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558B1 -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 Google Patents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558B1
KR100489558B1 KR10-1998-0709478A KR19980709478A KR100489558B1 KR 100489558 B1 KR100489558 B1 KR 100489558B1 KR 19980709478 A KR19980709478 A KR 19980709478A KR 100489558 B1 KR100489558 B1 KR 10048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low specific
lipoprotein
sample
lipoprote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925A (ko
Inventor
나카무라 미츠히로
나카니시 카즈오
히노 고이치
마나베 미츠히사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가가쿠 야쿠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70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5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cholest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 혈청에 첨가하여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우선적으로 반응시킨 후에, 그 후의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L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원심분리 및 전기영동 등의 분리조작이 필요가 없고, 효율 좋게 LDL 콜레스테롤을 기타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분별 정량할 수 있으며, 임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자동분석장치에 널리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임상상 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저비중 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LDL CHOLESTEROLS}
본 발명은 원심분리, 전기영동 등 분리조작의 필요성이 없고, 소량의 시료로 간편한 조작으로 효율 좋게 저비중 리포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 중의 콜레스테롤과 LDL 이외의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분별 정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은 혈청 중에서 아포단백질과 결합하여 리포단백질을 형성한다. 리포단백질은 물리적인 성상의 차이에 의해 카이로미크론, 초저비중 리포단백질(VLDL), 저비중 리포단백질(LDL), 고비중 리포단백질(HDL)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리포단백질중, LDL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원인물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역학적으로는 LDL 콜레스테롤치는 동맥경화성 질환의 발병빈도와 강한 상관성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고, 일상적으로 간편한 방법으로 LDL 콜레스테롤 측정이 가능하면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종래의 LDL 콜레스테롤의 측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원심분리에 의해 LDL을 다른 리포단백질과 분리한 후에,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방법과,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후에 지질을 염색을 하고, 그의 발색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어느 것도 조작이 번잡하거나, 다수의 검체를 처리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일상적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또한, 담체에 LDL 이외의 리포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를 감작하고, 시료와 혼화한 후, 담체와 결합하지 않은 분획을 분리하여 취하고, 그의 분획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 방법은 앞의 2 방법에 비해 일상적인 측정에 더 적합한 방법이라 하나, 수작업으로 행하는 공정을 측정조작중에 포함하고 있어 자동화가 곤란하여 역시 다수의 검체의 처리는 여전히 적합하지 않다.
한편, 초원심분리 또는 전기영동과 같은 분리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시료중의 리포단백질을 분별 정량하는 방법으로서는 HDL 및 기타 리포단백질(즉, 카이로미크론, VLDL, LDL)에 대한 콜레스테롤 측정에 사용되는 효소(주로, 콜레스테롤옥시다제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의 반응성을 제어하고, HDL 콜레스테롤만을 효소반응으로 유도하여 정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7-301636호 공보에는 계면활성제 및 당화합물을 사용함으로서 HDL 콜레스테롤만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6-242110호 공보에는 측정하여야 할 단백질이외의 리포단백질을 응집시킴으로서 효소와의 반응성을 억제하고, 측정대상인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만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자동분석기에 적용 가능하여, 전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극히 유용하나, 이러한 방법들은 어디까지나 HDL과 HDL 이외의 리포단백질을 분별 정량하는 데 그치며, 또한 LDL과 VLDL 및 카이로미크론을 분별 정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기술에서는 분리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LDL콜레스테롤을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는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7-280812호 공보에서는 LDL을 일단 응집시킨 후에 다른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LDL의 정량계에 관여하지 않는 계로 유도하고, LDL 응집을 용해한 후에 LDL콜레스테롤을 반응시킴으로서 정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7-280812호 공보에서도, 전술한 2개의 특허공개공보와 같이, LDL 콜레스테롤의 측정에는 절대적으로 불가결한 LDL과 VLDL 및/또는 카이로미크론의 분별 정량에 대한 해결법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측정에 필요한 반응공정수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동분석장치에 적용할 수 없고, 그의 이용가치도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알려져 있는 기술로는 분리조작을 하지 않고 LDL 콜레스테롤을 효율 좋게 측정할 수 없을 뿐이던가, 그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정보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분리 또는 전기영동과 같은 전처리할 필요 없이, 간편한 조작으로 효율 좋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각종 자동분석기에 적용할 수 있는 LDL 콜레스테롤의 분별정량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LDL 콜레스테롤의 측정치와 초원심분리에 의해서 얻은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LDL 콜레스테롤의 측정치와 초원심분리에 의해서 얻은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실시예 3에서 얻어진 LDL 콜레스테롤의 측정치와 초원심분리에 의해서 얻은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는 리포단백질을 용해하는 계면활성제이며, 시판품으로는 전자의 예로서 에말겐 A-60(Emulgen A-60, Kao사 제품)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예로서는 에말겐 B66(Emulgen B66, Kao사 제품)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화합물에 따라 다르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시약을 적용하는 분석장치별로 바람직한 측정시간내에 LDL 콜레스테롤이 검출될 수 있도록 통상 0.01∼2 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롤 측정 방법은, 다시 LDL에 대해서 보다 VLDL에 대해서 강한 결합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검체가 혈청을 함유하는 카이로미크론인 경우에는, 상기 물질의 첨가하여 측정하는 것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물질로서는 폴리아니온과 2가 금속이온을 생성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니온으로서 인텅스텐산 및 그의 염, 황산 덱스트란 및 헤파린을 들 수 있으며; 2가 금속이온을 생성하는 물질로서는 MgCl2, CaCl2, MnCl2, NiCl2 등의 2가 금속 염화물 및 그의 수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의 사용량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반응종료 농도로서 폴리아니온은 0.002∼10 중량%, 2가 금속이온 생성물질의 경우에는 0.01∼1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및 LDL에 대해서보다 VLDL에 대해서 강한 결합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검체인 혈청에 첨가할 때에는 전자 및 후자 그리고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의 혼합물을 각각 첨가할 수도 있으며; 또한 3자를 혼합하여 동일 시약으로서 첨가하여도 좋다.
콜레스테롤을 측정방법으로서는 공지의 효소적 측정방법의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예를 들면, 효소시약으로서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라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라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콜레스테롤 측정 효소시약을 첨가한 후, 최종적으로 콜레스테롤을 검출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페록시다제 및 크로모겐을 조합하여 행하는 흡광도분석, 보효소나 과산화수소를 직접 검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LDL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검출하기 위하여는 LDL이외의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종결한 후에 반응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고, 일정시간 반응시켜서 LDL이외의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이 거의 완료한 후에, 진행되는 반응을 동력학적으로 모니터하는 방법이나, 또한, LDL의 반응을 촉진시킬 목적에서 별도 반응촉진제를 첨가하고, 생성되는 반응을 반응종말점에서 측정하여 블랭크치로서 보정하는 방법(2 포인트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 포인트법에서는 LDL 이외의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시에 콜레스테롤을 다음 공정에서 LDL 콜레스테롤의 정량계에 관여하지 않는 별도의 반응계로 유도하고, LDL 콜레스테롤의 반응만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혈청중에 존재하는 다른 리포단백질로서는 통상 음식물의 섭취 직후에만 나타나는 카이로미크론을 들 수 있으나, 이것은 반응성이 VLDL과 거의 같다. 이 때문에, 카이로미크론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폴리아니온, 2가 금속이온을 생성하는 물질 등을 첨가함으로서 VLDL과 거의 같은 카이로미크론의 반응성도 촉진되고, VLDL의 반응 종료시에는 카이로미크론의 반응도 종료하므로, 그후,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함으로서 LDL 콜레스테롤의 분별정량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리포단백질을 용해하는 특정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과 반응시키면, HDL 및 VLDL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가속시키는 한편, LDL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현저히 지연되고, HDL중 및 VLDL중의 콜레스테롤의 반응은 LDL중의 콜레스테롤 반응에 앞서 종결하기 때문에, 측정 포인트를 적의 선택함으로서 LDL 콜레스테롤을 분별측정할 수 있고, 더욱이 자동분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LDL 콜레스테롤을 정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혈청에 가하고,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우선적으로 반응시킨 후, 그 후의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LDL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도 강한 결합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첨가하고,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리포단백질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우선적으로 반응시킨 후에, 이어서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킷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킷트에 다시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해서 보다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강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킷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상 지질 혈청을 시료로 하고, 본 발명 방법에 의해 LDL 콜레스테롤을 히타치 7070형 자동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원심분리를 통해 얻은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이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즉, 검체(4 ㎕)에 인텅스텐산 나트륨(0.02 중량%)를 함유하는 시약(300 ㎕)과 MgCl2·6H2O(0.2 중량%)를 첨가했다. 약 5분 후, 에말겐 A-60(Kao사 제품) (0.5 중량%),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1 U/㎖), 콜레스테롤 옥시다제(1 U/㎖) 및 N,N-디메틸-m-톨루이딘 (0.04 중량%)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측정시약(100 ㎕)을 첨가하고, 제 2 시약첨가 1분후∼5분후까지 545 nm에서 흡광 변화를 측정하였다.
한편, 초원심분리법은 혈청을 초원심분리기에서 100,000 g에서 2시간 원심하여 상층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하층에서 1 ㎖를 취하여, 헤파린 용액(40 ㎕ ; heparin = 5000 usp units/㎖)과 1 M MgCl2(50 ㎕)용액을 가하고, 5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청액을 얻었다. 초원심분리법으로 얻어진 하층 용액(LDL과 HDL을 함유)과 헤파린 및 MgCl2용액을 가하여 얻어진 분획 상청(HDL을 함유)을 콜레스테롤 측정에 걸고, 전자의 값에서 후자의 값을 뺀 값을 LDL 콜레스테롤치로 하였다 (참고문헌 ; Paul S. Bachorik et al., Clin. Chem. 41/10, 1414-1420, 1955).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은 사용하는 시료가 극히 적고, 간편한 조작으로 행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초원심분리법과 양호한 상관성을 갖는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를 얻어진다.
실시예 2
트리글리세리드치가 고도로 상승한 혈청 함유 카이로미크론을 함유하는 검체를 시료로 하고, 본 발명에 의해 LDL 콜레스테롤을 히타치 7070형 자동분석장치에 의해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초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즉, 검체(4 ㎕)에 에말겐 B66(Kao사 제품) (0.5 중량%),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0.3 U/㎖), 콜레스테롤 옥시다제(0.3 U/㎖), 페록시다제 (0.3 U/㎖) 및 4-아미노안티피린(0.002 중량%)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측정시약(300 ㎕)을 첨가하였다. 다음에 약 5분후, 트리톤 X-100(1 중량%) 및 N,N-디메틸-m-톨루이딘 (0.04 중량%)를 함유하는 시약 (100 ㎕)을 가하고, 제 2시약 첨가 5분후의 545 nm에서 흡광도에서 제 2시약 첨가 직전의 545 nm에서 흡광도(시약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을 행함)를 빼고, 그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했다.
한편, 초원심분리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종래의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와 양호한 상관성을 갖는 측정치가 얻어졌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 1시약 중에 인텅스텐산 (0.3 중량%)을 함유시킨 이외는 동일한 검체 및 시약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조작하고,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측정치를 초원심분리법에 의해 얻어진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청함유 카이로미크론을 함유하는 혈청 시료를 사용하여도 실시예 1과 같으며, 종래의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LDL 콜레스테롤 측정치와 극히 양호한 상관성을 갖는 측정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심분리 및 전기영동 등의 분리조작이 필요가 없고, 효율 좋게 LDL 콜레스테롤을 기타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분별 정량할 수 있으며, 임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자동분석장치에 널리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임상상 극히 유용하다.

Claims (27)

  1.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콜레스테롤 조합 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인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혈청에 첨가하고,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리포단백질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우선적으로 반응시킨 후에, 이어서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2.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해서 보다도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강한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폴리아니온 및 2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 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인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혈청에 첨가하고, 리포단백질중 고비중 리포단백질중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을 우선적으로 반응시킨 후에, 이어서 콜레스테롤의 반응량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3.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 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인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킷트.
  4. 제 3항에 있어서,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해서 보다도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강한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폴리아니온 및 2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킷트.
  5. (A) (1)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와 (2)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 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인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을 혈청을 함유하는 시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계면활성제가 효소시약과 고비중 리포단백질 및 초저비중 리포단백질과의 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효소시약과 저비중 리포단백질과의 반응을 지연시키고,
    (B) 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해서 보다도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강한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폴리아니온 및 2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시료에 다시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폴리아니온 물질이 인텅스텐산 또는 그의 염, 황산 덱스트란 또는 헤파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이 MgCl2, CaCl2, MnCl2 또는 NiCl2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폴리아니온의 시료에 첨가한 후의 농도가 0.002∼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의 시료에 첨가한 후의 농도가 0.01∼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시료에 첨가한 후의 농도가 0.01∼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12. 제 5항에 있어서, 혈청 시료가 카이로미크론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13. 제 5항에 있어서, 혈청 시료를 (A) 단계전에 원심분리 또는 전기영동에 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14. (A) (1)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 트리벤질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2)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옥시다제의 조합 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및 콜레스테롤 데히드로게나제의 조합인 콜레스테롤 측정용 효소시약
    을 함유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15. 제 14항에 있어서, 다른 리포단백질로부터 저비중 리포단백질을 분리하지 않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중의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16. 제 14항에 있어서, 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해서 보다도 초저비중 리포단백질에 대하여 강한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폴리아니온 및 2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함유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17. 제 14항에 있어서, 2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를 0.01∼2중량%를 함유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19. 제 16항에 있어서, 폴리아니온이 인텅스텐산 또는 그의 염, 황산 덱스트란 및 헤파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20. 제 16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 생성 물질이 2가 금속 염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21. 제 20항에 있어서, 2가 금속 염화물이 MgCl2, CaCl2, MnCl2, NiCl2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22. 제 16항에 있어서, 폴리아니온을 0.002∼ 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23. 제 16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을 0.01∼1중량% 함유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용 시약.
  24. 시료를 제 14항 기재의 시약과 접촉한 후,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효소적으로 정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저비중 리포단백질을 다른 리포단백질로부터 분리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26. 시료를 제 16항 기재의 시약과 접촉한 후, 시료중의 저비중 리포단백질중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효소적으로 정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저비중 리포단백질을 다른 리포단백질로부터 분리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방법.
KR10-1998-0709478A 1996-05-29 1997-04-10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KR10048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478A KR100489558B1 (ko) 1996-05-29 1997-04-10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34727 1996-05-29
KR10-1998-0709478A KR100489558B1 (ko) 1996-05-29 1997-04-10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25A KR20000015925A (ko) 2000-03-15
KR100489558B1 true KR100489558B1 (ko) 2005-09-30

Family

ID=4366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478A KR100489558B1 (ko) 1996-05-29 1997-04-10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5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25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7118A (en)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LDL cholesterols
KR100560437B1 (ko) 고비중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정량법
US5773304A (en)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cholesterol
US8785146B2 (en) Method for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HDL-C and LDL-C
JP3251304B2 (ja) 生体試料成分中の物質の分析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試薬
JPH09285298A (ja) Hdl−コレステロールの測定方法及び測定用試薬
KR100489558B1 (ko) 저비중단백질콜레스테롤의정량방법
JP2007295935A (ja) コレステロールの定量法
MXPA98010022A (en)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low-densi lipoprotein cholesteroles
MXPA00002025A (es) Metodo para cuantificar el colesterol en lipoproteina de alta dens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