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936A -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이 핀의 제조 방법 및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이 핀의 제조 방법 및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2936A KR20010022936A KR1020007001544A KR20007001544A KR20010022936A KR 20010022936 A KR20010022936 A KR 20010022936A KR 1020007001544 A KR1020007001544 A KR 1020007001544A KR 20007001544 A KR20007001544 A KR 20007001544A KR 20010022936 A KR20010022936 A KR 200100229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in
- link
- watch band
- ba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A44B9/18—Hinges; Loc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8—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having shape memory behavi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1—Cross p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7—Strap-end-attaching devices
- Y10T24/4782—Watch strap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Buckl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복수의 링크(2)를 체인형으로 연결하여 손목시계용 밴드(3)를 구성하는 조정핀(1)을 비틀림의 변화에 대하여 응력이 일정해지는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한다. 그 조정핀(1)에는 인접한 링크(2)와 링크(2)를 연결한 상태로, 그 링크(2)의 연결 관통 구멍(2a)의 내면에 초탄성 영역의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굴곡부(5)를 형성한다. 조정핀(1)을 링크(2)에 끼워 넣어 굴곡부(5)가 연결 관통 구멍(2a)에 위치하면, 굴곡부(5)가 구멍 내벽에 대하여 초탄성 영역의 굽힘 응력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고, 조정핀(1)이 그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에는 손목 등에 휴대하기 위해 밴드를 구비한다. 그 손목시계의 밴드로서는, 예컨대 소 또는 악어 등의 부드러운 가죽을 띠형으로 절단하여, 그 띠형의 부드러운 가죽에 재질이 다른 피혁을 겹쳐 꿰매어 맞춤으로써, 강도를 유지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손목시계의 밴드로는 금속 밴드라고 불리는 것도 있으며, 이 금속 밴드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링크를 체인형으로 늘어놓고, 이들을 조정핀이라 불리는 핀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함으로써, 띠형으로 늘어진 링크가 팔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수지 밴드라고 불리우며,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띠형으로 형성된 손목시계 밴드도 있다.
이들 손목시계 밴드는 모두 2개의 띠형 부재로 구성되며, 각각의 띠형 부재의 일단측을 시계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접속하고, 각각의 타단측을 연결용 금속 장식 등으로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손목시계를 손목에 차는 경우 손목시계를 손목에 얹고 연결용 금속 부품에 의해 2개의 띠형 밴드를 서로 접속하면, 손목시계가 팔에서 탈락하지 않는다.
그 연결용 금속 부품으로는, 가죽 밴드나 수지 밴드에서는 연결 고리로 불리는 버클이 주로 이용되고, 금속 밴드에서는 중간 버클이라 불리는 접속 부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손목시계를 장착하는 손목 부분의 굵기는 사람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상의 손목시계 밴드는 그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죽 밴드의 경우에는, 2개의 띠형 부재 중 한쪽 밴드측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구멍을 연속해서 뚫고, 그 구멍에 다른쪽 밴드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용 봉(연결 고리의 T자형 봉)을 밴드가 최적의 길이가 되는 위치에서 끼워 넣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금속 밴드에서는, 링크의 수를 증감시킴으로써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밴드의 길이는 조정핀을 제거하여 링크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조절된다.
종래의 링크를 사용한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금속 링크로 연결된 금속 밴드를 구비한 손목시계의 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 손목시계에 부착되는 금속제 손목시계 밴드(103)는, 금속으로 제조된 복수 개의 링크(102)를 체인형으로 늘어놓고, 이들 링크(102)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 조정핀(111)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2개의 띠형 금속줄(105, 106)로 구성된다.
금속줄(106)의 단부에는 연결용 금속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중간 버클(107)이 결합되어 있고, 그 중간 버클(107)에 의해 금속줄(106)이 금속줄(105)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손목시계 밴드(103)의 경우, 밴드 길이는 조정핀(111)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하여 링크(102)를 증감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로, 조정핀(111)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하여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밴드의 길이를 길게할 경우에는, 길게할 부분의 조정핀(111)을 제거하여 링크(102A)와 링크(102B) 사이에 추가할 링크(102C)를 끼우고, 링크(102A)의 연결 관통 구멍(102a)에 삽입되었던 조정핀(111)을 연결 관통 구멍(192a)과 상기 추가의 링크(102C)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관통 구멍에 삽입하는 동시에, 링크(102C)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관통 구멍에 삽입된 조정핀(111)을 링크(102B)의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102c)에 삽입하여 링크(102A)와 링크(102C), 그리고 링크(102C)와 링크(102B)를 각각 연결한다.
반대로, 밴드의 길이를 짧게할 경우에는, 예컨대 줄이고자 하는 링크(102C) 양측의 조정핀(111, 111)을 제거하여 링크(102C)를 푼 후에, 조정핀(111)을 이용하여 링크(102A)와 링크(102B)를 다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조정핀(111)을 링크(102)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인접한 링크(102A)와 링크(102B)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조정핀(111)은 삽입된 후에 그것이 탈락하거나 하지 않도록, 링크(102)의 관통 구멍에 강하게 끼워맞춤되어야 한다.
그런데,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정핀에 필요한 링크와의 강한 피팅력은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에 조정핀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는 것과는 상반된 것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양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조정핀은 링크로부터의 탈락 방지를 우선으로 하였으며, 통상적으로는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희생하여 피팅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즉, 조정핀의 외경을 링크의 구멍과 강하게 끼워맞춰지는(탄성력과 마찰력을 크게하는) 치수로 결정하였다.
그 때문에,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조정핀의 용이한 삽입 및 제거가 곤란하기 때문에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한편, 조정핀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핀 타입의 조정핀(121)도 있다. 이 조정핀(121)은 단면이 반원 형상인 금속선을 구부려서 평면 부분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전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될 수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일부가 상호 외측으로 만곡형으로 불룩하며, 그 만곡된 부분의 탄성에 의해 핀을 링크(102)의 연결 관통 구멍(102a)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끼워맞춤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타입의 조정핀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되지만, 사용 재료가 복원력이 높은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은 복원력이 그다지 높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어느 정도 희생시켜 만곡 부분의 끼워맞춤을 강화하도록 설정해야 했다.
또한, 이러한 분할핀 타입의 조정핀의 외경과, 이 조정핀에 끼워맞춤되는 링크 구멍의 내경, 나아가서는 조정핀의 만곡부의 높이는 모두 가공상의 변동과, 조정핀을 링크의 구멍에 대하여 삽입 및 제거하는 경우의 마모 등을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링크 구멍의 내경을 매우 작게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때문에, 조정핀의 삽입 및 제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조정핀을 제거할 때 매우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조정핀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반원형의 금속선이 둘로 접곡되어 평면 부분이 서로 맞닿아 있을 뿐이므로 변형되기 쉬우며, 조정핀을 삽입 및 제거할 경우에 만곡부가 변형됨으로써 핀의 단부(도 27에서 상측)에서 반원형 부분의 결합부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정핀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심할 때에는 피팅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서 조정핀으로서의 기능을 잃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을 목적으로 한 스프링 봉으로는 초탄성(超彈性)의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된 것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화 58-27505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 봉은 그 양단에 핀형의 돌출부를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한 것에 지나지 않고, 초탄성의 성질을 손목시계의 밴드 유지에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불명확하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모든 조정핀 및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는, 링크와 조정핀의 피팅력을 우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밴드 길이의 조정 시에 조정핀을 쉽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없거나, 밴드 링크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손목시계 밴드의 복수 개의 링크를 체인형으로 연결하는 조정핀과, 이 조정핀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복수 개의 링크를 사용한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동일하게 그 조정핀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동일하게 그 조정핀을 손목시계 밴드의 링크에 형성한 구멍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응력-비틀림”곡선을 도시한 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조정핀을 링크에 형성한 구멍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중 와이어를 굴곡시키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조정핀 제조 방법중 와이어를 절단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조정핀 제조 방법의 배럴 연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사용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링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사용하는 조정핀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멍 치수 확대부를 단 구멍부로 한 예를 정면과 측면의 두 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멍 치수 확대부를 키 홈 타입의 구멍 형상으로 한 예를 정면과 측면의 2 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조정핀의 굴곡부의 탄성을 측정하는 장치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조정핀의 굴곡부의 탄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선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조정핀의 인발력과 종래의 분할핀 타입의 조정핀의 인발력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9와 동일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7과 동일한 개략도.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핀의 굴곡부의 탄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선도.
도 20은 굴곡부를 두 곳 형성한 조정핀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굴곡부를 형성한 조정핀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2는 한쪽 단부에 만곡 형상의 절곡부를 형성한 조정핀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다른 방향으로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한 조정핀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조정핀을 밴드 링크의 연결 이외에 사용하는 예로서 손목시계 케이스와 시계 밴드를 연결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종래의 금속 링크를 연결한 금속 밴드를 구비한 손목시계의 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6은 동일하게 그 금속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은 종래의 분할핀 타입의 조정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 조절 시에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링크의 구멍에 대해 강한 피팅력으로 끼워맞춤되어 복수 개의 링크를 체인형으로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조정핀 및 그 조정핀을 이용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링크를 체인형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손목시계용 밴드의 링크를 상호 연결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을 제고하며, 이 조정핀은 비틀림 변화에 대해 응력이 일정한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링크가 연결된 상태로 이 링크에 초탄성 영역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절곡부를 한 곳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조정핀이 상기 링크의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절곡부가 구멍의 내벽을 압박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때의 마찰력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정핀으로 링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조정핀의 절곡부에 생기는 응력은 비틀림이 변화되어도 그것이 변하지 않는 초탄성 영역에 있기 때문에, 예컨대 구멍의 내경 또는 조정핀의 치수가 변동되어도 구멍 내벽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일정해진다.
따라서, 가공 오차나 마모를 고려하여 조정핀과 링크의 구멍의 끼워맞춤을 미리 강화하지 않아도 안정된 끼워맞출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정핀을 링크의 구멍에 대하여 쉽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그 조정핀에 사용하는 초탄성을 갖는 금속은 니켈·티탄(NiTi) 또는 니켈·티탄·코발트(NiT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만곡형으로 구부린 부분으로 형성되며, 그 절곡된 부분이 링크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정핀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둥글게 함으로써 곡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조정핀이 높은 경도를 지니고 있어도, 링크의 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조정핀의 단부가 구멍 내면을 깎아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조정핀은 선 직경이 0.8 ㎜ 이상 1.2 ㎜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절곡부의 최대 높이 부위의 그 절곡부의 절곡 개시 위치에서 상기 링크를 연결한 상태로 링크에 접촉하는 쪽의 부위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1 ㎜ 이상 3.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핀의 제조 방법으로서,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의 적어도 한 곳을 프레스에 의해 구부리는 공정과, 그 구부린 부위를 포함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공정과, 그 절단한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조정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조정핀의 제조 방법으로서,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과, 그 절단한 와이어의 적어도 한 곳을 프레스에 의해 구부리는 공정과, 그 구부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조정핀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링크를 체인형으로 연결하는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서, 그 복수 개의 링크는 각각의 밴드의 체인 방향의 일단측에 오목부를 갖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인접한 링크의 상기 오목부에 결합 가능한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일단측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쌍을 이루는 아암부에는 밴드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결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연결 관통 구멍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인접한 링크의 상기 볼록부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에 비틀림의 변화에 대하여 응력이 일정해지는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조정핀을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링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즉, 조정핀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절곡부의 최대 높이를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의 구멍 치수보다 크게 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각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에 소정의 위치까지 조정핀을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한쪽 연결 관통 구멍에서 조정핀의 절곡부가 휨으로써 그 조정핀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초탄성 영역에 있고, 그 응력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조정핀이 링크에 고정되는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입구부에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가 큰 구멍 치수 확대부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그 구멍 치수 확대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입구부에,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 단 구멍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구멍 치수 확대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의 전역에 걸쳐 형성된 구멍으로 하여, 조정핀을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각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 부분에서 조정핀의 절곡부가 휨으로써 그 조정핀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초탄성 영역에 있고, 그 응력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조정핀이 링크에 고정되는 구멍 직경으로, 그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다른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조정핀의 선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핀은 니켈·티탄(NiTi) 또는 니켈·티탄·코발트(NiT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조정핀도 선 직경이 0.8 ㎜ 이상 1.2 ㎜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절곡부의 최대 높이 부위의 그 절곡부의 굴곡 개시 위치에서 상기 연결 관통 구멍에 접촉하는 쪽의 부위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1 ㎜ 이상 3.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의 절곡부는 고온에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하거나 저온에서 굽힘 가공한 후에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핀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핀을 손목시계 밴드의 링크에 형성한 구멍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이하 조정핀이라 약칭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밴드 링크(이하 링크라 약칭함)(2)를 체인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손목시계 밴드(3)의 링크(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링크(2A)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 구멍인 연결 관통 구멍(2a, 2b)과, 그 옆의 링크(2B)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 구멍인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에 끼워 넣어 이들을 연결하고, 그 이외의 링크(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접한 링크(2)끼리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 조정핀(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링크(2A, 2B)를 연결한 상태로, 링크(2A)의 연결 관통 구멍(2a)의 벽면에 탄성 영역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절곡부가 되는 굴곡부(5)를 한 곳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 굴곡부(5)는 이 실시예에서는 へ자형으로 구부려 형성한 부분으로, 그것을 조정핀(1)의 일단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 조정핀(1)은 재질이 초탄성을 갖는 니켈·티탄(NlTi)을 주성분으로 하는 초탄성 합금으로 형성되고, 예컨대 직경 1 ㎜이고 길이가 15 ㎜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정핀(1)의 양단부를 배럴 연마에 의해 곡면형으로 가공하여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초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를 프레스로 가공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급한 각도로 소성 변형 영역까지 변형시키면 소성 변형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핀(1)의 단부에 굴곡부(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조정핀(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링크(2A)와 링크(2B)를 연결한 상태로, 굴곡부(5)가 링크(2A)의 연결 관통 구멍(2a)의 벽면에 대하여 초탄성 영역의 응력을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초탄성 영역의 응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재료의“응력-비틀림”곡선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의 증가에 따라 비틀림이 증가해 나간다. 그러나, NiTi 합금 등과 같이 일부 금속에서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은 증가하지만 응력은 일정해지는 영역(초탄성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성질을 초탄성이라 부르고, 이 초탄성을 갖는 합금을 초탄성 합금이라 부른다.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한 조정핀(1)은 이 초탄성을 갖는 초탄성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정핀(1)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A)와 링크(2B)를 연결 관통 구멍(2a)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과 연결 관통 구멍(2b)에 굴곡부(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로부터 삽입하여 링크(2A)와 링크(2B)를 연결했을 때에, 굴곡부(5)가 연결 관통 구멍(2a)의 벽면에 의해 펴짐으로써, 그 조정핀(1)의 굴곡부(5)에 발생하는 응력이 도 4에서 설명한 초탄성 영역이 되도록, 굴곡부(5)의 굴곡 각도를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3의 링크(2A)의 연결 관통 구멍(2a) 또는 조정핀(1)의 굴곡부(5)의 굴곡 각도의 가공상의 이유에 따른 변동에 의해 연결 관통 구멍(2a)에 삽입 상태인 조정핀(1)의 굴곡부(5)의 굴곡 양이 변화하고, 비틀림에 변동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른 조정핀(1)은 초탄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비틀림이 변동되어도, 그 변동의 범위가 도 4에서 설명한 초탄성 영역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조정핀(1)이 연결 관통 구멍(2a)의 벽면에 대하여 작용시키는 반력(응력)은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연결 관통 구멍(2a)의 구멍 직경이 다소 변동되어도 굴곡부(5)의 반력은 초탄성 효과에 의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조정핀(1)의 링크(2A)와의 피팅력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링크(2A)와 링크(2B)의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핀(1)은 그 양단부를 각각 곡면형(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NiTi 합금은 높은 경도의 재질이지만, 링크(2A, 2B)의 연결 관통 구멍(2a),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 연결 관통 구멍(2b)에 삽입될 경우에, 그 조정핀(1)의 단부로 연결 관통 구멍(2a, 2b)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의 내면을 깎아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 관통 구멍(2a, 2b)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조정핀(1)을 반복해서 삽입 및 제거하더라도 조정핀(1)과 연결 관통 구멍(2a)과의 피팅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정핀(1)이 링크(2)의 연결 관통 구멍(2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2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조정핀을 링크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 3과 동일한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조정핀(11)은 그 양단부에 만곡형으로 구부린 절곡부(15a, 15b)를 각각 형성하고, 그 만곡시킨 부분이 링크(2A)의 양측의 아암부(6, 7)의 각각 연결 관통 구멍(2a, 2b)의 내벽과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정핀(11)에 있어서도, 재질은 초탄성을 갖는 초탄성 합금으로 형성하고, 조정핀(11)을 연결 관통 구멍(2a, 2b)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c)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할 때에, 절곡부(15a, 15b)가 각각 연결 관통 구멍(2a, 2b)의 벽면에 의해 펴짐으로써, 그 조정핀(11)의 절곡부(15a, 15b)에 발생하는 응력이 도 4에서 설명한 초탄성 영역이 되도록 절곡부(15a, 15b)의 만곡 부분의 높이를 설정하고 있다.
[제3 실시예: 도 6 내지 도 8]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조정핀(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NiTi을 주성분으로 하는 초탄성 합금 와이어(이하 와이어라 약칭함)(50)의 일단측을 프레스 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시켜 굴곡부(5)를 형성한다.
다음에, 그 일단측을 굴곡시킨 와이어(5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마지막으로 그 절단한 와이어의 양단을 배럴 연마기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둥글게 될 때까지 연마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정핀(1)이 완성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조정핀(1)을 도 2에서 설명한 링크(2)의 연결에 이용한 결과,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정된 피팅력과 용이한 탈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다른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을 실시하여도 좋다.
즉, 처음에 NiTi을 주성분으로 하는 초탄성 합금 와이어(50)를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다음에, 그 절단한 와이어(50)의 일단측을 프레스 기에 의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굴곡시켜 굴곡부(5)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와이어(50)의 양단을 배럴 연마기에 의해 반구형으로 될 때까지 연마함으로써, 조정핀(1)을 완성시킨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조정핀(1)을 도 2에서 설명한 링크(2)의 연결에 이용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과 같이, 안정된 피팅력과 용이한 삽입 및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4 실시예: 도 9 내지 도 16]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사용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링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동일하게 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사용하는 조정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링크(22)를 체인형으로 연결하는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서, 그 복수 개의 링크(2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손목시계 밴드의 화살표(A)로 나타내는 체인 방향의 일단측에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인접한 링크의 오목부(23)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링크(22)에는 상기 일단측의 오목부(23)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아암부(25, 26)에 밴드의 화살표(B)로 지시된 가로 방향을 따르는 연결 관통 구멍(27, 28)이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4)에도 연결 관통 구멍(27, 28)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2)의 오목부에 인접한 링크(22)의 볼록부(24)를 결합시킨 상태로, 아암부(25, 26)의 연결 관통 구멍(27, 2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에 조정핀(21)을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링크(22)와 링크(22)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22)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아암부(25, 26)는 한쪽 아암부(25)측의 연결 관통 구멍(27)의 입구부에 구멍 치수 확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치수 확대부(31)는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의 직경(D1)보다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D2)가 큰 부분이다.
또, 연결 관통 구멍(27)의 구멍 치수 확대부(31) 이외의 부분의 구멍 직경과, 연결 관통 구멍(28)의 구멍 직경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의 구멍 직경은 동일하다.
한편, 조정핀(2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측에 へ자형으로 구부린 절곡부인 굴곡부(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를 구멍 치수 확대부(31)의 내벽 사이의 치수(D2)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그 조정핀(21)의 선 직경을 연결 관통 구멍(28)의 구멍 직경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의 구멍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고 있다.
즉, 예컨대 조정핀(21)의 선 직경을 1 ㎜로 하고, 연결 관통 구멍(28)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의 각각 구멍 직경을 1.05 ㎜ 정도로 하여, 그 조정핀(21)이 연결 관통 구멍(28)의 벽면의 사이, 그리고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의 벽면의 사이에 0.05 ㎜ 정도의 틈새가 생기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아래쪽에 도시하고 있는 링크(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핀(21)을 구멍 치수 확대부(31)로부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을 통과하여 아암부(26)측의 연결 관통 구멍(28)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구멍 치수 확대부(31)에서 조정핀(21)의 굴곡부(5)가 휨으로써, 그 조정핀(21)의 굴곡부(5)에 발생하는 응력이 도 4에서 설명한 초탄성 영역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연결 관통 구멍(27)에 형성하는 구멍 치수 확대부(3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 구멍부(31a)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관통 구멍(27)의 벽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키 홈과 같은 형태로 파서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D2)를 크게 한 확대부(31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단 구멍부(31a)로 하는 경우에는, 그 단 구멍부(31a)의 소직경부의 구멍 직경을 예컨대 1.05 ㎜로 하고, 대경부(大徑部)의 구멍 직경을 예컨대 1.15 ㎜로 한다.
또한, 그 대경부의 깊이(C)는 도 11에 도시된 조정핀(21)의 절곡부(5)의 길이(L)보다 깊게 한다.
그 절곡부(5)의 길이(L)는 절곡부(5)의 굴곡 개시 위치에서 연결 관통 구멍(31)에 접촉하는 쪽의 부위(a)로부터 절곡부(5)의 최대 높이(Hmax) 부위까지의 도 11에서 수평 방향의 길이로서, 이 길이(L)는 1 ㎜ 이상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서는, 조정핀(21)의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를 구멍 치수 확대부(31)의 내벽 사이의 치수(D2)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조정핀(21)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는 2개의 링크(22)와 링크(22)의 연결 관통 구멍(27, 2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 부위가 구멍 치수 확대부(31) 부분에 위치하여, 그 높이가 구멍 치수 확대부(31)의 내벽 사이의 치수(D2)로 변형된다.
또한, 연결 관통 구멍(2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29) 및 연결 관통 구멍(27)의 소경부에 삽입된 조정핀(21)의 굴곡부(5) 이외의 부분은 이들 각 관통 구멍과 조정핀(21)의 치수를 상술한 치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각 관통 구멍의 벽면과 조정핀(21) 사이의 틈새는 0.05 ㎜밖에 없다. 따라서, 그 조정핀(21)의 굴곡부(5) 이외의 부분은 거의 변형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 굴곡부(5) 이외의 부분이 각 관통 구멍의 벽면에 접하는 방향에 발생시키는 힘은 매우 작다.
따라서, 이 링크(22)에 삽입된 조정핀(21)이 링크(22)에 대하여 작용시키는 고정력은 그 대부분이 굴곡부(도 11에서 부위 a로부터 우측 부분)(5)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이다.
조정핀(21)은 굴곡부(5)의 부분을 고온에서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하거나 저온에서 굽힘 가공한 후에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정핀(21)의 재료로서는 형상 기억 합금인 NiTi 합금의 와이어를 사용하고, 그것을 500℃의 고온에서 직선 형상 기억 처리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그 후에, 그 절단한 와이어의 일단부를 へ자 형상으로 프레스 기에 의해 구부려뜨리고 그 와이어의 양단부를 배럴 연마하여 단부면을 반구형으로 둥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가 굽힘 가공됨으로써 변형된 부분의 조직은 마르텐사이트 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로 이용하면 굴곡부(5)의 탄성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추가로 그 후에 가공부의 조직을 초탄성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500℃에서 1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그 후에 공기중 또는 수중에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정핀(21)에 대해서,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도 11 참조)를 실측해 본 결과, 열처리전의 최대 높이(Hmax)의 20개의 평균치가 1.693(표준 편차 0.017)이었던 것이 열처리후에는 최대 높이(Hmax)가 1.450(표준 편차 0.014)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열처리에 의해 응력이 개방되고, 스프링 백(Hmax의 감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대 높이(Hmax)의 설계는 열처리시의 형상 변화, 배럴 연마량을 고려하여 최종 형상을 예측하여 굽힘 가공후의 Hmax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처리의 전후로 조정핀의 굴곡부의 최대 높이(Hmax)의 변동은 그다지 크지 때문에, 이 제조 공정이라면 가공 변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 사용하는 조정핀(21)의 변형에 따라 발생하는 힘에 대해서, 실험 결과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이 실험에 사용한 조정핀(21)은 선 직경이 1 ㎜, 전체 길이가 16 ㎜, 굴곡부의 길이(L)가 2 ㎜,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가 1.5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관통 구멍(27)의 구멍 치수 확대부(31)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 구멍부(31a)로 하고, 그 단 구멍부(31a)의 대경부의 치수(D2)를 1.25 ㎜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서는, 조정핀(21)을 연결하는 링크(22)에 끼워 넣었을 때의 조정핀(21)의 굴곡부(5)의 변형량은 Hmax(1.5)-D2(1.25)=0.25 ㎜가 되며, 이 값은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정 결과로부터 설정한 값이다.
우선, 조정핀(21)의 굴곡부(5)의 탄성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탄성력을 도모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이 측정 장치는 조정핀(21)의 굴곡부(5) 이외의 장축 쪽의 부분에 굴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억제하여 부재(17)로 완전히 고정한 상태에서, 조정핀(21)의 굴곡부(5)상에 위치하는 로드 셀(18)을 강하시켜 나가고, 그 때에 로드 셀(18)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굴곡부의 “변위-힘”곡선을 실측하였다.
도 15는 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 측정 결과에 따르면, 굴곡부의 변위가 증가할 때마다 로드 셀(18)로 검출되는 탄성력은 상승하지만, 변위가 0.15 ㎜에서 0.3 ㎜ 부근에서, “변위-힘”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0.3 ㎜ 부근에서부터 다시 상승하는 커브를 그리고 있다.
여기서, 변위 0.15 ㎜에서 0.3 ㎜ 부근까지의 영역이 전술한 초탄성 영역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탄성재가 구부러졌을 때의 변위는 단면 방향에서 보면 당연히 균일하지 않고 외주에 가까울수록 변위가 커지며, 중심에 가까울수록 변위가 작아진다. 따라서, 변위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은 전체에 대한 적분값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도 15에는 손목시계 밴드를 구성하는 링크의 계단식 구멍부에 있어서의 대경부의 구멍 직경을 다르게 한 지그를 복수 개 형성하고, 그 각각의 지그의 구멍부에 끼워 넣은 조정핀을 굴곡부와 반대측인 장축부측으로부터 압출했을 때의 인발력을 측정한 결과도 아울러 나타내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를 상술한 탄성력의 데이터와 대비해 보면, 변위 0.15로부터 0.3 ㎜이라는 앞서 설명한 초탄성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인발력이 매우 안정되어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이 측정 결과로부터도, 조정핀(21)의 굴곡부(5)의 변형량 0.25 ㎜는 초탄성 영역 내에 들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인발력은 탄성력에 마찰 계수를 곱한 값이기 때문에, 그 탄성력의 초탄성 영역과 인발력의 초탄성 영역이 일치하고 있는 것은 그 초탄성 영역내에서는 조정핀(21)과 링크(22)의 구멍 치수 확대부(31)와의 마찰 계수가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조정핀의 도 11에 나타낸 최대 높이(Hmax)와, 도 10에 나타낸 링크(22)의 구멍 치수 확대부(31)의 직경 방향의 치수(D2)를 최적의 치수로 설계하면, 조정핀(21)의 굴곡부(5)가 링크(22)의 구멍 치수 확대부(31)에 대하여 초탄성 영역 내의 안정된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조정핀(21)의 링크(22)에 대한 인발력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안정된다.
또, 조정핀을 링크(22)의 단 구멍부(31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굴곡부(5)의 변위는 도 11에 도시한 조정핀(21)의 굴곡부(5)의 최대 높이(Hmax)로부터 단차진 구멍부(31a)의 대경부의 치수(D2)를 뺀 값이 된다.
다음에, 원하는 인발력이 되도록 조정핀의 각부의 치수 및 그것을 결합시키는 링크측의 구멍 직경 등을 계산하는 수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탄성력의 “변위-힘” 곡선은 이하와 같은 가정하에 추정할 수 있다.
즉, 조정핀으로서 사용하는 탄성재의 단면 형상을 특정하지 않는 경우의 탄성력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E: 세로 탄성 계수(NiTi에서는 5700 kgf/㎜2)
G: 가로 탄성 계수
I: 단면 2차 모멘트
w: 휨 양
A: 단면적
K: 보정항
k: 평균 전단 응력에 대한 중립축상의 전단 응력의 비
L: 스프링 길이
또한, 조정핀으로서 사용하는 탄성재의 단면 형상을 원형상과 같은 둥근 봉재로 하는 경우의 탄성력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d: 선 직경
또한 인발력에 대해서는 하기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μs: 정지 마찰 계수
F: 인발력
따라서, 수학식 3으로부터, 거의 정지 마찰 계수(μs)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탄성력(P)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인발력(F)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때문에, 초탄성 영역의 탄성력을 이용하면, 반영구적으로 인발력이 안정된다.
이상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인발력이 되도록 조정핀의 형상, 특히 도 11에서 설명한 최대 높이(Hmax), 선 직경, 재료 특성, 링크(22)의 구멍 치수 확대부(31)의 구멍 직경 등을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음에, 조정핀의 인발력을, 도 9에서 설명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와, 종래의 분할핀을 이용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 비교하기 위해서 행한 실험의 결과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조정핀의 인발력과, 도 27에서 설명한 종래의 분할핀을 이용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조정핀의 인발력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그래프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종래의 구조의 것을 백색 막대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발력이 1.8∼3.4 kgf의 범위로 변동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해칭을 넣은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발력이 2.0∼3.2 kgf의 범위로 변동되고, 그 변동 범위가 작게 되어 있다.
또한, 그 변동은 정규 분포로 되어 있고, 이 인발력의 변동은 조정핀의 가공시의 치수의 변동, 즉 특히 도 11에서 설명한 조정핀의 최대 높이(Hmax)의 변동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분할핀을 이용한 구조의 것에서는, 인발력의 변동이 분포의 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조정핀의 가공시의 치수 변동 이외의 영향, 예컨대 소성 변형의 영향 등이 더해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제5 실시예: 도 17]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9와 동일한 개략도로서, 도 9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는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링크(32)에 형성하는 연결 관통 구멍(37, 3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39)의 구멍 직경 치수를 전부 동일하게 한 점만이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정핀(41)의 굴곡부(5) 이외의 장축 부분을 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그 조정핀(41)의 굴곡부(5)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이 링크(32)의 연결 관통 구멍(37)의 벽면에 초탄성 영역의 힘으로 작용하도록, 도 11에서 설명한 최대 높이(Hmax)를 설정한다.
즉, 도 9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조정핀(21)의 굴곡부의 길이 L=2 ㎜, D2=1.25 ㎜, 최대 높이 Hmax=1.5 ㎜로 했기 때문에, 조정핀(21)을 링크(22)에 소정의 위치까지 끼워 넣었을 때의 굴곡부(5)의 변형량은 0.25 ㎜ 였다.
이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조정핀(41)의 굴곡부의 길이 L=2 ㎜는 동일하지만, D2=1.05 ㎜로 작게 하고, 그것에 맞추어 최대 높이 Hmax=1.3 ㎜로 작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상술한 변형량은 0.25 ㎜가 되고, 도 9의 실시예와 같아지기 때문에, 동일하게 조정핀(41)에 의해 초탄성 영역의 탄성력을 링크(32)의 연결 관통 구멍(37)의 벽면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인발력을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8 및 도 19]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7과 동일한 개략도로서, 도 17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는 도 17에서 설명한 제5 실시예와 같이, 링크(42)에 형성한 연결 관통 구멍(47, 4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49)의 구멍 직경 치수가 전부 동일하지만, 그 구멍 직경 치수를 조정핀(51)의 선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조정핀(51)의 굴곡부(5) 이외의 부분에 굴곡이 생기도록 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멍 직경 치수로 한 경우의 조정핀에 있어서의 탄성력의 “변위-힘”곡선과, 인발력의 “변위-힘”곡선의 실험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이 실험 결과를 보면, 조정핀에 있어서의 탄성력의 “변위-힘”곡선은 도 15에 나타낸 결과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조정핀의 인발력의 실험은 연결 관통 구멍(47, 48)과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49)의 구멍 직경 치수를 전부 동일하게 정하여 구멍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전부 동일 치수로 형성한 지그를 구멍 직경 차이로 복수 작성하고, 그 지그의 구멍 내에 조정핀(51)을 삽입한 후에 그것을 굴곡부(5)와 반대측의 장축부측으로부터 압출했을 때의 인발력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그 측정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 것과 비교해 보면, 제4 실시예의 것의 특성과는 달리, 작은 변위 영역 부분에서 인발력 커브의 기울기가 작은 영역이 존재한다.
이 영역의 데이터는, 조정핀을 삽입했을 때에 그 핀의 선 직경 1 ㎜에 대하여 구멍측의 직경이 매우 큰 영역으로, 조정핀의 굴곡부 이외의 장축부와 그것을 결합시키고 있는 구멍의 벽면과의 틈새가 크기 때문에, 그 굴곡부(5)에 비하여 상당히 길기 때문에 강성이 낮고 좌굴되기 쉬운 장축부가 먼저 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굴곡부 이외의 장축부가 충분히 휜 후에는 서서히 굴곡부(5)도 휘게 되므로, 급격히 인발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초기의 장축부의 굴곡을 고려하여 조정핀(51)의 최대 높이(Hmax)와, 손목시계 밴드의 링크(42)에 형성하는 연결 관통 구멍(47, 48) 및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49)의 각 구멍 직경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조정핀(51)의 굴곡부(5)의 변위량을 0.2 ㎜로 함으로써 초탄성 영역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인발력도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안정된 것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한정예]
본 발명중, 조정핀의 절곡부가 굴곡 형상이고, 그 절곡부가 한 곳인 へ자형 조정핀(도 1에 도시한 형상의 것)은 저온 프레스에 의한 가공이 용이하여 절곡부의 최대 높이(도 11의 Hmax)의 변동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초탄성 영역에서 작용시키는 데 적합한 구성이다.
이하, 이와 같이 へ자형으로 형성한 조정핀의 바람직한 한정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표 1은 본 발명중 상기 へ자형으로 형성한 조정핀에 대해서, 각종 치수의 핀의 초탄성 영역이 발현되는 범위와 인발력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수학식 2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조정핀의 탄성력은 그 선 직경(d)의 4승에 비례하고, 절곡부의 길이(L)의 3승에 반비례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형상면에서 조정핀의 강성은 선 직경(d)이 클수록, 길이(L)가 짧을수록 높아진다. 그리고, 강성이 높은 조정핀일수록 임의의 변형에 대하여 받는 응력도 크다.
표 1을 보면, 강성이 높은(선 직경(d)이 크고, 길이(L)가 짧은) 조정핀일수록 초탄성 영역은 좁아지고, 그 초탄성 영역에서의 인발력은 커진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조 건㎜ | 링크 구멍의 직경㎜ | 핀의 선 직경㎜ | L㎜ | 초탄성특성을 표시Hmax의 범위 | 인발력 | |
NiTi | NiTiCo | |||||
a | 0.9 | 0.8 | 0.9 | 0.92 ~ 0.95 | 1.6 | 2.08 |
b | 0.9 | 0.8 | 1 | 0.95 ~ 1.01 | 1.2 | 1.56 |
c | 0.85 | 0.7 | 1 | 0.89 ~ 0.97 | 0.76 | 0.988 |
d | 1.2 | 1 | 1 | 1.23 ~ 1.28 | 5.35 | 6.955 |
e | 1.2 | 1 | 2 | 1.5 ~ 1.65 | 2 | 2.6 |
f | 1.2 | 1 | 3.7 | 1.7 ~ 1.9 | 1.1 | 1.43 |
g | 1.3 | 1.2 | 3.7 | 1.6 ~ 1.8 | 4.5 | 5.85 |
조정핀의 인발력, 초탄성 영역의 폭을 효과적인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 직경(d)꽈 길이(L)를 어떤 유효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초탄성 영역의 폭은 조정핀의 치수와 링크 구멍 직경의 변동에 의한 조정핀의 변형량의 변동폭보다 큰 것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조정핀을 링크 구멍에 삽입한 상태로 핀의 변형이 초탄성 영역에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핀의 변형량이 변동되어도 초탄성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은 변동되지 않고서, 인발력이 안정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며, 초탄성 영역의 폭이 좁으면 핀의 변형량의 변동에 의해 초탄성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인발력이 변동되어 버려 유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냉간 프레스에 의한 핀의 치수의 변동, 드릴 가공에 의한 링크의 구멍 직경(및 구멍 위치)의 변동을 고려하면, 초탄성을 나타내는 조정핀의 절곡부의 최대 높이(Hmax)의 범위(초탄성 영역)는 폭으로 0.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발력은, 손목시계의 사용 중에 조정핀이 자연스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저 1 kgf 정도는 필요하다. 그래서, 조정핀은 그 기능상에서 인발력이 1 kgf 정도 이상이 되도록, 형상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발력은 그것이 너무 높으면 조정핀을 링크로부터 압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 조절 작업의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인발력의 상한은 7 kgf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정핀의 인발력은 1 kgf에서 7 kgf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핀의 도 11에 나타낸 절곡부의 길이(L)는 1 ㎜ 미만이어도 초탄성 영역의 인발력을 1에서 7 kgf의 범위로 할 수 있지만, 가공이 매우 곤란해진다.
즉, 길이(L)를 1 ㎜ 미만으로 하면, 프레스 가공시에 전단력이 상당히 커져 버리기 때문에 재료가 쉽게 파단된다.
또한, 길이(L)가 1 ㎜ 미만이 되면, 강성이 높기 때문에 초탄성 영역이 좁아진다.
예컨대, 표 1의 조건 a에서는, 초탄성 영역은 최대 높이(Hmax)의 값이 0.92에서 0.95 ㎜의 0.03 ㎜밖에 없고, 핀의 가공에 있어서의 변동을 고려하면 초탄성 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표 1의 조건 b∼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L)가 1 이상이면 초탄성 영역의 폭은 0.05 ㎜ 이상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초탄성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핀(와이어) 가공시의 프레스의 용이함과 초탄성 영역의 폭의 넓이의 2가지 관점에서, 조정핀의 절곡부의 길이(L)는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정핀은 시계용 밴드의 아암부의 구멍에 삽입되기 때문에, 절곡부의 길이(L)의 값은 링크의 디자인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즉, 길이(L)는 아암부의 폭보다 짧아야 한다.
또한, 이번과 같이 へ자형으로 굴곡시킨 조정핀을 이용하는 경우, 길이(L)가 길면 적응할 수 있는 밴드 링크의 종류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핀을 링크에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일반적인 밴드 링크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링크의 구멍에의 삽입시의 작업성을 생각하여 길이(L)는 3.7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へ자형으로 굴곡시킨 조정핀의 절곡부의 길이(L)의 값은 1 ㎜에서 3.7 ㎜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조건 c보다, 조정핀의 선 직경을 0.8 ㎜ 미만으로 하면 길이(L)를 1 ㎜로 하여도 초탄성 영역에서의 인발력은 1 kgf 이하로 되어 버린다. 즉, 선 직경은 0.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조정핀의 강성은 높아지기 때문에, 초탄성 영역의 인발력은 커지고, 그 초탄성 영역은 좁아진다. 인발력을 1 kgf 이상, 초탄성 영역의 폭을 O.05 ㎜ 이상, 길이(L)를 1 ㎜에서 3.7 ㎜의 사이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선 직경의 상한은 표 1의 조건 g의 1.2 ㎜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へ자형 조정핀의 선 직경은 0.8 ㎜에서 1.2 ㎜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정핀은 선 직경이 0.8 ㎜에서 1.2 ㎜ 범위의 와이어를 사용하고, 절곡부(굴곡부)의 길이(L)를 1 ㎜에서 3.7 ㎜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NiTiCo의 경우는 세로 탄성 계수가 7450 kgf/㎜2로, NiTi에 비하여 1.3배 크기 때문에, 설계상 탄성력을 크게 부여하고 싶을 경우, 또는 동일한 탄성력이라도 선 직경을 작게 하고 싶을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당연히 NiTi과 NiTiCo의 유효한 치수의 범위는 다소 다르지만, 상술한 범위는 쌍방에 유효한 범위이며, 종합적으로 가장 유효한 범위라고 할 수 있다.
[기타 변형예]
이상, 각종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각 실시예 중에서 조정핀으로서 사용하는 재질은 NiTi 또는 NiTiCo인 것을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재질로서 CuAlNi이나 CuZnAl 등의 초탄성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정핀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봉재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단면이 직사각형 등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핀으로 연결하는 밴드 링크는 솔리드 밴드이지만, 본 발명은 연결링을 이용한 감는 밴드 등에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밴드 링크가 솔리드 밴드로서, 그 밴드 링크에 오목부에 의해 구획된 1쌍의 아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아암부가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밴드 링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조정핀의 절곡부의 형상은 도 1이나 도 5에서 설명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조정핀(61, 71, 81, 91)과 같은 형상의 것이어도 좋으며, 도 5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를 두 곳 형성한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0 내지 도 23에 각각 도시된 형상의 조정핀(61, 71, 81, 91)에 대해서 인발력을 확인했지만,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같이, 링크와의 안정된 유지력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조정핀을 끼웠다 뺐다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조정핀(61, 71, 81, 91) 모두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정핀의 절곡부(굴곡부)의 형상도, 설명한 각 실시예 이외의 것이어도, 기본적으로 연결한 상태의 링크의 구멍에 초탄성 영역의 응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조정핀의 양단부를 반구형의 곡면으로 함으로써, 조정핀을 링크의 구멍으로 끼웠다 뺐다했을 때에 링크측의 구멍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 양단부를 곡면으로 하는 것은 반드시 불가결한 것이 아니다.
또한, 조정핀의 가공 공정은 절단→절곡→열처리→배럴 연마의 순서일 수도 있고, 절단→배럴 연마→절곡→열처리의 순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 링크 끼리를 연결하는 조정핀으로서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핀 또는 도 24에 도시하는 조정핀(1)과 같이, 손목시계 케이스(65)와 시계 밴드(66)를 접속하는 구조(끝 캔부라 부름)로 사용하여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정핀은 손목시계 밴드의 길이 조정을 위한 밴드 링크의 접속만이 아니라, 그 밖의 부분의 접속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은 밴드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밴드 링크의 구멍 직경에 변동이 있어도 항상 안정된 피팅력으로 밴드 링크로부터의 탈락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의 밴드 링크를 체인형으로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광범한 이용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면, 상기 조정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핀의 유효한 제조 방법으로서 앞으로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에 따르면, 밴드 링크를 안정되게 체인형으로 결합할 수 있고, 밴드의 길이 조절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한 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서, 광범한 이용이 기대된다.
Claims (14)
- 복수 개의 링크를 체인형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손목시계 밴드의 상기 링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조정핀으로서, 비틀림의 변화에 대해 응력이 일정한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 링크에 상기 초탄성 영역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절곡부를 한 곳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니켈·티탄(NiTi) 또는 니켈·티탄·코발트 (NiT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만곡형으로 구부린 부분으로, 이 만곡된 부분이 상기 링크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결합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 제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은 선 직경이 0.8 ㎜ 이상 1.2 ㎜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절곡부의 최대 높이 부위의 그 절곡부의 굴곡 개시 위치에서 상기 링크를 연결한 상태로 그 링크에 접촉하는 쪽의 부위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1 ㎜ 이상 3.7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 제1항에 기재한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의 한 곳 이상을 프레스에 의해 구부리는 공정과, 그 구부린 부위를 포함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공정과, 그 절단한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기재한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과, 그 절단한 와이어의 한 곳 이상을 프레스에 의해 구부리는 공정과, 그 구부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곡면으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의 제조 방법.
- 복수 개의 링크가 체인형으로 연결된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서, 그 복수 개의 링크는 각각의 밴드의 체인 방향의 일단측에 오목부를 갖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인접한 링크의 상기 오목부에 합치되는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일단측의 상기 오목부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쌍을 이루는 아암부에 상기 밴드의 가로 방향을 따르는 연결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연결 관통 구멍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인접한 링크의 상기 볼록부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과 비틀림의 변화에 대하여 응력이 일정해지는 초탄성 영역을 갖는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조정핀을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링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로서,상기 조정핀에는 절곡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그 절곡부의 최대 높이를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의 구멍 치수보다 크게 하고,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각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에 소정의 위치까지 상기 조정핀을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한쪽 연결 관통 구멍에서 상기 조정핀의 절곡부가 휨으로써 그 조정핀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초탄성 영역에 있고, 그 응력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정핀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에 적어도 입구부에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를 크게 한 구멍 치수 확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치수 확대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연결 관통 구멍의 적어도 입구부에, 구멍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 사이의 치수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 단차진 구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치수 확대부는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의 전역에 걸쳐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조정핀을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각 연결 관통 구멍과 상기 볼록부 연결 관통 구멍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 부분에서 상기 조정핀의 절곡부가 휨으로써 그 조정핀의 절곡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초탄성 영역에 있고, 그 응력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정핀이 상기 링크에 고정되는 구멍 직경으로서, 상기 한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쌍을 이루는 아암부의 다른쪽 아암부의 연결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상기 조정핀의 선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은 니켈·티탄(NiTi) 또는 니켈·티탄·코발트 (NiT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은 선 직경이 0.8 ㎜ 이상 1.2 ㎜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절곡부의 최대 높이 부위의 그 절곡부의 절곡 개시 위치에서 상기 연결 관통 구멍에 접촉하는 쪽의 부위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1 ㎜ 이상 3.7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의 절곡부는 고온에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하거나 저온에서 굽힘 가공한 후에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밴드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7077798 | 1998-06-18 | ||
JP10/170777 | 1998-06-18 | ||
PCT/JP1999/003228 WO1999065354A1 (fr) | 1998-06-18 | 1999-06-17 | Tige de reglage de montre-bracel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tructure d'accouplement de montre-brace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2936A true KR20010022936A (ko) | 2001-03-26 |
KR100354370B1 KR100354370B1 (ko) | 2002-09-28 |
Family
ID=159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1544A KR100354370B1 (ko) | 1998-06-18 | 1999-06-17 |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이 핀의 제조 방법 및 손목시계밴드의 연결 구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6406177B1 (ko) |
EP (1) | EP1023851B1 (ko) |
JP (1) | JP3577280B2 (ko) |
KR (1) | KR100354370B1 (ko) |
CN (1) | CN1163172C (ko) |
AU (1) | AU4167399A (ko) |
DE (1) | DE69900489T2 (ko) |
HK (1) | HK1031985A1 (ko) |
WO (1) | WO199906535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8268Y1 (ko) * | 2008-12-18 | 2012-02-15 | 장태희 | 안전 구명튜브 |
KR20180024570A (ko) * | 2016-08-30 | 2018-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23507T2 (de) * | 2001-03-12 | 2008-09-18 | Citizen Holdings Co., Ltd. | Verbindungselemente für gliederschmuckband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JP4163008B2 (ja) * | 2001-05-17 | 2008-10-08 |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腕時計用工具 |
US6418706B1 (en) * | 2001-11-27 | 2002-07-16 | Fossil, Inc. | Watchband link assembly |
US6711886B1 (en) * | 2002-10-02 | 2004-03-30 | Chung Nam Watch Co., Ltd. | Link members and a band formed of such link members |
US7225955B2 (en) * | 2003-03-06 | 2007-06-05 | Seiko Epson Corporation | Watchband and watch |
JP4190915B2 (ja) * | 2003-03-10 | 2008-12-03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バンドの駒用連結ピン、バンド、及び腕時計 |
US20060225667A1 (en) * | 2005-04-06 | 2006-10-12 | Simon Handelsman | Flexible configuration dog bone |
EP1977658B1 (fr) * | 2007-04-05 | 2016-08-10 |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 Bracelet formé de maillons articulés |
JP4450843B2 (ja) * | 2007-05-16 | 2010-04-14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伝動用多列チェーン |
EP2260740A1 (fr) * | 2009-06-08 | 2010-12-15 | Rolex Sa | Bracelet formé de maillons articulés |
WO2012135967A1 (fr) * | 2011-04-06 | 2012-10-11 | Rolex S.A. | Brin de bracelet de montre |
JP5867048B2 (ja) * | 2011-12-13 | 2016-02-24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連結装置、バンド及びバンドを備える電子機器 |
US9161582B2 (en) * | 2012-10-29 | 2015-10-20 | Paul Anderson | Linked belt |
US10492574B2 (en) * | 2015-09-28 | 2019-12-03 | Apple Inc. | Clasp mechanisms for wrist-worn devices |
CN106176020A (zh) * | 2016-08-31 | 2016-12-07 | 洛阳市中心医院 | 一种造口旁疝腹带 |
US10455906B1 (en) * | 2016-09-19 | 2019-10-29 | Apple Inc. | Consistently-tight watch band |
WO2019070386A2 (en) * | 2017-09-15 | 2019-04-11 | Chi Huynh | JEWEL THAT MAKES A REVERSIBLE TRANSI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FIGURATIONS |
JP6984472B2 (ja) * | 2018-02-14 | 2021-12-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時計 |
CN110594249B (zh) * | 2019-10-15 | 2024-07-0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线夹的紧固件 |
IT201900019559A1 (it) * | 2019-10-22 | 2021-04-22 | Treemme S P A Unipersonale | Prodotto ornamentale con due porzioni incernierate |
CN111642867A (zh) * | 2020-06-08 | 2020-09-11 | 深圳迈拓数码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生命体征监测的智能手表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721100A (en) | 1928-09-13 | 1929-07-16 | William T Armstrong | Cotter key |
US2737843A (en) * | 1952-02-01 | 1956-03-13 | C E M Company | Resilient coiled sheet metal fastening pin |
US2850783A (en) * | 1954-05-17 | 1958-09-09 | Megar David | Watch band connection |
US2871655A (en) * | 1955-04-19 | 1959-02-03 | Jeweler S Own Brand Inc | Adjustment link for wristband |
US3026670A (en) * | 1959-10-20 | 1962-03-27 | Jacoby Bender | Bracelet formed of detachable links having resilient pin-retaining means therein |
DE1155624B (de) * | 1961-08-08 | 1963-10-10 | Fritz Buerkle K G Metallwarenf | Ziehgliederband |
US3453821A (en) * | 1967-08-03 | 1969-07-08 | Leonard Kian | Expandable band |
DE1808344A1 (de) * | 1968-11-12 | 1970-05-27 | Rodi & Wienerberger Ag | Dehnbares Gliederband |
JPS5114392B1 (ko) * | 1970-12-29 | 1976-05-08 | ||
JPS5330352B2 (ko) * | 1971-12-14 | 1978-08-26 | ||
JPS5114392A (en) | 1974-07-26 | 1976-02-04 | Hitachi Ltd | Ekitaikinzokuno jundokanshisochi |
DE2828862C2 (de) * | 1978-06-30 | 1985-02-21 | Kalanke, Hans Egon, 8131 Bachhausen | Dehnbares Gliederband, insbesondere Uhrarmband |
US4263779A (en) * | 1979-04-04 | 1981-04-28 | Rexnord Inc. | Pin for rivetless chain |
US4220052A (en) * | 1979-05-25 | 1980-09-02 | Rexnord Inc. | Pin retention by interference fit differential |
US4269026A (en) | 1979-08-23 | 1981-05-26 | Timex Corporation | Connector pin for link bracelets |
KR840002099B1 (ko) * | 1980-04-25 | 1984-11-15 | 마티우 노오쓰 진 | 탄성 팥찌 |
JPS5827505A (ja) * | 1981-08-11 | 1983-02-18 |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腕時計バンドのばね棒 |
JPS58131714A (ja) | 1982-01-29 | 1983-08-05 | Toshiba Corp | 三相変圧器の外部接続装置 |
JPS58131714U (ja) * | 1982-03-01 | 1983-09-06 | 株式会社バンビ | 腕時計の各部品間の連結装置 |
FR2594306B1 (fr) | 1986-02-14 | 1988-08-05 | Omega Sa | Bracelet non extensible a charnieres apparentes |
US4717206A (en) * | 1985-05-02 | 1988-01-05 | The Cincinnati Mine Machinery Company | Endless chains comprised of interdigitated link elements having a Y-shaped configuration |
US4674803A (en) * | 1985-05-02 | 1987-06-23 | The Cincinnati Mine Machinery Company | Endless chains comprised of interdigitated link elements having an H-shaped configuration |
JPH084063B2 (ja) | 1986-12-17 | 1996-01-17 | 富士通株式会社 | 半導体基板の保存方法 |
JPS63163616A (ja) | 1986-12-26 | 1988-07-07 | Canon Inc | キ−ボ−ド制御装置 |
FR2610489B1 (fr) * | 1987-02-05 | 1989-05-12 | Rado Montres Sa | Bracelet articule |
JPS63153813U (ko) * | 1987-03-31 | 1988-10-07 | ||
JPS63163616U (ko) * | 1987-04-16 | 1988-10-25 | ||
JP2938110B2 (ja) * | 1990-01-31 | 1999-08-23 |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 時計バンド |
JP2838865B2 (ja) * | 1995-02-20 | 1998-12-16 | セイコー株式会社 | 腕時計用外装部品の結合構造 |
BE1009480A3 (nl) | 1995-07-11 | 1997-04-01 | Advanced Materials Tech | Werkwijze voor het aan elkaar bevestigen van twee elementen, in het bijzonder schakels van een metalen polshorlogeband. |
US5617377A (en) | 1995-12-13 | 1997-04-01 | Perret, Jr.; Gerard A. | Watchband connector pin utilizing shape memory material |
US5660308A (en) * | 1996-05-31 | 1997-08-26 | Textron, Inc. | Connector for expansible watchband sections |
CH692015A5 (fr) * | 1997-12-18 | 2002-01-15 | Smh Man Services Ag | Bracelet-montre à maillons dont la longueur peut être modifiée. |
US6053630A (en) * | 1997-12-24 | 2000-04-25 | Edwin H. Polansky | Adjustable band |
US6234791B1 (en) * | 1998-11-20 | 2001-05-2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rthodontic coupling pin |
-
1999
- 1999-06-17 AU AU41673/99A patent/AU4167399A/en not_active Abandoned
- 1999-06-17 JP JP2000554242A patent/JP35772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6-17 WO PCT/JP1999/003228 patent/WO1999065354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9-06-17 CN CNB998009792A patent/CN116317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6-17 KR KR1020007001544A patent/KR1003543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6-17 EP EP99925353A patent/EP10238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6-17 US US09/485,829 patent/US64061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6-17 DE DE69900489T patent/DE69900489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
- 2001-04-20 HK HK01102817A patent/HK1031985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8268Y1 (ko) * | 2008-12-18 | 2012-02-15 | 장태희 | 안전 구명튜브 |
KR20180024570A (ko) * | 2016-08-30 | 2018-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1999065354A9 (fr) | 2000-03-23 |
CN1163172C (zh) | 2004-08-25 |
KR100354370B1 (ko) | 2002-09-28 |
DE69900489D1 (de) | 2002-01-10 |
EP1023851A4 (en) | 2000-08-23 |
HK1031985A1 (en) | 2001-07-06 |
CN1272770A (zh) | 2000-11-08 |
DE69900489T2 (de) | 2002-05-23 |
JP3577280B2 (ja) | 2004-10-13 |
US6406177B1 (en) | 2002-06-18 |
EP1023851B1 (en) | 2001-11-28 |
AU4167399A (en) | 2000-01-05 |
EP1023851A1 (en) | 2000-08-02 |
WO1999065354A1 (fr) | 1999-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4370B1 (ko) | 손목시계 밴드용 조정핀, 이 핀의 제조 방법 및 손목시계밴드의 연결 구조 | |
US4896955A (en) | Eyeglass frame including shape-memory elements | |
US20200060392A1 (en) | Clasp mechanisms for wrist-worn devices | |
US20020095140A1 (en) | Repositionable stent | |
US20240315805A1 (en) | Orthodontic appliance, orthodontic system and method of use | |
US5457506A (en) | Retainer for nose pads on an eyeglass frame | |
JPH0319529B2 (ko) | ||
EP3088776B1 (en) | Poppet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7191586B2 (en) | Connector, band and watch | |
US6843561B2 (en) | Eyeglass lens and frame assembly | |
JP2007244851A (ja) | 変形爪矯正具 | |
CN109782566A (zh) | 用于在表壳中固定时钟机芯的系统 | |
KR19990028581A (ko) | 두개의 요소, 특히 금속 손목시계 줄의 링크를 함께 고정시키는방법 | |
JP4151132B2 (ja) | 腕時計用バンドの製造方法 | |
WO2002071884A1 (fr) | Structure de raccordement de bande et procede de production d'elements matrices destines a cette structure | |
JP2003189914A (ja) | 帯状装身具 | |
JP2005312709A (ja) | 連結用アジャストピン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04074895A1 (ja) | 光コネクタ用アダプタ及び光接続用シャッタ部品 | |
EP1175843A2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pieces of a strap made of hard materials | |
JPS5985335A (ja) | 時計用バンドの製造法 | |
CN109782567A (zh) | 用于在表壳中固定时钟机芯的系统 | |
JP3675377B2 (ja) | 連結構造およびこの連結構造を用いた時計 | |
JP7084854B2 (ja) | バンドの連結構造 | |
EP4344575A1 (en) | Jeweler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 |
EP0246095A2 (en) | Watch b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