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900A -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900A
KR20010015900A KR1020007007563A KR20007007563A KR20010015900A KR 20010015900 A KR20010015900 A KR 20010015900A KR 1020007007563 A KR1020007007563 A KR 1020007007563A KR 20007007563 A KR20007007563 A KR 20007007563A KR 20010015900 A KR20010015900 A KR 2001001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whey protein
composition
collage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294B1 (ko
Inventor
도날드 에프. 콜린스
토마스 매몬
케네쓰 디. 마리너스
Original Assignee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렌 에이. 로우니,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카렌 에이. 로우니
Publication of KR2001001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E 및 비타민 C를 서로 배합된 상태로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서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콜라겐의 증가된 생성으로 인하여, 피부의 단백질 및 비타민이 회복되고, 노화 및 광노화의 일부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콜라겐은 세 사슬의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진 섬유 단백질로 글리신-X-Y라는 반복서열을 갖는다. X 및 Y는 임의의 아미노산이지만, 주로 프롤린 및 히드록시프롤린이다. X 및 Y는 특히 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이지만, 콜라겐의 나선형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이미노산 잔기가 추가로 나타날 수 있다.
콜라겐은 인체의 총 단백질 중 ¼을 차지한다. 콜라겐은 피부, 뼈, 힘줄, 연골, 인대 및 혈관의 주요 섬유성 요소이다. 콜라겐은 건량을 기준으로 피부의 약 70%를 차지하며, 피부의 망상구조 형성에 도움을 준다. 콜라겐이 존재하기 때문에 피부는 저항력 및 탄력이 있다. 체내에는 다양한 유형의 콜라겐이 존재하지만, 피부의 주요 콜라겐은 유형 Ⅰ 및 유형 Ⅲ으로, 80% 내지 90%가 유형 Ⅰ이고 나머지 10% 내지 15%가 유형 Ⅲ이다. 피부의 다른 유형의 콜라겐으로는 예를 들면, 유형 Ⅳ, Ⅴ 및 Ⅰ 삼량체가 매우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피부가 노화되면, 콜라겐을 증식시키고 합성하는 생장 인자와 섬유아세포의 반응력이 상실되어 진피 및 상피가 얇아진다고 믿어진다. 또한, 자외선에 대한 장기간 및(또는) 반복 노출은 인과관계적으로 피부의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왔다. 햇빛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피부에서 콜라겐의 양 및 질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변화는 깊은 주름살, 탄성의 상실, 건조한 피부, 울퉁불퉁한 피부, 검버섯과 반점의 증가, 및 양성 및 급성 종양과 같은 노화의 징후에 의해 외부적으로 명백히 나타난다. 이는 문헌(Kucharz, E.J., "The Collagens: Biochemistry and Pathophysiolog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92), pps.6-29, 79-80, 227-232)을 참조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노화(자연적 노화 및 광-유도 노화)에 의한 부작용을 상쇄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레티노산, 아미노에틸 화합물, 특정 유형의 생장 인자, 인삼 사포닌(ginsenoside), 아스코르브산 또는 토코페롤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이는 문헌(Kim et al.,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98:359-363(1992)), 문헌(Griffiths, C. E. M.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9:530-535 (1993)), 문헌(Chojkier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4(28):16957-16962 (1989)), 미국특허 제5,747,538호, 미국특허 제5,747,049호 및 미국특허 제5,386,012호를 참조할 수 있다. 추가로, 펩티드로 콜라겐을 자극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즙 단백질의 발효에 의해 수득되는 가수분해물 형태의 상기 펩티드는 각질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콜라겐을 상당량 증가시키지는 않았다(Augustin et al., Skin Pharmacol. 10:63-70 (1997) 참조).
다양한 종이 콜라겐의 합성을 자극한다고 공지되었지만, 본 발명의 국소투여용 조성물은 예기치 않게 콜라겐 합성의 자극을 향상시키는 상승효과적 배합을 제공한다. 남에게 매혹적으로 보이고 젊어보이려는 목적으로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는 욕망이 계속 존재해 왔기 때문에, 피부에서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중요하고,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피부에 국소투여 하기 위한, 유장 단백질 함유 화장품 또는 제약 조성물, 및 피부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은 콜라겐 증가 유효량의 (a) 레티노이드(이하 비타민 A라 칭함) 및 그 유도체, (b) 아스코르브산(이하 비타민 C라 칭함) 및 그 유도체, (c)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및 (d) 유장 단백질을 함유한다.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타민 E 및 C 성분은 일정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비타민 C 성분은 비타민 E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노화 및 광노화(즉,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여 발생한 피부 손상)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피부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매우 증가시키는 유장 단백질을 함유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는 유장 단백질과,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비타민 A가 배합된 국소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 유장 단백질("WP"), 2) 50㎍/ml의 저농도 비타민 C("V-C 50"), 3) 100㎍/ml의 고농도 비타민 C("V-C 100"), 4) 유장 단백질 및 50㎍/ml의 저농도 비타민 C("WP/V-C 50"), 5) 유장 단백질 및 100㎍/ml의 고농도 비타민 C("WP/V-C 100"), 6)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및 50㎍/ml의 저농도 비타민 C("WP/V-C 50/V-A"), 7)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및 100㎍/ml의 고농도 비타민 C("WP/V-C 100/V-A"), 8)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50㎍/ml의 저농도 비타민 C 및 500㎍/ml의 저농도 비타민 E("WP/V-C 50/V-A/V-E 500"), 9)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100㎍/ml의 고농도 비타민 C 및 500㎍/ml의 저농도 비타민 E("WP/V-C 100/V-A/V-E 500"), 10)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50㎍/ml의 저농도 비타민 C 및 1000㎍/ml의 고농도 비타민 E("WP/V-C 50/V-A/V-E 1000"), 및 11)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100㎍/ml의 고농도 비타민 C 및 1000㎍/ml의 고농도 비타민 E("WP/V-C 100/V-A/V-E 1000")의 존재에 대한 반응으로 콜라겐 합성의 % 증가 비율(배지를 대조군으로 사용)을 도시한다.
비타민 C 및 E가 다른 필수 성분(즉, 유장 단백질 및 비타민 A)과 함께 특정 범위의 양으로 배합될 때, 놀랍게도 콜라겐 생성의 증가 대한 비타민 C 및 E의 양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나타났다. 즉, 특정 범위 내에서 고농도의 비타민 E 및 저농도의 비타민 C를 사용할 경우나, 반대로 저농도의 비타민 E 및 고농도의 비타민 C를 사용할 경우 콜라겐 생성은 최대였다. 따라서, 본 발명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의 향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비타민 C 및 E의 양은 상기 반비례 관계에 기초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있다. 비타민 A, 비타민 E 뿐만 아니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다양한 유형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UV-유도 손상에 개선 효과가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추가로 동물 대상의 연구 결과, 피부 손상 지역의 회복 능력은 비타민 A 또는 비타민 C를 이용한 콜라겐 합성의 증가에 기인함을 알았고, 회복 지역의 콜라겐 합성이 실제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인간 대상의 연구 결과도 일치함을 알았다. 이는 그리피쓰(Griffiths) 등의 상기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451,412호 및 제5,456,9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이요법 및 영양요법 목적으로 유장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서 추가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223,0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부를 청결히하고 피부의 비타민 및 단백질을 회복시키기 위해 유즙 단백질, 아스코르브산 및 비타민 A의 조성물을 목욕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화합물을 그 자체 및(또는) 배합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지만,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에 끼치는 그들의 집단 효과에 대한 이해가 여전히 부족하다.
유장 단백질과 함께 비타민 C, 비타민 E(비타민 C 및 비타민 E는 일정 범위의 양) 및 비타민 A의 배합물은 콜라겐의 합성을 약 300%(동일한 양의 유장 단백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콜라겐 합성이 약 85% 증가, 도 1 참조)가 넘게 증가시키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성분은 유장 단백질이다. 유장 단백질, 또는 혈청 유즙(serum lactis)은 우유의 상층액에 존재하고, 유지방, 카세인 및 알부민을 제거했을 때 남아있는 부분이다. 유장 단백질은 구형이기 때문에, 상기 단백질은 수용성이고 변성되면 수분 함유 능력을 증가시킨다. 유장 단백질의 일차 분획은 β-락토글로불린, α-락트알부민, 소의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및 면역글로불린이다. β-락토글로불린의 군이 전체 유장 단백질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유장 단백질은 변성되고, 유리 아미노산, 카세인, 카세인-결합 칼슘 및 인산염, 지방 및 지용성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유장 단백질은 우유를 치즈로 만드는 공정 뿐만 아니라, 낮은 pH 및 높은 온도의 파스퇴르화 방법과 같은 파스퇴르화(pasteurization) 공정에서도 변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장 단백질 생성물은 다비스코 인터내셔널 인크.(Davisco International Inc., Le Sueur, Minnesota)사의 버사프로(VersaPRO) E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제공되거나, 이와 유사한 생성물을 다른 상업적 원천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성분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공지된 재료이다. 상기 성분은 콜라겐 증가 유효량으로 사용된다. "콜라겐 증가 유효량"이란 다른 필수 성분과 배합된 상태로 콜라겐 생성을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콜라겐 증가 유효량은 성분 및 그의 효능에 따라 다르다. 나머지 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 증가 효과를 강화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첫 번째 추가성분은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비타민 A 또는 레티노이드란 피부에 사용하기 적합한 비타민 A(레티놀) 및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유도체, 동족체 또는 유사체를 의미한다. 레티놀 뿐만 아니라 레티노이드의 예는 레티노산(비타민 A 산), 레티날(비타민 A 알데히드), 및 레티노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예: 레티릴 팔미테이트 또는 레티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추가 성분은 비타민 E 또는 그의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비타민 E의 주요 활성 성분은 토코페롤, 특히 α-토코페롤이지만, 임의의 비타민 E 또는 토코페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유도체의 예로는 에스테르(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리놀리에이트, 토코페롤 니코티네이트, 토코페롤 소르베이트 또는 토코페롤 숙시네이트), 토코페롤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토코페레트-5, 토코페레트-10, 토코페레트-12, 토코페레트-18 또는 토코페레트-50) 및 6-히드록시크로만 동족체(특히, 6-히드록시-2,5,7,8-테트라메틸크로만-2-크로만-2-카르복실산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Trolox-C 및 트롤록실-아미노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토코페롤 유도체는 토코페롤-시스테아민, 또는 화장품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일 수 있다. 토코페롤-시스테아민 화합물은 쉽게 입수가능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혼합물에 하나 이상의 비타민 E 성분(예를 들면, α-토코페롤 및 토코페롤 시스테아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세 번째 필수 추가 성분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동족체, 유사체 또는 유도체이다. 사용가능한 비타민 C의 유도체는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디메틸실라놀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빌 리놀리에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및 금속 또는 금속 인산염(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아스코르빌 인산염, 또는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아스코르베이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성분의 존재하에 비타민 E를 표준량의 두 배로 증가시켰을 때, 콜라겐 합성이 예기치 않게 증가하였다(예를 들면, 500㎍/ml의 비타민 E를 함유하는 배합물은 콜라겐 합성을 약 263% 증가시키는 반면, 1000㎍/ml의 비타민 E를 함유하는 배합물은 콜라겐 합성을 약 336% 증가시킴). 약 1000㎍/ml의 비타민 E, 약 100㎍/ml의 비타민 C, 약 5㎍/ml의 비타민 A 및 약 1000㎍/ml의 유장 단백질 배합물을 사용한 경우의 증가율이 약 100㎍/ml의 비타민 C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증가율(128% 증가)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합성의 증가는 특히 놀랍고, 이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모든 배합물이 합성을 상당량 증가시키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성분이 포함된 배합물에서 비타민 C를 증가시키더라도 상기 환경에서 콜라겐 합성이 증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유장 단백질, 비타민 E, 비타민 A 및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배합물(비타민 C 및 비타민 E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일정 범위의 농도를 갖음)을 발견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비타민 E 성분은 약 800㎍/ml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ml 미만으로 존재하고, 비타민 C 성분은 약 20 내지 200㎍/ml,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100㎍/ml로 존재한다. 그러나, 비타민 C 성분은 비타민 E 성분보다 더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비타민 C 성분은 약 20㎍/ml 내지 약 8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50㎍/ml의 농도로 존재하고, 비타민 E 성분은 500㎍/ml이 넘게, 바람직하게는 800㎍/ml이 넘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ml이 넘게 존재한다.
유장 단백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약 50 내지 약 10,000㎍/ml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약 750 내지 5,000㎍/ml의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ml의 농도로 존재한다. 통상, 비타민 A 성분은 약 1 내지 100㎍/ml의 농도,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0㎍/ml의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5.0㎍/ml의 농도로 존재한다.
유장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및(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될 수 있다. "화장품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란 용어는 약제 또는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비히클을 의미하고, 상기 비히클은 의도한 표적에 활성 성분을 전달하며, 인간 또는 투여되는 유기체에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제" 또는 "화장품"이란 인간 및 동물에 대한 약제 및 화장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용한 담체로는 물, 아세톤,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또는 광유가 포함된다. 화장품용 또는 제약용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및 성분은 잘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Eighteenth Edition, A.R. Gennaro,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ennsylvania, 1990)을 참조할 수 있다.
담체는 용액제, 콜로이드 분산제, 유제(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제), 현탁제, 크림, 로션, 겔, 포움, 무스, 스프레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피부에 국소투여하기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조성물은 피부에 국소투여하기에 편리한 임의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성분, 비타민 E 성분 및 비타민 C 성분이 단독의 활성 성분인 치료 생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항균제, 진통제, 마취제, 좌창 방지제, 피부염 방지제, 소염제, 각질 증식 방지제, 피부 건조 방지제, 제한제, 건선 치료제, 피지 분비 방지제, 노화 방지제, 주름 방지제, 피부 미백제, 탈색제, 상처-치료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추가의 탠닝제(tanning agent) 또는 호르몬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추가의 유용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제에 상기 활성 성분의 혼입하는 것은 용해도 및(또는) 안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담체 및 필수 성분 혼합물 뿐만 아니라 제제도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수용성 착색제(FD&C Blue #1), 오일-가용성 착색제(D&C Green #6), 수용성 일광 차단제(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미립자 일광 차단제(산화아연), 산화 방지제(BHT), 킬레이트화제(이나트륨 EDTA), 유제 안정화제(카보머), 방부제(메틸 파라벤), 방향제(피넨), 향미료(소르비톨), 습윤제(글리세린), 방수제(PVP/에이코센 공중합체), 수용성 필름 형성제(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오일-가용성 필름 형성제(수소화된 C-9 수지), 양이온성 중합체(폴리쿼터늄-10), 음이온성 중합체(크산탄 고무) 및 비타민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한 때에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기 전에 피부에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노출 중에 또는 노출 후에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의 이점을 수득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안전한 유효량으로 장기간에 걸쳐 국소투여하여, 콜라겐이 감소하는 부작용의 징후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UV광 또는 다른 환경 요소(콜라겐의 분해를 유발할 수 있음)에의 노출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손상의 악화 또는 역으로 존재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주일에 약 1회 내지 하루에 약 4 내지 5회의 빈도로 국소투여, 바람직하게는 일주일에 약 3회 내지 하루에 약 3회의 빈도로 국소투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회 내지 2회의 빈도로 국소투여하는 방법이 있다. 본 명세서의 "장기간에 걸친" 투여란, 국소투여의 기간이 사용자의 수명을 넘을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1개월에 1회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3개월 내지 약 20년에 1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개월 내지 약 10년에 1회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년 내지 약 5년에 1회 이상으로 광노화의 외적 신호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이다. 당업계 숙련자들은 사용된 치료 방법이 유독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노출 정도에 의존하여 다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즉, 장기간에 걸쳐 햇빛에 노출된 사람은 햇빛을 피해다니는 사람보다 더 자주 투여해야 유리하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일광 차단제를 활성 성분과 혼합시킨다. 임의의 일광 차단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조성물에 유용한 일광 차단제는 티타늄 및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 일광 차단제, 파라-아미노 벤조산(PABA) 및 그의 에스테르, 벤조페논, 페닐 또는 호모메틸 살리실레이트 및 신나메이트와 같은 유기 일광 차단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서 일광 차단제는 상기 일광 차단제의 확립된 용도와 일치하게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장 단백질-함유 조성물은 립스틱, 파운데이션, 콘실러(concealer), 브론저(bronzer) 및 아이쉐도우 등과 같은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장 단백질-함유 조성물에는 다양한 임의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고, 여기에는 방향제, 향수, 향미료, 보건제, 완화제, 방부제, 색소, 염료, 착색제, 습윤제, 추진제, 방수제, 필름 형성제, 비타민 뿐만 아니라 다른 부류의 재료(화장품용, 약제용, 의약용 또는 다른 원하는 용도로 사용가능한 재료)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상의 예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문헌(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4th Edition,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워싱톤 D.C., 1991)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하기의 실시예에서, 추가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1. 유장 단백질-함유 조성물의 제조
유장 단백질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우선, 치즈 제조시 부산물로서 유장을 제조하고, 이를 단리하였다. 상기 유장은 치즈 및 카세인의 미세한 조각 또는 입자를 제거하는 정화기를 사용하여 최초로 정제하였다. 추가의 정제 단계는 초여과(ultrafiltration)를 통해 락토오스 및 다른 저분자량의 성분으로부터 유장을 분리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유장 단백질은 투석여과(diafiltration)에 의해 정제하였다. 정제된 물을 사용하여 락토오스 및 무기물을 씻어내었다. 마지막으로, 유장 단백질을 낮은 온도에서 고속 분무 건조기로 건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된 유장 단백질은 건조된 백색의 미세 분말이었다.
증가된 콜라겐 합성의 추가적 효과를 얻기 위한 생성물로서의 바람직한 사용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합한 제제에 비타민 A, C 및 E를 본 발명에 따른 양으로 가하였다.
2. 유장 단백질과 비타민 A, E 및 C의 콜라겐 합성 활성도
콜라겐 합성의 증가제로서의 개개 유장 단백질 및 비타민 C의 효과, 및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E 및 C의 다양한 배합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고, 이에 상응하는 콜라겐 합성의 증가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 데이타는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표에서, WP는 유장 단백질이고, V-C는 비타민 C이고, V-E는 비타민 E이며, V-A는 비타민 A이다. 각 활성 요소 뒤에 기재된 숫자는 활성 요소의 양을 나타내는데, 그 단위는 ㎍/ml이다. 비타민 A가 없으면, 비타민 C의 양을 변화시키더라도 콜라겐 합성에 거의 영향이 없었다. 이는 비타민 C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및 비타민 C를 유장 단백질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모두에서도 마찬가지였다(하기의 표 1에서, 시료 2)V-C 50, 3)V-C100, 4)WP/V-C 50 및 5)WP/V-C 100 참조).
시 료 증 가 율 (%)
1) WP 85.46
2) V-C 50 121.81
3) V-C 100 128.00
4) WP/V-C 50 166.32
5) WP/V-C 100 170.87
6) WP/V-C 50/V-A 127.37
7) WP/V-C 100/V-A 208.99
8) WP/V-C 50/V-A/V-E 500 262.58
9) WP/V-C 100/V-A/V-E 500 277.14
10) WP/V-C 50/V-A/V-E 1000 336.39
11) WP/V-C 100/V-A/V-E 1000 131.60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유장 단백질과 배합하여 사용한 비타민 C의 농도를 두 배로 증가시키더라도 생성되는 콜라겐의 양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기 때문에, 비타민 A, 비타민 C 및 유장 단백질의 배합물 및 고농도의 비타민 E에서 저농도의 비타민 E에서보다 더 높은 콜라겐 합성율이 나타난 결과는 놀랍고도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고농도의 비타민 E(1000㎍/ml) 및 다른 성분의 존재하에 비타민 C의 양을 50㎍/ml에서 100㎍/ml로 배가하였을 때, 콜라겐의 합성이 감소(336%에서 132%로)한다는 것이었다.
콜라겐 합성의 증가제로서,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유장 단백질의 배합 효과를 조사하기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 가지 인자(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를 저농도 및 고농도에서 23계승으로 고안하여 실험하였다. 비타민 A의 경우 고농도는 5㎍/ml이고 저농도는 없는 상태였고, 비타민 C의 경우 고농도는 100㎍/ml이고 저농도는 50㎍/ml이었으며, 비타민 E의 경우 고농도는 1,000㎍/ml이고 저농도는 500㎍/ml이었다. 유장 단백질은 1,000㎍/ml의 양으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다.
각각의 처리 조합을 3배수로 실험하였다. 모든 결과는 공지된 통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상기 고안된 실험의 결과 분석으로, 비타민 C 및 비타민 E가 주로 영향을 주는 인자이고, 이들은 비타민 A 및 유장 단백질의 존재하에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A 및 유장 단백질의 존재하에, 비타민 E 및 비타민 C는 특정 범위 내에서 콜라겐 합성 증가제로서 서로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21)

  1.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 레티노이드,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비타민 E를 약 800㎍/ml 미만으로, 아스코르브산을 약 20㎍/ml 내지 약 200㎍/ml에서 상기 비타민 E보다 적은 양으로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장 단백질이 약 50㎍/ml 내지 약 10,0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유장 단백질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비타민 A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약 1㎍/ml 내지 약 1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6. 약 800㎍/ml 미만의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약 20㎍/ml 내지 약 200㎍/ml이며 상기 비타민 E보다 적은 양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 및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7.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 레티노이드,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비타민 E를 약 500㎍/ml가 초과하는 양으로, 아스코르브산을 약 20㎍/ml 내지 약 80㎍/ml의 양으로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유장 단백질이 약 50㎍/ml 내지 약 10,0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유장 단백질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비타민 A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약 1㎍/ml 내지 약 100㎍/ml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2. 약 800㎍/ml를 초과하는 양의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약 20㎍/ml 내지 약 200㎍/ml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 및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13. 약 300㎍/ml 내지 약 800㎍/ml의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약 80㎍/ml 내지 약 200㎍/ml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 및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14. 약 800㎍/ml 내지 약 1200㎍/ml의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약 20㎍/ml 내지 약 80㎍/ml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유도체, 약 7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 및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국소투여용 조성물.
  15.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비타민 C를 약 20㎍/ml 내지 약 80㎍/ml의 양으로, 비타민 E를 약 500㎍/ml가 초과하는 양으로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의 증가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비타민 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유장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비타민 C를 약 20㎍/ml 내지 약 200㎍/ml의 양으로, 비타민 E를 약 800㎍/ml 미만의 양으로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의 증가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50㎍/ml 내지 약 5,000㎍/ml의 유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1㎍/ml 내지 약 100㎍/ml의 비타민 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콜라겐 합성 증가 유효량의 제1항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의 증가 방법.
KR10-2000-7007563A 1998-11-10 1999-11-10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KR100499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89,829 1998-11-10
US09/189,829 US6203805B1 (en) 1998-11-10 1998-11-10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PCT/US1999/026650 WO2000027352A1 (en) 1998-11-10 1999-11-10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00A true KR20010015900A (ko) 2001-02-26
KR100499294B1 KR100499294B1 (ko) 2005-07-07

Family

ID=2269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563A KR100499294B1 (ko) 1998-11-10 1999-11-10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03805B1 (ko)
EP (2) EP1129699A1 (ko)
JP (1) JP3803030B2 (ko)
KR (1) KR100499294B1 (ko)
AU (1) AU742131B2 (ko)
CA (1) CA2317049A1 (ko)
WO (1) WO2000027352A1 (ko)
ZA (1) ZA200003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3805B1 (en) * 1998-11-10 2001-03-20 Color Access,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US20050106219A1 (en) * 2000-05-30 2005-05-19 Karlheinz Bortlik Primary composition comprising a lipophilic bioactive compound
AU781526B2 (en) * 2000-05-30 2005-05-2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imary composition containing a lipophilic bioactive compound
MC200029A1 (fr) * 2001-04-19 2001-11-28 Jose Eisenberg Application de trois molecules
EP1297821A1 (en) * 2001-10-01 2003-04-02 Hive of Beauty (Europe) BVBA Skin treatment compositions
US6725486B2 (en) * 2002-02-20 2004-04-27 Oka Tool Company Pipe fitting tool
AU2003220857B2 (en) * 2002-04-09 2009-01-29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cell proliferation
US20050043217A1 (en) * 2003-08-21 2005-02-24 Christopher Marrs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and lactoglobulin
JP4614886B2 (ja) * 2003-10-08 2011-01-19 大塚製薬株式会社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
JP4596513B2 (ja) * 2003-10-14 2010-12-08 雪印乳業株式会社 栄養組成物
US7160560B2 (en) * 2003-10-23 2007-01-09 L'oreal S.A. Skin-care composition
EP1708677A4 (en) * 2004-01-07 2010-12-22 E L Management Cor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IN AND AN ENZYME INHIBITOR
US20070160550A1 (en) * 2004-01-24 2007-07-12 Charles Nee Newsham Rebecca L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JP2006117552A (ja) * 2004-10-19 2006-05-1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光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4523388B2 (ja) * 2004-11-19 2010-08-1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FR2882928A1 (fr) * 2005-03-09 2006-09-15 Jean 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 la reparation tissulaire cutanee
US7628907B2 (en) * 2005-08-26 2009-1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sensor
GB0605949D0 (en) * 2006-03-24 2006-05-03 Quest Int Serv Bv Milk product for skin treatment
US20080233075A1 (en) * 2007-03-22 2008-09-25 Marina Sokolinsky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ightening
CA2749750C (en) * 2008-04-15 2014-01-28 Immanence Integrale Dermo Correction Inc.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1246442A (ja) * 2010-04-28 2011-12-08 Rohto Pharmaceutical Co Ltd 光老化抑制剤および皮膚菲薄化抑制剤
DE102011106697A1 (de) * 2011-03-09 2012-09-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irkstoffhaltiger Schaum sowie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 dessen Herstellung
JP5980519B2 (ja) * 2012-02-15 2016-08-31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Ampk活性化剤
US20130281913A1 (en) 2012-04-20 2013-10-24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biophotonic treatment
US11116841B2 (en) 2012-04-20 2021-09-14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MX2015003359A (es) 2012-09-14 2015-10-22 Klox Technologies Inc Composiciones biofotonicas cosmeticas.
US9585943B2 (en) * 2014-02-03 2017-03-07 George D. Petito Composition for tissue/cell repair
AR101656A1 (es) 2014-06-09 2017-01-04 Klox Tech Inc Materiales biofotónicos a base de silicona y usos de los mismos
EP3397283A4 (en) 2015-12-28 2019-05-22 Klox Technologies Limited PEROXIDE-FREE BIOPHOTONIC COMPOSITIONS AND METHOD
EP3402524A4 (en) 2016-01-11 2019-08-07 Klox Technologies Limited BIOPHOTON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SOFT TISSUES AFFECTED WITH NON-RESISTANT OR RESISTANT INFECTIONS OR BOTH
US9687439B1 (en) * 2016-01-21 2017-06-27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ged skin
US10149811B2 (en) 2016-02-11 2018-12-11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collagen synthesis in skin cells
WO2017203359A1 (en) 2016-05-23 2017-11-30 Klox Technologies Limited Biophoton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190358327A1 (en) 2016-12-23 2019-11-28 Klox Technologies Inc. Biophotonic compositions comprising lichen extract and their use to treat skin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018A (en) 1979-02-09 1980-09-16 Jimmie Belle Bath composition
JPS6046084B2 (ja) 1982-05-14 1985-10-14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化粧品
FI892006A (fi) 1988-04-29 1989-10-30 Phil Gold Lactalbumin saosom tillaeggsaemne i mat.
US5456924A (en) 1988-12-23 1995-10-10 Immunotec Research Corporation Ltd. Method of treatment of HIV-seropositive individuals with dietary whey proteins
US5002760A (en) 1989-10-02 1991-03-26 Katzev Phillip K Retinol skin care composition
US5574063A (en) * 1989-10-12 1996-11-12 Perricone; Nicholas V.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of ascorbic acid fatty acid esters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skin damage
US5386012A (en) 1990-02-06 1995-01-31 Strid; Lars Growth factor in connection with artificial implants
TW211523B (en) * 1992-06-29 1993-08-21 Amerchol Corp Hydroxylated milk glycerides
FR2717389B1 (fr) 1994-03-18 1996-06-07 Lvmh Rech Utilisation du ginsénoside Ro ou d'un extrait végétal en contenant pour stimuler la synthèse du collagène.
JPH10508856A (ja) * 1994-11-15 1998-09-02 オスモ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キンケア組成物及びその適用方法
JP3542665B2 (ja) 1995-07-07 2004-07-14 株式会社資生堂 抗老化皮膚外用剤、コラーゲン架橋阻害皮膚外用剤及び抗紫外線皮膚外用剤
US5733884A (en) * 1995-11-07 1998-03-31 Nestec Ltd. Enteral formulation designed for optimized wound healing
US5667791A (en) * 1996-05-31 1997-09-16 Thione International, Inc. X-ray induced skin damage protective composition
US5690947A (en) * 1996-08-30 1997-11-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Borage seed oil as an anti-irritant 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 acids or retinoids
US6203805B1 (en) * 1998-11-10 2001-03-20 Color Access,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whey prote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7398A1 (en) 2000-11-02
AU1817100A (en) 2000-05-29
ZA200003283B (en) 2001-01-18
WO2000027352A1 (en) 2000-05-18
KR100499294B1 (ko) 2005-07-07
US6203805B1 (en) 2001-03-20
JP2002529387A (ja) 2002-09-10
EP1129699A1 (en) 2001-09-05
CA2317049A1 (en) 2000-05-18
AU742131B2 (en) 2001-12-20
JP3803030B2 (ja)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294B1 (ko) 유장 단백질 함유 국소투여용 조성물
US6955816B2 (en) Anti-aging skin car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5153230A (en) Topical skin cream composition
KR100952109B1 (ko) 다이펩티드를 함유하는 개인 케어 조성물
JPH09143063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KR20000026159A (ko) 국소 적용을 위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또는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JPH08504774A (ja) 皮膚の又は皮膚付属器官の化粧又は皮膚病の手入れのための相乗的活性化合物組み合わせ物
KR101175803B1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JP5241054B2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用組成物
JPH07138142A (ja) 皮膚外用剤
JP2004512295A (ja) 皮膚加齢の徴候を処置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と少なくとも1種のイソフラボノイドの組合せ物の使用
JP3597210B2 (ja) 養毛料
JPH09183718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2004512294A (ja) 加齢の徴候を処置するための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する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とプロビタミンa活性を有さない少なくとも1種のカロチノイドの組合せ物の使用
US20090123573A1 (en) Admixture of extracts of plants of the genus rosmarinus and carotenoids for treating cutaneous symptoms of aging
JPH04187610A (ja) 化粧料
JPH08198741A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JPH09176030A (ja) 皮脂分泌促進剤
JPH0570333A (ja) 皮膚外用剤
AU2014271339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H08259420A (ja) 皮膚外用組成物
JPH03279315A (ja) 皮膚外用剤
JPH0733651A (ja) コラーゲン生合成促進剤
JPH0848616A (ja) 養毛化粧料
JPH11286442A (ja) 炎症因子活性化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