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768A - 제암제 - Google Patents

제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768A
KR20010021768A KR1020007000331A KR20007000331A KR20010021768A KR 20010021768 A KR20010021768 A KR 20010021768A KR 1020007000331 A KR1020007000331 A KR 1020007000331A KR 20007000331 A KR20007000331 A KR 20007000331A KR 20010021768 A KR20010021768 A KR 2001002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mbp
amino acid
anticancer agent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849B1 (ko
Inventor
가와사키도시스케
Original Assignee
오미야 히사시
다카라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야 히사시, 다카라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미야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2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7Muscular dystrophy
    • C07K14/4708Duchenne dystro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의 암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약제, 구체적으로는 만난 결합 단백질 또는 그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암제를 제공한다. 만난 결합 단백질의 예에는 서열표의 서열 번호 1에 기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 그 서열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삽입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면서, 만난 결합 단백질로서의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 있다. 유전자의 예에는 서열표의 서열 번호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개변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가 있다.

Description

제암제{CARCINOSTATIC AGENTS}
최근, 암 화학 요법 등을 비롯한 암 치료법은 눈부시게 진보되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 전세계에서 암은 현재까지도 사인의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매우 유효한 새로운 암 치료법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동물 조직이나 체액 중에는 혈액형 인식 항체와 같은 면역 글로불린 이외에 당을 인식하는 단백질로서 "동물 렉틴"이라 총칭되는 1군의 기능성 단백질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 동물 렉틴에 관한 연구 과정에서, 칼슘 의존적으로 만노스(Man)나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과 결합하는 C형 렉틴을 포유 동물 간장 및 혈청중에서 발견하여, 만난(mannan) 결합 단백질(MBP)이라 명명하였다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제81권, 제3호, 제1018∼1024페이지(1978),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제95권, 제2호, 제658∼664페이지(1980)외].
더욱이, 사람의 간장 및 사람의 혈청 MBP 및 그 유전자를 획득하는 데에 성공하였다[Journal of Biochemistry, 제115권, 제6호, 제1148∼1154 페이지 (1994)]. 또한, 만난 결합 단백질은 만노스 결합 단백질 또는 만난 바인딩 렉틴이라 불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 MBP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를 진행시키는 가운데, 혈청 MBP가 항체나 보체(補體) 성분인 Clq에 의존하지 않고, 고전 경로, 또는 렉틴 경로를 통해 보체계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더욱이, 혈청 MBP는 직접적인 생체 방어 작용을 갖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사람의 면역 부전 바이러스의 엔벨로프 당단백질상의 하이-만노스형 당쇄에 결합함으로써 감염을 억제하거나 효모나 어떤 종의 그램 음성 세균에 대하여 식세포(phagocyte)에 의한 제거를 촉진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MBP의 암세포 또는 암 조직에 대한 작용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의 특정한 단백질 농도를 증강시킴으로써,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의약 분야에 유용한 약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pBSF2-16의 제한 효소 지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MBP 발현 플라스미드 pBSF2-16/MBP의 모식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생체 내에서의 제암 효과 평가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의 암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약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MBP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여러 가지 연구를 행한 결과, 놀랍게도,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투여한 암 보유 동물과,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투여하지 않은 암 보유 동물은 분명히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투여한 암 담당 동물의 암세포의 증식 능력이 억제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을 대략 설명하면, 본 발명은 만난 결합 단백질 또는 그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制癌劑)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MBP란, 천연형 MBP 뿐만 아니라, MBP로서의 활성을 갖는 한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중,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결실, 부가, 삽입 등에 의해 아미노산 서열이 개변된 단백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천연형 MBP로서는, 예컨대 사람 또는 토끼로부터 유래한 것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동물, 식물 등의 생물체로부터 유래한 것, 또는 세균류, 효모류, 방선균류, 사상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등의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란, 상술한 MBP 및 MBP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유전자에 대하여, 유전자 공학적인 치환, 결실, 부가, 삽입 등의 변이 처리를 행한 것이라도 MBP 활성을 갖고 있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에 MBP를 도입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MBP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미세주입법과 같은 암세포로의 직접 투여법 등에 의해 MBP의 활성을 유지한 채로, 암세포에 직접 도입하여도 좋고, 피하 투여법 또는 정맥내 투여법 등에 의해 MBP 활성을 유지한 채로 도입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바이러스 등을 사용하여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암세포로 도입하여도 좋고, 피하 투여법 등에 의해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암세포로 도입하여, MBP를 발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제를 이용하면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에 도입할 수 있고, 암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조직 표면의 환부 또는 그 주변 조직에 직접 주입하면 좋다. 또한, 조직 내부의 환부, 그 주변 조직에도 직접 주입하면 좋지만, 약물 전달 시스템(DDS)을 응용할 수도 있다. DDS로는 암세포에 특이적인 시스템이면 좋고, 예컨대, 암세포 수용체, 암 특이 항체 등을 이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으로부터 선택하면 좋다. 또한, 주변 조직의 특정 장기 또는 세포에 특이적인 리간드, 수용체를 이용하여 이들 장기에 MBP를 특이적으로 도입시킬 수도 있다. 또, 암 조직을 외과 수술적으로 적출한 후, 암이 아닌 부위에 본 발명의 약제를 적용하는 것도 미소암의 증식 억제에 매우 유효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를 암세포,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약제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암제는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으면 좋고, 통상의 유전자 치료제, 단백질 함유제와 같이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중에는 담체, 부형제, 안정화제, 점조화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암제로서 이용되는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사용량은 그 제제 형태, 사용 방법 및 그 약제를 사용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질환의 진행도 등을 고려한 후에, 적절하게 설정, 조절하면 좋다. 예컨대, 단백질의 경우, 성인 1회당 0.01 μg 내지 1 g/kg이다. 또한, 단백질 발현용 재조합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경우, 성인 1회당 1×102내지 1×1012PFU(플라크 형성 유닛)를 사용한다. 당연히, 사용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암제에 함유되는 MBP 또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생체내 물질로서, 독성은 없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MBP에 대해서는, 이미 그 상세한 단백질 화학적 성질이 분명해져 있고, 예컨대 사람의 혈청으로부터 가와사키 연구진의 방법[Journal of Biochemistry, 제94권, 제3호, 제937∼947페이지(1983)]에 따라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공정 비활성(유닛/단백질량(㎍)) 수율(%)
1. 혈청 0.009 100
2. 세파로스 4B-만난 1 19.7 4.5
3. 세파로스 4B-만난 2 70.9 51.5
4. 세파로스 4B-만난 3 79.5 43.6
5. 세파로스 CL-6B 160.6 29.6
MBP의 결합 활성은 문헌[Journal of Biochemistry, 제94권, 제3호, 제937∼ 947 페이지(1983)]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125I로 표지된 만난(125I-manna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MBP의 비활성은 결합한125I-만난(ng)/단백질량(μg)으로 표시한다. 단백질량은 소 혈청 알부민을 표준 물질로 하여 로우리법으로 측정한다.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예컨대 사람의 간장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구라타 연구진의 방법[Journal of Biochemistry, 제115권, 제6호, 제1148∼1154페이지 (1994)]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사람의 MBP의 성숙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표의 서열 번호 1로 나타내고, 이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서열표의 서열 번호 2로 나타낸다.
이들 유전자 또는 그 일부를 프로브로서 이용함으로써, 그 유전자와 혼성화하거나 또한, MBP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유전자 또는 그 일부로부터 프라이머를 디자인하고, 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행함으로써, MBP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조제할 수도 있다.
혼성화의 방법으로는 예컨대, 생물체 또는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게놈 DNA 또는 cDNA 라이브러리를 고정화한 나일론막을 제작하고, O.5% SDS, 5×덴하르쯔[Denhardt's, O.1% 소 혈청 알부민(BSA), 0.1% 폴리비닐피롤리돈, 0.1% 피콜 400], 100 μg 연어 정자 DNA 및 6×SSC(1×SSC는 0.15 M NaCl, 0.015 M 시트르산나트륨, pH 7.0)를 포함하는 예비 혼성화 용액중, 65℃에서 나일론막을 블로킹한다. 그 후,32P로 라벨한 각 프로브를 첨가하여 65℃에서 4시간 내지 밤새 보온한다. 이 나일론막을 6×SSC중에서, 실온으로 10분간, 0.1% SDS중에서, 45℃로 30분간 세정한 후, 자동방사선사진법으로 프로브와 혼성화하는 DNA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등의 조건을 바꿈으로써 여러 가지 상동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서열표의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유전자에 대하여, 유전자 공학적인 치환,결실, 부가, 삽입 등의 변이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서열표의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유전자와 혼성화하고, 또한 MBP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조제할 수 있다.
변이 처리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앰버 변이를 이용하는 방법[갭 듀플렉스(gapped duplex)법, Nucleic Acids Research, 제12권, 제24호, 제9441∼9456페이지(1984)], 제한 효소 부위를 이용하는 방법[Analytical Biochemistry, 제200권, 제81∼88페이지(1992), Gene, 제102권, 제67∼70페이지 (1991)], dut(dUTPase)와 ung(우라실 DNA 글리코실라아제) 변이를 이용하는 방법[쿤켈(Kunkel)법,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제82권, 제488∼492페이지(1985)], DNA 폴리머라제 및 DNA 리가제를 이용한 앰버 변이를 이용하는 방법[올리고누클레오티드가 유도하는 이중 앰버 (Oligonucleotide-directed Dual Amber, ODA)법, Gene, 제152권, 제271∼275페이지(1995)], 제한 효소의 인식 부위를 부가한 2 가지의 변이 도입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에 의한 방법(미국특허 제5,512,463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키트, 예컨대, 갭 듀플렉스법을 이용한 뮤탄-G[Mutan(등록상표)-G, 다카라슈조사 제품], 쿤켈법을 이용한 뮤탄-K[Mutan(등록상표)-K, 다카라슈조사 제품], ODA법을 이용한 뮤탄 익스프레스 Km[Mutan(등록상표)-Express Km, 다카라슈조사 제품], 변이 도입용 프라이머와 피로코커스 퓨리오서스(Pyrococcus furiosus)에서 유래한 DNA 폴리머라제를 이용한 퀵 체인지 부위 지향적 돌연변이 유발 키트[QuikChangeTMSite-directed Mutagenesis Kit, 스트라타진(STRATAGENE)사 제품], PCR법을 이용하는 TaKaRa LA-PCR 시험관내 돌연변이 유발 키트(TaKaRaLA-PCR in vitro Mutagenesis Kit, 다카라슈조사 제품), 뮤탄 수퍼 익스프레스 Km[Mutan(등록상표)-Super Express Km, 다카라슈조사 제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유전자가 MBP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인지 아닌지는 문헌[Journal of Biochemistry, 제94권, 제3호, 제937∼947페이지 (1983) 또는 Journal of Biochemistry, 제115권, 제6호, 제1148∼1154페이지 (199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MBP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유전자 및 그 유전자에 의해 얻어지는 발현 단백질도 본 발명의 약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그 자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약제를 암세포에 도입하는 경우, 예컨대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이것에 관계하는 조절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벡터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도입할 수 있다. 조절 유전자로서는,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그 자체의 프로모터 이외에도, 물론 다른 유효한 프로모터, 예컨대 백시니아 바이러스 A형 봉입체(ATI)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레트로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LTR 프로모터, 사람의 쇼크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네인 프로모터, 악틴 프로모터 등을 갖는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벡터는 세포중의 염색체 외부에 위치하는 벡터의 형태로, 암 또는 아직 암이 되지 않은 세포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전자는 염색체 밖의 위치로부터 세포에 의해 발현되어, MBP를 생산하고, 세포내의 MBP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염색체 외부 유지용 벡터는 그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적절한 벡터가 이용된다. 그 벡터를 세포내에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전기 천공법, 인산칼슘 공침법, 바이러스 형질 도입법 등이 그 분야에서 알려져 있고, 어떠한 방법을 선택할지는 일상적 작업의 범위이다.
또한, MBP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염색체내에 통합된 벡터의 형태로, 암 또는 아직 암이 되지 않은 세포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전자는 염색체중에 유지되고, 세포에 의해 발현되어, MBP를 생산하며, 세포내의 MBP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세포로의 MBP 유전자 도입에는,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함으로써,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들 벡터로는, 종래로부터 원하는 DNA를 세포에 수송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감염 효율이 높은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레트로 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수반 바이러스 벡터 또는 비증식성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비증식성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는 원하는 세포 등에 도입한 후, 이 재조합 바이러스는 증식하지 않기 때문에 2주일에서 2개월마다 매회 이용할 필요는 있지만, 그 때에 투여량의 조절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비 바이러스 벡터인 지질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제작한 구형 캡슐의 리포솜, 예컨대, 막 결합 리포솜이나 양이온성 리포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로서 바람직한 재조합 바이러스의 구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사람 MBP의 cDNA를 문헌[Archives of Virology, 제138권, 제315∼330페이지(1994)]에 기재된 방법으로 구축한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pBSF2-16(도 1)의 SmaI과 SacI 부위에 도입하여, ATI 하이브리드 프로모터(7.5 kDa 프로모터를 직렬로 여러개 배열한 것과, ATI 프로모터를 조합한 프로모터)로 제어되는 MBP의 재조합 벡터 pBSF2-16/MBP(도 2)를 제작한다. 이 재조합 벡터 pBSF2-16/MBP와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DNA를 COS-7 세포에, 동시 형질감염시켜, 생성된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예컨대, 헤마글루티닌 표현형 또는 MBP의 발현량에 의해 선발함으로써, MBP 발현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다.
제암 효과에 관해서는, 예컨대 사람의 암세포를 누드 마우스에 접종한 후, 본 발명의 약제를 투여하여, 그 후의 암 조직의 증식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암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사람의 결장 암세포주 SW1116을 KSN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접종하고, 그 3주일 후에 상기 MBP 발현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종양내 투여 또는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한다. 그 2주일 후, 다시 한번 더 MBP 발현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고, 투여후의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억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현 벡터 및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구축
사람 MBP의 암호 영역 전체 길이를 포함하는 cDNA 클론 H-3-1[Journal of Biochemistry, 제115권, 제6호, 제1148∼1154페이지(1994)]을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pBSF2-16[Archives of Virology, 제138권, 제315∼330페이지(1994)]의 ATI 하이브리드 프로모터(7.5 kDa 프로모터를 직렬로 여러개 배열한 것과, ATI 프로모터를 조합한 프로모터)의 바로 하류, SmaI과 SacI 부위에 서브클로닝하여, ATI 하이브리드 프로모터로 제어되는 MBP 발현 플러스미드 pBSF2-16/MBP를 제작하였다.
도 1에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pBSF2-16의 제한 효소 지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에 MBP 발현 플러스미드 pBSF2-16/MBP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다음에, IBT(이사틴-β-티오세미카르바존) 의존성 백시니아 바이러스주 [Virology, 제155권, 제97∼105페이지(1986)]를 COS-7 세포(ATCC CRL1651)에 감염시켰다. 이 IBT 의존성 백시니아 바이러스주를 감염시킨 COS-7 세포에 pBSF2-16/MBP와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의 비리온으로부터 추출한 게놈 DNA를 DOTAP 시약(베링거 맨하임사 제품)을 이용하여 도입하고,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
또,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는 문헌[Archives of Virology, 제138권, 제315∼330페이지(199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헤마글루티닌 표현형에 의해 선발하여, RK-13 세포(ATCC CCL37)중에서 ELISA법에 의해 검출하였다. 바이러스의 역가는 플라크 형성법에 의해 측정하여 플라크 형성 유닛(PFU)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2
제암 효과의 평가
생체내(in vivo)에서의 제암 효과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사람의 결장암 세포 SW1116주(ATCC CCL233)를 KSN 누드 마우스(니혼SLC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피하에, 마우스 1마리당 107개 접종하고, 그 3주일 후에 실시예 1에서 기술한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마우스 1마리당 5×106PFU를 환부의 종양내, 또는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를 같은 양으로, 환부의 종양내에 투여하였다.
그 2주일 후, 다시 한번 더, 같은 양의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또는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고, 투여후의 종양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억제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생리식염수를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한 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즉, 도 3은 생체내에서의 제암 효과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축은 종양의 크기(mm)를 나타내고, 횡축은 암세포 이식후의 주일 수를 나타낸다. 도면 중, ■ 표시는 생리식염수를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한 군을 나타내고, ○ 표시는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를 환부의 종양내에 투여한 군을 나타내며, ● 표시는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환부의 종양내에 투여한 군을 나타내고, ▲ 표시는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한 군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는 MBP 백시니아 바이러스,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 및 생리식염수를 각각 투여한 주(週)를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BP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환부의 종양내에 투여했을 경우, 종양이 분명히 작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고, 또한, 비환부의 피하에 투여했을 경우에도, 대조군인 야생형 백시니아 바이러스 WR주 및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것과 비교하면, 현저한 암세포의 증식 억제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암세포중 그 주변 조직 또는 비환부 조직의 MBP 농도를 증강시키는, 즉 MBP 또는 그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 제를 얻었다. 이 제암제는 암 치료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서열표
서열 번호: 1
서열의 길이: 228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
쇄의 수: 1본쇄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펩티드
서열:
Glu Thr Val Thr Cys Glu Asp Ala Gln Lys Thr Cys Pro Ala Val
1 5 10 15
Ile Ala Cys Ser Ser Pro Gly Ile Asn Gly Phe Pro Gly Lys Asp
20 25 30
Gly Arg Asp Gly Thr Lys Gly Glu Lys Gly Glu Pro Gly Gln Gly
35 40 45
Leu Arg Gly Leu Gln Gly Pro Pro Gly Lys Leu Gly Pro Pro Gly
50 55 60
Asn Pro Gly Pro Ser Gly Ser Pro Gly Pro Lys Gly Gln Lys Gly
65 70 75
Asp Pro Gly Lys Ser Pro Asp Gly Asp Ser Ser Leu Ala Ala Ser
80 85 90
Glu Arg Lys Ala Leu Gln Thr Glu Met Ala Arg Ile Lys Lys Trp
95 100 105
Leu Thr Phe Ser Leu Gly Lys Gln Val Gly Asn Lys Phe Phe Leu
110 115 120
Thr Asn Gly Glu Ile Met Thr Phe Glu Lys Val Lys Ala Leu Cys
125 130 135
Val Lys Phe Gln Ala Ser Val Ala Thr Pro Arg Asn Ala Ala Glu
140 145 150
Asn Gly Ala Ile Gln Asn Leu Ile Lys Glu Glu Ala Phe Leu Gly
155 160 165
Ile Thr Asp Glu Lys Thr Glu Gly Gln Phe Val Asp Leu Thr Gly
170 175 180
Asn Arg Leu Thr Tyr Thr Asn Trp Asn Glu Gly Glu Pro Asn Asn
185 190 195
Ala Gly Ser Asp Glu Asp Cys Val Leu Leu Leu Lys Asn Gly Gln
200 205 210
Trp Asn Asp Val Pro Cys Ser Thr Ser His Leu Ala Val Cys Glu
215 220 225
Phe Pro Ile
서열 번호: 2
서열의 길이: 684
서열의 형태: 핵산
쇄의 수: 2본쇄
토폴로지: 직쇄상
서열의 종류: 게놈 RNA에 대한 cDNA
서열:
GAAACTGTGA CCTGTGAGGA TGCCCAAAAG ACCTGCCCTG CAGTGATTGC CTGTAGCTCT 60
CCAGGCATCA ACGGCTTCCC AGGCAAAGAT GGGCGTGATG GCACCAAGGG AGAAAAGGGG 120
GAACCAGGCC AAGGGCTCAG AGGCTTACAG GGCCCCCCTG GAAAGTTGGG GCCTCCAGGA 180
AATCCAGGGC CTTCTGGGTC ACCAGGACCA AAGGGCCAAA AAGGAGACCC TGGAAAAAGT 240
CCGGATGGTG ATAGTAGCCT GGCTGCCTCA GAAAGAAAAG CTCTGCAAAC AGAAATGGCA 300
CGTATCAAAA AGTGGCTGAC CTTCTCTCTG GGCAAACAAG TTGGGAACAA GTTCTTCCTG 360
ACCAATGGTG AAATAATGAC CTTTGAAAAA GTGAAGGCCT TGTGTGTCAA GTTCCAGGCC 420
TCTGTGGCCA CCCCCAGGAA TGCTGCAGAG AATGGAGCCA TTCAGAATCT CATCAAGGAG 480
GAAGCCTTCC TGGGCATCAC TGATGAGAAG ACAGAAGGGC AGTTTGTGGA TCTGACAGGA 540
AATAGACTGA CCTACACAAA CTGGAACGAG GGTGAACCCA ACAATGCTGG TTCTGATGAA 600
GATTGTGTAT TGCTACTGAA AAATGGCCAG TGGAATGACG TCCCCTGCTC CACCTCCCAT 660
CTGGCCGTCT GTGAGTTCCC TATC 684

Claims (11)

  1. 만난(mannan) 결합 단백질 또는 그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制癌劑).
  2. 제1항에 있어서, 만난 결합 단백질이 서열표의 서열 번호 1에 기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3. 제1항에 있어서, 만난 결합 단백질이 서열표의 서열 번호 1에 기재한 아미노산 서열에서, 1개 또는 복수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삽입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면서, 만난 결합 단백질로서의 활성을 갖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4.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서열표의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5. 제4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서열표의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6.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서열표의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1개 또는 복수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삽입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 것이면서, 만난 결합 단백질로서의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7.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가 서열표의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유전자와 혼성화하고, 또한, 만난 결합 단백질로서의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8. 제1항에 있어서,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유전자가 벡터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9. 제8항에 있어서, 벡터가 플라스미드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10. 제8항에 있어서, 벡터가 바이러스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11. 제10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벡터가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암제.
KR10-2000-7000331A 1997-08-21 1998-08-19 제암제 KR10049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911397 1997-08-21
JP97/239113 1997-08-21
PCT/JP1998/003697 WO1999010001A1 (fr) 1997-08-21 1998-08-19 Agents cancerostat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768A true KR20010021768A (ko) 2001-03-15
KR100497849B1 KR100497849B1 (ko) 2005-06-29

Family

ID=1703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331A KR100497849B1 (ko) 1997-08-21 1998-08-19 제암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10953B2 (ko)
EP (1) EP1008351B1 (ko)
JP (1) JP3990736B2 (ko)
KR (1) KR100497849B1 (ko)
CN (1) CN1106846C (ko)
AT (1) ATE345139T1 (ko)
AU (1) AU8748198A (ko)
DE (1) DE69836428T2 (ko)
WO (1) WO1999010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98A (en) * 1998-08-05 2000-11-1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DK1181363T3 (da) 1999-05-14 2007-05-29 Thomas Vorup Jensen Rekombinant humant mannanbindende lectin
EP1539964B1 (en) * 2002-09-10 2006-12-27 Natlmmune A/S Collectin-complement activating protein chimeras
CN1324046C (zh) * 2004-11-24 2007-07-04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具有抗hiv活性的蛋白和糖结合蛋白
DE602005026705D1 (de) * 2004-12-23 2011-04-14 Council Scient Ind Res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invasiver lungenaspergillose
EP2347774B1 (en) 2005-12-13 2017-07-26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caffolds for cell transplantation
EP2624873B1 (en) 2010-10-06 2019-12-0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njectable, pore-forming hydrogels for materials-based cell therapies
HUE047973T2 (hu) 2012-04-16 2020-05-28 Harvard College Mezoporózus szilíciumdioxid készítmények immunválaszok modulálására
US10682400B2 (en) 2014-04-30 2020-06-1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bination vaccine devices and methods of killing cancer cells
WO2016123573A1 (en) 2015-01-30 2016-08-0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eritumoral and intratumoral materials for cancer therapy
CN107708756A (zh) 2015-04-10 2018-02-16 哈佛学院院长等 免疫细胞捕获装置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15487351A (zh) 2016-02-06 2022-12-20 哈佛学院校长同事会 重塑造血巢以重建免疫
US10813988B2 (en) 2016-02-16 2020-10-2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athogen vaccine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MX2018011865A (es) 2016-03-30 2019-03-28 Ab biosciences inc Composiciones de inmunoglobulina intravenosa recombinante (rivig) y metodos para su produccion y uso.
EP3484448A4 (en) 2016-07-13 2020-04-0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IMETIC SCAFFOLDS OF CELLS HAVING ANTIGEN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975A (en) 1989-03-08 1998-11-10 Virogenetics Corporation Canarypox virus expressing cytokine and/or tumor-associated antigen DNA sequence
EP0234122A3 (en) * 1986-02-21 1989-03-22 Oncogen Limited Partnership Tumor therapy with biologically active anti-tumor antibodies
US5091178A (en) * 1986-02-21 1992-02-25 Oncogen Tumor therapy with biologically active anti-tumor antibodies
ATE165980T1 (de) 1987-08-20 1998-05-15 Childrens Medical Center Nukleinsaürefragmente, die mannose bindende fragmente vom menschlichen mannosebindenden protein kodieren
US5270199A (en) * 1987-08-20 1993-12-14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Human mannose-binding protein
WO1992007579A1 (en) * 1990-11-06 1992-05-14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oluble mannose receptor peptides
BR9708387A (pt) * 1996-03-28 2000-01-04 Genitrix Llc Processo para vacinação de um mamìfero a um antìgeno selecionado, células patogênica e hospedeira, composição de vacina, ácido nucleico, e, opsonina engenheirada.
DE69932817T2 (de) * 1998-06-10 2007-03-15 Statens Serum Institut Reinigungsverfahren zur herstellng von mannan bindendem lectin (mbl) und mbl enthaltende medizinische zuberei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8351A4 (en) 2004-11-10
KR100497849B1 (ko) 2005-06-29
EP1008351A1 (en) 2000-06-14
CN1267223A (zh) 2000-09-20
AU8748198A (en) 1999-03-16
CN1106846C (zh) 2003-04-30
ATE345139T1 (de) 2006-12-15
US20020086817A1 (en) 2002-07-04
US7410953B2 (en) 2008-08-12
DE69836428D1 (de) 2006-12-28
JP3990736B2 (ja) 2007-10-17
WO1999010001A1 (fr) 1999-03-04
DE69836428T2 (de) 2007-09-27
EP1008351B1 (en)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849B1 (ko) 제암제
KR100547402B1 (ko) α-갈락토시다아제 A 결핍을 치료하는 방법
EP3119892B1 (en) Beta-hexosaminidase protein variants and associated methods for treating gm2 gangliosdoses
JPH10327880A (ja) ヒト・ナトリウム依存性リン酸輸送体(ipt−1)
JP2003009889A (ja) インターロイキン−1β転換酵素様アポトーシスプロテアーゼ−3および4
US6524851B1 (en) Hybrid nucleic acid molecules and vectors including β-globin regulatory elements
Zrihan-Licht et al. Csk homologous kinase, a novel signaling molecule, directly associates with the activated ErbB-2 receptor in breast cancer cells and inhibits their proliferation
EP1456239B1 (en) Hybrid proteins with neuregulin heparin-binding domain for targeting to heparan sulfate proteoglycans
CA2170393A1 (en) Cloning of a member of the serine-threonine-kinase family
JP3913171B2 (ja) 新規ヒトキネシン関連遺伝子の核酸、該核酸によってコードされるタンパク質、その部分ペプチド、および該核酸等からなる抗癌剤
CZ178396A3 (en) Novel tumor-suppressor gene
US20070134229A1 (en) Non-native constitutively active osteopontin
JP2002186495A (ja) 新規has2スプライシング変種hoefc11:慢性腎不全、炎症性疾患および心筋虚血における標的
JPH11206391A (ja) ヒトlig−1相同体(hlig−1)
WO2008118100A1 (en) Method of enhancing migr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AU2003220717B2 (en) Therapy for alpha-galactosidase a deficiency
JP2000325087A (ja) Tsa2306遺伝子
US20040038210A1 (en) Novel polypeptide-type II fibronectin 10 and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same
JP2832801B2 (ja) がん転移抑制剤
CN115989238A (zh) 包含il-2蛋白和cd80蛋白片段或其变体的融合蛋白及其用途
CN101195657A (zh) 一个i型细胞因子受体样分子及其编码基因与应用
HASLER et al. land zyxwvutsrqponmlkjih
JP2001505205A (ja) 細胞を形質導入する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
WO2002038763A1 (fr) Gene pca250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