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536A -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536A
KR20010027536A KR1019990039329A KR19990039329A KR20010027536A KR 20010027536 A KR20010027536 A KR 20010027536A KR 1019990039329 A KR1019990039329 A KR 1019990039329A KR 19990039329 A KR19990039329 A KR 19990039329A KR 20010027536 A KR20010027536 A KR 20010027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hol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957B1 (ko
Inventor
임홍균
강희종
문종국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957B1/ko
Priority to JP2000272145A priority patent/JP3517192B2/ja
Priority to EP00119401A priority patent/EP1085397A3/en
Priority to EP05005847A priority patent/EP1550936A3/en
Priority to EP05005848A priority patent/EP1550937A3/en
Priority to US09/662,354 priority patent/US6530784B1/en
Priority to CN00127038A priority patent/CN1130609C/zh
Priority to TW089118181A priority patent/TW480387B/zh
Publication of KR2001002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채용되어 본체에 디스플레이를 착탈시킬 수 있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과, 장착시 힌지핀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착수단과; 본체와 디스플레이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display combining structure for a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웹 비데오 폰, 디지털 비데로 카메라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은 본체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일 예인 노트북 컴퓨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로부터의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에는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모뎀 및 LAN카드 등의 주변장치 및,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는 음향장치 등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는 본체(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화상형태로 출력하는 출력장치의 하나로, 본체(1)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리본형 케이블(5)에 의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은 디스플레이(3)가 본체(1)에 직접 힌지결합되어 있고, 리본형 케이블(5)을 통해 본체(1)와 디스플레이(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본체(1)에 대한 디스플레이(3)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즉,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의 불량이 발생하거나 수명이 다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본형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가 착탈가능하도록 된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일 예인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나타태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리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광콘넥터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리상태를 나타내 보인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체에 결합된 디스플레이의 회전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시 회동스프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11..축부
12,513..커버 20..디스플레이
30..장착수단 40,50,60..광콘넥터
110..지지브라켓 112..마찰부재
120,130..힌지핀 123,133..걸림부
125..로킹홈 127..가이드홈
140..하우징 몸체 150..힌지브라켓
151..결합홈 160..하우징
170..로킹부재 175..로킹봉
180,212,227,317,319,357,367..탄성부재
190..해제레버 210,310,410..발광모듈
211,311,411..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213,313,353..제1홀더 220,320,420..수광모듈
221,321,421..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223,323,363..제2홀더 225..베이스
315,325..제1, 제2케이스 330..연결유니트
340..광섬유 번들 350,360..제1, 제2커플러
351..수광 어레이 358,368..후크부재
359,369..해제버튼 510..제1조절부
511..걸림핀 513..커버부재
520..제2조절부 521..지지부재
523..회동부재 525..회동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채용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착탈시킬 수 있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과, 장착시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리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자제품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본체(10)와 이 본체(10)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채용된다. 이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각각에 마련되는 장착수단(30)과,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도록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광콘넥터(40)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수단(30)은 본체(1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상기 지지브라켓(11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힌지핀(120)(130)과, 장착시 상기 힌지핀(120)(130) 각각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된 하우징(160) 및 상기 힌지핀(120)(130) 중 어느 하나(120)와 하우징(160)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핀(120)(130)은 자유회전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하도록 소정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112)와 함께 지지브라켓(1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120)(130) 각각은 헤드(121)(131)와, 하우징(160)이 걸리도록 소정 단면형상을 갖는 걸림부(123)(133)를 갖는다. 또한, 상기 힌지핀(120)(130) 중 어느 하나의 힌지핀(130)에는 상기 광콘넥터(40)가 함께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힌지핀(130)의 단부는 소정 단면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110)과 힌지핀(120)(130) 각각은 본체(10)에 착찰가능한 커버(12)에 의해 덮혀진다.
상기 하우징(160)은 프런트 프레임(141)과 이 프런트 프레임(141)과 결합되는 리어 프레임(143)을 가지는 하우징 몸체(140)와, 상기 하우징 몸체(140) 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15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140)는 디스플레이(20)에 고정되며, 이 디스플레이(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40)의 하측에는 장착시 힌지핀(120)(130)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관통홀(H)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50)은 나사(S)에 의해 프런트 프레임(141)과 리어 프레임(143) 사이에 지지된다. 힌지브라켓(150)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부(123)(133) 각각에 상대적으로 끼워지는 결합홈(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시 걸림부(123)에 결합홈(151)이 상대적으로 걸림으로서, 힌지브라켓(150)과 힌지핀(120)(130)이 함께 회동가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20)를 회동시켜 본체(10)에 대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킹수단은 힌지핀(120)의 헤드(121)에 형성된 로킹홈(125)과, 로킹홈(125)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하우징 몸체(140)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킹부재(170)와, 로킹부재(170)를 로킹홈(125)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80) 및 로킹부재(170)의 로킹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레버(190)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부재(170)는 관통공(171)이 형성된 몸체(173)와, 이 몸체(173)에 마련되어 상기 로킹홈(125)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봉(175)을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180)는 일단이 상기 몸체(173)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런트 프레임(141)에 연결되어 로킹부재(170)를 로킹결합되는 방향으로 탕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해제레버(190)는 하우징 몸체(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프런트 프레임(141)에 형성된 장공(145)을 통과하여 몸체(143)에 결합되며, 장공(145)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제레버(190)는 몸체(173)의 관통공(171)에 결합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후크(191)를 갖는다.
또한, 장착시 상기 로킹봉(175)의 로킹홈(125)에 대한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으로, 힌지핀(120)의 헤드(121)에 가이드홈(127)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콘넥터(4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모듈(210)과, 상기 발광모듈(210)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되는 수광모듈(220) 및, 발광모듈(210)과 수광모듈(220)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모듈(210)은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를 지지하며 일측이 힌지핀(13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홀더(213)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는 제1홀더(213)의 단부에 인입형성된 인입부(214)내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213)의 일측에는 힌지핀(130)의 단부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130)의 단부에 대응되는 소정 형상의 제1축홈(210a)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본체(10)에 형성된 축부(11)에 대응되도록 인입형성되고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제2축홈(2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광모듈(220)은 수광된 입사광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221)와, 선단부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221)를 지지하는 제2홀더(223)와, 제2홀더(223)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되는 베이스(225) 및, 상기 제2홀더(223)를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베이스(225)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227)를 구비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221)는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장착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와 소정 간격 이격된 채 마주하게 된다. 제2홀더(223)는 장착시 그 선단부가 제1홀더(211)의 인입부(2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225)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제1홀더(211)의 인입부(214) 주위에 형성된 기준홀(210c)과, 이 기준홀(210c)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225)에 설치된 가이드핀(228) 및, 발광모듈(210)의 일측을 탄성가압하기 위하여 제2축홈(210b)에 설치된 가압부재(219)를 구비한다. 발광모듈(210)과 수광모듈(220)의 결합시 기준홀(210c)에 가이드핀(228)이 삽입되므로써 오장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1홀더(213)가 가압부재(219)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장착수단으로,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전기접속을 위하여 복수의 기준홀(210c)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제1메인전극(2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228)은 장착시 상기 제1메인전극(216) 각각에 전기접속 가능한 한 쌍의 제2메인전극(228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메인전극(228a)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장착시에는 결합을 가이드하는 기능과, 장착후에는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사이를 전기접속 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메인전극(216)은 기준홀(210c) 내에서 탄성부재(212)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의 분리시 제1메인전극들(216)과 상기 제2메인전극들(228a) 사이의 통전이 단계적으로 끊어지도록 하는 차단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차단수단은 제1메인적극(216)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1홀더(213) 내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스위치(218a,218b)를 구비한다. 상기 각 탄성스위치(218a,218b)는 상기 제1메인전극(216)이 접근 및 이격시 단계적으로 접촉/분리되도록 제1메인전극(216)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 거리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메인전극(216)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탄성스위치(218a)는 본체(10)의 메인전원(231)에 연결되고, 나머지 탄성스위치(218b)는 본체(10)의 그라운드부(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의 분리시 제1메인전극(216)과 탄성스위치(218a)의 접속이 먼저 분리되어 메인전원(231)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나중에 나머지 탄성스위치(218b)의 접속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의 전원연결이 단계적으로 단락됨으로써, 분리시 디스플레이(20)의 구동용 IC(미도시) 혹은 본체회로(미도시)에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와 본체(10)의 착탈에 따라 발광모듈(210)과 수광모듈(220) 사이의 전원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분리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차단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차단수단은 보조전원(232)과, 본체(10)에 마련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33)와, 상기 발광모듈(210)에 설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보조전원(232)과 구동부(233)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보조전극(217)과, 제1보조전극(217)에 대응되도록 수광모듈(220)에 설치된 한 쌍의 제2보조전극(228b)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보조전극(217)은 상기 기준홀(210c)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212)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제1보조전극(217)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231)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구동부(2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228)에도 포함되어 결합을 가이드 하는 기능이외에, 결합시 제1보조전극(2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베이스(225)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보조전극들(228b)은 장착시 제1보조전극(217) 각각이 통전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에 장착시, 각 전극(217)(228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전원(232)의 전력이 구동부(233)로 전달되어 레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가 구동되고, 반면에 분리되면 각 전극(217)(228b)이 단락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의 구동이 중지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20)가 분리되는 순간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에서 조사되는 광이 차단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차단수단은 분리시 발광모듈(210)과 수광모듈(220)이 전원연결이 단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동부(232)와 보조전원(233) 각각에 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스위치(238a,238b)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스위치(238a,238b)는 제1보조전극(217)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홀더(213)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스위치(238a,238b)는 장착 또는 분리시 상기 제1보조전극(217)들과 단계적으로 통전 또는 단락되도록 제1보조전극(217)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전원(232)에 연결된 연결스위치(238a)를 구동부(233)에 연결된 연결스위치(238b)보다 더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분리시 공급되던 전원이 먼저 끊기게 되어 구동부(233) 및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체(10)에 디스플레이(20)를 장착시킬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40)이 힌지핀(120)(130)에 대향되고, 수광모듈(220)이 발광모듈(21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접근시킨다. 그러면, 로킹봉(175)이 가이드홈(127)에 접촉되어 가이드되어 일측으로 밀리다가 로킹홈(125)에 대면되는 순간 위치복원되어 로킹홈(125)에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힌지브라켓(150)의 결합홈(151)은 힌지핀(120)(130) 각각의 걸림부(123)(133)에 상대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2메인전극(228a)은 기준홀(210c)에 삽입되어 제1메인전극(216)에 접촉되면서, 그 제1메인전극(216) 각각을 탄성스위치(218a,218b) 쪽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제1메인전극(216)은 상기 탄성스위치(218b)에 먼저 접속되어 이어서 나머지 탄성스위치(218b)에 접속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보조전극(228b)도 기준홀(210c) 내로 삽입되면서 제1보조전극(217)을 연결스위치(238a,238b) 측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제1보조전극(217)은 가까운 곳의 연결스위치(238b)에 먼저 접속되어 이어서 나머지 연결스위치(238a)에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와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221) 상호간에 광전송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 유지된다. 또한, 본체(10)의 메인전원(231)으로부터 디스플레이(20)로 전력이 공급되고, 제1보조전극(217)과 제2보조전극(228b)의 접속으로 인해 보조전원(232)의 전력이 구동부(233)로 전달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는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에 대해 장착되면, 디스플레이(20)는 본체(10)에 대해 회동되면서 개폐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제레버(190)를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켜 로킹봉(175)을 로킹홈(125)에서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20)와 본체(10)가 분리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메인전극들(216)과 제1보조전극들(217)은 순차적으로 단락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로의 전력공급은 중단되고, 구동부(233)로의 전력공급도 중단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가 중단된다. 따라서, 본체(20)의 전원(미도시)을 차단시키기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디스플레이(20)를 분리시키더라도, 전력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211)에서는 광이 조사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광콘넥터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콘넥터(5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모듈(310)과, 디스플레이(20)에 고정되는 수광모듈(320)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모듈(310)은 선단부에 인입형성된 인입부(314) 내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311)가 노출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제1홀더(313)와, 상기 제1홀더(313)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케이스(315) 및, 제1홀더(313)를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317)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311)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참조부호 211과 동일부재이다. 상기 제1케이스(315)는 일측이 상기 힌지핀(130)에 지지되어 함께 회동가능하며, 타단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축부재(316)에 지지된다. 이 축부재(316)는 케이블(C)이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광모듈(320)은 돌출된 선단부에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321)를 지지하는 제2홀더(323)와, 제2홀더(323)가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케이스(325) 및, 제2홀더(323)를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327)를 구비한다. 여기서도,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321)는 도 4의 도면부호 221과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제2홀더(323)의 선단부는 상기 인입부(314)에 대응되어 장착시 그 인입부(314)에 삽입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 레이어(321)와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311)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한다.
또한, 광콘넥터(50)는 장착시 발광모듈(310)과 수광모듈(32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제1케이스(315) 형성된 복수의 기준홀(318)과, 이 기준홀(318)에 대응되도록 제2케이스(325)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핀(328)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핀들(328)은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제2메인전극(228a)과 제2보조전극(228b)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기준홀(318) 내에 탄성부재(319)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한 설치된 전극(312)도 상술한 제1메인전극(216) 및 제2보조전극(217)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콘넥터(50)는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장착시 발광모듈(310)과 수광모듈(320)이 함께 회동되면서 상호간게 광전송 및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으로,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원거리 상에 놓인 상태에서 광전송 및 전기접속이 가능하도록 발광모듈(310)과 수광모듈(3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유니트(33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유니트(330)는 발광모듈(310)과 수광모듈(320) 각각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311)에서 조사된 광 각각을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321)로 전송하기 위한 광섬유 번들(340)과, 상기 광섬유 번들(340)의 일단을 발광모듈(310)과 마주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커플러(350) 및, 광섬유 번들(340)의 타단을 수광모듈(320)에 마주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커플러(3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커플러(350)는 돌출된 선단부에 발광모듈(310)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어레이(351)를 지지하는 제1홀더(353)와, 제1홀더(353)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측면에 통과공(354a)이 형성된 제1몸체(355)와, 제1홀더(353)를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제1몸체(355)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357)와, 결합시 탄성변형되면서 제1케이스(315)에 형성된 걸림홈(315a)에 걸리도록 제1몸체(355)에 설치된 후크부재(358) 및 후크부재(358)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버튼(359)을 구비한다.
상기 수광어레이(351)는 수광모듈(320)에 설치된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321)와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지며, 제1홀더(353)도 상기 제2홀더(323)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서 수광어레이(351)와 광섬유 번들(340)이 상호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제1홀더(353)의 돌출된 선단부는 장착시 상기 제1홀더(313)의 인입부(314)에 삽입된다. 상기 후크부재(358)는 일단이 제1몸체(355)의 발광모듈(310)에 마주하는 선단면에 형성된 통과공(354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1몸체(355) 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 후크부재(358)에는 상기 해제버튼(359)이 상기 통과공(354)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커플러(350)를 발광모듈(310)에 연결시 후크부재(358)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다가 복원되어 걸림홈(315a)에 걸림으로써 연결이 완료되고, 분리시에는 해제버튼(359)을 눌러줌으로써 걸림홈(315a)으로부터 후크부재(358)의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커플러(360)는 수광모듈(320)에 마주하는 단부로부터 인입형성된 인입부(364) 내로 발광 어레이(361)를 노출되게 지지하는 제2홀더(363)와, 제2홀더(363)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몸체(365)와, 제2홀더(363)를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제2몸체(365)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367)와, 상기 제2케이스(325)의 선단면에 형성된 걸림홈(325a)에 걸리도록 제2몸체(365)에 설치된 후크부재(368) 및, 후크부재(368)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버튼(369)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 어레이(261)는 광섬유 번들(340)을 통해 전송된 광 각각을 수광모듈(320)의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321)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발광모듈(310)의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311)와 동일 기능 및 동일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홀더(363)도 상기 제1홀더(313)와 동일 기능 및 구조를 가지면서 발광 어레이(261)를 광섬유 번들(340)에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몸체(365)도 제1몸체(355)와 동일한 구조로서 측면에는 해제버튼(369)이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통과공(36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면에도 후크부재(368)가 통과하는 통과공(36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재(368)는 일단이 제2몸체(365) 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후크부재(368)에는 상기 통과공(364a)을 통해 제2몸체(365) 내외로 이동가능한 해제버튼(369)이 연결된다. 따라서, 후크부재(368)가 상기 걸림홈(325a)에 걸림으로써 제2커플러(360)와 수광모듈(320)이 연결되고, 해제버튼(369)을 눌러줌으로써 후크부재(368)의 걸림이 해제되어 수광모듈(320)로부터 제2커플러(36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플러(350)에는 발광모듈(310)의 기준홀(318)에 가이드결합되며 그 기준홀(3180 내에 설치된 전극(312)에 전기접속되도록 전도성재질로 된 가이드핀(352)이 복수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핀(352)은 수광모듈(320)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핀(328)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제2커플러(360)에는 수광모듈(320)의 가이드핀(328)이 상대적으로 가이드결합되는 기준홀(361)이 인입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준홀(361) 내에는 가이드핀(328)에 접속되는 전극(366)이 탄력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366)과 가이드핀(352)은 광섬유 번들(340)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광콘넥터(50)를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장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이격시켜 놓은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광콘넥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광콘넥터(60)는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발광모듈(410)과, 이 발광모듈(410)에 결합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된 수광모듈(4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모듈(410)은 그 단면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인입부(414)를 가지며, 이 인입부(414) 내에는 그 내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411)가 몰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광모듈(420)에는 그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장착시 상기 인입부(414)에 진입하여 결합되는 돌출부(4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423)의 측면에는 인입부(414)에 결합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411)와 소정 간격으로 마주하도록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421)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다이오드 어레이(411)(421)가 인입부(414)의 내측에서 마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모듈(410)(420)이 분리된 상태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411)에서 광이 조사되더라도 그 조사된 광은 인입부(414)의 외부로 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부주의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411)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를 분리시키더라도 조사되는 광이 사용자에게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2는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 부재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디스플레이(20)와 본체(10)의 착탈 결합을 위한 장착수단(30)과, 발광모듈(210)과 수광모듈(220)을 가지는 광콘넥터(40) 및 착탈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착탈각도 조절수단은 디스플레이(20)가 본체(20)에 대해 소정 착탈각도에서만 착탈가능하도록 그 디스플레이(20)의 착탈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수단은 힌지핀(120)과 하우징(160) 상호간의 착탈각도를 제한하는 제1조절부(510)와, 상기 제1조절부(510)에 의해 조정된 착탈각도와 일치하도록 발광모듈(210)의 자세를 자동으로 복원시키는 제2조절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조절부(510)는 하우징(160)의 몸체(140) 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핀(511)과, 힌지핀(120)의 일부를 덮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커버부재(513)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513)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0)의 착탈시 상기 착탈각도에서 걸림핀(5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514)과, 안내홈(514)에 연장되도록 인입형성된 걸림홈(515)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515)은 안내홈(514)을 통해 진입된 걸림핀(511)이 힌지핀(120)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는 그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착탈각도 이외의 각도에서 걸림핀(511)이 빠져나가거나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511)은, 디스플레이(20)가 착탈각도(α)에 위치하였을 때, 안내홈(514)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그 안내홈(51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착탈각도(α)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걸림핀(511)과 안내홈(514)이 어긋나기 때문에 안내홈(514)에 걸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20)의 착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가 분리된 후에는, 힌지핀(120)은 강제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마찰부재(112)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어 착탈각도(α)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 장착시에 힌지핀(120)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한편,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0)가 착탈각도(α)에서 착탈되므로, 상기 각 모듈(210)(220)도 그 착탈각도(α)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분리된 후, 다음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발광모듈(210)을 착탈각도(α)로 유지시겨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조절부(520)는 본체(1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521)와, 이 지지부재(521)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발광모듈(210)에 결합되는 회동부재(523) 및 지지부재(521)와 회동부재(523)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스프링(525)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521)는 도 3에서 도시된 힌지핀(130) 대신 그 자리에 커버(12)에 의해 감싸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21)는 일측에 소정 반경을 가지도록 돌출형성된 통형의 제1수용부(521a)와, 이 제1수용부(521a)와의 경계에서 걸림턱(521c)이 형성되도록 제1수용부(521a)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내경이 확장형성된 제2수용부(521b)를 갖는다. 상기 회동부재(523)는 일측에 상기 제1수용부(521a) 내에 삽입되도록 그 제1수용부(52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지부(523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523a)는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부구간이 도너츠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23a)의 원주방향에 대해 단절된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회동스프링(525)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지지턱(523b)이 인입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의 상기 회동스프링(525)은 그 양단이 지지턱(523b)에 걸리며 상기 지지부(523a) 내측에 감싸이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스프링(525)은, 지지부재(521)에 회동부재(523)가 스크류(S)에 의해 체결시, 그 양단이 상기 걸림턱(521c)에도 지지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523)의 결합단부는 발광모듈(210)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발광모듈(2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발광모듈(210)의 일측에는 회동부재(523)의 결합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210a)이 인입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홈(210a)에 결합된 회동부재(523)가 발광모듈(210)에 대해 상대회전되지 못하도록 결합홈(210a)의 내측으로부터 회동걸림턱(210b)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523)의 결합단부에는 그 회동걸림턱(210b)에 대응되는 회동걸림홈(523c)이 인입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부재(523)와 발광모듈(210) 사이에는 그 회동부재(523)를 지지부재(521)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스프링(527)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압스프링(527)은 회동부재(523)의 결합단부가 통형을 이루도록 인입형성된 통공 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회동부재(523)에 강제로 회전력을 가하기 전에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523)가 제1수용부(521a)의 내측에 대응되어 감싸이도록 위치된다. 이는 회동스프링(525)의 양단이 상기 지지턱(523b)에 걸린 상태로 걸림턱(521c)에 지지되어 회동부재(523)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는 회동부재(523)에 연결된 발광모듈(210)이 본체(10)에 대해 상기 착탈각도(α)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장착시키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핀(511)이 안내홈(514)을 따라 거림홈(515)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수광모듈(220)이 발광모듈(2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디스플레이(20)를 강제로 회동시키면, 그 힘에 의해 회동부재(523)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스프링(525)을 압축시키면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회동스프링(525)의 양단부는 상기 제2수용부(521)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도 16a에서와 같이 착탈각도(α)를 유지하고 있는 회동부재(523)를 강제로 회동시키면, 회동스프링(535)이 지지부(523a)에 밀려 압축되면서 도 16b의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부재(523)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면, 회동부재(523)는 회동스프링(5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16a의 상태로 자동복귀된다. 즉, 회동부재(523)가 외력을 받을 경우에는 자세가 비뚤어지지만, 외력이 제거된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발광모듈(210)이 착탈각도(α)를 유지하도록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자세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를 본체(10)에 장착시 상기 힌지핀(120)의 자세조정이 불필요함과 마찬가지로 광원모듈(210)의 자세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해상도가 보다 좋거나 화면크기가 큰 디스플레이로 교체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하거나 수명이 다된 경우, 손쉽게 교환할 수 있고,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함으로 전자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니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본체로부터 원하는 거리로 이격시켜 놓은 상태에서도 화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위치시켜 놓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을 설치하여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므로써 EMI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착탈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착탈각도를 일정하게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각도조정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착탈동작이 용이하다.

Claims (30)

  1.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채용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착탈시킬 수 있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힌지핀과, 장착시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고정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 내에 설치되며, 장착시 상기 힌지핀에 상대적으로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힌지핀을 로킹결합시키기 위한 로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힌지핀의 헤드에 형성된 로킹홈과;
    상기 로킹홈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부재를 상기 로킹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로킹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그 하우징에 지지되어 이동시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헤드에는 상기 로킹부재의 상기 로킹홈으로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콘넥터는,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가지며, 상기 힌지핀에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광모듈과;
    수광된 입사광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를 가지며, 장착시 상기 발광모듈에 커풀링되어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는 수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장착시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인입형성된 인입부를 가지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상기 인입부 내로 노출되게 지지하며, 상기 힌지핀에 지지되는 제1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모듈은,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가 지지되는 제2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제2홀더를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콘넥터는,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수광모듈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발광모듈 또는 상기 수광모듈의 선단부에 인입형성된 기준홀과;
    상기 발광모듈 또는 상기 수광모듈에 상기 기준홀에 대향되도록 마련된 가이드핀; 및
    상기 발광모듈의 일측을 탄성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결합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으로,
    상기 기준홀 내에서 탄력적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메인전극과,
    상기 제1메인전극 각각을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은,
    장착시 상기 제1메인전극 각각에 전기접속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메인전원을 연결시키도록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제2메인전극;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분리시 상기 제1메인전극들과 상기 제2메인전극들 사이의 통전이 단계적으로 끊어지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제1메인적극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제1메인전극이 접근 및 이격시 단계적으로 접촉/분리되도록 상기 제1메인전극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위치된 한 쌍의 탄성스위치;를 포함하여,
    분리시 상기 탄성스위치와 상기 제1메인전극 각각이 단계적으로 분리된 후, 그 제1메인전극과 상기 제2메인전극이 분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선단부에 인입형성된 인입부 내로 노출되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지지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홀더를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6. 제7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모듈은,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를 지지하는 제2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홀더를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콘넥터는,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수광모듈을 원거리 상에서 광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니트는,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수광모듈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에서 조사된 광 각각을 상기 수광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광섬유 번들과;
    상기 광섬유 번들의 일단을 상기 발광모듈과 마주하게 결합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광섬유 번들의 타단을 상기 수광모듈에 마주하게 결합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는,
    선단부에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광 각각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어레이를 상기 광섬유 번들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통과공이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홀더를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제1몸체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결합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발광모듈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통과공을 통해 내외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는,
    단부에 상기 광섬유 번들을 통해 전송된 광 각각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어레이를 상기 광섬유 번들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제2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통과공이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홀더를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상기 제2몸체 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결합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수광모듈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통과공을 통해 내외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해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의 착탈에 따라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수광모듈 사이의 전원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분리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차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차단수단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의 구동을 위한 보조전원과;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발광모듈에 설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보조전원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보조전극과;
    상기 각 모듈의 결합시 상기 각 제1보조전극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광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전원의 전력이 상기 제1보조전극을 통해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도록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2보조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차단수단은,
    상기 제1보조전극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모듈에 설치되며, 장착 또는 분리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보조전극들과 단계적으로 통전 또는 단락되도록 상기 제1보조전극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보조전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에 대해 소정 착탈각도에서만 착탈가능하도록 그 디스플레이의 착탈을 제한하여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착탈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힌지핀과 상기 하우징의 착탈각도를 제한하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조절부에 의해 조정된 착탈각도와 일치하도록 상기 광콘넥터의 자세를 자동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핀과;
    상기 힌지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핀에 대응되는 일측에 착탈시 상기 걸림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착탈각도 외에서는 상기 걸림핀의 착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연장되게 인입형성된 걸림홈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소정반경으로 돌출형성된 통형의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의 경계로부터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그 제1수용부의 내측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내경이 확장형성된 제2수용부를 가지는 지지부재와;
    일단은 상기 광콘넥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수용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지지부가 소정 거리 돌출형성된 회동부재와;
    양단 각각이 상기 걸림턱과 상기 지지부의 원주방향에 대해 단절된 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인입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시 일단이 상기 지지턱에 밀려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제2수용부 내에서 이동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최초위치로 회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스프링의 회동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착탈각도를 유지하도록 자세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광콘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지지부재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콘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가 삽입결합되도록 인입형성된 결합홈과, 상대회동을 방지하도록 그 결합홈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회동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단부에는 상기 회동걸림턱에 대응되는 회동걸림홈이 외주로부터 인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는 상기 발광모듈의 단면에 인입형성된 인입부의 내측면에 대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는 상기 수광모듈의 상기 인입부에 대응되는 돌출부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인입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KR1019990039329A 1999-09-14 1999-09-14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KR10061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29A KR100611957B1 (ko) 1999-09-14 1999-09-14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JP2000272145A JP3517192B2 (ja) 1999-09-14 2000-09-07 電子製品のディスプレイ結合構造体
EP00119401A EP1085397A3 (en) 1999-09-14 2000-09-12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EP05005847A EP1550936A3 (en) 1999-09-14 2000-09-12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EP05005848A EP1550937A3 (en) 1999-09-14 2000-09-12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US09/662,354 US6530784B1 (en) 1999-09-14 2000-09-14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CN00127038A CN1130609C (zh) 1999-09-14 2000-09-14 电子设备的显示器连接装置
TW089118181A TW480387B (en) 1999-09-14 2000-12-04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29A KR100611957B1 (ko) 1999-09-14 1999-09-14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36A true KR20010027536A (ko) 2001-04-06
KR100611957B1 KR100611957B1 (ko) 2006-08-11

Family

ID=1961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329A KR100611957B1 (ko) 1999-09-14 1999-09-14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30784B1 (ko)
EP (3) EP1550937A3 (ko)
JP (1) JP3517192B2 (ko)
KR (1) KR100611957B1 (ko)
CN (1) CN1130609C (ko)
TW (1) TW48038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400A (ko) * 2001-11-01 2003-05-1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분리식 평면 패널 컬러 표시 장치
KR100776652B1 (ko) * 2006-11-24 2007-11-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US7447007B2 (en) 2004-10-06 2008-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WO2009123604A1 (en) * 2008-03-31 2009-10-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locking mechanis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5084B2 (ja) * 2001-08-02 2004-04-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ヒンジ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接続される回路基板
JP2003130036A (ja) * 2001-10-25 2003-05-08 Sharp Corp 電子機器
TW553576U (en) * 2002-04-18 2003-09-11 Quanta Comp Inc Flat panel display and the folded base thereof
US6657856B1 (en) * 2002-07-08 2003-12-02 Lu Sheng-Nan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WO2004017026A1 (de) * 2002-08-13 2004-02-26 Vega Grieshaber Kg Ein- und ausgabevorrichtung zum lösbaren anbringen an einem elektronischen gerät
US6581893B1 (en) * 2002-09-05 2003-06-24 Shin Zu Shing Co., Ltd. Stand for an LCD monitor
TW576537U (en) * 2002-10-04 2004-02-11 Quanta Comp Inc An open and close test apparatus for panel
US20040077199A1 (en) * 2002-10-22 2004-04-22 Russell Winstead Electrical connectivity through a hinge
JP2004197862A (ja) 2002-12-19 2004-07-15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770982B1 (ko) * 2003-02-21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04099959A1 (ja) * 2003-05-12 2004-11-18 Fujitsu Limited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装着機構
US7243174B2 (en) * 2003-06-24 2007-07-10 Emerson Electric Co.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appliance through an optical interface using a control panel indicator
TWI230311B (en) * 2003-07-28 2005-04-01 Benq Corp Automatic homing apparatus of a rotatable module
US7321732B2 (en) * 2003-07-28 2008-01-22 Emerson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oise immunity for low intensity optical communication
US7280769B2 (en) * 2003-07-28 2007-10-09 Emerson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optical receiver for low intensity optical communication in a high speed mode
TW200512562A (en) * 2003-09-16 2005-04-01 Asustek Comp Inc An electronic device having easy mount/dismount connectors
US7095333B2 (en) * 2003-09-18 2006-08-22 Emerson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optical communication through low intensity indicators in an appliance that uses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WO2006109226A2 (en) * 2005-04-11 2006-10-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cking bay with connector and supply plug.
US7436674B2 (en) * 2005-04-12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display panel
KR100730717B1 (ko) * 2005-05-10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TWI292520B (en) * 2005-06-29 2008-01-11 Asustek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versing a screen
KR100607679B1 (ko) * 2005-07-0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20070014083A1 (en) * 2005-07-15 2007-01-18 Fujitsu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unit mounting mechanism
CN2842521Y (zh) * 2005-08-12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模组可拆卸的笔记本电脑
EP1780838A3 (en) * 2005-10-25 2010-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 pow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174997A1 (en) * 2006-01-27 2007-08-02 Shin Zu Shing Co., Ltd. Suspension hinge
US7706645B2 (en) * 2006-12-27 2010-04-27 Motorola, Inc.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dapted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DE102007060057A1 (de) * 2007-12-13 2009-06-1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US8817476B2 (en) 2008-06-27 2014-08-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dd-on module, and a system comprising a host apparatus and an add-on module
TWI365578B (en) * 2008-10-15 2012-06-01 Inventec Corp Hinge structure with a dc-in
US8511633B2 (en) 2009-01-16 2013-08-20 Amazon Technologies, Inc. Accessory attachment mechanism
TWI394454B (zh) * 2009-03-20 2013-04-21 Qisda Corp 一種顯示器支撐結構、顯示器支撐結構之製造方法以及包含該顯示器支撐結構之顯示裝置
CN101943931B (zh) * 2009-07-03 2013-08-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5763642B2 (ja) * 2009-08-30 2015-08-12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トーションバースプリングシステム及びヒンジアセンブリ
JP2011170809A (ja) * 2010-02-22 2011-09-01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装置
US8323035B2 (en) 2010-03-31 2012-12-04 Sony Corporation 60 GHz data transmission through a mechanical swivel connection
TWI402510B (zh) * 2010-04-07 2013-07-21 Inventec Corp 測試裝置
US8439698B1 (en) * 2010-06-15 2013-05-14 Amrinder Pal Singh Saini Low profile mechanical and electrical accessory connector
DE102010041874B4 (de) * 2010-10-01 2020-06-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Optischer Substrat-Schwenkverbinder, optischer Substrat-Gegenverbinder, optische Substrat-Verbindungseinrichtung, konfektioniertes Lichtwellenleiter-Kabel sowie elektrisches Gerät
GB2489064B (en) * 2011-03-18 2014-10-08 Benq Corp Monitor
US10260754B2 (en) 2011-07-12 2019-04-16 Viking Range, Llc Advanced electronic control display
CN102999102B (zh) * 2011-08-16 2015-04-2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接合组件及电子系统
US8724306B2 (en) * 2011-09-15 2014-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US8458863B2 (en) * 2011-11-03 2013-06-11 Sparkling Sky International Limited Magnetic connector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037086B2 (en) 2011-11-04 2018-07-31 Tobii Ab Portable device
EP2590047A1 (en) * 2011-11-04 2013-05-08 Tobii Technology AB Portable device
USD706261S1 (en) 2012-01-24 2014-06-03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CN112068637A (zh) * 2012-01-24 2020-12-11 英特尔公司 移动计算设备、装置和系统
CN103576756A (zh) * 2012-08-06 2014-02-12 辉达公司 笔记本电脑
JP5942294B2 (ja) * 2012-08-24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045458A (ja) * 2012-08-28 2014-03-13 Fujitsu Ltd 取付台及び電子機器
US8922994B2 (en) * 2012-09-21 2014-12-30 Lenovo (Singapore) Ltd. Pte. Locking mechanism
TWI499894B (zh) * 2012-11-06 2015-09-1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
CN104238652B (zh) * 2013-06-20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5153609A (ja) * 2014-02-14 2015-08-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電複合コネクタ及び携帯型電子機器
CN105637715A (zh) 2013-09-09 2016-06-01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光电复合连接器及便携式电子设备
CN104806858A (zh) * 2014-01-24 2015-07-2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限位结构及具有限位结构的电子装置
KR102167051B1 (ko) * 2014-03-27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US9405331B2 (en) 2014-08-07 2016-08-02 Dell Products L.P. Cable grounding system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9952633B2 (en) 2014-08-08 2018-04-2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connectors disposed on hinge interface
JP1531213S (ko) * 2014-09-04 2015-08-17
TWI612871B (zh) * 2014-09-26 2018-01-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5976754B2 (ja) * 2014-11-07 2016-08-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連結構造、アクセサリ機器及び情報機器セット
USD751543S1 (en) * 2014-12-16 2016-03-15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ousing
US9904373B2 (en) * 2015-02-27 2018-02-27 Sony Corporation Keyboard with tablet holder
TWI548967B (zh) * 2015-03-10 2016-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組件
CN106159473B (zh) * 2015-04-24 2019-02-12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组件
USD771032S1 (en) * 2015-07-31 2016-11-08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curved display
US9715256B2 (en) * 2015-09-30 2017-07-25 Lenovo (Singapore) Pte. Ltd. Optically connected hinge
US9740245B2 (en) 2015-10-05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king mechanism
US20170192467A1 (en) * 2016-01-02 2017-07-06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 assemblies
CN105575273B (zh) * 2016-01-11 2019-10-11 深圳市创显光电有限公司 基于曲率可变的调节模块及其拼接的弧形led显示屏
CN105575272A (zh) * 2016-01-11 2016-05-11 深圳市创显光电有限公司 Led显示屏拼装组件及弧形led显示屏
KR102542204B1 (ko) * 2016-06-22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56431B (zh) * 2017-01-03 2019-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鉸鏈結構及電子裝置
US10511599B2 (en) 2017-03-13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to filter impossible user travel indicators
US10794093B2 (en) * 2017-05-19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US10445533B2 (en) 2017-06-30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optimizing memory wire actuator energy output
US10303214B2 (en) 2017-10-17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ck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restraining two portions of a computing device
US10559931B2 (en) * 2018-04-23 2020-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circuit count electrical connector
EP4365476A2 (en) * 2018-08-07 2024-05-08 GoPro, Inc. Camera and camera mount
USD905786S1 (en) 2018-08-31 2020-12-22 Gopro, Inc. Camera mount
US10788865B1 (en) * 2019-04-26 2020-09-29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ual pivot hinge signal path
CN110545640B (zh) * 2019-08-19 2020-09-15 武汉市圣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用手持终端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TWI805986B (zh) * 2021-01-14 2023-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CN115095594A (zh) * 2022-06-10 2022-09-23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转轴装置以及具有该转轴装置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303A (en) * 1977-07-28 1979-09-11 Amp Incorporated Light transmitting fiber cable connector
AU594385B2 (en) * 1986-03-20 1990-03-08 Wang Laboratories, Inc. Display attachment apparatus
US4926365A (en) 1988-08-26 1990-05-15 Great Electronic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US5168429A (en) * 1988-09-13 1992-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lidable pawl for removably connecting a display housing to a base housing
US5144290A (en) * 1988-10-31 1992-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unit attachment device
JPH066391Y2 (ja) * 1988-11-30 1994-02-16 株式会社東芝 表示部開閉検出機構
US5200883A (en) * 1989-06-23 1993-04-06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having an external battery mounting portion and optional device mounting portion
US5253139A (en) 1989-10-31 1993-10-12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nit and a socket lid
JPH03144818A (ja) 1989-10-31 1991-06-20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H0384883U (ko) * 1989-12-19 1991-08-28
JP2879694B2 (ja) * 1990-01-29 1999-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外部記憶装置
JPH0452823A (ja) * 1990-06-15 1992-02-20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5075929A (en) * 1990-07-02 1991-12-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apparatus
US5041965A (en) * 1990-08-10 1991-08-20 Rever Computer Inc. Laptop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for overhead projector
JPH0455619U (ko) * 1990-09-19 1992-05-13
JPH04203517A (ja) * 1990-11-29 1992-07-24 Toshiba Corp 軸の枢着装置
JP3097065B2 (ja) 1991-04-23 2000-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機器
JPH0561579A (ja) * 1991-09-02 1993-03-12 Fujitsu Ltd 光コネクタ
JPH05216559A (ja) * 1992-02-04 1993-08-27 Citizen Watch Co Ltd 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H05313045A (ja) * 1992-05-07 1993-11-26 Nec Corp 光結合装置
US5566050A (en) * 1992-07-17 1996-10-1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optional component
US5262759A (en) 1992-07-27 1993-11-16 Cordata Incorporated Removable computer display interface
JP2880049B2 (ja) * 1993-09-03 1999-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ケーブル
US5475215A (en) * 1994-01-03 1995-12-12 Hsu; Winston Optical communicating apparatus for communcating optical signals between electronic circuts
JPH0878783A (ja) * 1994-06-28 1996-03-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カプラ及び並列光インターコネクション装置
JPH0846385A (ja) * 1994-07-28 1996-02-16 Hitachi Ltd 可搬型情報処理装置
KR0121624Y1 (ko) * 1995-04-06 1998-08-17 김광호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의 힌지부재
KR0178893B1 (ko) 1995-10-04 1999-05-15 김광호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 화면부 결합 힌지장치
KR0156801B1 (ko) * 1995-10-06 1998-11-16 김광호 액정화면부의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노트북 컴퓨터
JP3373730B2 (ja) * 1996-05-23 2003-02-04 株式会社ヨコオ ヒンジ型コネクタ及び該ヒンジ型コネクタを用いた電子機器
US5809256A (en) * 1996-06-11 1998-09-15 Data General Corporation Soft power switching for hot installation and removal of circuit boards in a computer system
JP3519554B2 (ja) * 1996-09-20 2004-04-19 株式会社東芝 携帯型電子機器
US5805415A (en) * 1996-10-03 1998-09-08 Hewlett-Packard Company Detachable flat panel computer display and support
US5694290A (en) * 1996-11-21 1997-12-02 Chang; Cheng-Chun Replaceable hard disk drive box structure
US5889602A (en) * 1996-12-10 1999-03-30 Motorola, Inc. Optical hinge
FI103220B1 (fi) * 1997-06-24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Näyttölaite
KR100322549B1 (ko) * 1997-12-10 2002-03-08 윤종용 컴퓨터의신호전송장치
JP3041850B2 (ja) * 1997-12-17 2000-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通信端末装置、通信端末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ならびに光通信ケーブル
JP2000056859A (ja) * 1998-06-15 200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製品のディスプレ―結合構造体
JP2000010654A (ja) * 1998-06-19 2000-01-14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US6028764A (en) * 1998-09-28 2000-02-22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separable screen
US6256836B1 (en) * 1999-03-29 2001-07-10 Inventec Corporation Easy-release hinge system
US6252767B1 (en) * 1999-06-22 2001-06-26 Hewlett-Packard Company Low impedance hinge for notebook computer
US6246573B1 (en) * 2000-01-20 2001-06-12 Cieos, Inc. Operatory computer with portable displa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400A (ko) * 2001-11-01 2003-05-1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분리식 평면 패널 컬러 표시 장치
US7447007B2 (en) 2004-10-06 2008-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KR100776652B1 (ko) * 2006-11-24 2007-11-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WO2009123604A1 (en) * 2008-03-31 2009-10-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locking mechanisms
GB2470845A (en) * 2008-03-31 2010-12-0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mputing device locking mechanisms
GB2470845B (en) * 2008-03-31 2012-05-1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mputing device locking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609C (zh) 2003-12-10
US6530784B1 (en) 2003-03-11
EP1550937A3 (en) 2005-07-27
EP1550936A2 (en) 2005-07-06
KR100611957B1 (ko) 2006-08-11
CN1288190A (zh) 2001-03-21
EP1085397A3 (en) 2003-08-27
EP1550936A3 (en) 2005-07-27
EP1550937A2 (en) 2005-07-06
EP1085397A2 (en) 2001-03-21
TW480387B (en) 2002-03-21
JP3517192B2 (ja) 2004-04-05
JP2001154760A (ja) 200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957B1 (ko)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KR100611966B1 (ko)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US8206043B2 (en)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release mechanism
JP4397924B2 (ja) プラガブル光送受信モジュール
US6666484B1 (en) Pivoting type latch for removable electronic devices
JP3455168B2 (ja) レセプタクルモジュール
US7347711B1 (en) Fiber optic module release mechanism
JP2003502691A (ja) マルチポート差込み式トランシーバ(mppt)
US10809474B2 (en) Small footprint parallel optics transceivers
US60290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mote light source
KR100636120B1 (ko)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US7484987B2 (en) Latch assembly for an optoelectronic module
US9581773B2 (en) Cag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JP2000171848A (ja) システムカメラ
US8651748B2 (en) Connecting bridge for two optical units
MXPA03010306A (es) Dispositivo para instalar un transductor fotoelectrico en un dipositivo de procesamiento de senales electricas.
US59742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mote light source
JP2000013318A (ja) 光通信機能付電子機器
US20220179157A1 (en) Optical connector, optical cable, and electronic device
CN215764755U (zh) 一种方便维护的调焦染色灯
KR20010105040A (ko)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
JP2001042174A (ja) 光コネクタ
KR20000006078A (ko) 전자제품의디스플레이결합구조체
CN117148514A (zh) 一种机柜
JP2008148743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