의바람상자가 설치되고, 이 호퍼형상 바람상자의 하단부에는 바람상자내로 낙하물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낙하물배출장치가 접속되는 한편, 상기 바람상자내에는 건조용 열풍 및 분급용 기체로 역할하는 유동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계통이 바람상자의 측부에 접속되며, 본체의 한쪽 끝에 분말입자형상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구가 갖춰지는 한편 본체의 다른쪽 끝에는 건조된 거친입자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트가 갖춰지고, 상기 가스배출계통에는, 바람상자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풍량을 조정해서 분급입자직경(프리보드풍속에 상당)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장치와, 조정된 풍량에 대응해서 바람상자 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열풍온도를 조정해서 건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장치가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낙하물배출장치는 낙하물의 낙하량에 따라 단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구조가 되어도 좋고, 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재질로는 부식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예컨대 SUS304 등의 스테인레스강 같은 것이 쓰여지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 원료투입구 바로 아래 근방에서의 유동층 아래쪽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에, 유동층 공탑속도(流動層空塔速都)와 유동화개시속도가 같아지는 입자직경 이상의 큰 입자를 배출하기 위한 대괴배출장치가 접속되는 것이 좋다(도 4 참조). 이 경우, 유동층 공탑속도와 유동화개시속도가 같아지게 되는 입자직경 이상으로 큰 입자가 처리량의 8wt% 이상, 바람직스럽기로는 3wt% 이상으로 되었을 때 대괴배출장치를 써서 이 큰 입자(대괴)를 배출하도록 하면 확실하게 안정된 유동층이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의 본 발명에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 위에다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교체가능 라이너(Liner)를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라이너의 재질로는 마모뿐 아니라 부식 등도 방지하는 관점에서 예컨대 SUS304 등의 스텐레스강 같은 것이 쓰여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배출슈트 쪽의 단부근방에 둑(堰; Dam)을 설치해서 이 둑을 넘어 미세분말을 빨아올려 본체 내로 되돌리기 위한 분급가스 도입노즐을 배출슈트에다 접속시키는 것이 좋다.
또, 이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배출슈트 쪽 단부근방에 둑을 설치함과 더불어, 이 둑의 위쪽에 둑과의 사이 공간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분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급판을 설치해서, 둑과 분급판 사이에 가스를 통과시켜 미세분말을 본체 내로 되돌리기 위한 분급가스 도입노즐을 배출슈트에다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슈트의 배출부 위쪽의 천장부분 높이를 적절히 설정하게 되면 분급판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 장치에서, 둑과 분급판 사이 공간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급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둑과 분급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은데, 둑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종류에 맞도록 둑의 높이 즉 유동층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본 발명 장치에서, 둑과 분급판 사이 공간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분급판의 높이 및 각도 중 어느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은데, 이렇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플랩형(Flap type) 분산판으로 해서 가장 적절한 2차분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한편, 플랩형 분산판을 쓰는 경우에는 분급판을 하단부가 본체내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면 하강하는 분말을 본체내로 되돌릴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둑의 하단부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상부면 사이에 대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간극(Slit)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슈트의 다공판형 가스분산판 쪽에 대괴배출슈트가 형성되도록 배출슈트의 내부를 칸막이벽으로 분할해서, 이 배출슈트의 측부에 대괴배출슈트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이 유동화가스 도입노즐에서 취입되는 유동화가스의 유속은, 유동층에서의 유동화개시속도 Umf의 1 ~ 3배, 바람직하기로는 1.5 ~ 2배가 되도록 한다. 유동화개시속도가 상기의 하한 값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대괴가 이동하기 어렵게 되는 한편, 유동화개시속도가 상기의 상한 값을 넘는 경우에는 배출슈트내와 유동층내의 입자혼합이 심하게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써 대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 본 발명 장치에서, 배출슈트의 배출부에 인접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 쪽에 대괴배출부를 설치하고서 이 대괴배출부에 대괴배출슈트를 접속하는 한편, 이 대괴배출슈트의 측부에 대괴배출슈트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서, 배출슈트의 다공판형 가스분산판 쪽에 대괴배출슈트가 형성되도록 배출슈트 내부를 칸막이벽으로 분할하고, 이 대괴배출슈트의 측부에 대괴배출슈트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을 설치하는 한편, 대괴배출슈트의 하부에 경사부를 형성시켜 이 경사부의 바닥쪽 칸막이벽의 적어도 일부가 거름망구조를 하도록 하고서, 배출슈트내에서 이 거름망구조의 아래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공간부형성용 칸막이벽을 설치하여, 대괴배출슈트내로 들어온 작은직경의 입자가 상기 공간부로 낙하해서 배출슈트로 되돌려지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본 발명 장치에서, 칸막이벽의 상단을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상부면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예를 들어 슬래그를 처리하는 경우, 슬래그의 제품(거친입자)은 입자직경이 2 ~ 3mm이고, 대괴는 80 ~ 100mm인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대괴가 거친입자의 배출슈트로 들어가지 않도록 칸막이벽의 상단을 가스분산판의 상부면 보다 100 ~ 200mm 정도 높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1) 바라는 분급입자직경이 되도록 유동화가스의 풍량을 조정한 후 그 풍량에 대응해서 바라는 건조도가 얻어지는 열풍온도를 연산해서 제어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유동층을 유지할 수 있는 유동화가스유속으로 조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건조도와 분급입자직경을 함께 조정할 수 있게 된다.
(2)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자가 이동하지 않게 되는 부동부(不動部)나 입자의 정체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양호하고 안정된 유동층이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싸고 마모나 막힘이 없어 유지보수하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한, 거친입자를 이송하기 위한 높은 분출속도가 요구되지 않아 분산판의 압력손실이 적게 되고, 유동층의 유속이 느려도 되므로 미세분말의 비산량도 적게 된다.
(3)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은 균일한 유동층을 형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서 싼값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이 마찰되도록 구성된 경우 등에 있어서는, 라이너를 착탈될 수 있게 부착하는 구조가 되도록 하면 유지보수하기가 훨씬 쉬워지게 된다.
(4) 바람상자가 호퍼형상으로 됨과 더불어, 바람상자내로 들어온 낙하물배출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상자내에 낙하물이 쌓이는 일이 없어 안전하고, 유동층도 안정될 수 있게 된다.
(5) 큰 입자나 대괴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도, 원료투입구 바로 아래 근방에 대괴배출장치가 설치되어 큰 입자 등의 일부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서 전체량을 유동화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항상 안정된 운전을 계속할 수가 있게 된다.
(6) 입자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단부에 설치된 둑을 넘어 처리물배출슈트로 배출되면서 이 처리물배출슈트로 분급가스가 도입되도록 한 경우에는, 처리물배출슈트로 취입된 분급가스에 의해 미세분말이 본체내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처리물인 거친입자에 미세분말이 혼입되는 것이 대폭 줄어들게 됨으로써 분급성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7) 둑의 위쪽에 분급판을 설치하고서 둑의 높이나 분급판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의 높이 및 분급판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분급판과 둑 사이 공간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가 있어서, 처리물배출슈트로부터 본체쪽으로 유출되는 가스의 유속을 변화시켜 분급량을 변화시킬 수가 있게 되어 분급효율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8) 처리물배출부쪽에 대괴배출슈트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처리물인 거친입자로 대괴가 혼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 가스분급판 및 바람상자를 관통해서 대괴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종래의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대괴배출슈트가 바람상자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가스로 고온의 가스를 쓰는 경우에도 고온가스에 장시간 닿지 않게 됨으로써 훨씬 더 안전하게 된다.
(9) 유동층내로 투입된 대괴는 최종적으로 배출단부 부근에 모아지기 때문에 대괴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대괴배출슈트의 하부에 금망(金網) 등으로 구성된 거름망구조가 갖춰진 경우에는, 대괴배출슈트에 대괴와 함께 유입된 보통입자(처리물)가 입자배출슈트쪽으로 되돌려져, 대괴에 처리물이 혼입되는 것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대괴만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변경해서 실시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나타내어져 있듯이 본체(10)내의 하부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이 설치되고서, 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위쪽에 피처리물인 투입원료(일례로 습윤한 분탄)가 유동매체로 되는 유동층(14)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아래쪽에는 종단면이 대략 역삼각형으로 되어 바닥이 개구시켜진 형상의 호퍼형상을 한 바람상자(16)가 설치되고, 이 호퍼형상 바람상자(16)의 하단부에 이 바람상자(16)내로 떨어진 입자를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낙하물배출기(28)와 낙하물배출슈트(18)로 이루어진 낙하물배출장치(29)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유동층(14) 위쪽의 본체 한쪽 단부에는 피처리물인 분말입자형상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구(20)가 설치되는 한편, 유동층(14)의 다른쪽 단부에는 건조된 거친입자형상의 처리물을 배출하기 위한 처리물배출슈트(24)와 배출기(30)로 이루어진 처리물배출장치(31)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출기(28, 30)로는 게이트뎀퍼(Gate damper)나 로터리피더(Rdtary feeder), 캠기구를 이용해서 개폐되는 배출기, 균형추(Balance weight)를 이용해서 개폐되는 배출기 등이 쓰여지게 된다.
상기 낙하물배출슈트(18)와 처리물배출슈트(24)는 운반기(運搬機; 32)에 접속되어 이 운반기(32)의 한쪽 끝에서 처리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운반기(32)로는 스크류컨베이어나 밸트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 등이 쓰여지게 된다.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건조용 열풍 및 분급용 기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유동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바람상자(16)의 측부에 가스공급계통(110)이 접속되어 있는바, 이 가스공급계통(110)은,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풍량을 조정해서 분급입자직경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장치(111)와, 이 유량제어장치(111)에서 조정된 풍량에 대응해서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열풍온도를 조정하여 건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장치(112)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1에 도시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원료투입구(20)에 습윤탄(濕潤炭)과 같은 분말입자형상의 원료(피처리물)를 투입함과 더불어 가스공급계통(110)에 의해 바람상자(16)로 유동화가스를 공급한다. 이 유동화가스는 피처리물의 유동층(14)을 형성하기만 하지 않고, 피처리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풍력분급하는 데도 쓰여지게 된다.
유동화가스는, 연료와 연소용 공기를 열풍로(熱風爐) 등의 가열기(34)로 공급해서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열풍이 발생하도록 하는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열풍을 공기 또는 건조·분급처리 후의 배출가스와 같은 보조기체를 이용해서 희석하여 온도를 낮춰 예컨대 약 250 ~ 400℃의 온도를 가진 열풍으로 바람상자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프리보드온도가 예컨대 50 ~ 80℃이고, 열풍온도는 예컨대 250 ~ 400℃이며, 보다 정확히는 원료투입량과 목표건조도(△수분) 등에 따라서도 유량이나 온도가 변할 수 있게 된다. 희석용 보조기체로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등에서 나오는 배출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석탄의 습도를 조절할 때도 유동화가스 중의 산소농도가 낮기 때문에 안전하다. 한편, 도1에서 참조부호 36은 공기팬(空氣 fan)이다. 가열기(34)로는 열풍로와 같은 직접가열기 외에 간접가열기를 쓸 수도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에 도시된 장치에서 건조도와 분급입자직경을 함께 제어하려 할 때 분급입자직경은 프리보드유속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바라는 분급입자직경이 되도록 프리보드유속의 값을 연산장치(38)로 입력해서, 압력계(40)에서 계측된 프리보드(42)의 압력과 온도계(41)에서 계측된 프리보드(42)의 온도 및 온도계(44)에서 계측된 유동화가스의 온도로부터 체적환산(??積換算)해서 바람상자(16)로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의 풍량을 연산하게 된다. 이 연산장치(38)에서 연산된 유량값은 유량지시조절계(Flow rate indicating controller; 46)로 출력되어 이 유량지시조절계(流量指示調節計; 46)에 의해 유량제어밸브(48)가 조절되어, 바라는 분급입자직경으로 되도록 하는 풍량의 유동화가스가 바람상자(16)로 공급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동화가스의 가스량과 분급입자직경과는 직선관계에 있고, 분급입자직경이 0.3mm로 되는 가스량을 100%(프리보드유속은 약 1.5m/s)라 하게 되면 유동화가스의 가스량이 50 ~ 150%에서 분급입자직경이 가스량의 값에 비례하게 된다.
그리고, 유량지시조절계(46)로부터의 유량값과 온도지시조절계(溫度指示調節計; 50)에서 측정된 바람상자(16)로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의 온도값을 연산장치(52)로 입력하고, 입구수분(투입원료의 수분량)과 출구수분(처리물의 수분량)과의 차이가 바라는 건조도로 되도록 건조도와 원료투입량의 값을 연산장치로 입력해서, 유동화가스의 풍량에 대응해서 바라는 건조도가 얻어지는 열풍온도의 값을 연산한다. 연산장치(52)에서 연산된 열풍온도의 값에 이해 가열기(34)로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제어밸브(54)가 제어되게 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동화가스의 가스량(도2에서의 80%, 100%, 120%)에 따라 바라는 건조도(입구수분 - 출구수분)이 얻어지는 가스온도의 값이 달라져, 가스량이 많을수록 같은 건조도를 얻는데 필요한 가스온도는 낮게 된다.
바라는 분급입자직경 및 건조도로 되도록 풍량 및 온도가 조정된 유동화 가스는 바람상자(16)으로 공급된 다음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서 분출되어 피처리물을 유동화해서 건조시킴과 더불어, 분급입자직경 이하인 미세입자를 프리보드(42)로 비산시켜 배출가스와 함께 가스배출구(56)에서 배출시키는 한편, 분급입자직경 이상인 거친입자를 처리물(제품)로 해서 처리물배출장치(31)에서 배출시킨다. 한편, 가스배출구(56)에서 배출된 미세분말을 함유한 배출가스는 사이클론이나 백필터(Bag filter)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집진기로 도입되어 미세분말이 포집되어 분리되게 된다. 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분출구멍을 통과해서 낙하한 입자는 낙하물배출장치(29)에서 배출되게 된다. 낙하물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낙하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낙하물을 단속적으로 배출시켜도 된다. 낙하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출기(28)를 연속해서 작동하도록 해놓는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내의 하부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이 설치되고서, 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위쪽에 피처리물인 투입원료가 유동매체로 되는 유동층(14)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아래에는 호퍼형상의 바람상자(16)가 설치되고서, 이 호퍼형상 바람상자(16)의 하단부에 이 바람상자(16)내로 낙하한 입자를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낙하물배출기(28)와 낙하물배출슈트(18)로 이루어진 낙하물배출장치(29)가 접속되어 있다.
유동층(14) 위쪽의 한쪽 끝에는 원료투입구(20)가 설치되고서, 이 원료투입구(20)의 바로 밑 근방에서의 유동층(14) 아래쪽에 있는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 대괴배출슈트(22)와 배출기(26)으로 이루어진 대괴배출장치(27)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기(26)로는 게이트뎀퍼나 로타리피더, 캠기구를 이용해서 개폐하게 되는 배출기, 균형추를 이용해서 개폐하게 되는 배출기 등이 쓰여지게 된다. 한편, 유동층(14)의 다른쪽 끝에는 처리물을 배출하기 위한 처리물배출슈트(24)와 배출기(30)로 이루어진 처리물배출장치(31)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괴배출슈트(22)와 낙하물배출슈트(18) 및 처리물배출슈트(24)는 수송기(32)에 접속되고서, 이 수송기(32)의 한쪽 끝에서 대괴를 포함한 처리물이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괴배출슈트(22)를 수송기(32)에다 접속시키지 않고서 대괴만 별도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도4에 도시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서 분출되는 유동화가스에 의해 피처리물의 유동층(14)가 형성됨과 더불어 피처리물이 건조되어, 대괴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대괴낙하용 개구로부터 대괴배출장치(27)에 의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건조된 처리물은 처리물배출장치(31)에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이 사이에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분출구멍을 통과해서 낙하한 입자는 낙하물배출장치(29)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피처리물 중의 대괴를 배출하기 위해, 유동층부 공탑속도와 유동화개시속도가 같아지는 입자직경(건조된 석탄인 경우는 10 ~ 15mm) 이상의 입자가 처리량의 3 ~ 8wt% 이상이 되면 대괴배출장치(27)이 작동되게 된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5 및 도6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너를 부착시킨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위쪽에 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너(57)가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즉,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분출구멍(58)에 대응하는 작은구멍(60)을 가진 라이너(57)가 다수의 작은 조각으로 분할되고서, 이들 분할된 라이너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상에서 상기 분출구멍(58)과 작은구멍(60)이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평두볼트(Flat head bolt) 등으로 고정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도5에서의 참조부호 64는 분할선이다.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서의 입자배출장치의 구성에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리물배출슈트(24a)의 측부로서 바람상자(16)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분급가스 도입노즐(66)이 설치됨과 더불어, 처리물배출부(68)에서의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단부(입자의 이동방향 뒤쪽 단부) 근방에 둑(Dam, 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둑(70)의 하단부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상부면 사이에는, 대괴 또는 큰직경입자가 포함된 경우에 이 대괴 또는 큰직경입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간극(7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처리물배출부(68) 위쪽의 본체(10)의 천장(74)에, 상기 둑(70)과의 사이 공간(76)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분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급판(78)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 둑(70)과 분급판(78)은 각각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1도 함께 참조하면서, 도7에 도시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에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미세분말이 포함된 입자로 이루어진 피처리물을 원료투입구(20)에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상으로 투입함과 더불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서 가스를 분출해서 입자를 유동화시켜 유동층(14)이 형성되도록 하면, 미세분말을 함유하는 배출가스와 거친입자로 분급되어져, 거친입자가 제품으로서 처리물배출부(68)에서 처리물배출슈트(24a)를 거쳐 빠져나가게 된다.
또,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a) 측부의 분급가스 도입노즐(66)로부터 바람상자(16)내의 유동화가스(바람상자가스)의 일부를 분급가스로 도입한 다음, 이 도입가스를 둑(70) 위쪽의 공간(76)에서 본체(10)내의 프리보드(42)로 분출시켜, 본체(10)의 측벽면(80) 부근을 하강하는 미세입자(82)가 처리물배출부(68)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함과 더불어, 둑(70)을 넘어오는 입자 중으로 도입가스를 통과시켜 입자가 분산되도록 하여 미세분말이 본체(10)내로 되돌려지도록 함으로써 분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둑(70)의 높이를 조정한다. 또, 피처리물 중에 함유된 대괴 또는 큰직경입자의 크기에 따라 둑(70)의 아래쪽 간극을 조절한다. 그리고, 공간(76)의 횡방향 단면적을 변화시켜 가스의 유속이 최적상태가 되도록 분급판(78)의 높이(하단부의 위치)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상자가스의 일부를 처리물배출슈트(24a)내로 도입되는 가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8은, 처리물배출슈트(24a)의 측부에다 바람상자(16)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분급가스 도입노즐을 설치하는 대신, 처리물배출슈트(24a)의 측부에다 바람상자(16)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분급가스 도입노즐(66a)을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본 예에서는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N2가스, 공기, 연소배기가스와 같은 분급가스의 유속 및 유량을 예컨대 댐퍼(Damper; 84)와 같은 유량제어밸브로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7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9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급판을 설치하는 대신, 분급판이 각도가 조정될 수 있는 회전식 플랩형 분급판(78a)으로 구성되어 공간(76)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분급판(78a)이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부가 본체(10)내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분급판(78a)상에 하강하는 미세입자(82)가 올려놓아져 본체(10)내로 되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역시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7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10은, 처리물배출슈트(24a)의 측부의 바람상자(16)의 바깥에 위치하는 부위에 분급가스 도입노즐(66a)이 설치됨과 더불어, 분급판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플렙형 분급판(78a)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기타의 구성과 작용은 도7 ~ 도9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도5 및 도6에 도시된 교체가능한 라이너를 부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1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서의 입자배출장치의 구성에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리물배출슈트(24b)의 내부가,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 쪽에는 대괴배출슈트(86)가, 본체(10)의 단부쪽에는 입자배출슈트(88)가 각각 형성되도록 칸막이벽(90)으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칸막이벽(90)이 대략 배출하단부까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11 및 도 12에서 참조부호 92는 대괴배출부(대괴배출구)이다. 그리고, 상기 대괴배출슈트(86)의 측부에는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대괴배출슈트(86)에는 대괴배출기(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고, 상기 입자배출슈트(88)에는 입자배출기(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어져 있다.
다음에는 도1를 함께 참조하면서,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의 요부에서의 입자배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대괴를 포함한 입자로 이루어진 피처리물을 원료투입구(20)에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상에 투입함과 더불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서 가스를 분출해서 입자를 유동화시켜 유동층(14)이 형성되도록 하면, 피처리물이 건조, 분급되어져 그중 처리물(거친입자)이 처리물배출부(68)에서 입자배출슈트(88)을 거쳐 제품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11 및 도12에서 참조부호 95는 거친입자의 이동층이다.
또, 대괴배출슈트(86) 측부의 유동화가스 분입노즐(94)로부터 유동화가스가 부사상태로 도입되면 대괴배출슈트(86)내 상부의 입자가 유동화되어, 대괴(96)가 대괴배출슈트(86)내로 들어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의 유동화가스로서는 찬공기나 가열공기, 연소배기가스, N2가스와 같은 불활성가스가 쓰여지는바, 대괴배출슈트(86)내 상부에서의 유동화가스속도가 유동층(14)에서의 유동화개시속도(Umf)의 1 ~ 3배, 바람직하기로는 1.5 ~ 2배가 되도록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로부터 유동화가스가 분출되어 도입되게 된다.
도13은, 처리물배출슈트(24b)를 칸막이벽으로 분할하지 않고 처리물배출부(68)의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과 인접해서 대괴배출부(대괴배출구; 92)를 설치함과 더불어, 이 대괴배출부(92)에 대괴배출슈트(86a)를 접속시켜놓은 예인바,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11 및 도1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14는, 대괴배출슈트(86)의 하부, 예컨대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의 아래쪽이 경사져, 이 경사부(98)의 입자배출슈트쪽 칸막이벽의 일부 또는 바닥부가 거름망구조부(100)를 이루는 한편, 처리물배출슈트(24b)내의 이 거름망구조부(100) 아래에 공간부(102)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간형성용 칸막이벽(104)이 설치되어, 대괴배출슈트(86)내로 들어온 작은직경입자가 거름망구조부(100)에서 분급되어져 공간부(102)로 낙하해서 처리물배출슈트(24b), 보다 상세히는 입자배출슈트(88)로 바이패스되어 되돌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거름망구조부(100)로서는 예컨대 금망을 부착시킨 구조를 들 수 있다. 본 예는 대괴만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11 및 도1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제4실시예에서도 도5 및 도6에 도시된 교체가능 라이너를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건조·분급장치는, 석탄이나 슬레그 등과 같이 폭넓은 입도분포를 가진 분말입자형상의 원료를 열풍건조시킴과 더불어 미세분말과 거친입자를 풍력으로 분급하는 데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분말입자형상의 원료를 건조시킴과 더불어 미세분말과 거친입자를 분급하기 위한 유동층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유동층 건조·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내의 유동층형성영역 아래쪽에 설치된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과, 이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 아래에 설치된 호퍼형상의 바람상자(16), 이 바람상자(16)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배출하기 위해 이 바람상자(16)의 하단부에 접속된 낙하물배출장치(29),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건조용 열풍 및 분급용 기체로 역할하는 유동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람상자(16)에 접속되는 가스공급계통(110), 상기 분말입자형상 원료를 투입하기 의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원료투입구(20), 건조된 거친입자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처리물배출슈트(24, 24a), 미세분말을 함유한 배출가스를 뽑아내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가스배출구(56)를 구비하고서, 상기 가스공급계통(110)이,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풍량을 조정해서 분급되는 입자의 직경을 제어하게 되는 유량제어장치(111)와, 이 유량제어장치(111)에 의해 조정된 풍량에 대응해서 상기 바람상자(16)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열풍오도를 조정해서 건조도를 제어하게 되는 온도제어장치(112)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구(20)의 바로 아래 근방에서의 유동층형성영역 아래쪽의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에, 유동층 공탑속도와 유동화개시속도가 같아지는 입자직경 이상의 큰입자를 배출하기 위한 대괴배출장치(27)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상에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너(57)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a)쪽 단부 근방에 둑(70)이 설치되고서, 이 둑(70)을 넘어 미세분말을 불어올려 상기 본체(10)내로 되돌리기 위한 분급가스 도입노즐(66)이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 24b)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쪽 단부 근방에 둑(70)이 설치됨과 더불어, 이 둑(70)의 위쪽에 이 둑(70)과의 사이 공간(76)의 단면적을 줄여 분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급판(78, 78a)이 설치되고, 이들 둑(70)과 분급판(78, 78a) 사이에 가스를 흐르게 해서 미세분말을 본체(10)내로 되돌리기 위한 분급가스 도입노즐(66, 66a)이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 24a)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둑(70)과 상기 분급판(78, 78a)과의 사이 공간(76)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급량이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둑(70) 및 상기 분급판(78, 78a)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둑(70)과 상기 분급판(78, 78a)과의 사이 공간(76)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급량이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분급판(78, 78a)의 높이 및 각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둑(70)의 하단부와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6)의 상부면 사이에 대괴가 이동할 수 있는 간극(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의 내부가 칸막이벽(90)으로 분할되어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의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6)쪽에 대괴배출슈트(86)가 형성되고, 이 대괴배출슈트(86)의 측부에 이 대괴배출슈트(86)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96)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의 배출부에 인접해서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쪽에 대괴배출부(92a)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대괴배출부(92a)에 대괴배출슈트(86a)가 접속되고, 이 대괴배출슈트(86a)의 측부에 이 대괴배출슈트(86a)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96)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의 내부가 칸막이벽(90)으로 분할되어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의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쪽에 대괴배출슈트(86)가 형성되고서, 이 대괴배출슈트(24b)의 측부에 이 대괴배출슈트(86)내 상부의 입자를 유동화해서 대괴(96)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유동화가스 도입노즐(94)이 설치되며, 상기 대괴배출슈트(86)의 하부에 경사부(98)가 형성되고서, 이 경사부(98)의 바닥부쪽 칸막이벽(90)의 적어도 일부가 거름망구조부(100)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에서의 상기 거름망구조부(100)의 아래쪽에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공간형성용 칸막이벽(104)이 설치되어, 상기 대괴배출슈트(86)내로 흘러들어간 작은직경입자가 거름망구조부(100)를 빠져나와 상기 공간부(102)로 떨어져 상기 처리물배출슈트(24b)로 되돌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90)의 상단이 상기 다공판형 가스분산판(12)의 상부면 보다 높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KR10-2000-7007160A 1998-10-27 1999-02-04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KR100376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5061A JP2996963B1 (ja) 1998-10-27 1998-10-27 流動層乾燥・分級装置
JP?10/305061 1998-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641A true KR20010033641A (ko) 2001-04-25
KR100376560B1 KR100376560B1 (ko) 2003-03-17

Family

ID=1794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160A KR100376560B1 (ko) 1998-10-27 1999-02-04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98579B1 (ko)
EP (1) EP1044731B1 (ko)
JP (1) JP2996963B1 (ko)
KR (1) KR100376560B1 (ko)
CN (1) CN1153634C (ko)
AT (1) ATE251503T1 (ko)
AU (1) AU733549B2 (ko)
BR (1) BR9907071A (ko)
DE (1) DE69911915T2 (ko)
TW (1) TW438957B (ko)
WO (1) WO2000024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17B1 (ko) * 2008-11-07 2011-09-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층을 이용한 고체입자의 입도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3170A1 (en) * 2002-06-24 200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od package
JP2005211777A (ja) * 2004-01-29 2005-08-11 Ube Techno Enji Kk 植物原料の微粉砕方法及びその装置
US7255233B2 (en) * 2004-06-14 2007-08-14 Uchicago Argon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ixed plastics using flotation techniques
US7275644B2 (en) 2004-10-12 2007-10-02 Great River Energy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organic and/or non-organic material
US8523963B2 (en) 2004-10-12 2013-09-03 Great River Energy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particulate materials
US8579999B2 (en) 2004-10-12 2013-11-12 Great River Energy Metho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high-moisture materials using system heat sources
US8062410B2 (en) * 2004-10-12 2011-11-22 Great River Energy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high-moisture materials and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organic and/or non-organic material contained therein
US7987613B2 (en) 2004-10-12 2011-08-02 Great River Energy Control system for particulate material drying apparatus and process
CN100453161C (zh) * 2005-09-23 2009-01-21 中国石油大学(北京) 气固流态化耦合设备及利用该设备进行颗粒混合分级的耦合方法
EP2020581A1 (en) * 2007-08-03 2009-02-04 Moretto S.P.A. Plant and process for the controlled dehumidification of granular material
NO330729B1 (no) * 2008-04-28 2011-06-27 Yara Int Asa Fremgangsmate og granulator for produksjon av granuler
GB0808200D0 (en) * 2008-05-06 2008-06-11 Invista Technologies Srl Power recovery
CN101318180B (zh) * 2008-07-22 2012-10-03 苏州宝化炭黑有限公司 炭黑粉末去除方法及装置
CN102049350A (zh) * 2009-10-26 2011-05-11 孙刚 空气重介干法分选设备
CN101708493B (zh) * 2009-12-29 2013-04-03 长沙通发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全沸腾旋流流化床风选调湿机及风选调湿新工艺
DE102010015364B4 (de) * 2010-04-17 2013-06-27 Hosokawa Alpine Ag Luftstrahlsieb
JP5747473B2 (ja) * 2010-10-25 2015-07-1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原料石炭の乾燥分級装置
DE102011000734A1 (de) * 2011-02-15 2012-08-16 Alstom Technology Ltd. Düsenbodenanordnung für einen Trockn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5848014B2 (ja) * 2011-03-22 2016-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動層乾燥装置
JP5922338B2 (ja) * 2011-03-31 2016-05-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動層乾燥設備及び流動層乾燥設備を用いた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CN102304376B (zh) * 2011-04-02 2013-08-07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全沸腾振动推进式煤调湿工艺
CN102304377B (zh) * 2011-04-02 2013-08-07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全沸腾振动推进式煤调湿与分级一体化设备
CN102288009B (zh) * 2011-06-17 2013-08-07 浙江迦南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固体制剂干燥的流化床自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9759483B1 (en) * 2011-08-24 2017-09-12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Biomass drying system
CN102419079B (zh) * 2011-11-11 2013-08-1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固体颗粒物料复合分级干燥装置及方法
KR101438780B1 (ko) * 2012-05-16 2014-09-05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광석의 입도 선별방법 및 입도 선별장치
CN103673508B (zh) * 2012-09-05 2015-06-17 天华化工机械及自动化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石墨粉体干燥及筛分收集的方法
US9421510B2 (en) * 2013-03-19 2016-08-23 Synthesis Energy Systems, Inc. Gasifier grid cooling safety system and methods
CN103695017B (zh) * 2013-12-23 2014-12-24 青岛利物浦环保科技有限公司 复合流化床煤调湿、分选机及调湿、分选工艺
CN103710038B (zh) * 2013-12-23 2014-12-03 青岛利物浦环保科技有限公司 复合流化床煤调湿及分、风选机与调湿工艺
CN103720725A (zh) * 2013-12-31 2014-04-16 昆明特康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流化床设备及其用于松花粉的生产方法
CN104388143A (zh) * 2014-11-14 2015-03-04 中国矿业大学(北京) 两段连续式褐煤提质系统
US10286431B1 (en) * 2016-03-25 2019-05-14 Thermochem Recovery International, Inc. Three-stage energy-integrated product gas generation method
JP6625479B2 (ja) * 2016-05-09 2019-12-25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気流乾燥機
US10364398B2 (en) 2016-08-30 2019-07-30 Thermochem Recovery International, Inc. Method of producing product gas from multiple carbonaceous feedstock streams mixed with a reduced-pressure mixing gas
KR101899714B1 (ko) * 2017-03-27 2018-09-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에 의한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파저를 갖는 유동층 반응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7178991A (zh) * 2017-06-16 2017-09-19 山东琦泉能源科技有限公司 无耗电式送风干燥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67399B1 (ko) * 2017-08-04 2021-06-22 매일유업 주식회사 유산균 파우더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분유 제조시스템
CN107808039B (zh) * 2017-10-13 2020-12-11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流化床干燥分级设备的设计方法
CN108296007B (zh) * 2018-02-07 2023-01-20 唐山开远科技有限公司 流化床干燥选机及与其配套使用的成套设备
CN115164567B (zh) * 2021-04-02 2024-04-1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分布板角度调整的块矿预处理系统及方法
CN114226248B (zh) * 2021-11-16 2022-11-18 太原理工大学 循环流化床燃煤灰渣分质分级的处理方法
CN115355702B (zh) * 2022-08-15 2024-04-23 浙江森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制品用竹粉原料的烘干设备及方法
CN117695973B (zh) * 2024-02-06 2024-04-30 通威微电子有限公司 碳化硅粉料合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818A (en) * 1947-08-21 1952-02-26 Harms Viggo Progressive classifying or treating solids in a fluidized bed thereof
DE3000992C2 (de) * 1980-01-12 1982-08-12 Didier Engineering Gmbh, 4300 Essen Verfahren zur trockenen Kühlung von Koks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CN2097691U (zh) * 1991-07-19 1992-03-04 中国矿业大学 流化床煤炭干法分级装置
JP3036904B2 (ja) 1991-07-22 2000-04-24 月島機械株式会社 流動層を用いた被処理物の処理方法および流動層
JP2612532B2 (ja) 1993-03-31 1997-05-2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クリンカの焼成方法および焼成装置
JP2596694B2 (ja) 1993-03-31 1997-04-02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流動層炉からの大塊排出装置
JP3058778B2 (ja) * 1993-03-31 2000-07-0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流動層の層差圧調整装置
JP2548519B2 (ja) 1993-04-12 1996-10-30 丸尾カルシウム株式会社 流動層分級器
JP2825734B2 (ja) * 1993-06-29 1998-11-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石炭の乾燥・分級装置の制御装置
US5526938A (en) * 1994-10-07 1996-06-1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Vertical arrangement fluidized/non-fluidized bed classifier cooler
JP2937932B2 (ja) * 1997-03-05 1999-08-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流動層乾燥・冷却方法及び装置
JP3023081B2 (ja) * 1997-08-05 2000-03-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流動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17B1 (ko) * 2008-11-07 2011-09-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층을 이용한 고체입자의 입도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51503T1 (de) 2003-10-15
KR100376560B1 (ko) 2003-03-17
DE69911915D1 (de) 2003-11-13
BR9907071A (pt) 2000-10-17
JP2996963B1 (ja) 2000-01-11
DE69911915T2 (de) 2004-08-19
EP1044731B1 (en) 2003-10-08
WO2000024530A1 (fr) 2000-05-04
JP2000126687A (ja) 2000-05-09
CN1153634C (zh) 2004-06-16
EP1044731A4 (en) 2002-09-04
CN1291920A (zh) 2001-04-18
AU733549B2 (en) 2001-05-17
AU2186399A (en) 2000-05-15
US6298579B1 (en) 2001-10-09
EP1044731A1 (en) 2000-10-18
TW438957B (en) 200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560B1 (ko) 유동층 건조·분급장치
US6253465B1 (en) Multi-chamber fluidized bed-carrying classifier
KR970009562B1 (ko) 분립체 원료의 분쇄 방법 및 장치
US771261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JPH09276800A (ja) 流動層式分級機
CN105492854A (zh) 用于颗粒状馈送材料的馈送流动调节器
JP3037680B1 (ja) 多室型流動層分級装置
CA2510791A1 (en) Method and plant for the conveyance of fine-grained solids
US6851558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processing a solution, melt, suspension, emulsion, slurry or solids into granules
JP3023081B2 (ja) 流動層装置
EP1230007A1 (en) A fluidized bed apparatus
JPH08309225A (ja) 流動層式分級機を備えた粉砕設備
JP2938029B1 (ja) 流動層分級機の粒子排出方法及び装置
KR100227219B1 (ko) 유동층 분급기
JP3513735B2 (ja) チャー搬送装置
WO2023032235A1 (ja) 廃石膏ボードの処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流動槽式か焼機
JPH0571875A (ja) 流動層
JPH04330929A (ja) 流動層処理装置における排出機構
JPH03137486A (ja) 粉粒体の乾燥・分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