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97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972A
KR20010022972A KR1020007001580A KR20007001580A KR20010022972A KR 20010022972 A KR20010022972 A KR 20010022972A KR 1020007001580 A KR1020007001580 A KR 1020007001580A KR 20007001580 A KR20007001580 A KR 20007001580A KR 20010022972 A KR20010022972 A KR 2001002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control panel
car
elevator apparatu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750B1 (ko
Inventor
남바야스히로
야마카와시게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2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카에서 돌출한 근접스위치의 최하이동위치의 하방에서,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은, 카의 승강방향에 근접스위치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는 위치에서, 부착대를 통해서 승강로벽에 설치되어있다. 즉, 제어반은 근접스위치의 이동범위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이동해서 배치되어있다. 또 승강로벽의 표면과 제어반사이에는 부착대에 의해 극간이 형성되어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기계실내에 권양기 및 제어반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물의 최상부에 기계실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건물의 이용효율이 저하하는 동시에 건물이 높아져버린다,
이에대해, 예를들면, 일본국특개평7-10434호 공보에는, 권양기 및 제어반을 승강로내의 최상부에 설치하고, 기계실을 생략한 엘리베이터장치가 기재되어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7-10437호 공보에는 권양기 및 제어반을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하고, 기계실을 생략한 엘리베이터장치가 기록되어있다. 그러나, 이들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기계실은 생략이되나, 승강로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승강로의 수평단면적이 커지는 등의 염려가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114481호 공보에는 승강로의 저부에 제어반을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카가 제어반에 간섭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의 저부에 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카실의 바닥면적이 작아져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것을 과제로 이루어진것으로, 카에 凹부를 만들지 않고 건물의 높이를 낮게할 수 있고, 건물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가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벽과 저부를 갖는 승강로, 승강로벽에 대향하는 측면부와 이 측면부로부터 승강로벽을 향해 돌출된 카탑재기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및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카 탑재기기를 통영한 영역과 겹쳐지고 또 승강체의 승강방향에의 카탑재기의 이동범위외의 위치에서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승강체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벽과 저부를 갖는 승강로, 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승강로내에 돌출하게 승강로벽에 설치되어있는 승강로기기 및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승강로기기를 투영한 영역과 겹쳐지고, 또 승강로기기 설치영역외의 위치에서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승강체의 승강을 제어하기위한 제어반을 구비한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해, 특히 승강로내에 제어반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수직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여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카가 최하층에 착상했을때의 버퍼장치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2에 의한 제어반의 설치영역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의 설치영역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9는 도 9의 요부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장치의 수직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화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수직단면도, 도3은 도 1의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승강체로서의 카(2)는 주로프(4)의 일단부에 매달려 있다. 주로프(4)의 타단부는 승강체로서의 균형추(3)가 매달려 있다. 승강로(1)내에는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5) 및 균형추(3)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추가이드레일(6)이 각각 설치되어있다.
승강로(1)의 저부(피트부)(1b)에는 비상시에 카(2)를 받는 버퍼장차(7)가 설치되어있다. 도 2는 버퍼장치(7)에 의해 카(2)가 받쳐져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고, 통상운전시에는, 도 4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카(2)가 최하층에 착상되어도, 카(2)와 버퍼장치(7)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카 가이드레일(5)에는 여러개의 착상플레이트(9)가 부착암(arm)(8)을 통해서 부착되어있다. 승강로벽(1a)에 대향하는 카(2)의 측면부(2a)에는, 착상플레이트(9)에 대향하는 카 탑재기기로서의 근접스위치(10)가 설치되어있다.
근접 스위치(10)는, 측면부(2a)로부터 대향하는 승강로벽(1a)를 향해 돌출해 있다. 카(2)의 승강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착상장치(1)는, 착상플레이트(9)및 근접스위치(10)로 구성되어있다. 착상플레이트(9)는 목적에 따라 승강로(1)의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있다. 근접스위치(10)는 착상플레이트(9)와의 계합의 유무를 출력하는것이고, 이로써 승강로(1)내의 카(2)의 높이를 검출한다. 이 검출된 위치에따라, 카(2)를 승강시킬때의 감속점이나, 카(2)를 승차장바닥에 착상시킬때의 착상위치가 검출된다.
도 2에 표시하는 근접스위치(10)의 최하이동위치의 하방에는, 제어반(12)이 배치되어있다. 제어반(12)는 도 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카(2)의 승강방향에 근접스위치(10)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는 위치에서, 부착대(13)를 통해서 승강로벽 (1a)에 설치되어있다. 또, 승강로벽(1a)의 표면과 제어반(12)사이에는, 부착대 (13)에 의해 극간이 형성되어있다. 제어반(12)에는, 엘리베이터장치를 구동제어하기위한 여러가지의 제어기기(도시않음)가 설치되어있다.
또, 제어반(12)는 전력선 및 신호선(어느것도 도시않음)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각 기기와 접속되어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반(12)이 근접스위치(10)의 최하이동위치보다도 더 아래의 근접스위치(10)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또 카(2)의 승강방향에 근접스위치(10)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1)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건물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가 있는 동시에, 기게실을 생략해서 건물의 높이를 낮게할 수 가 있다.
또, 승강로(1)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으므로, 카(2)에 요(凹)부를 만들필요가 없고, 카실의 바닥면적이 작아지는 일도 없다.
또, 제어반(12)은 부착대(13)를 통해서 승강로벽(1a)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로(1)의 저부(1b)와 제어반(12)의 하부사이에는 간격이 있으므로, 저부(1b)에 물이 침입해도, 제어반(12)및 부착대(13)가 물을 뒤집어 쓰는것이 방지된다.
또, 승강로벽(1a)의 표면과 제어반(12)사이에는 부착대(13)에 의해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강로벽(1a)을 따라 하강하는 물방울이나 물이 흘러내려 제어반(12)이 젖는것이 방지된다.
또, 작업자가 저부(1b)에 들어가 제어반(12)에 대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2
또, 상기 한예에서는, 근접스위치(10)의 최하이동위치의 하방에 제어반(12)을 배치하였으나, 예를들면 도 5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근접스위치(10)의 최상이동위치(도면의 2점쇄선)의 상방에 제어반(12)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카(2)에 승차함으로써, 제어반(12)에 대한 작업을 쉽게 할 수 가 있으므로, 보수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한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도 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카(2)및 근접스위치(10)의 이동범위(14)및 승강로 기기설치영역(15)을 피한 제어반 설치가능영역(16A),(16B)내에 제어반이 배치된다.
실시의 형태 3
또,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이고, 근접스위치(10)의 이동범위(17)및 승강로기기설치영역(18)을 회피한 제어반 설치가능영역(19A),(19B)내에 제어반을 설치하는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옆방향에서 본 제어반 설치가능영역(19A),(19B)는 높이방향의 위치에 의해 도 7의 좌우방향에의 넓이가 다르다. 따라서, 제어반의 단면형상을 설치영역(19A),(19B)의 형상에 맞추어 변화시켜도 되고 이로인해 제어반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3에서는 카(2)의 승강방향에 근접스위치(10)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는 위치에 제어반(12)을 배치하였으나, 카 탑재부재의 투영영역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제어반을 배치할 수 도 있다. 즉, 승강로(1)내에 돌출하는 승강로기기가 승강로벽(1a)에 설치되어있을때,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승강로기기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고, 또, 승강로기기설치 영역외의 위치에 제어반을 배치할 수 가 있다.
예를들면, 조속기나 인장풀리가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경우 조속기의 상방의 공간이나 인장풀리의 하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제어반을 배치할 수 가 있다. 이런경우에도 승강로기기의 상하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건물이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의 높이를 낮게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이예에서는, 제어반(12)이 다수의 지지보(21)를 통해서 카가이드레일(5)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건장치에서는 승강로(1)내의 구조물중에서도 특히 견고하고, 또 고정밀도로 설치되어 있는 카 가이드레일(5)에 제어반(12)이 지지되어 있기때문에, 제어반(12)을 견고하고 정밀도 좋게 설치할 수 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수평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제어반(12)의 도어(12a)가 폐쇄되어있는것을 검출하는 검출스위치(22)가 제어반(12)에 설치되어있다.
이 검출스위치(22)는 제어반(12)내의 관리제어장치(도시않음)에 접속되어있고, 도어(12a)의 개방시에는 엘리베이터장치의 운전관리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된다.
또, 보수모드운전에서는, 카(2)의 승강범위가 제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형태 1과 같다.
이같은 장치에서는 보수모드운전시의 카(2)의 최하 이동위치를 제한함으로써, 개방된 제어반(12)의 도어(12a)에 카(2)가 충돌하는것이 방지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또, 도 5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어반(12)이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수모드운전시의 카(2)의 최상이동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도어(12a)와 카(2)의 충돌을 방지할 수 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5에서는 탑재기기로서 착상장치(11)의 근접스위치(10)를 표시하였으나, 예를들어 도어장치, 환기장치, 조명장치, 또는 길이가 긴 것을 수용하는 하물수용장치등의 카탑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카에서 승강로벽을 향해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그 돌출부의 이동범위의 상하의 스페이스에 제어반을 배치할 수 가 있다.

Claims (9)

  1. 승강로벽과 저부를 갖는 승강로, 상기 승강로벽에 대향하는 측면부와 이 측면부로 부터 상기 승강로벽을 향해 돌출한 카탑재기기를 갖고,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및 상기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상기 카탑재기기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고, 또 상기 승강체의 승강방향에의 상기 카탑재기기의 이동범위외의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장치.
  2. 제어반은 카 탑재기기의 최하이동위치의 하방에 설치되어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3. 제어반의 하부와 승강로의 저부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어있는 청구항 2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4. 제어반은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부착대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벽에 지지되어 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 장치.
  5. 제어반은, 카탑재기기의 최상이동위치의 상방에 설치되어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6. 제어반은, 카탑재기기의 이동범위를 피한 제어반 설치가능영역과 형상에 맞추어서, 높이방향으로 변화하는 단면형상을 갖고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7. 승강로내에는,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있고, 제어반은 지지보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8. 제어반은, 개폐가능한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를 갖고있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운전관리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되고, 카의 승강범위가 제한되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장치.
  9. 승강로벽과 저부를 갖는 승강로, 이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상기 승강로내에 돌출하도록 상기 승강로벽에 설치되어있는 승강로기기 및 상기 승강체의 승강방향에 상기 승강로기기를 투영한 영역과 겹치고 또 상기 승강로기기 설치영역외의 위치에서,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상승강체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0-7001580A 1998-06-16 1998-06-16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15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2645 WO1999065812A1 (fr) 1998-06-16 1998-06-16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72A true KR20010022972A (ko) 2001-03-26
KR100415750B1 KR100415750B1 (ko) 2004-01-24

Family

ID=1420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580A KR100415750B1 (ko) 1998-06-16 1998-06-1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0846B1 (ko)
EP (1) EP1020393B1 (ko)
KR (1) KR100415750B1 (ko)
CN (1) CN1189379C (ko)
DE (1) DE69839886D1 (ko)
WO (1) WO1999065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8117B2 (en) * 1998-10-30 2002-11-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governor positioned under controller in hoistway at top floor level
US6896105B1 (en) * 2000-01-17 2005-05-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including control panel within hoistway
CN1232434C (zh) * 2001-05-25 2005-12-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20030221914A1 (en) * 2002-05-28 2003-12-04 Smith Paul L. Portable lift for rack mounting equipment
JP5425234B2 (ja) 2009-03-13 2014-02-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ガイドレールブラケ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676496B2 (ja) 2009-03-13 2015-02-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ガイドレールを支持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ドアフレーム
JP5665666B2 (ja) * 2011-06-22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642144B2 (ja) * 2012-12-12 2014-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US10968076B2 (en) * 2015-07-28 2021-04-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from inside elevator car
EP4306468A1 (en) * 2021-03-10 2024-01-17 Hitachi, Ltd.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831A (en) * 1980-01-07 1984-03-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356895A (en) * 1980-12-22 1982-1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63180669U (ko) * 1987-05-12 1988-11-22
JPH05162937A (ja) * 1991-12-18 1993-06-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昇降路保守装置
KR100196671B1 (ko) * 1992-12-24 1999-06-15 이도 스스므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KR0156946B1 (ko) * 1993-01-26 1999-02-18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출고 장치
FI93632C (fi) *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98210C (fi) * 1993-06-28 1997-05-12 Kone Oy Järjestely hissikoneiston liittämiseksi rakennukseen
JPH07237839A (ja) * 1994-02-28 1995-09-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保守時報知装置
JPH07285752A (ja) * 1994-04-18 1995-10-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手動運転装置
FI100793B (fi)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ATE199362T1 (de) * 1995-06-30 2001-03-15 Inventi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achtinformation
US6006866A (en) * 1995-08-08 1999-12-28 Advanced Microcontrols, Inc. Elevator door restrictor
JPH10139316A (ja) * 1996-11-14 1998-05-26 Otis Elevator Co サイドフォーク型ホームエレベーターのかご構造
FI107249B (fi) * 1996-12-20 2001-06-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kuorman mittaamiseksi
JPH10194621A (ja) * 1997-01-16 1998-07-2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昇降機のかご位置表示灯の点検システム
US6039152A (en) * 1998-10-30 2000-03-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controller located under elevator la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0393A1 (en) 2000-07-19
DE69839886D1 (de) 2008-09-25
US6230846B1 (en) 2001-05-15
WO1999065812A1 (fr) 1999-12-23
EP1020393B1 (en) 2008-08-13
CN1189379C (zh) 2005-02-16
EP1020393A4 (en) 2005-07-13
CN1264349A (zh) 2000-08-23
KR100415750B1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580A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4157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172321B1 (en) Elevator device
EP1916214A1 (en) Elevator device
KR100438994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94686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KR100302556B1 (ko) 엘리베이터의 착상 장치
US6478117B2 (en) Elevator system having governor positioned under controller in hoistway at top floor level
US6206143B1 (en) Elevator landing apparatus
JP61579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319626A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elevator system
KR10063968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KR100714941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900004973Y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JPH086744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JP2001048441A (ja) エレベータ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199477Y1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JPH11263560A (ja) エレベーターの機械室
JP200206863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849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