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898A -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898A
KR20010019898A KR1019990036576A KR19990036576A KR20010019898A KR 20010019898 A KR20010019898 A KR 20010019898A KR 1019990036576 A KR1019990036576 A KR 1019990036576A KR 19990036576 A KR19990036576 A KR 19990036576A KR 20010019898 A KR20010019898 A KR 20010019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knob
terminal
sta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동필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9003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9898A/ko
Publication of KR2001001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등화 스위치 레버나 와이퍼 스위치 레버와 같은 레버형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노브에 봉형상의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하부노브의 레버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인쇄된 프린트 기판,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촉되어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는 콘택트 단자가 고정된 콘택트 홀더, 상기 콘택트 홀더의 회전 위치를 안내하는 스테이터가 순서대로 일체로 조립되어 끼워지며; 상기 하부노브의 앞쪽에 상부노브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노브는 상기 콘택트 홀더와 핀으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스위치 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의 조립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립 생산성이 증대되는 동시에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Lever type switch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의 등화 스위치 레버나 와이퍼 스위치 레버와 같은 레버형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레버형 스위치 장치 중에서 등화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외관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조립된 상부노브(1) 및 하부노브(2)속에 긴 레버(3)가 들어 있고, 상기 레버(3)에는 스위치 작동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4)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등화 스위치 레버는 끝단에 설치된 상부노브(1)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등화 장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노브(1)와 하부노브(2)가 포함된 스위치 레버 전체를 일정 회동시킴으로써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등화 스위치 레버의 내부 구조는 하부노브(2)의 입구측에 터미널 단자(5)가 설치되고, 이 터미널 단자(5)의 맞은편 상부노브(1)의 내측에는 콘택트 단자(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터미널 단자(5)는 상기 레버(3)의 둘레에 끼워져 하부노브(2)의 내측에 고정되는 절연 홀더(6)에 압입되어 전선(4)과 연결되며, 상기 콘택트 단자(7)는 상기 상부노브(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부노브(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 홀더(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노브(1)를 회전시키면 내부의 회전 홀더(8)가 회전하면서 콘택트 단자(7)와 터미널 단자(5)의 접촉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오프(OFF), 차폭등, 전조등의 등화를 운전자의 의지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노브(1)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홀더(8)가 회전될 때 절도감을 형성시키는 스테이터(9)가 설치되고 있고, 이와 같은 절도감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홀더의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터(9)의 홈부에 접촉되는 핀(10) 및 스프링(11)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스테이터(9)도 상기 회전 홀더(8)와 함께 상기 레버(3)의 끝부분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상부노브(1)는 그 내부에 상기 회전 홀더(8), 스테이터(9), 레버(3)가 내재되면서 상기 하부노브(2)와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야 되고, 또한 상기 하부노브(2)로부터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서는 레버(3)의 끝부분 쪽에 회전 홀더(8)와 스테이터(9)를 끼운 다음, 상부노브(1)를 씌운다. 그리고, 레버(3)의 끝단에 C-링(12)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홀더(8)와 스테이터(9)는 물론 상부노브(1)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상부노브(1)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3)의 끝단부에 끼워지게 원통형의 끼움부(1a)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3)에는 상기 C-링(12)이 끼워지게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레버(3) 끝단에 C-링(1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부노브의 한쪽 끝부분에 개방홀(1b)을 형성하여 이 개방홀(1b)을 통해 상기 C-링(12)을 설치한 다음, 상기 개방홀(1b)을 노브 캡(13)으로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절연 홀더(6)에 터미널 단자(5)가 압입되고, 레버(3)가 하부노브(2) 내측에 별도로 구성되는 등 조립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증가하여 조립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조립 제품의 안정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상부노브(1)의 내측에 C-링(12)이 설치되고, 외측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조립되는 노브 캡(13)이 씌워지기 때문에 조립 부품이 많아짐은 물론 점검 및 수리를 위해 분해할 때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를 하부노브와 일체로 형성하고 프린트 기판에 터미널 단자를 인쇄하는 등 부품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이 증대되는 동시에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는, 하부노브에 봉형상의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하부노브의 레버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인쇄된 프린트 기판,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촉되어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는 콘택트 단자가 고정된 콘택트 홀더, 상기 콘택트 홀더의 회전 위치를 안내하는 스테이터가 순서대로 일체로 조립되어 끼워지며; 상기 하부노브의 앞쪽에 상부노브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노브는 상기 콘택트 홀더와 핀으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스위치 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등화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스테이터가 도시된 양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콘택트 홀더가 도시된 양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콘택트 단자가 도시된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프린트 기판이 도시된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와이퍼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스테이터가 도시된 양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콘택트 홀더가 도시된 양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콘택트 단자가 도시된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프린트 기판이 도시된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하부노브 51 : 리브
60 : 상부노브 62 : 핀
65 : 스테이터 68 : 디텐트 홈
69 : 가이드 홀 70 : 콘택트 홀더
71 : 기판 결합부 73 : 후크
75 : 콘택트 단자 76 : 탄성 접촉부
80 : 프린트 기판 82 : 터미널 단자
90 : 커넥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등화 스위치 레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등화 스위치 레버는 일반적으로 핸들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노브(60)가 하부노브(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노브(50)의 내측에는 상부노브(60)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레버(5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레버(55)의 둘레에는 스테이터(65), 콘택트 홀더(70), 프린트 기판(PCB; 80))이 일체로 조립되어 둘레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프린트 기판(80)은 상기 하부노브(50)의 내측에서 리브(51)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스테이터(65)는 상기 레버(55)의 끝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반면, 상기 프린트 기판(80)과 스테이터(65) 사이에 위치되는 콘택트 홀더(70)는 상기 상부노브(60)에 핀(62)으로 결합되어 상부노브(60)와 일체로 회전된다.
특히 상기 프린트 기판(80)에는 등화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82)가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홀더(70)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82)에 접촉되어 등화 상태를 전환시키는 콘택트 단자(75)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80)의 후면에는 외부 등화 회로와 연결되는 전선(93)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커넥터(90)가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터(65))는 상기 콘택트 홀더(70)와 마주보는 면에 디텐트 홈(68)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홀더(70)에는 핀(78)과 스프링(79)이 설치되어 상부노브(60) 회전시 스위치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절도감을 형성시키게 된다.
도 4내지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등화 스위치 레버의 주요 구성 요소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터(65)는 상기 레버(55)에 끼워지게 중앙부에 홀(66)이 형성되고, 이 홀(66)에는 레버(55)에 걸리는 턱(67)이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콘택트 홀더(70)가 결합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69)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69) 사이의 양측에는 상기 핀(78)이 접촉되는 디텐트 홈(68)이 형성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콘택트 홀더(70)는 일측면에 콘택트 단자(75)가 고정되도록 코킹점(7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프린트 기판(8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기판 결합부(71)가 돌출된다. 그리고, 타측면에는 상기 스테이터(65)의 가이드 홀69)에 삽입되는 후크(73)가 돌출되고, 상기 핀(78)과 스프링(79)이 삽입되도록 핀홀(74)이 형성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콘택트 단자(75)는 상기 터미널 단자(82)에 탄성력 있게 접촉되도록 다수의 탄성 접촉부(76)가 본체로부터 벤딩 절곡되고, 상기 콘택트 홀더(70)에 고정되도록 코킹 홀(77)이 형성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프린트 기판(80)은 기판(81)의 뒤쪽에 커넥터(90)가 설치되고, 앞면에는 상기 커넥터(90)와 연결되는 3개의 터미널 단자(82)가 원주 방향으로 인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조립시에 스테이터(65), 콘택트 홀더(70), 콘택트 단자(75), 프린트 기판(80)이 상호 연결되게 일체로 조립되어 하부노브(50)의 레버(55)에 끼워지고, 이때 스위치 회로는 커넥터(90)를 통해 전선(93)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부노브(50)의 레버(55)에 스테이터(65) 등이 일체가 조립되면 상부노브(60)를 하부노브(50)에 결합시킨 다음 핀(62)을 삽입하게 되면 간편하게 등화 스위치 레버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등화 스위치 레버가 조립된 후, 상부노브(60)를 회전시키면 콘택트 홀더(70)와 콘택트 단자(75)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스위치 작동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인 와이퍼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와이퍼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핸들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부노브(25)가 하부노브(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노브(20)에는 레버(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레버(21)에는 프린트 기판(45), 콘택트 단자(40), 콘택트 홀더(35), 스테이터(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홀(31)이 형성되고, 이 홀(31)에는 턱(32)이 형성되며, 일측면의 양측에는 디텐트 홈(33)이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 홀더(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상기 스테이터(30)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후크(36)가 형성되고, 또한 핀홀(37)이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프린트 기판(45)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기판 결합부(38)가 돌출된다.
상기 콘택트 단자(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단자(46)에 탄성력 있게 접촉되도록 다수의 탄성 접촉부(41)가 형성된다.
상기 프린트 기판(4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뒤쪽에 커넥터(47)가 설치되고, 앞면에는 상기 커넥터(47)와 연결되는 2개의 터미널 단자(46)가 원주 방향으로 인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조립시에 스테이터(30), 콘택트 홀더(35), 콘택트 단자(40), 프린트 기판(45)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노브(20)의 레버(21)에 끼우고, 상부노브(25)를 하부노브(20)에 결합한 후, 핀(26)을 삽입하게 되면 간편하게 와이퍼 스위치 레버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는 하부노브의 레버에 프린트 기판, 콘택트 홀더, 스테이터 등을 일체화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노브에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고, 터미널 단자가 프린트 기판에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 조립 구조의 안정화로 스위치 작동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하부노브에 봉형상의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하부노브의 레버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인쇄된 프린트 기판, 상기 프린트 기판에 접촉되어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는 콘택트 단자가 고정된 콘택트 홀더, 상기 콘택트 홀더의 회전 위치를 안내하는 스테이터가 순서대로 일체로 조립되어 끼워지며;
    상기 하부노브의 앞쪽에 상부노브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노브는 상기 콘택트 홀더와 핀으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스위치 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홀더는 일측면에 상기 프린트 기판이 끼워져 위치되도록 기판 결합부가 돌출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스테이터와 결합되도록 고리 모양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프린트 기판은 상기 하부노브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레버의 끝단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은 그 뒷면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버형 스위치 장치.
KR1019990036576A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10019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576A KR20010019898A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576A KR20010019898A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98A true KR20010019898A (ko) 2001-03-15

Family

ID=1960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576A KR20010019898A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98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48B1 (ko) * 2005-05-30 2007-04-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그널 스위치의 접점 구조
KR100838771B1 (ko) * 2007-02-28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48B1 (ko) * 2005-05-30 2007-04-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그널 스위치의 접점 구조
KR100838771B1 (ko) * 2007-02-28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5832B2 (ja) スイッチの極盤及びその製造方法
US5977495A (en) Construction of 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
JP4318354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10019898A (ko)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JPH10134663A (ja) スイッチ
JPH0922641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KR100297378B1 (ko) 등화스위치레버
JPH0932384A (ja) 車両用キー装置
JPH09147687A (ja) レバー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100862413B1 (ko) 자동차용 레버스위치
JP2576766Y2 (ja) 電気部品のコネクタ構造
KR100366214B1 (ko) 회전형 스위치의 디텐트 장치
KR100658045B1 (ko) 시그널 스위치 장치
JP3460582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200246885Y1 (ko) 인쇄회로기판용 벌브소켓
JP2000348575A (ja) コラムスイッチレバー
KR100658044B1 (ko) 포그램프 스위치 겸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JP3141980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H10241505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H09102241A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01110280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