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594A -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594A
KR20110139594A KR1020100059763A KR20100059763A KR20110139594A KR 20110139594 A KR20110139594 A KR 20110139594A KR 1020100059763 A KR1020100059763 A KR 1020100059763A KR 20100059763 A KR20100059763 A KR 20100059763A KR 20110139594 A KR20110139594 A KR 2011013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terminal body
disposed
lever
le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464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10005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4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4Environment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부를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의 쉬라우드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 본체에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접점부를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배치된 절연 터미널 본체에 집중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레버 본체의 설계상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별도의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 결합방식인 솔더링 공정을 삭제하여 환경규제 항목을 만족시키고, 조립에 필요한 공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부를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의 쉬라우드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 본체에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접점부를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배치된 절연 터미널 본체에 집중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레버 본체의 설계상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별도의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 결합방식인 솔더링 공정을 삭제하여 환경규제 항목을 만족시키고, 조립에 필요한 공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은 차량의 주행시 주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운전석 전방에 링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중심축이 되는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석 하부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차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쉬라우드 커버가 배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라이트를 점멸시키는 라이트 점멸 구동부,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를 닦기 위한 전방 와이퍼 구동부 및 와이퍼 속도 조절부와, 후방 윈드쉴드 글래스를 닦기 위한 후방 와이퍼 구동부의 조작을 위한 복수개의 조작부가 배치되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조작부를 포함한 레버 본체가 상기 쉬라우드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타단부는 상기 쉬라우드 커버의 내측으로 결합된 절연 터미널 본체와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레버 본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 중 일부 조작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접점부가 상기 레버 본체에도 배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도 배치되어 있는 등 여기저기 산재해 있어, 별도의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별도의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PCB의 특성상 그 결합방식으로 납땜 형식의 솔더링 공정이 채택되기 마련인데, 이와 같은 솔더링 공정은 환경규제 항목이 강화된 유럽의 시장 동향에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어서, 시장의 다양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결합시키는 조립공정에 있어서, 상기 절연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시킨 다음 다시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정밀하게 결합시켜야 하는 바, 조립 공정이 다소 증가되어 조립성능을 저해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부를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의 쉬라우드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 본체에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접점부를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배치된 절연 터미널 본체에 집중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레버 본체의 설계상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별도의 PCB를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 결합방식인 솔더링 공정을 삭제하여 환경규제 항목을 만족시키고, 조립에 필요한 공수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배치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복수개의 조작부가 배치된 레버 본체와,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 본체에 배치된 조작부가 조작될 때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복수개의 접점부가 형성된 절연 터미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에는 상기 접점부가 형성됨이 없이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점부에서 전기적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만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 중, 차량의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을 닦는 전방 와이퍼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1조작부와, 차량의 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배면을 닦는 후방 와이퍼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2조작부와, 상기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으로 워셔액을 분사시키는 워셔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3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전방 와이퍼 구동부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제4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상기 제4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전기적인 제1신호 내지 제4신호를 생성하는 제1접점부 내지 제4접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점부 내지 제3접점부는,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고정단자들이고,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제4조작부와 연동하여 제4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1개의 절연 PC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고정단자들은 하나의 몰드에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레버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부 내지 제4접점부보다 최대 이격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레버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접점부 내지 제3접점부보다 최단 이격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점부를 절연 터미널 본체에 집중 배치되므로 기존 레버 본체의 레이 아웃 설계상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설계상의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절연 PCB의 결합 공정인 솔더링 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유럽의 환경규제 항목을 만족시킬 수 있어 시장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공정만으로도 레버 본체를 터미널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공수 및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절연 터미널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절연 터미널 본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적어도 2개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각 컨택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절연 터미널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절연 터미널 본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적어도 2개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각 컨택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 및 작동방법 등의 기능이 표시된 다수의 심볼(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된 심볼을 따라 회전 또는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며 전조등, 안개등 등의 라이트 기능 작동부 및 와이퍼 등의 기능 작동부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작부가 형성된 레버 본체(10)를 포함한다.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 축이 되는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도록 배치된 쉬라우드 커버에 상술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접점부가 형성된 절연 터미널 본체(50)가 배치되는데, 상기 레버 본체(10)는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따라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는 상기 쉬라우드 커버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설치 홈(미도시)에 결합되고, 상기 쉬라우드 커버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상기 레버 본체(10)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경우 각각의 조작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일종의 컨택터가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형성된 해당 접점부에서 접점이 이루어지면서 각 기능 작동부의 작동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컨택터가 상기 접점부의 접점 면에서 이동하면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는 부분을 "신호발생부"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 본체(10)에도 배치되었다. 특히, 상기 신호발생부의 일 구성을 이루던 절연 PCB(27)가 상기 레버 본체(10)에도 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연 PCB(27)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와이어 하네스의 설치로 인한 상기 레버 본체(10) 내부의 레이 아웃 설계상에 제한을 가지고 있었고, 상기 절연 PCB(27)를 상기 레버 본체(10)에 결합시킬 때 납땜 방식의 결합공정인 솔더링 공정으로 결합시키는 바 유럽시장의 진출 장애가 되었던 유럽의 환경규제 항목에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신호발생부에 해당하는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 모두를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 측으로 집중 배치하되, 기존 상기 레버 본체(10)에 배치되던 상기 접점부를 획기적으로 삭제함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접점부를 갖는 절연 터미널 본체(50)를 제작하는 것을 그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본체(10)는 그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외주면에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심볼(미도시) 등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레버 본체(10)에는 상기 심볼을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작동부를 작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작부가 구비된다. 상기 두 개 이상의 조작부는 상기 레버 본체(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 노브일 수 있고, 상기 레버 본체(10) 자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레버 본체(10) 자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 노브로 구비된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될 때 연동함으로써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 측에 구비된 해당 접점부의 해당 컨택터를 이동시키는 레버 암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회전 노브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에서 임의로 하나의 회전 노브를 제1회전 노브로 지칭하면 다른 하나의 회전 노브를 제2회전 노브로 지칭하고, 상기 제1회전 노브에 의하여 연동되는 레버 암은 제1레버 암(33)으로, 상기 제2회전 노브에 의하여 연동되는 레버 암은 제2레버 암(37)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레버 본체(10)가 직접적으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작부를 제1조작부(11)라 칭하고, 상기 제1회전 노브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부를 제2조작부(13)라 칭하며, 상기 레버 본체(10)가 직접적으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조작부를 제3조작부(15)라 칭하고, 상기 제2회전 노브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부를 제4조작부(17)라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조작부(11) 내지 상기 제4조작부(17)와 연동되는 구체적인 기능 작동부는, 각 기능 작동부와의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조작부(11)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능 작동부는 차량의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을 닦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 와이퍼 구동부일 수 있고, 상기 제2조작부(13)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능 작동부는 차량의 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배면을 닦는 후방 와이퍼 구동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3조작부(15)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능 작동부는 상기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으로 워셔액을 분사시키는 워셔 작동부일 수 있고, 상기 제4조작부(17)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능 작동부는 상기 제1조작부(11)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전방 와이퍼 구동부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와이퍼 속도 조절부일 수 있다.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는, 상기 제1조작부(11) 내지 상기 제4조작부(17)가 조작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전기적인 제1신호 내지 제4신호를 생성하는 제1접점부(51) 내지 제4접점부(57)가 형성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의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된 임의의 기능 작동부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조작부(11)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접점부(51)가 형성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제1컨택터(21)와, 상기 제1회전 노브인 상기 제2조작부(13)를 회전시키면 연동되는 상기 제1레버 암(33)에 의하여 상기 제2접점부(53)가 형성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서 직선이동되면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제2컨택터(23)와, 상기 제3조작부(15)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3접점부(55)가 형성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제3컨택터(25)와, 상기 제2회전 노브인 상기 제4조작부(17)를 회전시키면 연동되는 상기 제2레버 암(37)에 의하여 상기 제4접점부(57)가 위치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서 직선이동하면서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제4컨택터(2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점부(51) 내지 상기 제3접점부(55)는,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고정단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4접점부(57)는 상기 제4조작부(17)와 연동하여 제4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1개의 절연 PCB(27)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접점부(51) 내지 상기 제3접점부(55)를 이루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상기 고정단자들은 하나의 몰드에 일체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를 2개의 터미널로 구성하고, 하나의 터미널에 하나의 고정단자를 성형하여 두 성형품을 조립하여 완성된 절연 터미널 본체(50)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몰드와 두 개의 프레스 금형이 각각 필요한 바 불필요한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적어도 3개의 접점부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단자들을 모두 하나의 몰드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완제품을 곧바로 제작하도록 하였는 바, 제품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방 와이퍼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상기 제1조작부(11), 즉 상기 레버 본체(10)를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컨택터(21)가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1접점부(51)에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제1접점부(51)와의 단락이 이루어진다.
또한, 후방 와이퍼 구동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상기 제2조작부(13), 즉 상기 제1회전 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레버 암(33)이 연동되면서 선단부에 형성된 제1레버 돌기(33a)가 상기 제2컨택터(23)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접점부(53)와의 단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워셔 작동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상기 제3조작부(15), 즉 상기 레버 본체(10)를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3컨택터(25)가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3접점부(55)와의 단락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방 와이퍼 속도 조절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4조작부(17), 즉 상기 제2회전 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레버 암(37)이 연동되면서 선단부에 형성된 제2레버 돌기(37a)가 상기 제4컨택터(27)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절연 PCB(27)로써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제4접점부(57)와의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점부(51)는 상기 레버 본체(10)를 기준으로 나머지 접점부인 상기 제2접점부(53) 내지 상기 제4접점부(57)의 위치보다 최대로 멀리 이격되도록 최대 이격거리에 배치되게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접점부(57)인 상기 절연 PCB(27)는 상기 레버 본체(10)를 기준으로 나머지 접점부인 상기 제1접점부(51) 내지 상기 제3접점부(55)보다 가장 가까이 위치되도록 최단 이격거리에 배치되게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상기 제1접점부(51) 내지 상기 제4접점부(57)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특징과 관련된 기술적 특징의 요지는 상기 제1접점부(51) 내지 상기 제4접점부(57)의 위치가 서로 다른 곳에 있고, 이와 같은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상기 고정단자들이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한편,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고정단자들의 일부가 상기 제1컨택터(21) 내지 제3컨택터(25)에 의하여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상측에 노출되게 형성된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된 본체 커버부(60)와, 상기 절연부와 상기 본체 커버부(6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3조작부(15)와 상기 제4조작부(17)에 의하여 연동되는 상기 제3컨택터(25) 및 상기 제4컨택터(27)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간 조립체(65)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조립체(6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컨택터(25) 및 상기 제4컨택터(27)가 직선 이동할 때 이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67)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절연 PCB(27)로 이루어진 상기 제4접점부(57)는 제외하고 상기 제3컨택터(25)만이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종래, 상기 중간 조립체(65)는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결합된 후에야 비로소 상기 제3컨택터(25) 내지 상기 제4컨택터(27)를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 조립체(65)에 조립하였으나, 이는 조립 공정 상 조립 공수를 증가시키는 면이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조립체(65)에 상기 제3컨택터(25) 및 상기 제4컨택터(27)를 먼저 조립시킬 수 있는 모듈화를 구현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되어 조립된 상기 중간 조립체(65)를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50)에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수 및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도록 제안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제1조작부 내지 제4조작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각 기능 동작부를 예시로써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제1조작부 내지 제4조작부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부인 제1접점부 내지 제4접점부만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조작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한도에서 더 많은 개수의 조작부 및 접점부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10: 레버 본체
11: 제1조작부 13: 제2조작부
15: 제3조작부 17: 제4조작부
21: 제1컨택터 23: 제2컨택터
25: 제3컨택터 27: 제4컨택터(절연 PCB)
33: 제1레버 암 33a: 제1레버 돌기
37: 제2레버 암 37a: 제2레버 돌기
50: 절연 터미널 본체 51: 제1접점부
52,54: 고정단자 53: 제2접점부
55: 제3접점부 57: 제4접점부
60: 본체 커버부 65: 중간 조립체
67: 가이드 리브

Claims (7)

  1. 스티어링 핸들의 하부에 배치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복수개의 조작부가 배치된 레버 본체와;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 본체에 배치된 조작부가 조작될 때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복수개의 접점부가 형성된 절연 터미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에는 상기 접점부가 형성됨이 없이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점부에서 전기적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만이 배치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작부 중,
    차량의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을 닦는 전방 와이퍼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1조작부와;
    차량의 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배면을 닦는 후방 와이퍼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2조작부와;
    상기 전방 윈드쉴드 글래스의 전면으로 워셔액을 분사시키는 워셔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3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전방 와이퍼 구동부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제4조작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상기 제4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전기적인 제1신호 내지 제4신호를 생성하는 제1접점부 내지 제4접점부가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 내지 제3접점부는,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고정단자들이고,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제4조작부와 연동하여 제4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1개의 절연 PCB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와 일체로 사출성형된 적어도 2개의 고정단자들은 하나의 몰드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레버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부 내지 제4접점부보다 최대 이격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접점부는 상기 레버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접점부 내지 제3접점부보다 최단 이격거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 터미널 본체에 위치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00059763A 2010-06-23 2010-06-23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12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63A KR101125464B1 (ko) 2010-06-23 2010-06-23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63A KR101125464B1 (ko) 2010-06-23 2010-06-23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94A true KR20110139594A (ko) 2011-12-29
KR101125464B1 KR101125464B1 (ko) 2012-03-27

Family

ID=4550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763A KR101125464B1 (ko) 2010-06-23 2010-06-23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311A (zh) * 2013-12-31 2015-01-07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汽车方向盘左侧底部的多功能开关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33Y1 (ko) * 2007-02-26 2008-08-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9311A (zh) * 2013-12-31 2015-01-07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汽车方向盘左侧底部的多功能开关总成
KR101521432B1 (ko) * 2013-12-31 2015-05-2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464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396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N103470746B (zh) 一种旋钮电子换挡器及其与周边构件的搭接结构
CN202654723U (zh) 可左右手转换操纵的汽车玩具遥控器
US6534733B2 (en) Stalk switch apparatus with biased latch and return components to prevent damage
KR101125464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2232517B1 (en) Switch lever for vehicle
JP2001028224A (ja)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KR101542858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0887234B1 (fr) Ensemble de commutation de haut de colonn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ensemble
KR101125373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N104332343A (zh) 一种四向按钮
CN209418397U (zh) 用于汽车组合开关中的光电式灯光控制开关
US6747221B2 (en) Lever switch and composite switch using the same
KR100838771B1 (ko) 컴비네이션스위치용 슬라이딩단자 및 이를 구비한컴비네이션스위치
CN214753501U (zh) 同侧一体式汽车组合开关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KR20060124018A (ko) 와이퍼 스위치 접점 구조
CN104269312B (zh) 汽车方向盘右侧底部的多功能开关总成
FR2765387A1 (fr) Commutateur pour ensemble de commutation, en particulier de haut d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KR100658043B1 (ko) 와이퍼 스위치 장치
WO2022074742A1 (ja) 鞍乗型車両
CN112992594A (zh) 同侧一体式汽车组合开关
US20040069557A1 (en) Shifting mechanism for electric vehicles
JP6597722B2 (ja) ワイパ制御装置
KR20160002400U (ko) 차량용 변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