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55Y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55Y1
KR200438155Y1 KR2020060028499U KR20060028499U KR200438155Y1 KR 200438155 Y1 KR200438155 Y1 KR 200438155Y1 KR 2020060028499 U KR2020060028499 U KR 2020060028499U KR 20060028499 U KR20060028499 U KR 20060028499U KR 200438155 Y1 KR200438155 Y1 KR 200438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fixed terminals
movable
movable terminal
park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범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호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 중 2 이상의 고정단자에 접점이 되도록 이동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가동단자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의 연결선상에 마련되는 저항과; 상기 가동단자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고정단자 사이에서 습동스위칭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접점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에 의한 접점 방식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ELECTRIC PARKING BRAKE SWITCH CIRCUIT}
도 1a는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회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회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On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Off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대략 " ㄷ " 자 형상의 가동단자와 유동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단자 20 : 가동단자
30 : 저항 40 : 스위치부
42 : 스위치조작부 22 : 이음부재
24 : 유동방지부재
본 고안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에 의한 접점 방식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으며, 스위치 내부의 일체형 가동단자가 동시에 접점이 되도록 형성하여 접점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석의 우측에 위치한 레버를 당기고 푸는 방식에 의하여 레버측과 브레이크 드럼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이 작동하여 제동이 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식의 주차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고 풀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또한 브레이크 레버가 실내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실내공간의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전동모터 등으로 구성된 액튜에이터에 전달하며, 이 때 발생하는 전기적 힘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도 1a에는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에는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장치는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되는 PCB 기판(109)과, PCB 기판(109)에 접점되는 슬라이드 바(107)와, 슬라이드 바(107)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바(107)를 구동시키는 조작부(100)와, 바닥판(108)에 결합되어 PCB 기판(109) 및 슬라이드 바(107)를 수용하는 하우징(103) 과, 하우징(103)에 결합되는 조작부(100)와의 사이에서 조작부(100)를 원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02)와, 조작부의(100) 구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강구(steel ball)(101)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장치는 조작부(100)의 회동시 조작부(100)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바(107)가 조작부(100)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운동하며, 슬라이드 바(107)의 저면이 PCB 기판(109)에 접점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바(107)의 저면이 PCB 기판(109)에 접점되는 경우, PCB 기판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 회로를 통해 주차 브레이크를 On-Off 시키는 신호가 발생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를 On 시키는 경우, 일측에 마련된 2 개의 가동단자(120a, 120b)가 2 개의 고정단자(110b, 110d)에 각각 동시에 접점되어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스위치를 Off 시키는 경우, 상기 2 개의 가동단자(120a, 120b)의 타측에 마련된 2 개의 가동단자(120c, 120d)가 상기 2 개의 고정단자(110b, 110d)의 타측에 마련된 2 개의 고정단자(110f, 110h)에 각각 동시에 접점되어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발생 된 전기적 신호는 PCB 기판(109)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모터에 전달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는 일측의 2개의 슬라이 드 바(107)가 동시에 접점이 되는 경우에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어 있었다.
즉, 슬라이드 바가 PCB 기판(109)과 정확하게 밀착되어 있지 않거나, 슬라이드 바(107)의 저면에 마모가 생긴 경우, 동시에 접점이 되지 않아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기가 힘든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이딩에 의한 접점 방식을 이용하여 접점부분이 정확하게 밀착되어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내부의 가동단자를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본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동시 접점이 가능하며, 동시 접점에 의한 접점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부의 습동스위칭에 의해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동시에 접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호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 중 2 이상의 고정단자에 접점이 되도록 이동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가동단자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의 연결선상에 마련되는 저항과; 상기 가동단자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고정단자 사이에서 습동스위칭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부;를 포함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는 좌우 각각 3개씩 총 6개로 마련되며, 좌우 한 쌍의 가동단자에 의해 상기 6개의 고정단자 중 근접한 2개의 고정단자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단자는 대략 " ㄷ "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는 이음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좌우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에 각각 동시에 접점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가동단자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호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자(10)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 중 2 이상의 고정단자(10)에 접점이 되도록 이동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가동단자(20a, 20b)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의 연결선상에 마련되는 저항(30)과, 상기 가동단자(20)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단자(20)가 상기 고정단자(10) 사이에서 습동스위칭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는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에 각각 동시 접점이 가능하도록 이음부재(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가동단자(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단자(1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호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40)가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가동단자(20)와 접점이 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10)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연결선상에 저항(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자(10)는 다양한 갯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개의 접점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는 상기 6 개의 고정단자(10a, 10b, 10c, 10d, 10e, 10f) 사이를 이동하여 접하며, 본 6 개의 고정단자(10a, 10b, 10c, 10d, 10e, 10f) 중 근접한 2 개의 고정단자(10)에 각각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40)가 On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하나의 가동단자(20a)는 일측에 마련된 상기 3개의 고정단자(10a, 10c, 10e) 중 2개의 고정단자(10c, 10e)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나머지 가동단자(20b)는 타측에 마련된 상기 3개의 고 정단자(10b, 10d, 10f) 중 2개의 고정단자(10d, 10f)에 연결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가 Off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하나의 가동단자(20a)는 일측에 마련된 상기 3개의 고정단자(10a, 10c, 10e) 중 2개의 고정단자(10a, 10e)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나머지 가동단자(20b)는 타측에 마련된 상기 3개의 고정단자(10b, 10d, 10f) 중 2개의 고정단자(10b, 10f)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1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금속 등과 같은 전기적 도체를 사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가동단자(20)는 상기 스위치부(40)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단자(10) 사이를 이동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On-Off 신호를 발생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동단자(20)는 상기 고정단자(10)가 6개의 접점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경우, 본 6개의 고정단자(10a, 10b, 10c, 10d, 10e, 10f) 사이를 습동하도록 마련되며, 6개의 고정단자(10a, 10b, 10c, 10d, 10e, 10f) 중 근접한 2개의 고정단자(10)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동' 은 미끄러지면서 움직이는, 즉, sliding 방식에 의해 구동함을 의미한다.
상기 가동단자(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하나의 가동단자(20)는 고정단자(10) 일측의 3개의 접점단자 중 2개를 동시에 접점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예를들어,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대략 " ㄷ " 자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정확하게 " ㄷ " 자와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 ㄷ " 자와 유사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는 분리형 단자로 마련되어 본 분리형 단자의 구동시 동시 접점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는 일체형 단자에 의해 동시 접점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접점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단자(20)는 상기 스위치부(40)와 결합되는 부위에 본 가동단자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유동방지부재(24)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단자(20)는 좌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좌우측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에 각각 접점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2 개의 가동단자(20a, 2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재(22)로 연결되어 동시에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에 동시 접점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단자(20)는 전기적 도체인 금속 등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단자(10)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저항(30)은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내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저항(30)은 다양한 갯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항(30)은 상기 스위치부(40)가 On-Off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단자(20) 및 상기 고정단자(10)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가동단자(20)가 On 위치에서 상기 고정단자(10)와 접점이 되는 경우, 본 가동단자(20)와 본 고정단자(10)는 R3 저항(30c), R4저항(30d) 및 R5 저항(30e)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
또한, 상기 가동단자(20)가 Off 위치에서 상기 고정단자(10)와 접점이 되는 경우, 본 가동단자(20)와 본 고정단자(10)는 R1 저항(30a), R2저항(30b) 및 R5 저항(30e)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
스위치부(40)는 상기 가동단자(20)를 수용하여 본 가동단자(20)가 상기 고정단자(10) 사이를 습동스위칭 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스위치부(40)를 On-Off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단자(20)와 상기 고정단자(1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On-Off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위치부(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가동단자(20)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가동단자(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조작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음부재(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가 상기 스위치부(40)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단자(10)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본 한 쌍의 가동단 자(20a, 20b)가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동시에 접점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음부재(22)는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의 양끝단에서 본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3개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의 양끝단과 중앙부위에서 본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한, 3개를 초과할 수 있으며, 1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동방지부재(24)는 상기 가동단자(20)가 상기 스위치부(40)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단자(10)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가동단자(20)가 고정단자(10)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4)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형상의 탄성체가 상기 가동단자(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단자(20)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단자(10)와 접점이 되는 상기 가동단자(20)의 일측면이 마모되어도 치수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의 스위칭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위치부(40)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조작부(42)를 조작하여 On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본 스위치부(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가동단자(20)도 이동하며, 상기 고정단자(10)에 접점이 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하나의 가동단자(20a)는 일측에 마련된 3 개의 상기 고전단자(10a, 10c, 10e) 중 2 개의 고정단자(10c, 10e)에 결합되며, 다른 가동단자(20b)는 타측에 마련된 3 개의 상기 고전단자(10b, 10d, 10f) 중 2 개의 고정단자(10d, 10f)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10)와 상기 가동단자(20)는 접점이 되며, 또한, R3 저항(30C), R4 저항(30d)과 R5 저항(30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On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 상기 스위치부(40)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조작부(42)를 조작하여 Off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본 스위치부(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가동단자(20)도 이동하며, 상기 고정단자(10)에 접점이 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a, 20b) 중 하나의 가동단자(20a)는 일측에 마련된 3 개의 상기 고전단자(10a, 10c, 10e) 중 2 개의 고정단자(10a, 10e)에 결합되며, 다른 가동단자(20b)는 타측에 마련된 3 개의 상기 고전단자(10b, 10d, 10f) 중 2 개의 고정단자(10b, 10f)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10)와 상기 가동단자(20)는 접점이 되며, 또한, R1 저항(30a), R2 저항(30b)과 R5 저항(30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의 Off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는 슬라이딩에 의한 접점 방식을 이용하여 접점부분이 정확하게 밀착되어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내부의 가동단자를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본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동시 접점이 가능하며, 동시 접점에 의한 접점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단자의 일부분이 마모되어도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 동시 접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부품의 치수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출력값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호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자(10)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 중 2 이상의 고정단자(10)에 접점이 되도록 이동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 가동단자(20)와;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의 연결선상에 마련되는 저항(30)과;
    상기 가동단자(20)를 수용하며, 상기 가동단자(20)가 상기 고정단자(10) 사이에서 습동스위칭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는 좌우 각각 3개씩 총 6개로 마련되며, 좌우 한 쌍의 가동단자(20)에 의해 상기 6개의 고정단자(10) 중 근접한 2개의 고정단자(10)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키고,
    상기 가동단자(20)는 대략 " ㄷ "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가동단자(20)는 이음부재(22)로 서로 결합되어 좌우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10)에 각각 동시에 접점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가동단자(20)의 상하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재(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KR2020060028499U 2006-10-26 2006-10-26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KR200438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99U KR200438155Y1 (ko) 2006-10-26 2006-10-26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99U KR200438155Y1 (ko) 2006-10-26 2006-10-26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55Y1 true KR200438155Y1 (ko) 2008-01-24

Family

ID=4133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499U KR200438155Y1 (ko) 2006-10-26 2006-10-26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9579A (zh) * 2018-09-28 2021-04-30 斯堪尼亚商用车有限公司 具有分离的电力链路的电源设备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9579A (zh) * 2018-09-28 2021-04-30 斯堪尼亚商用车有限公司 具有分离的电力链路的电源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13A (en) Electrical switch
US4002874A (en) Double-throw rocker switch with selective lockout means
US6576855B2 (en) Rocker switch
US5844182A (en) Power seat switch mechanism including actuators for selectively operating switches
JP5652846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ギアシフト装置
US4383155A (en) Pivoted-actuator switch with PC board switched light indicator
CN101233017B (zh) 转向柱模块
US7166811B2 (en) Lever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US3814871A (en) Joystick controller for multiple switch assembly
KR200438155Y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회로
JP2010530603A (ja) 自動車のための電気スイッチ
US10490371B2 (en) Electrical switch
US5043540A (en) Slide switch
US5731558A (en) Switching device
US7203330B2 (en) Switching unit for a microphone
KR10076142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US3500003A (en) Plural break electrical switch
JP2008539558A (ja) スイッチ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H08264075A (ja) 多機能スイッチ
US20040026223A1 (en) Rocker switch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6117424B2 (ja) 電子モジュールを受け入れ且つ電子モジュールと接触形成するための受け入れソケット
US4721834A (en) Lever control system
US6903285B2 (en) Steering column switch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