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588A -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 - Google Patents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588A
KR20010023588A KR1020007002236A KR20007002236A KR20010023588A KR 20010023588 A KR20010023588 A KR 20010023588A KR 1020007002236 A KR1020007002236 A KR 1020007002236A KR 20007002236 A KR20007002236 A KR 20007002236A KR 20010023588 A KR20010023588 A KR 2001002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mill
support
frame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355B1 (ko
Inventor
홍주안 젱
린젠 자오
Original Assignee
홍주안 젱
린젠 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주안 젱, 린젠 자오 filed Critical 홍주안 젱
Publication of KR2001002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7Cluster mills, e.g. Sendzimir mills, Rohn mills, i.e. each work roll being supported by two rolls on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working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Metal Roll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롤의 휨 변형이 이차원적으로 제어되는 압연기는 주로 압연대의 프레임과, 롤 시스템과, 롤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압연시의 롤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과, 롤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 및 롤 지지부 사이에 제공된 중간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중간 지지 수단은 프레싱 장치와, 수평 패드 및 수직 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압연기에 의해, 롤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압연된 스트립 또는 판의 단면의 두께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A ROLLING MILL WITH ROLL DEFLECTION BI-DIMENSIONALLY CONTROLLED}
일반적으로, 판 및 스트립을 압연하는 압연기의 종류는 여러가지이며, 이들은 롤의 개수에 따라 2단 압연기, 4단 압연기, 및 다단 압연기로 분류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연기는 4단 압연기, HC 압연기 및 다단 압연기 등이다. 2단 압연기, 4단 압연기의 경우에는 많은 결점이 존재한다. 주요 결점은 압연된 제품이 압연대를 통과할 때 프레싱 장치가 롤의 목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롤이 큰 휨 변형을 일으킨다는 것이며, 롤이 변형되면 압연된 제품(압연판 및 압연 스트립)의 단면의 두께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압연된 제품의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롤의 직경을 크게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야 하며, 4단 압연기의 경우에는 지지 롤의 직경을 크게 하는 방법이 또한 채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롤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압연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압연력의 변화는 롤의 휨 변형의 증가를 야기하게 된다.
다단 압연기는 일체형 하우징 방식 압연기와 개방형 압연기(도 1 및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제 54-1259 호는 타워형 롤 시스템을 채용한 다단 압연기를 개시하고 있다. 물론, 그러한 압연기는 모두 매우 견고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다단 압연기에 있어서 지지 롤과 접촉하는 압연대의 일부는 여전히 압연력에 의해 휨 변형을 일으키며, 따라서 작업 롤의 휨 변경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압연된 제품의 두께의 균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압연된 제품에 대한 롤의 휨 변형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롤의 휨 변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작업 롤 사이의 간격의 형상을 제어하여 작업 롤의 휨 변형이 압연력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롤의 휨이 적은 고강도 압연기"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출원번호 89101393, 특허번호 CN 1023250B)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의하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워형 롤 시스템의 가장 바깥쪽 층에 있는 지지 롤이 다중 섹션 빔의 형태로 지지부 위에 지지되며, 작업 롤에 작용하는 압연력은 각각 롤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에 전달되며, 롤 지지부에 의해 생성된 힘의 수직분력은 위로 또는 아래로 작용하는 장치 또는 패드 따위의 요소를 통해 압연대로 전달되며, 아래로 또는 위로 작용하는 장치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이고, 아래로 또는 위로 작용하는 장치의 위치는 롤 지지부 위의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 내에 놓인다. 이 특허에 따르면, 수직면에서의 롤 지지부의 휨 변형이 압연력에 의해 변동되지 않으며, 따라서 압연된 제품의 단면의 두께 오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타워형 롤 시스템을 갖춘 다단 압연기의 경우에는, 작업 롤에서 중간 롤로 전달된 힘은 수직분력 및 수평분력을 가지며, 따라서 주변의 지지 롤 또한 상당한 수평 분력을 견디어 낸다. 중국 특허 제 89101393 호에 개시된 압연기의 경우에는, 수평분력에 의해 롤 지지부가 수평 휨 변형을 일으키고, 따라서 중간 롤 및 작업 롤이 커다란 휨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단 압연기의 작업 롤의 휨 변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직분력에 의해 생성되는 휨 변형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분력에 의해 생성되는 휨 변형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즉, 작업 롤이 곧은 상태로 유지되고 압연된 제품의 단면의 두께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이차원적으로 변형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판 및 스트립을 제조하는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의 휨 변형이 이차원적으로 제어되어 압연된 판 및 스트립의 단면이 매우 높은 두께 정밀도를 갖는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압연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방형 다단 압연기의 개락도이다.
도 3은 일본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다단 압연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의 제 1 실시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의 제 2 실시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 선을 따라 취한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의 이차원 휨 변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수직 방향에서의 휨 변형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에서의 휨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압연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압연기가 압연력을 받을 때 롤의 휨 변형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고, 그 결과 압연된 제품의 단면의 두께 오차가 감소하고 압연된 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는 고정밀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판 및 스트립을 압연하기 위한 압연기는 압연대와, 상부 및 하부 롤 시스템과,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를 포함한다. 압연대는 프레임 형상을 취하며, 압연력에 견딜 수 있으며, 롤 시스템 따위의 압연기의 모든 부품 및 구성요소가 프레임 내에 장착된다. 롤 시스템은 타워형 구성이 되도록 배열된다. 롤 시스템은 세 부분, 즉 작업 롤, 지지 롤 및 중간 롤로 구성된다. 롤 시스템의 가장 바깥쪽 층에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지지 롤은 각각 다중 섹션 빔의 형태로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 위에 지지되며, 상부 롤 지지부는 필요에 따라 위 아래로 이동하여 롤 사이의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연기는, 압연대와, 롤 지지부와, 프레임 및 롤 지지부 사이의 중간 지지 수단이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중간 지지 수단은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며, 작업 롤의 롤 몸체의 길이보다 길지 않은 길이로 된 작업 롤의 롤 몸체 축선의 중간 부분의 영역 내에 배열된다. 중간 지지 수단은 프레싱 장치와 수평 패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프레싱 장치가 상부 롤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압연대 내에 놓이며, 하부 롤 지지부는 수평 패드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싱 장치 및 수평 패드는 롤 지지부 위의 작업 롤의 롤 몸체 축선의 중간 부분의 영역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 수직 패드 세트가 배치된다. 이들은 각각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의 두개의 측벽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압연대의 측벽 위에 지지된다. 상부 및 하부 수직 패드 세트는 각각 수평분력으로 인한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두개의 쐐기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압연대의 형상은 롤 지지부의 형상에 부합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이들 압연기는 압연이 행해지는 동안 필연적으로 구부러지게 되며, 이것은 압연된 제품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압연된 제품의 표면 정밀도, 특히 판의 두께 정밀도는 소정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휨 변형이 이차원적으로 제어되는 고정밀 압연기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원 지지 시스템은 프레임(10)과, 롤 지지부(4, 5)와, 프레임 및 롤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 내에는 상부 롤 시스템, 하부 롤 시스템, 상부 롤 지지부, 하부 롤 지지부 따위의 주요 부품 및 구성요소가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1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그밖의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롤 시스템은 각각 작업 롤(1)과, 중간 롤(2)과, 지지 롤(3)로 구성되며, 이들은 함께 타워형 롤 시스템을 형성한다. 압연된 제품은 도면부호 12로 도시되어 있다. 롤 시스템의 가장 바깥쪽 층에 있는 지지 롤(3)은 다중 섹션 빔, 일반적으로 두개 이상의 섹션으로 된 빔(도 5 참조)의 형태로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4, 5) 위에서 지지되어 있다. 중간 지지 수단 내에는, 프레싱 장치(6)가 상부 롤 지지부(4) 및 프레임의 상측 내벽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장치(6)는 롤 지지부(4) 위에 설치되어 있고,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에, 일반적으로는 작업 롤의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프레싱 장치(6)는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부 롤 지지부(4)가 일체형 프레임(10) 내에서 위아래로 이동함으로써 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자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싱 장치에는 압연력의 크기와 롤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자동 판 두께 제어 장치(도시 안됨)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밀 제품이 얻어질 수 있도록 생산이 자동화될 수 있다.
하부 롤 지지부(5) 및 프레임(10)의 하측 내벽 사이에는 수평 패드(7)(도 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수평 패드는 롤 지지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에, 일반적으로는 작업 롤의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위치하고 있다. 명백하게도, 하부 롤 지지부(5)는 수평 패드(7)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 패드(7)는 여러가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평 패드의 두께는 두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압연 라인의 조정은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수평 패드(7)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패드(7)는 유압 장치 또는 스크류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듯이, 프레싱 장치(6)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는 것 이외에, 상부 롤 지지부(4)는 두 쌍의 상부 수직 패드 세트(8, 8)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된다. 이들 패드는 프레임(10)의 내측 측벽과 상부 롤 지지부(40)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수직 패드 세트(8, 8)는 각각 상부 롤 지지부(4)의 왼쪽과 오른쪽에 배치되며,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있는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다. 상부 수직 패드 세트(8)는 각각 정반대의 경사면(도 6 참조)을 갖춘 짝을 이루는 두개의 쐐기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부 롤 지지부(5)는 수평 패트(7)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10)의 내측 측벽과 하부 롤 지지부(5) 사이에 배치된 하부 수직 패드 세트(9, 9)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된다. 하부 수직 패드 세트(9, 9)는 각각 하부 롤 지지부(5)의 왼쪽 및 오른쪽에 배치되며,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있는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다. 하부 수직 패드 세트(9) 또한 짝을 이루는 쐐기형 부재(도 7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패드(7) 및 하부 수직 패드(9)와 함께, 하부 롤 지지부(5)는 프레임(10) 위에 지지되며, 상부 롤 지지부(4)는 상부 수직 패드 세트(8) 및 프레싱 장치(6)와 함께 프레임(10) 위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압연기의 상기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롤의 휨 변형은 사실상 감소된다. 이는 프레임과, 롤 지지부와, 프레임 및 압연기의 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 수단이 함께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형성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의 지지를 제공하며, 특히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와, 지지 롤과, 중간 롤과, 작업 롤 모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다. 작업 롤에 의해 생성된 압연력은 작업 롤과 중간 롤을 통해 지지 롤로 전달된다. 지지 롤은 축상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압연력이 외부 링으로 전달될 때 베어링의 외부 링이 회전하며, 압연력은 베어링을 통해 상부 롤 지지부로 전달된다. 수직 성분의 압연력은 최종적으로 프레싱 장치를 경유하여 프레임의 상측 내벽에 도달하고, 수평 성분의 압연력은 수직 패드 세트를 경유하여 프레임의 측벽에 도달한다. 이와 유사하게, 작업 롤에 의해 생성된 압연력은 중간 롤과 지지 롤을 경유하여 하부 롤 지지부로 전달된다. 수직 성분의 압연력은 수평 패드(7)를 경유하여 프레임의 하측 내벽에 전달되며, 수평 성분의 압연력은 수직 패드 세트(9)를 경유하여 프레임의 측벽에 전달된다. 압연력 전달 경로 상의 프레싱 장치, 수평 패드 및 수직 패드 세트는 모두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있는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연기는 적절한 형상, 즉 수직면은 물론 수평면에서의 작업 롤의 생산 라인의 선형성을 보장하며, 그 결과 압연력에 따라 작업 롤의 휨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롤의 휨 변경은 현저히 감소되고, 그 결과 압연된 스트립의 두께 오차가 감소된다.
롤 사이의 간격의 조정은 프레임(10)의 창 내에서 상부 롤 지지부(4)를 위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부 롤 지지부는 프레싱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는 거꾸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프레싱 장치는 위로 향하여 작용하는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을 변경하여도 효과는 동일하다.
유압 프레싱 장치 또한 스크류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압연기는 압연대와, 롤 지지부와, 압연대 및 롤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 수단으로 이루어진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특정 구성요소는 프레임(10), 상부 롤 지지부(24), 하부 롤 지지부(25), 패드(21) 및 롤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롤 시스템은 각각 작업 롤(1), 중간 롤(2) 및 지지 롤(3)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롤 시스템은 타워형 롤 시스템을 형성하며, 가장 바깥쪽에 있는 지지 롤(3)은 다중 섹션 빔의 형태로 롤 지지부(24, 25) 위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중간 지지 수단 내에 제 1 실시예의 프레싱 장치(6)와 상부 수직 패드 세트(8) 대신에 프레싱 장치(26, 27)가 제공되어 있고, 수평 패드(7) 및 하부 수직 패드 세트(9) 대신에 하부 패드(21)가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롤 지지부(25)는 프레임(10) 및 하부 롤 지지부(25) 사이에 비스듬히 배열된 두개의 패드(21)를 통해 프레임(10) 위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의 외측 측벽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은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고, 각각의 상부 표면과 만나고 있다. 상부 롤 지지부(24)는 프레싱 장치(26, 27)를 통해 프레임(10) 위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싱 장치는 스크류(27)와 패드(26)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싱 장치는 롤 지지부(24) 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각각의 패드(26)는, 앞쪽에서 보았을 때, 상부 롤 지지부(24) 위의 경사면중 하나와 부합되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스크류(27)에 형성된 나사부는 조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 나사부는 상부 롤 지지부(24)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롤 시스템이 위 아래로 이동하여 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을 포함하는 압연력이 상부 롤 지지부(24) 위에 가해지면, 그 힘은 스크류-패드 세트(26, 27)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프레임(10)에 도달한다. 프레임(10)의 형상은 롤 지지부(25, 24)의 형상과 부합되어야 한다. 상부 롤 지지부(24) 및 하부 롤 지지부(25)는 경사진 지지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10)은 수평분력과 수직분력에 견딜 수 있다. 압연력 전달 경로상의 프레싱 장치(26, 27) 및 패드(21)는 모두 작업 롤의 롤 몸체의 길이 내에 있는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 내에 위치하며, 따라서 양방향에서의 프레임의 휨 변경은 롤 지지부에서 작업 롤까지의 구성요소의 반강성 변위로 변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차원 지지 시스템은 작업 롤의 휨 변경을 감소시킨다. 도 9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조와 여러 구성요소의 형상은 도 8 및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프레싱 장치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좋다.
실시예의 압연기는 거꾸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의 스크류 장치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롤 지지부(35) 및 하부 패드(31)는 제 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프레싱 장치(36, 37)의 배열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레싱 장치(36, 37)는 프레임(10)의 상부 표면에서 프레임(10)의 중앙 축선에 대해 비스듬히 설치되고, 마주 보고 배열됨으로써, 전체 압연기가 더욱 합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압연기에 의해 생성되는 압연력의 전달과, 수직분력 및 수평분력의 지지 부재는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작업 롤의 휨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차원 지지 시스템의 원리 및 기능 또한 사실상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압연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압연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압연기는 그 형상이 롤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며 매우 단단한 일체형 프레임을 구비하기 때문에, 롤 지지부와 프레임 사이의 패드 또는 간격 조정 장치가 작업 롤의 롤 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작업 롤의 축선의 중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구성하며, 따라서 작업 롤의 생산 라인의 형상은 수직면은 물론 수평면에서도 보장된다. 그 결과, 압연력으로 인한 작업 롤의 휨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압연된 스트립의 두께 오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연기는 롤 형상의 설계(캠버링) 및 압연시의 롤 형상의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발생하는 본 발명의 압연기의 작업 롤의 휨 변형은 압연력에 따라 변동하지 않는다. 휨 변형, 플래트닝 변형, 열 팽창 및 마모 등의 캠버링와 관련된 여러가지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휨 변형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열 팽창 및 마모 또한 매우 느리게 변화하는 요인이므로, 롤 형상의 설계 및 압연시의 롤 형상의 제어를 현저히 단순화할 수 있다. 그밖에, 종래의 압연기의 두개의 작업 롤의 휨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롤 경로"가 감소되며, 따라서 금속의 횡단 유동이 촉진되고, 쐐기 형상의 블랭크를 갖춘 고정밀 스트립을 압연할 수 있으며, 스트립의 "가장자리 감쇠" 등의 현상도 크게 향상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롤 시스템의 롤의 개수는 12개이지만, 롤 시스템은 다른 개수의 롤의 구비할 수도 있다. 그밖에, 다른 롤 지지부가 상호 짝을 이룰 수도 있고, 종래의 압연기의 롤 지지부 또는 롤 시스템과 짝을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냉간 압연기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스트립 압연용 열간 압연기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압연대(10)와, 상부 롤 시스템 및 하부 롤 시스템과, 상부 롤 지지부 및 하부 롤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롤 시스템은 타워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판 및 스트립 압연용 압연기로서, 프레임과, 롤 지지부와, 압연기의 프레임 및 롤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중간 지지 수단이 함께 이차원 지지 시스템을 형성하며, 중간 지지 수단은 상부 및 하부 롤 지지부의 적어도 하나 위에 배치되고, 작업 롤의 롤 몸체보다 길지 않은 길이로 된 작업 롤의 롤 몸체의 축선의 중간 영역 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 수단은 프레싱 장치(6)와 수평 패드(7)를 포함하며, 프레싱 장치와 수평 패드는 각각 압연대(10)의 상측 및 하측 내벽과 롤 지지부(4, 5)의 단부면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중간 지지 수단은 압연대(10)의 내측 측벽과 롤 지지부(4, 5)의 두개의 측면 사이에 수직으로 놓이고 그에 확고히 맞대어져서 압연대(10)가 롤 지지부에 대해 이차원 지지부를 형성하게 되는 수직 패드 세트(8, 9)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일체로 주조된 프레임이거나, 용접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프레임이며, 그 외벽에는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롤(3)은 상기 롤 시스템의 가장 바깥쪽 층에 배열되고, 지지 롤은 둘 이상의 섹션으로 된 다중 섹션 빔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6)는 프레임(10)의 중앙 축선을 따라 롤 지지부를 위 아래로 수직 이동시켜서 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패드 세트(8, 9)는 두 쌍의 쐐기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쌍으로 된 쐐기형 부재의 짝을 이루는 면은 상호 확고하게 맞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 수단은 프레임(10)의 내벽과 롤 지지부(24, 25, 34, 35) 사이에 각각 배치된 프레싱 장치(26, 27, 36, 37)와 패드(21, 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24, 25, 34, 35) 각각의 두개의 외측 측벽에는 각각 안쪽으로 기울어지고 각각의 상부 표면과 만나게 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26, 27, 36, 37)는 스크류(27, 37)와 패드(26, 36)를 포함하는 스크류-패드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6, 36)는 안쪽으로 기울어진 롤 지지부 위의 대응하는 경사면과 부합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1, 31)는 프레임(10)의 하측 경사 내표면과 롤 지지부의 경사면에 확고히 맞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2.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스크류 패드 세트(26, 27, 36, 37)가 프레임(10)의 중앙 축선과 나란히 배열되고, 중앙 축선의 양쪽에 균등하게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패드 세트(26, 27, 36, 37)는 비스듬하게 배열되고, 프레임(10)의 중앙 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4.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 및 스크류(27, 37)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KR10-2000-7002236A 1997-09-04 1997-09-04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 KR100504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1997/000091 WO1999011397A1 (fr) 1997-09-04 1997-09-04 Laminoir a regulation bidimensionnelle de la deviation des cylind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588A true KR20010023588A (ko) 2001-03-26
KR100504355B1 KR100504355B1 (ko) 2005-07-28

Family

ID=457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236A KR100504355B1 (ko) 1997-09-04 1997-09-04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60397B1 (ko)
EP (1) EP1020238A4 (ko)
JP (1) JP2001514077A (ko)
KR (1) KR100504355B1 (ko)
AU (1) AU750382B2 (ko)
CA (1) CA2302378C (ko)
CZ (1) CZ298658B6 (ko)
DE (1) DE29780451U1 (ko)
RU (1) RU2198749C2 (ko)
TR (1) TR200000606T2 (ko)
UA (1) UA66804C2 (ko)
WO (1) WO1999011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033B2 (ja) * 2001-02-20 200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クラスター式多段圧延機
US7765844B2 (en) 2007-12-20 2010-08-03 Intergrated Industrial Systems, Inc. Prestressed rolling mill housing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ional features
JP5613399B2 (ja) * 2009-11-05 2014-10-22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クラスター式多段圧延機
CN101791632B (zh) * 2009-12-03 2012-02-15 王胜翔 双向曲面旋转式二十辊轧机板形调整装置的设计方法
CN105728463B (zh) * 2016-03-31 2017-10-17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新型偏十四辊钢板冷轧机结构
CN113646100B (zh) * 2019-04-04 2023-06-27 日本森吉米尔公司 多辊轧机及多辊轧机中的分割式支承轴承组装轴的更换方法
CN111250542A (zh) * 2020-03-17 2020-06-09 浙江传播者金属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带有支撑结构的轧机辊系补偿装置
CN114472596B (zh) * 2022-01-25 2024-04-09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轧辊挠度变形矫正系统及电池极片辊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7759A (en) 1937-02-10 1938-06-24 Krupp Fried Grusonwerk Ag A multiple rolling mill
GB1351074A (en) * 1971-02-15 1974-04-24 Hitachi Ltd Rolling mills
JPS55123B2 (ko) * 1972-08-19 1980-01-05
JPS6010805B2 (ja) * 1977-03-31 1985-03-20 タデウズ・センジミア クラスタ−ミル
US4248073A (en) * 1979-01-26 1981-02-03 T. Sendzimir, Inc. Cluster type cold rolling mill
US4295355A (en) * 1979-08-13 1981-10-20 Tadeusz Sendzimir Beam-backed strip mill with attached inserts
JPS5947003A (ja) * 1982-09-10 1984-03-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ロ−ル圧延機
JPS6427709A (en) * 1987-07-21 1989-01-30 Kobe Steel Ltd Device for bending roll of multiroll rolling mill
CN1013250B (zh) 1989-03-16 1991-07-24 郑红专 一种轧辊小挠度、高刚度轧机
CN2045332U (zh) 1989-03-16 1989-10-04 郑红专 一种轧辊小挠度、高刚度轧机
JPH0364405A (ja) * 1989-08-03 1991-03-19 Nippon Steel Corp 表面被覆金属の製造方法
JP3034928B2 (ja) * 1990-09-19 2000-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段圧延機,クラスタ式圧延機,センジマー型多段圧延機及び多段圧延機の制御方法
CA2095831C (en) 1991-09-10 1996-03-05 Shigeru Ogawa Rolling mill for flat products
JP3064141B2 (ja) * 1993-03-09 2000-07-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板圧延機
DE4402398A1 (de) * 1994-01-27 1995-08-10 Froehling Josef Gmbh Vielwalzengerüst in Ständerbauweise vorzugsweise mit direkter hydraulischer Anstellung
US5596899A (en) * 1994-07-22 1997-01-28 T. Sendzimir, Inc. Mill housings for cluster mills
CN2228811Y (zh) 1995-07-16 1996-06-12 武汉钢铁学院 一种板带材高精度轧机
JP3067619B2 (ja) * 1995-12-18 2000-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連続鋳造圧延設備
CN2250822Y (zh) 1996-05-22 1997-04-02 冶金工业部北京钢铁设计研究总院 一种8辊轧机
JPH1027709A (ja) * 1996-07-09 1998-01-27 Asahi Chem Ind Co Ltd 多層積層小型ピックアップ用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14077A (ja) 2001-09-11
UA66804C2 (uk) 2004-06-15
CA2302378C (en) 2006-11-14
AU750382B2 (en) 2002-07-18
DE29780451U1 (de) 2000-05-11
WO1999011397A1 (fr) 1999-03-11
CZ298658B6 (cs) 2007-12-12
US6260397B1 (en) 2001-07-17
CZ2000763A3 (cs) 2000-07-12
CA2302378A1 (en) 1999-03-11
EP1020238A4 (en) 2004-07-21
KR100504355B1 (ko) 2005-07-28
AU4110297A (en) 1999-03-22
RU2198749C2 (ru) 2003-02-20
TR200000606T2 (tr) 2000-10-23
EP1020238A1 (en) 200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355B1 (ko) 이차원 휨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밀 압연기
CA2364069C (en) A rolling mill with roll deflection bi-dimensionally controlled
US8794045B2 (en) Cluster-type multistage rolling mill
KR100504356B1 (ko) 판 또는 스트립 압연용 압연기
JPS58215207A (ja) 形鋼圧延機
CN1163316C (zh) 二维控制挠曲度的高精度轧机
SU1121079A1 (ru) Рабоча клеть формовочного стана
JPS5853311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MXPA00002237A (en) A rolling mill with roll deflection bi-dimensionally controlled
JPS5853309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H0110088Y2 (ko)
JPS5853307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5853308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5853310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CA2044658A1 (en) Roll stand for a planetary rolling mill
JPS5853314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5853312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