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771B1 -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 Google Patents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71B1
KR100838771B1 KR1020070020165A KR20070020165A KR100838771B1 KR 100838771 B1 KR100838771 B1 KR 100838771B1 KR 1020070020165 A KR1020070020165 A KR 1020070020165A KR 20070020165 A KR20070020165 A KR 20070020165A KR 100838771 B1 KR100838771 B1 KR 10083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otrusion
terminal
combination switch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상식
김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H01H2001/5872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자몸체(62)와,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상의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접점돌기(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하나의 접점부에 슬라이딩단자(60)의 다수개의 접점돌기(67)가 순차적으로 접하게 되어 둘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컴비네이션스위치, 슬라이딩단자,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A sliding-terminal for combination-switch and combination-switch having this}
도 1은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딩단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조작레버
13: 손잡이 14: 회전축
20: 인쇄회로기판 50: 단자홀더
60: 슬라이딩단자 62: 단자몸체
64: 걸이후크 67: 접점돌기
본 발명은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와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모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는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레버 형태의 스위치로서 턴시그널 스위치, 라이트 컨트롤 스위치, 프런트 파워 스위치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컴비네이션스위치(1)에는 레버(3)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3)는 Ⅰ또는 Ⅱ 방향으로 조작되면서, 컴비네이션스위치(1) 내부의 장치들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1)의 내부에는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암(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암의 선단에는 상기 연동암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자홀더(미도시)가 구비된 다.
상기 단자홀더에는 슬라이딩단자(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단자는 상기 단자홀더가 연동됨에 따라 컴비네이션 스위치조립체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면에서 습동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단자의 저면에 형성된 접점돌기가 상기 접점부에 접함에 따라, 상기 접점부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슬라이딩단자에 형성된 접점돌기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인접한 접점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접점부와 접점단자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상기 접점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전극이 연결된 접점부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전극이 연결된 접점부와 연결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단자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접점부와 닿는 순간, 전류가 흐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두 접점돌기는 상기 슬라이딩단자가 이동함에 따라 미세한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각각 대응되는 접점부에 닿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늦게 접점부에 닿는 접점돌기와 접점부 사이에는 스파크가 발생한다. 이는 상기 접점돌기와 상기 접점부가 접하는 면적이 공급되는 전류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이다.
이때, 스파크가 발생하면 부재 사이의 탄화로 인한 미세한 가루들이 비산되어 상기 접점부 주변에 집적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돌기와 접점부 사이의 스파크 가 반복되면, 이러한 비산물이 상기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불완전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접점돌기와 접점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둘 사이의 마찰력 또한 상승되어 컴비네이션스위치(1)의 조작감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비네이션스위치에 구비된 슬라이딩단자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상의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접점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돌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인접하여 구비된 두 개의 상기 접점부에 각각 접하는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 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의 중심과 상기 제2돌기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은 상기 단자몸체의 저면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단자몸체에는 그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단자홀더에 형성된 걸이턱에 대응되는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걸이후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접점부가 나란히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습동되고, 저면에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접점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되는 제1접점그룹과 제2접점그룹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2열을 이루어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단자는 상기 제1접점그룹 및 제2접점그룹에 각각 대응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접점그룹은 각각 다수개의 접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접점그룹을 따라 나란히 이동하면서 상기 인접한 접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접점돌기는 상기 제1 또는 제2접점그룹에 속하는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접점부에 각각 접하는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돌 기부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돌기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접점돌기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그룹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점접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점돌기를 향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하나의 접점부에 슬라이딩단자의 다수개의 접점돌기가 순차적으로 접하게 되어 둘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부품들을 차폐하여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조작레버(12)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외부로 관 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12)는 일정한 방향으로 동작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레버(12)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되는 손잡이(13)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조작레버(12)의 동작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12)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와이퍼나 라이트의 작동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골격은 기판몸체(21)가 형성하는데, 상기 기판몸체(21)는 에폭시 수지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로 만든 얇은 판에 구리박을 입혀 형성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몸체(21)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부품장착공(23)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품장착공(23)에는 트랜지스터나 저항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70)와 같은 다양한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기판몸체(21)의 일면에는 접점부(25,25')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부(25,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단자(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 중 일부가 표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25,25') 사이는 절연체로 된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단자(60)의 접점돌기(67)가 위치하였을 때, 오프상태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접점부(25,25')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데, 본 실 시예에서는 총 6개의 접점부(25,25')들이 2열로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측열에 구비된 총 3개의 접점부(25)는 제1접점그룹(Ⅰ)을 이루고 하측열에 구비된 총 3개의 접점부(25')는 제2접점그룹(Ⅱ)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후술할 커넥터(70)를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접점그룹(Ⅰ,Ⅱ)에는 서로 다른 극성 예를 들어 '+'극과 '-'극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두 극성 사이는 슬라이딩단자(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25,25')는 다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형성되는 제1구역(A)과, 좌측에 형성되는 제2구역(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구역(A,B)은 각각 4개의 접점부(25,25')로 이루어지고,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단자(60)가 제1구역(A)에 위치하는 경우에 차량의 전면와이퍼가 작동한다면, 제2구역(B)에 위치하는 경우는 후면와이퍼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점부(25,25')에는 경사부(26a,26a')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6a,26a')는 슬라이딩단자(60)의 접점돌기(67)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돌기(67b) 및 제2돌기(67c)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슬라이딩단자(60)의 접점돌기(67)를 향해 더 돌출된 부분부터 접점돌기(67)가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접점그룹(Ⅰ)과 제2접점그룹(Ⅱ)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접점부(25,2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점돌기(67)를 향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돌기부(67A) 또는 제2돌기부(67a)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더 돌출된 접점부(25a, 26c')에 먼저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면에서 보듯이, 제1그룹(Ⅰ)의 ③접점(25a)과 제2그룹(Ⅱ)의 ③접점(25c')은 각각 제1그룹(Ⅰ) 및 제2그룹(Ⅱ)의 ②접점(25c,25a')에 비해 중앙을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작동가이드(30)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가이드(30)는 상기 조작레버(12)에 연동하여 상기 단자홀더(50)의 작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차량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레버(12)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연동암(40)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암(40)은 상기 조작레버(12)가 작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단자홀더(5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암(40)은 상기 조작레버(12)가 ①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①'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단자홀더(50)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작레버(12)가 ②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②'방향으로 회전하고, 단자홀더(5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암(40)은 회전운동하지만, 단자홀더(50)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홀더(50)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홀더(50)는 상기 연동암(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0) 상에서 직선왕복운동 을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홀더(50)는 슬라이딩단자(60)와 결합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단자(60)와 상기 접점부(25,25')가 서로 습동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홀더(50)의 양측에는 걸이턱(5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7)은 후술할 슬라이딩단자(60)의 걸이후크(64)와 체결되어, 상기 단자홀더(50)와 슬라이딩단자(60) 사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단자홀더(50)에는 슬라이딩단자(60)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점부(25,25') 상면에서 미끌어지면서, 상기 접점부(25,2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단자(60)는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접점그룹(Ⅰ) 및 제2접점그룹(Ⅱ)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접점부(25,25')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단자(60)를 각각 제1단자(60) 및 제2단자(60')로 지칭한다. 이때, 두 단자(60,6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단자(6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단자(60)의 골격은 단자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단자몸체(62)는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걸이후크(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64)에는 걸이공(6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65)은 상기 걸이턱(57)에 걸어져,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상기 단자홀더(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몸체(62)의 상기 접점부(25,25')와 마주보는 면에는 접점돌기(67)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돌기(67)는 상기 접점부(25)와 접하는 부분으로서, 접점부(25)와 용이하게 접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점돌기(6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에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되는데, 이는 두 접점부(25) 사이에 동시에 접함으로써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점돌기(67)는 제1돌기부(67A)와 제2돌기부(67a)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부(67A)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고, 제2돌기부(67a)는 우측에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순서는 임의로 정한 것으로 서도 바뀔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67A,67a)는 상기 제1 또는 제2접점그룹(Ⅰ,Ⅱ)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서로 다른 접점부(25)에 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돌기부(67A)가 제1그룹(Ⅰ)의 ③접점(25a)에 접하게 되면, 제2돌기부(67a)는 ④접점(25b)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단자(6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돌기부(67A)가 도면의 ④접점(25b)에 접하게 되면, 제2돌기부(67a)는 ②접점(25c)에 접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기부(67a)는 다시 두 개의 접점돌기(67b,67c), 즉 제1돌기(67b)와 제2돌기(67c)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67b)와 제2돌기(67c)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접점부(25)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된다.
도 3에서 제1그룹(Ⅰ)의 ②접점(25c)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②접 점(25c)은 경사부(26a)로 인해 아래쪽이 더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돌기(67c)가 상기 ②접점(25c)에 먼저 닿게 된다. 이는 상기 제2돌기(67c)와 상기 ②접점(25c) 사이에 접속으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뒤이어 접속되는 제1돌기(67b)에 의해 둘 사이에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돌기(67b) 및 제2돌기(67c)는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을 중심으로 서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돌기(67b)의 중심과 상기 제2돌기(67b)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은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접점부(25)에 경사부(26a)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두 돌기(67b,67c)가 순차적으로 접점부(25)에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커넥터(70)가 장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70)에 구비된 다수개의 터미널(72)들이 상기 부품장착공(23)에 삽입된 후, 솔더링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72)들은 ①~④로 구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장착된다. 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구비된 회로패턴에 의해 각각 대응되는 숫자의 상기 접점부(25,25')와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인쇄회로기판(20)에 의해 제어된 신호를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활성화시키게 된다. 물론, ①~④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타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 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차용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단자(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단자(160)의 단자몸체(162) 저면에는 접점돌기(167)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돌기(167)는 총 네 개로 구성되는데, 도면의 좌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접점돌기(167B,167C)는 제1돌기부(167A)를, 우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접점돌기(167b,167c)는 제2돌기부(167a)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167A,167a)는 상기 제1 또는 제2접점그룹(Ⅰ,Ⅱ)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서로 다른 접점부(25)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기(167B,167b)와 제2돌기(167C,167c)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접점부(25)에 접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접점부(25)에 형성된 경사부(26a)에 의해, 상기 제1돌기(167B,167b) 또는 제2돌기(167C,167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접점부(25,25')에 먼저 접하고 다른 하나는 나중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단자(160)에는 제1돌기부(167A)와 제2돌기부(167a)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단자홀더(50)에 슬라이딩단자(60)를 결합시킬 때 방향성이 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사용 자는 상기 조작레버(12)를 움직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의 전후면와이퍼나 헤드라이트의 점멸작동과 같은, 전원이 공급되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조작레버(12)를 도 2에 도시된 ①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조작레버(12)는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상기 연동암(40)은 ①'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홀더(50)와 슬라이딩단자(60,60')의 조립체는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암(40)의 회전운동이 단자홀더(5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자몸체(62)의 저면에 형성된 접점돌기(67)는 상기 기판몸체(21)의 상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몸체(21)의 상면에 구비된 접점부(25,25')와 마찰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단자몸체(62)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점돌기(67)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접점부(25,25')에 각각 접함으로써, 상기 접점부(25,2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조작레버(12)를 도 2의 ①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슬라이딩단자(60,60')는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도 5a 내지 도 5d에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면의 점선은 슬라이딩단자(60,60')의 윤곽을 나타내고, 점선내부의 점들은 각각의 접점돌기(67,67')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딩단자(60,6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점돌 기(67,67')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도면 우측의 ②, ③접점부(25c,25c')에 접근하게 된다. 도면에 표시된 일점쇄선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단자(60)의 제2돌기부(67b,67c)와 상기 제2단자(60')의 제1돌기(67A')는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③접점부(25c')는 상기 ②접점부(25c)에 비해 슬라이딩단자(60,60')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단자(60')의 제1돌기부(67A')가 상기 제2접점그룹(Ⅱ)의 ③접점부(25c')에 먼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단자(60)의 제1돌기부(67A)와, 상기 제2단자(60')의 제2돌기부(67b',67c')는 각각 도면 중앙에 도시된 ④ 및 ①접점부(25b,25b')에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2단자(60')의 제1돌기부(67A')가 상기 제2접점그룹(Ⅱ)의 ③접점부(25c')에 접하면, 상기 제2단자(60')에 의해 제2접점그룹(Ⅱ)에 속하는 ① 및 ③접속부(25b',25c')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접점그룹(Ⅰ)의 상기 ②접점부(25c) 및 제2접점그룹(Ⅱ)의 ③접점부(25c')에는 상기 커넥터(70)를 통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단자(60,60')가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단자(60)의 제2돌기부(67a)에 포함되는 제2돌기(67c)가 상기 ②접점부(25c)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②접점부(25c)에는 상기 제2접점그룹(Ⅱ)의 ③접점부(25c')와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되므로, 제2돌기(67c)가 접하는 순간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단자(60,60')가 우측으로 좀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단자(60)의 제2돌기부(67a)에 포함되는 제1돌기(67b) 역시 상기 ②접점부(25c)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67b)와 상기 ②접점부(25c) 사이에는 스파크가 발생할 염려가 크게 줄어든다. 왜냐하면, 상기 제1단자(60)와 상기 ②접점부(25c) 사이는 상기 제2돌기(67c)에 의해 이미 통전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60)와 상기 ②접점부(25c)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나 불완전한 접속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점그룹(Ⅰ)에 속하는 ④ 및 ②접속부(25b,25c) 사이는 서로 안정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슬라이딩단자(60,60')가 우측으로 좀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단자(60)의 제2돌기부(67a)에 해당하는 제1돌기(67b) 및 제2돌기(67c) 뿐 아니라, 상기 제2단자(60')의 제1돌기부(67A') 모두가 각각 ②접점부(25c) 및 ③접점부(25c')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제1접점그룹(Ⅰ)에 속하는 ② 및 ④접속부(25c,25b)는 상기 제1단자(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접점그룹(Ⅱ)에 속하는 ① 및 ③접속부(25b',25c')는 상기 제2단자(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상기 커넥터(70)의 ①터미널(도 3참조)로부터, 제2그룹(Ⅱ)의 ①접속부(25b'), 제2그룹(Ⅱ)의 ③접속부(25c')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외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연결된 후에 다시 제1그룹(Ⅰ)의 ②접속부(25c)를 거쳐 마지막 으로 제1그룹(Ⅰ)의 ④접속부(25b)를 통해 접지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패턴의 흐름이 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활성화된 기능을 오프시키거나, 다른 기능을 원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12)를 도 2의 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두 슬라이딩단자(60,60')는 도면의 좌측방향 즉, 상기 제2구역(B)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단자(60)는 상기 제1접점그룹(Ⅰ)의 ③ 및 ④접점부(25a,25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단자(60')는 상기 제2접점그룹(Ⅱ)의 ① 및 ②접점부(25b',25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컴비네이션스위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와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단자의 접점돌기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므로, 둘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후에 접하게 되는 접점돌기에 의해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원활하게 활성화될 수 있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부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접점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돌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인접하여 구비된 두 개의 상기 접점부에 각각 접하는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돌기부는 다시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중심과 상기 제2돌기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은 상기 단자몸체의 저면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순차적으로 접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몸체에는 그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단자홀더에 형성된 걸이턱에 대응되는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걸이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6.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접점부가 나란히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습동되고, 저면에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접점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에 연결되는 제1접점그룹과 제2접점그룹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2열을 이루어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단자는 상기 제1접점그룹 및 제2접점그룹에 각각 대응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점그룹은 각각 다수개의 접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접점그룹을 따라 나란히 이동하면서 상기 인접한 접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돌기는 상기 제1 또는 제2접점그룹에 속하는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접점부에 각각 접하는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하나의 접점부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제1돌기와 제2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돌기와 순차적으로 연결 되도록, 그 일측이 상기 접점돌기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그룹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점접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점돌기를 향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스위치.
KR1020070020165A 2007-02-28 2007-02-28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KR10083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5A KR100838771B1 (ko) 2007-02-28 2007-02-28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5A KR100838771B1 (ko) 2007-02-28 2007-02-28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71B1 true KR100838771B1 (ko) 2008-06-17

Family

ID=397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65A KR100838771B1 (ko) 2007-02-28 2007-02-28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9A (ja) 1996-09-26 1998-04-24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KR20010019898A (ko) * 1999-08-31 2001-03-15 이철환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399A (ja) 1996-09-26 1998-04-24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KR20010019898A (ko) * 1999-08-31 2001-03-15 이철환 자동차용 레버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855B2 (en) Rocker switch
JP3425832B2 (ja) スイッチの極盤及びその製造方法
US6624364B2 (en) Multifunction stalk-mounted switch
JP2010530603A (ja) 自動車のための電気スイッチ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KR100838771B1 (ko)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KR101542858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0871967B1 (en) Electrical switch
KR100838770B1 (ko)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JPH09120755A (ja) 自動車に用いられるロータリ機構を備えた電気スイッチ、その動作方法及び該スイッチの組み立て方法
KR10152143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704649B1 (ko) 와이퍼 스위치 접점 구조
KR200438155Y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KR200442527Y1 (ko) 컴비네이션스위치용 단자홀더 및 이를 구비한슬라이딩단자조립체
CN218497986U (zh) 输入装置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EP1428721A2 (en) Combination switch apparatus
CN213988705U (zh) 用于汽车组合开关的手柄机构
KR100838793B1 (ko)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조립체
CN211456048U (zh) 用于电气锁的电极、电极组件、电气锁和钥匙
JPH11134973A (ja) 多重通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H0414822Y2 (ko)
JPH0119771Y2 (ko)
CN112331512A (zh) 用于汽车组合开关的手柄机构
KR20110139594A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