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099B1 - 탄성 팥찌 - Google Patents

탄성 팥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099B1
KR840002099B1 KR1019810001389A KR810001389A KR840002099B1 KR 840002099 B1 KR840002099 B1 KR 840002099B1 KR 1019810001389 A KR1019810001389 A KR 1019810001389A KR 810001389 A KR810001389 A KR 810001389A KR 840002099 B1 KR840002099 B1 KR 84000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hole
rigid
elastic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816A (ko
Inventor
마티우 노오쓰 진
Original Assignee
마티우 노오쓰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티우 노오쓰 진 filed Critical 마티우 노오쓰 진
Publication of KR83000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7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more than two elements including conne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5Member ends joined by inserted se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성 팥찌
제1도는 양호한 실시예의 분리된 단단한 부재(1)과 연결 부재(2)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예와 동일한 분리된 이들 부재들의 평면도.
제3도는 2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접속된 3개의 단단한 부재의 평면도로서, 도면의 상부에서는 팔찌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2개의 단단한 부재가 서로 접하여 있고, 도면 하부에서는 팔찌가 신장되어 단단한 부재들이 떨어져 있고, 스프링이 신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4도는 특히 아름다운 형태의 스프링의 평면도.
제5도는 단단한 부재에 연결 부재를 삽입하는 것과 단단한 부재로부터 연결 부재를 분리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a)에서는, 연결부재가 화살표방향으로 압압되고, 연부(8)에 의해 2개의 스터드(5)가 연결부재내로 부분적으로 철회되어 있으며,
(b)에서는, 연결부재가 제위치로 압압되고, 견부(10)에 의해 스터드가 구멍(4)내에서 다시 빠져나와 연결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6도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좌측에는 연결부재가 S형태의 스프링의 양단부인 2개의 스터드만을 가지고 있고 우측에는 연결부재가 단단한 부재들중 하나에는 핀봉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하나의 단단한 부재에는 단일의 스터드에 의해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제7도는 스프링의 두 단부들인 스터드가 구멍(4)에 쌍으로 부착된 예의 평면도.
제8도는 만곡된 연결부재가 부착된 팔찌의 일부분의 종단면도.
제9도는 요홈부(3)이 평판(13)에 의해 덮혀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각각 스터드를 2개씩 가진 2개의 스프링의 평면도.
제11도는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관속에 제10도의 두 스프링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다수의 단단한 부재들이 연결부재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탄성 조립체, 특히 탄성 팔찌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부재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견고한 부품들로 형성된 금속제의 팔찌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 이들 팔찌는 스프링 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얇은 금속 시이트로 제조되었다.
현재에 이런 2-3mm 두께의 단단한 부재들로 만들어지는 종류의 특히 금속으로된 탄성조립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우기, 팔찌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은 물론, 착용자의 손목에 맞도록 팔찌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어려운 과정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름다운 모양을 나타내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탄성 팔찌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팔찌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여러 부품의 조립체로 만들어질 수 있는 단단한 부재(1)을 포함한다. 각개의 단단한 부재는 인접하는 단단한 부재쪽으로 개방하여 있는 적어도 한개의 요홈부(3)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가 1도-제 5도에 도시되었고, 거기에서 요홈부(3)은 일 연부로부터 다른 연부까지 상기 단단한 부재를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고 직선의 벽들을 제공한다. 이들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한개의 구멍(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는 각벽이 2개의 구멍을 가지는 예를 나타내며, 제 6도는 각벽이 단지 하나의 구멍을 가진 실시예를 나타낸다.
요홈부(3)은 제 1도-제3도와 제5도-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단단한 부재의 방향으로 측방으로만 개방되어 있도록 그 요홈부를 덮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게 요홈부를 덮는 것은 팔찌의 양표면에 동일하고 평활한 외관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는 보다 복잡하며, 팔찌의 조립과 분해가 싶지 않다. 요홈부(3)은 적어도 한개의 연결부재(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도-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양호한 형태에서, 연결부재(2)는 요홈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약간 좁지만 그 요홈부(3)과 대략같은 크기의 평평한 관의 형태를 가진다.
그 실시예에서, 그 연결부재는 얇은 벽을 가지는 금속의 평평한 관으로 형성된다. 그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한개의 횡방향 구멍(7)을 가지며, 그 구멍은 연결부재가 요홈부(3)에 삽입될때, 구멍(4)와 대면한다. 제1-3도, 5,6,8및 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양호한 형태에서, 연결부재의 몸체를 형성하는 관은 두개의 횡방향구멍(7)을 가지며, 적어도 한개의 스터드(stud)(5)가 연결 부재의 몸체에 탄성체(6)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구멍(7)로부터 나와있다(제1-5도). 또 다른 형태(제7도)에서, 스터드(5)는 구멍(4)로부터 나와있고, 그 구멍의 기부에 탄성체(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의 형태들에서, 탄성체는 단일의 탄성 부재나 스프링의 스터드와 결합되어 있다.
그 탄성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의 합성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제1도-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양호한 형태에서 연결부재는 S의 형태로 4개의 아암(arm)으로 형성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들 아암의 각 단부는 스터드(5)를 구성하며, 쌍을 이루어 2개의 구멍(7)에서 돌출하여 있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스터드들은 스프링의 양단부이며, 그 스프링의 중앙 부분은 구멍(4)의 저부에 배치되고, 두스터드는 요홈부(3)속으로 돌출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의 형태에서, 스터드는 구멍(7)이나 구멍(4)에서 경사지게 돌출하며, 따라서 연결부재가 요홈부(3)속으로 삽입될때, 스터드가 없는 부재에 대해 미끄럼 이동한다.
제1도-제5도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양호한 형태에서 스터드와 탄성체는 제조하기 쉬운 스탬핑 가공된 부재로 만들어진다. 스프링의 아암의 S자형태는 스프링에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기에 필요한 길이를 제공한다.
제1도와 제4도에 도시된 스프링은 그의 중앙부(14)에 작은 구멍(12)을 가지고 있다. 그 구멍은 그 구멍으로 관의 벽을 밀어 넣어 연결부재내에 스프링을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필요불가결한 것은 아니지만, 연결부재(2)를 형성하는 관의 내벽에 발휘되는 마찰력에 의해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관내측의 폭보다 약간 더큰 폭을 스프링에 제공하는데 충분하다.
단단한 부재(1)과 연결부재(2)의 조립은 단단한 부재와 같은 평면에서 요홈부(3)의 측부에 연결부재를 배치시키고, 그 연결부재를 요홈부속에 밀어넣은 것에 의해 매우 단순하게 행해진다. 그렇게 삽입된 때, 스터드들은 단단한 부재의 연부(8)(스터드가 제1-6도와 같이 연결부재에 부착된 경우)이나 연결부재의 연부(9)(스터드가 제7도와 같이 단단한 부재에 부착된 경우)에 얹힌다.
경사지게 배치된 스터드는 탄성체(6)의 굴곡작용에 의해 휘게되고 구멍(7)(스터드가 연결부재에 제5도A와 같이 부착된 경우)이나 구멍(4)(스터드가 연결부재에 제7도와 같이 부착된 경우) 제7도 속으로 철회된다. 스터드의 단부가 구멍(4)(제1의 경우, 제1도-제6도)이나 구멍(7)(제2의 경우, 제7도)에 대면할때, 그 단부는 탄성체, 즉 도시된 예에서는 스프링의 이완 효과에 의해 구멍(4) 또는 (7)내에 스스로 들어간다. 제1도-제 3도와 제5도-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형태에서, 연결부재는 그들이 요홈부(3)의 중앙에서 서로 닿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단단한 부재에의 연결부재의 부착은 다른 연결부재가 이미 부착된때, 후자의 부재를 밀어서 행하여야 한다(제5B도).
팔찌가 신장될때(제3도), 스터드는 구멍(4)와 (7)을 각각 제한하는 스톱퍼(8')와 (9')에 의해 봉쇄된다. 조립의 간단함외에, 본 발명의 팔찌는 분해가 매우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 분해는 조립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부재를 미는 것으로 충분하다(제5B도).
그후 스터드는 구멍(4)와 (7)의 다른 측면상의 스톱퍼(8')와 (9')에 각각 대면하는 견부(10)(제1의 경우 제1도-제3도와 제5,6,8,9도)또는(11)(제2의 경우, 제7도)에 대해 미끄럼 운동한다. 스터드가 단단한 부재(제7도)에 부착된때, 그러한 견부는, 스터드의 삽입에 필요한 절결홈 구멍(7)을 가진 평판을 연결부재의 몸체를 형성하는 관속으로 삽입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팔찌가 충분히 유연하도록 하기위해, 단단한 부재 및 연결부재의 두께부에 스터드의 것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의 구멍(4)및 (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것은 단단한 부재 및 연결부재에 대한 스터드의 어떤 작용을 가능케 한다.
팔찌의 이런 유연성을 확보하는 다른 방법은 연결부재에 어떤 곡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 곡면을 가진 연결부재가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나 있으며, 그 도면들은 단단한 부재의 두께보다 더 큰 치수의 만곡된 연결부재와 구멍(4)의 결합을 도시한다.
단단한 부재는 여러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 부재는 밀링및 천공에 의해 절단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인발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방법은 적절한 방식으로 여러 평판을 자르고 그후 그들을 함께 접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구부려서 이런 부재를 만드는 또 다른 가능한 방법이 있다. 그 부재가 견고한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공압 해머에 설치된 적절한 형태의 펀치로 구멍을 만드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3)와 그 요홈부의 적어도 일측 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4)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단단한 부재(1)와, 상기 요홈부들중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구멍(7)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2)와, 탄성체(6)에 의해 연결부재 또는 단단한 부재에 부착되고, 구멍(4) 또는 횡방향 구멍(7)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5)로 구성된 탄성 팔찌.
KR1019810001389A 1980-04-25 1981-04-22 탄성 팥찌 KR840002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191/80-9 1980-04-25
CH319180 198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16A KR830004816A (ko) 1983-07-20
KR840002099B1 true KR840002099B1 (ko) 1984-11-15

Family

ID=425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389A KR840002099B1 (ko) 1980-04-25 1981-04-22 탄성 팥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58478A (ko)
EP (1) EP0050629B1 (ko)
JP (1) JPH0125565B2 (ko)
KR (1) KR840002099B1 (ko)
AT (1) ATE9952T1 (ko)
AU (1) AU7070281A (ko)
DE (1) DE3166788D1 (ko)
GB (1) GB2087218B (ko)
IT (1) IT1209865B (ko)
SG (1) SG6487G (ko)
WO (1) WO1981002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74B1 (ko) * 1985-08-08 1987-10-10 오리엔트 도께이 가부시끼가이샤 장신용 밴드의 결합편
FR2633164B1 (fr) * 1988-06-24 1990-10-05 Rado Montres Sa Bracelet a maillons
CN1163172C (zh) * 1998-06-18 2004-08-25 时至准钟表股份有限公司 手表带用调整销及其制造方法以及表带的连接结构
JP4190915B2 (ja) * 2003-03-10 2008-12-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バンドの駒用連結ピン、バンド、及び腕時計
US20100243688A1 (en) * 2009-03-25 2010-09-30 Oakley, Inc. Wristwatch band with longitudinal, transverse and torsional flexibility
US10492574B2 (en) * 2015-09-28 2019-12-03 Apple Inc. Clasp mechanisms for wrist-worn devices
US10905967B1 (en) 2016-09-07 2021-02-02 Ezra Joseph Satok-Wolman Component based system for assembling geometric structures
EP4164448A1 (en) 2020-06-16 2023-04-19 Tom Ford International, LLC Single-piece watch ban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899A (en) * 1906-01-05 1906-03-20 Anthony Horton Bliss Bracelet.
CH252410A (fr) * 1946-08-14 1947-12-31 Jeanrenaud Ernest Bracelet à maillons articulés et procédé pour sa fabrication.
US2429036A (en) * 1946-08-30 1947-10-14 Madison D Pickens Articulated bracelet or the like
US2699035A (en) * 1949-10-17 1955-01-11 Becker Hermann Ornamental chain for bracelets and the like
US2840982A (en) * 1955-08-17 1958-07-01 Rodi & Wienerberger Ag Expansion bracelet having two parallel rows of connecting links
CH392957A (de) * 1961-02-15 1965-05-31 Heinz Albert Dehnbares Armband
FR1330635A (fr) * 1962-08-07 1963-06-21 Chaîne articulée ou bracelet plat extensible pour la bijouterie et autres usages
FR1497270A (fr) * 1966-10-21 1967-10-06 Stelux Mfg Co Ltd Bracelet pour montres et objets similaires
CH555154A (fr) * 1972-08-30 1974-10-31 Serafini L Etampes Et Mecaniqu Bracelet au moins partiellement constitue d'elements articules entre eux.
CH594379A5 (en) * 1976-01-08 1978-01-13 Zodiac Articulated bracelet assembly with series of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5565B2 (ko) 1989-05-18
DE3166788D1 (en) 1984-11-29
US4458478A (en) 1984-07-10
EP0050629A1 (fr) 1982-05-05
SG6487G (en) 1991-01-18
EP0050629B1 (fr) 1984-10-24
WO1981002970A1 (fr) 1981-10-29
JPS57500543A (ko) 1982-04-01
AU7070281A (en) 1981-11-10
IT8148347A0 (it) 1981-04-24
GB2087218A (en) 1982-05-26
IT1209865B (it) 1989-08-30
GB2087218B (en) 1984-01-25
KR830004816A (ko) 1983-07-20
ATE9952T1 (de) 198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7584A (en) Snap fastener stud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237395A (en) Expansible band with detachable links
KR840002099B1 (ko) 탄성 팥찌
CA1050292A (en) Expansible linkage for wrist watch bracelets, identification bracelets and the like
US4605312A (en) Watchband/watchcase connection
GB2294207A (en) Polygonal element for forming polyhedral structures
US3805327A (en) Hinge structure
US3786629A (en) Expansible linkage for use in making a watchband or similar article
US3344599A (en) Detachable link expansible band
US2753682A (en) Expansible band with tubular inner and outer links, the inner links having guiding and stop flanges
US3587226A (en) Expansible linkage for use in making a watch band or similar article of jewelry
US3757392A (en) Jewelry catch
US2799135A (en) Expansible bracelet with recessed connecting links
US2767452A (en) Clasp
US3625001A (en) Link for use in making a linkage for a watch bracelet or similar article and expansible linkage made therefrom
US4170871A (en) Bracelet linkage
US2840982A (en) Expansion bracelet having two parallel rows of connecting links
GB2122070A (en) Elastic assembly, for example bracelet or ring
US4104872A (en) Adjustable expansion band for wristwatch
US4987655A (en) End connector for expansible watch band
US2920363A (en) Cuff link
US3543507A (en) Expansible linkage for use in making a watchband or similar article of jewelry
US3214900A (en) Beaded strand and connector therefor
US2990679A (en) Band of detachable sheet metal links and the link
US2437932A (en) Decorative chain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