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144A -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 Google Patents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144A
KR20010023144A KR1020007001768A KR20007001768A KR20010023144A KR 20010023144 A KR20010023144 A KR 20010023144A KR 1020007001768 A KR1020007001768 A KR 1020007001768A KR 20007001768 A KR20007001768 A KR 20007001768A KR 20010023144 A KR20010023144 A KR 20010023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reagent
lipoprotein
phenyl ethe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437B1 (ko
Inventor
나카니시가즈오
나카무라미츠히로
히노고이치
마나베미츠히사
Original Assignee
구니요시 이에지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니요시 이에지,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니요시 이에지
Publication of KR2001002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cholest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혈청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첨가하여 리포단백질중, HDL중의 콜레스테롤이 우선적으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하는 시간 내에 그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는 HDL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및 또한 혈청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가한 HDL 콜레스테롤의 정량법이다.
이 정량법은 원심분리 등의 전처리가 필요 없고, 간편한 조작으로 효율 좋게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할 수 있으며, 각종 자동분석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METHODS FOR QUANTITATIN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은 혈청중에서 아포단백질과 결합하여 리포단백질을 형성하고 있다. 리포단백질은 물리적인 성상의 차이에 의해 카이로미크론, 초저비중 리포단백질(VLDL), 저비중 리포단백질(LDL), 고비중 리포단백질(HDL)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리포단백질 중, LDL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의 하나인 반면, HDL은 항동맥경화작용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역학적으로 HDL중의 콜레스테롤치는 동맥경화성질환의 발병빈도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고, 오늘날에는 허혈성 심질환의 예방이나 진단을 목적으로 하여 HDL중의 콜레스테롤 측정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HDL중의 콜레스테롤 측정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원심분리에 의해 HDL을 다른 리포단백질과 분리한 후, 콜레스테롤을 측정에 제공하는 방법이나,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후에 지질을 염색하고, 그의 발색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조작이 번잡하거나, 다수의 검체를 처리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일상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현재 임상검사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HDL중의 콜레스테롤 측정방법으로는 검체에 침전제를 가하여 HDL 이외의 리포단백질을 응집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한 후, 분리된 HDL만을 함유하는 상청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침전법이다. 이 방법은 초원심법이나 전기영동법에 비하여 간단하기는 하지만, 침전제를 가하여 분리하는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다량의 검체량을 필요로 하고, 또 분석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모든 분석공정을 완전하게 자동화할 수가 없었다.
한편, 효소적으로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분별정량 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담즙산염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존재하에 효소반응을 행하는 방법(일본국 특개소 63-126498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반응초기의 효소반응은 LDL농도에 비례하고, 그 후에는 HDL중의 콜레스테롤 농도에 비례하는 점을 이용한 것이나, HDL중의 콜레스테롤과 다른 리포단백질 속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완전히 분별할 수 없고, 정확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HDL 이외의 리포단백질을 미리 응집시켜 두고 HDL중의 콜레스테롤만을 효소적으로 반응시킨 후에, 효소를 불활화함과 동시에 응집을 재용해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일본국 특개평 6-242110호)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적어도 3회의 시약을 첨가하는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정된 자동분석장치밖에 적용할 수 없어서 범용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침전을 재용해할 때에는 고농도의 염을 사용하는 등, 분석기기에 대한 손상이나 시약의 폐기라는 점에서 만족스러운 방법은 아니었다.
더욱이, 일본국 특허 제2600065호에서는 통상의 침전법에 사용되는 HDL이외의 리포단백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시약과 일반적인 콜레스테롤 측정시약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침전하지 않는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의 실시예에 따라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발명의 구성요소를 착오에 의해 빠뜨린 특허로 생각되는 것으로서 선행기술로 인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원심분리 등의 조작이 필요 없이 적은 양의 시료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효율 좋게 고비중 리포단백질(HDL)중의 콜레스테롤만을 HDL 이외의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과 분리하여 정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본 발명 방법과 침전법의 분석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실시예 2에서 본 발명 방법과 침전법의 분석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혈청중의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 측정에 대해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리포단백질을 용해하는 특정 계면활성제 존재하에서 혈청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반응시키면, 우선 최초로 HDL 콜레스테롤만이 반응하고, 이어서 HDL의 반응에 뒤이어 VLDL중의 콜레스테롤이 반응하고, 최후로 상당히 뒤늦게 LDL중의 콜레스테롤이 반응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최초의 HDL 콜레스테롤 농도에 의존하는 반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 포인트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HDL 콜레스테롤만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과 계내에 혈청리포단백내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와의 반응을 저해하는 물질을 존재시킴으로써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만에 의존한 반응을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것과, 또한 이들 방법을 자동분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혈청에 대해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첨가하여 리포단백질 중, HDL중의 콜레스테롤이 우선적으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하는 시간 내에 그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L 콜레스테롤 정량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HDL 콜레스테롤의 정량법에 있어서, 혈청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각 방법들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측정용 시약 및 시약 킷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이하, 「용해촉진성 활성제」라고 함)는 리포단백질을 용해하는 작용을 갖는 계면활성제이다. 이들 중, 전자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Emulgen A-60" (Kao Corporation 제) 등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Emulgen B66" (Kao Corporation 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사용량은 화합물에 따라 다르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시약을 적용하는 분석장치별로 바람직한 측정시간 내에 HDL 콜레스테롤을 검출할 수 있는 감도가 되도록 실험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통상은 0.01∼5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방법에서는 혈청 리포단백질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이하, 「반응저해물질」이라 함)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장시간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만에 의존한 반응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저해물질로서는 리포단백질에 결합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나 리포단백질을 용해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각각 단독 또는 복수의 물질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리포단백질에 결합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이하, 「결합성 물질」이라 함)의 예로서는 폴리아니온과 2가 금속염을 생성하는 물질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들은 HDL과 결합하여 침전을 일으키는 물질이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인 폴리아니온의 예로서는 덱스트란황산, 인텅스텐산, 헤파린 등을 들 수 있고, 2가 금속염을 생성하는 물질의 예로서는 MgCl2, CaCl2, MnCl2, NiCl2등의 2가 금속염의 염화물이나 이들의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결합성 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사용량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반응 최종농도로서 폴리아니온의 경우에는 0.002∼10중량%, 2가 금속염을 생성하는 물질의 경우에는 0.01∼-5중량%가 되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포단백질을 용해하지 않는 계면활성제(이하, 「용해저해성 활성제」라고 함)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등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시판품으로서는 "Emulgen 220" (Kao Corporation 제) 등]이 있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시판품으로서는 "Emulgen 913" (Kao Corporation 제) 등]이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서는 ""Pluronic F-88" (Asahi Denka Kogyo K. K. 제)이 있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 [시판품으로서는 "EMAL 20C" (Kao Corporation 제) 등]을 들 수 있고, 알킬벤젠술폰산염으로서는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해저해성 활성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시료와 혼합했을 때의 농도가 0.01∼5중량%, 특히 0.05∼1중량%가 되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촉진성 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이하, 「콜레스테롤 시약」이라 함)을 검체인 혈청에 첨가할 때는 각각을 따로따로 첨가하거나 또는 혼합물로 하여 동시에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반응저해물질은 용해촉진성 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의 어느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반응저해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용해촉진성 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에 각각 따로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콜레스테롤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콜레스테롤 시약으로서는 공지의 효소시약,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들 콜레스테롤 시약을 첨가한 후, 최종적으로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고, 퍼옥시다제와 색원체를 다시 조합하여 행하는 흡광도분석, 보효소나 과산화수소를 직접 검출하는 방법 등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HDL의 콜레스테롤이 우선적으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하는 시간 내에 그 반응을 검출할 필요가 있으나, 그렇기 위해서는 용해촉진성 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시약과 시료를 혼합한 후에 진행하는 반응을 동역학적으로 모니터하는 방법이나 HDL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반응 종말점법으로 측정하여 블랭크치로 보정하는 방법 (2 포인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DL의 반응을 보다 오래 모니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반응 저해성 물질을 첨가하고, 콜레스테롤의 검출반응을 지연시킴으로써 HDL 콜레스테롤 농도에만 의존하는 반응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을 유리하게 실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약 내지 킷트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다음 2성분 (가) 및 (나)를 함유하는 것.
(가) 용해촉진성 활성제
(나) 콜레스테롤 시약
(2) 다음 성분 (가)∼(다)
(가) 용해촉진성 활성제
(나) 반응저해물질 (결합성 물질, 용해저해성 활성제)
(다) 콜레스테롤 시약
이와 같은 시약이나 시약 킷트에는 상기의 용해촉진성 활성제, 콜레스테롤 시약(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콜레스테롤옥시다제,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 등), 반응저해 물질(결합성 물질, 용해저해성 활성제), 퍼옥시다제, 색원체, 보효소 등, 기타 적당한 pH완충제, 산화방지제, 담체 등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시약이나 시약 킷트의 형상으로서도 액체상의 것 외에 이를 동결 건조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포단백질을 함유하는 50 예의 혈청 검체에 대해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종래의 침전법에 의해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정량하고, 이들의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각 혈청 검체 3㎕에 100mM의 MES완충액(제 1시약; pH 6.5) 300㎕를 첨가하고, 약 5분후에 "Emulgen B-66" 1%,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1U/㎖,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1U/㎖, 퍼옥시다제 5U/㎖ 및 디술포부틸메타톨루이딘 0.04%, 4-아미노안티피린 0.004%를 함유하는 100mM의 MES 완충액(pH 6.5)로 이루어진 콜레스테롤 측정시약 (제 2시약) 100㎕를 가하고, 제 2시약 직전과 첨가 5분후의 600nm(부파장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차로부터 혈청 검체 중의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구했다(2 포인트법). 또한, 교정용 물질로서 이미 알려진 농도의 컨트롤 혈청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조작은 히타치(日立) 7150형 자동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행했다.
한편, 침전법에 따라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기 위하여 덱스트란 황산 0.3% 및 염화마그네슘 2%를 함유하는 수용액 200㎕를 검체 200㎕와 혼합하고,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했다. 상청 50㎕를 채취하여 Triton X-100 1%,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1U/㎖,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1U/㎖, 퍼옥시다제 5U/㎖ 및 술포부틸메타톨루이딘 0.04%, 4-아미노안티피린 0.004%를 함유하는 100mM의 MES완충액(pH 6.5)로 이루어진 콜레스테롤 측정시약 3㎖와 혼합하고,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터한 후, 6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HDL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구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침전법에 의한 결과의 상관관계를 도1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작이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침전법과 극히 양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제 2시약 중의 "Emulgen B-66" 대신에 ""Emulgen A-60"" 1%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시약을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단백질을 함유하는 50 예의 혈청검체에 대해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정량하였다.
즉, 검체 3㎕에 제 1시약 300㎕를 첨가하고, 약 5분후에 , 제 2시약 100㎕를 가하였다. 제 2시약 첨가 후, 12초후부터 24초까지의 사이에 546nm(부파장 66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혈청 검체 중의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구했다(2 포인트법). 또한, 교정용물질로서 이미 알려진 2종류의 컨트롤 혈청(저농도와 고농도)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조작은 히타치(日立) 7150형 자동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행했다.
또한, 같은 검체에 대해 종래의 침전법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정량하고 이들의 측정치를 비교했다. 이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은 조작이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침전법과 양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제 2시약과 하기의 제 1시약을 사용하여 리포단백질을 함유하는 50 예의 혈청검체에 대해 본 발명의 방법 및 종래의 침전법에 따라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정량하고, 이들의 측정치를 비교했다. 그리고 제 1시약A(실시예 2와 동일)를 대조하기 위하여 가하였다.
[제 1시약]
제 1시약 A :
100mM의 MES완충액(pH 6.5)
제 1시약 B :
"Pluronic F-88" (Asahi Denka Kogyo K. K. 제) 0.2%수용액
제 1시약 C :
인텅스텐산나트륨 0.2% 및 염화마그네슘 100mM을 함유하는 수용액(pH 6.4)
제 1시약 D :
"Pluronic F-88" 0.2%, 인텅스텐산나트륨 0.2% 및 염화마그네슘 100mM을 함유하는 수용액(pH 6.4)
흡광도의 측정은 반응저해물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히타치 7150을 이용하여 제 2시약 첨가 후, 12초에서 24초, 12초후에서 168초 및 12초후에서 312초후의 각각 상이한 측광시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침전법에 의한 HDL의 측정은 실시예 1과 같이 행하고, 각 조건하에서의 본 발명 방법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이 상관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측정시간
12∼24초 12∼168초 12∼312초
제 1시약 A제 1시약 B제 1시약 C제 1시약 D 0.9220.7390.5430.045 0.4880.9000.9460.972 0.3360.8460.7470.988
상기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저해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제 1시약에서는 반응초기의 흡광도 측정에서만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반응저해물질을 함유하는 "Pluronic F-88" (Asahi Denka Kogyo K. K. 제) 0.2%수용액, 인텅스텐산나트륨 0.2% 및 염화마그네슘 100mM을 함유하는 수용액(pH 6.4) 및 "Pluronic F-88" (Asahi Denka Kogyo K. K. 제) 0.2%, 인텅스텐산나트륨 0.2% 및 염화마그네슘 100mM을 함유하는 수용액(pH 6.4)를 각각 제 1시약으로 사용한 측정결과에서는 장시간의 측정으로 어디나 양호한 상관(1에 가까울 만큼 상관성이 높다)관계를 나타내고, 반응저해물질이 HDL 콜레스테롤 양에 의존하는 반응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심분리 등의 전처리가 필요 없고, 간편한 조작으로 효율좋게 HDL중의 콜레스테롤을 정량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시료와 간편한 조작으로 특이적인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자동분석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서 임상검사의 영역에 있어서 극히 유용하다.

Claims (5)

  1. 혈청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첨가하여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이 우선적으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하는 시간 내에 그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2. 혈청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혈청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첨가하여 리포단백질 중, 고비중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이 우선적으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하는 시간 내에 그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3. 제 2항에 있어서, 혈청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이 리포단백질을 용해하지 않는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아니온과 2가 금속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의 조합인 것이 특징인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4. 다음 성분(가) 및 (나),
    (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나)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
    을 함유하는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약 또는 시약 킷트.
  5. 다음 성분(가)∼(다),
    (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나) 혈청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의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
    (다)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
    을 함유하는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약 또는 시약 킷트.
KR1020007001768A 1997-08-27 1998-08-25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KR100560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4821A JPH1156395A (ja) 1997-08-27 1997-08-27 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JP244821/1997 1997-08-27
PCT/JP1998/003771 WO1999010526A1 (fr) 1997-08-27 1998-08-25 Methodes de quantification de cholesterol des lipoproteines de haute den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144A true KR20010023144A (ko) 2001-03-26
KR100560437B1 KR100560437B1 (ko) 2006-03-14

Family

ID=171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768A KR100560437B1 (ko) 1997-08-27 1998-08-25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1046716B1 (ko)
JP (1) JPH1156395A (ko)
KR (1) KR100560437B1 (ko)
CN (1) CN1134544C (ko)
AT (2) ATE462015T1 (ko)
AU (2) AU757184B2 (ko)
CA (1) CA2301873C (ko)
DE (2) DE69841576D1 (ko)
TW (1) TW571096B (ko)
WO (1) WO1999010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155A (ko) * 2013-07-24 2021-03-02 덴카 주식회사 고밀도 리포단백질3 중의 콜레스테롤의 정량 방법 및 정량 시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82B1 (ko) * 1999-03-01 2007-02-12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시료성분의 측정방법
CN1344371A (zh) * 1999-03-24 2002-04-10 第一化学药品株式会社 定量胆固醇的方法
MXPA02000067A (es) * 1999-06-21 2003-02-27 Daiichi Pure Chemicals Co Ltd Metodo de pretratamiento de muestra para cuantificar colesterol y metodo para cuantificar colesterol en lipoproteinas especificas utilizando el mismo.
JP4542234B2 (ja) * 1999-06-21 2010-09-08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定量用試料の前処理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特定の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定量法
JP4519239B2 (ja) * 2000-02-17 2010-08-04 デンカ生研株式会社 低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方法
JP4708531B2 (ja) * 2000-06-07 2011-06-2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Hdl亜画分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法
JP3686326B2 (ja) 2000-11-08 2005-08-24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高密度リポタンパク質(hdl)コレステロール測定用試験片
CA2428686A1 (en) * 2000-11-14 2002-05-23 Daiichi Pure Chemicals Co., Ltd. Method of lipid assay and reagent for use therein
US7074581B2 (en) * 2002-08-09 2006-07-11 Sysmex Corporation Reagent for assaying lipid
WO2004035816A1 (ja) * 2002-10-16 2004-04-29 Kyowa Medex Co., Ltd. 高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および試薬
JPWO2004048605A1 (ja) 2002-11-27 2006-03-23 第一化学薬品株式会社 特定リポ蛋白中の脂質測定法
CN101373190A (zh) * 2002-11-27 2009-02-25 积水医疗株式会社 特定脂蛋白中的脂质测定法
KR101067992B1 (ko) * 2002-12-13 2011-09-26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저밀도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의 멀티 정량법
WO2005100591A1 (ja) * 2004-04-15 2005-10-27 Kyowa Medex Co., Ltd. 高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
JP4884012B2 (ja) * 2006-01-25 2012-02-2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高密度リポタンパク質中コレステロール測定試薬キット及び測定方法
JP5297637B2 (ja) * 2007-11-28 2013-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密度リポ蛋白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
EP2065708B1 (en) 2007-11-28 2014-01-01 FUJIFILM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KR101665999B1 (ko) * 2008-08-22 2016-10-13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JP4865880B2 (ja) * 2010-04-05 2012-02-01 デンカ生研株式会社 低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方法
CN101880556B (zh) * 2010-05-11 2013-01-23 李珍发 环保型甲醇汽油多功能增效剂
EP2597468B1 (en) 2010-07-23 2017-03-15 Denka Seiken Co., Ltd. Method for quantifying the amount of cholesterol in high-density lipoprotein 3
JP6054051B2 (ja) * 2012-04-11 2016-12-27 デンカ生研株式会社 高密度リポ蛋白(hdl)中のコレステロール(−c)の亜分画定量方法
CN104076158B (zh) * 2014-07-10 2016-08-17 深圳市新产业生物医学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测定高密度脂蛋白胆固醇的试剂盒
CN105543336B (zh) * 2015-12-22 2019-03-12 山东博科生物产业有限公司 一种稳定、抗干扰能力强的血清磷脂检测试剂及检测方法
CN106191211B (zh) * 2016-08-19 2019-12-24 威海威仕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密度脂蛋白胆固醇检测试剂的稳定剂
JP7134667B2 (ja) 2018-03-28 2022-09-12 デンカ株式会社 リポ蛋白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方法、定量試薬及び定量キット
CN112695071B (zh) * 2020-12-16 2022-12-30 浙江伊利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高密度脂蛋白3的测定试剂、方法和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3288A1 (de) * 1985-09-18 1987-03-26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und reagenz zur spezifischen bestimmung von hdl-cholesterin im serum
DE3636851A1 (de) * 1986-10-29 1988-05-11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und reagenz zur spezifischen bestimmung des cholesterins der hdl-fraktion
JPH02210265A (ja) * 1989-02-10 1990-08-21 Konica Corp 分析素子
JP3107474B2 (ja) 1993-02-17 2000-11-06 国際試薬株式会社 リポ蛋白分画中の成分の定量方法
JP2653755B2 (ja) * 1994-03-08 1997-09-17 協和メデックス株式会社 高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JP2600065B2 (ja) 1994-03-08 1997-04-16 協和メデックス株式会社 高密度リポ蛋白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JP3614514B2 (ja) * 1995-06-21 2005-01-26 国際試薬株式会社 高比重リポ蛋白分画中の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方法及び定量用試薬キット
JP3193634B2 (ja) * 1996-05-29 2001-07-30 第一化学薬品株式会社 Ldl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155A (ko) * 2013-07-24 2021-03-02 덴카 주식회사 고밀도 리포단백질3 중의 콜레스테롤의 정량 방법 및 정량 시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6395A (ja) 1999-03-02
TW571096B (en) 2004-01-11
ATE462015T1 (de) 2010-04-15
DE69842126D1 (de) 2011-03-17
AU8750998A (en) 1999-03-16
CN1134544C (zh) 2004-01-14
EP1046716B1 (en) 2010-03-24
EP2080810B1 (en) 2011-02-02
KR100560437B1 (ko) 2006-03-14
AU757184B2 (en) 2003-02-06
EP2080810A1 (en) 2009-07-22
CA2301873A1 (en) 1999-03-04
EP1046716A1 (en) 2000-10-25
CA2301873C (en) 2017-03-21
ATE497544T1 (de) 2011-02-15
CN1268185A (zh) 2000-09-27
DE69841576D1 (de) 2010-05-06
EP1046716A4 (en) 2004-09-01
WO1999010526A1 (fr) 1999-03-04
AU2003204024B2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37B1 (ko)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US6764828B2 (en)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LDL cholesterols
KR100346658B1 (ko) 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US20090226945A1 (en) Method of pretreatment of sample for quantitating cholesterol and method for quantitating cholesterol in specific lipoproteins by using the same
JPH0616720B2 (ja) 血清又は血漿中のhdl−コレステリンの特異的測定法及び測定試薬
KR20010108370A (ko)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JP2007295935A (ja) 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EP0811692B1 (en) Method of determining bile acid conjugated with sulfuric acid and kit therefor
KR100489558B1 (ko)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MXPA00002025A (es) Metodo para cuantificar el colesterol en lipoproteina de alta dens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