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213A -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213A
KR20010014213A KR1019997012296A KR19997012296A KR20010014213A KR 20010014213 A KR20010014213 A KR 20010014213A KR 1019997012296 A KR1019997012296 A KR 1019997012296A KR 19997012296 A KR19997012296 A KR 19997012296A KR 20010014213 A KR20010014213 A KR 2001001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nection
region
connecting memb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하르트 플리거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1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4)를 가진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 박스형 중간 영역(Z), 중간 영역에서 돌출된 접속 블레이드(10)를 포함하는 접속 부재(1)에 관한 것이며, 블레이드 반쪽(10a,10b)과 중간 영역의 상부벽(9)은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이 연속인 전개도에서 중간 영역의 하부벽(6)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정열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금속 시트 스트립의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은 가능한 적은 피치로 얻어진다. 접속 블레이드(10)는 가로 벤딩 라인(B3)에서 두배의 두께를 가지도록 블레이드 반쪽(10a,10b)을 서로 포개어 형성되며, 중간 영역(Z)의 측벽(7,8)과 높은 안정성을 가진 폐쇄된 직사각형인 박스 사이에 놓여지는 상부벽(9)이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FLAT PLUG CONTACT ORGAN FOR ELECTRICAL CONNECTORS}
이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는 모터 차량용 플러그-인 접속의 평판 접속에 주로 사용된다. 공세적인 동작 상태에 노출되는 이 접속 부재는 예를 들면 2.8×0.63mm 또는 5.2×0.63mm이며, 잔류하는 필수 저항 때문에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 영역 즉, 접속 블레이드와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사이의 영역은 종종 직사각형의 폐쇄된 박스 형태로 설계된다. 접속 블레이드 자체는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이유로 일정한 안전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접속 부재는 다른 영역의 두께의 두배로 형성된다.
EP 0 72 874 B1 에 전술한 타입의 접속 부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접속 부재는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으로 제작되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인 중간 영역을 가지며, 여기에 재료 두께가 두배인 접속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접속 블레이드는 이 경우 두개의 반쪽으로 형성되며, 중간 영역의 측벽에서 연장되어 부착되고, 블레이드를 구부리고 서로 포개어 두께가 두배로 형성된다. 중간 영역과 접속 블레이드의 전개도에서 상기 접속 부재의 경우, 금속 시트 스트립에서 서로 인접한 스탬핑 금속 시트 부분의 상대적으로 큰 피치가 얻어진다.
또한 DE 195 39 714 C1 에 전술한 형태의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최초의 스탬핑 되고/구부러진 부분은 최종 블레이드 두께와 일치하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이 두께는 예를 들면, 밀링 수단에 의해 중간 영역에서 감소하여 최초 두께의 대략 반을 가진다. 이 접속 부재의 경우, 개별 영역에 제공된 두께로 제작하는 추가 프로세싱 동작을 상상할 수 있다. 접속 블레이드는 중간 영역의 하부벽에 결합되며, 하부벽 외에 두개의 측벽과 상부벽을 가진다. 또한, 접속 부재의 전개도에서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의 상대적으로 큰 피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인 접속용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에 관한것으로 이 접속 부재는 접속 부재의 일단부에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를 가지며,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 다음에 벤딩되어 두개의 측벽, 측벽에 접속된 하부벽과 상부벽을 가진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를 형성하는 중간 영역을 가지며, 접속 부재의 타단부에 중간 영역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영역보다 두꺼우며 두개의 반쪽을 포함하는 접속 블레이드를 가지는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한다.
도 1 은 플랫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3,4 는 아래쪽과 옆쪽에서 바라본 접속 부재의 평면도이며, 각각의 경우, 시트-금속 스트립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는 접속 부재 제작용의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제조하려는 것이며, 이는 박스형 중간 영역과 다른 영역보다 두꺼운 접속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접속 부재에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기계적 안정성을 충족시키며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접속 부재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아래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고,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의 전개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제 1 블레이드 반쪽은 중간 영역의 하부벽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제 2 블레이드 반쪽은 제 1 블레이드 반쪽과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상부벽은 제 2 블레이드 반쪽과 결합한다. 제 2 블레이드 반쪽은 두개의 반쪽의 접속 위치에서 제 1 블레이드 반쪽에 대해 180°구부리고 블레이드 반쪽의 길이 방향에 횡단으로 포갬으로써, 포개진 상태에서, 접속 블레이드는 두께가 두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벽은 박스형 중간 영역을 형성하는 두개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경우, 접속 블레이드의 반쪽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며, 두배의 두께를 가진 완성된 접속 블레이드는 제 2 블레이드 반쪽을 제 1 블레이드 반쪽에 대해 180°로 구부려 길이 방향으로 횡단으로 포개어 형성된다. 또한 공지된 전술한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와 비교하여, 중간 영역의 상부벽은 제 2 블레이드 반쪽에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스탬핑/벤딩 동작시 공지된 접속 부재보다 전체적으로 크지만, 좁은 접속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접속 부재의 박스형 설계에도 불구하고, 금속 시트 스트립에 작은 피치가 달성된다. 이는 넓은 금속 시트 스트립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보다 나은 금속 이용이 가능하다. 접속 블레이드의 벤딩 동작에 의해, 상부벽은 또한 중간 영역의 두개의 측벽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박스 형태의 중간 영역은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접속 부재의 효과적인 제작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의 형태는 또한 접속 블레이드와 중간 영역의 상부벽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과 중간 영역의 측벽과 상부벽 사이에서 돌출된 접속의 가능성에 의해 접속 부재의 기계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음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의 다른 장점은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이 서로 포개진 후에도 접속 블레이드의 끝에서 접속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정렬 배치되게 서로 접속된다는 것이다. 이 결과에 따라, 접속 부재는 예를 들면 플러깅 동작동안 개방되지 않는다.
접속 부재의 대칭 구조를 살펴보면, 제 1 블레이드 반쪽이 하부벽에 결합되고 각각 중간 조각에 의해 상부벽이 제 2 블레이드 반쪽에 결합되었을 때, 블레이드의 길이는 하부벽의 제 1 중간 조각의 오프셋과 제 2 블레이드 반쪽의 제 2 중간 조각의 오프셋에 맞추어 제작되면 완전히 포개진 접속 블레이드는 박스형 중간 영역의 높이에 대해 중간에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중간 영역의 두개의 측벽의 외부 길이 방향 에지에 상부벽의 지지 및/또는 접속용 탭을 제공함으로써 중간 영역의 상부벽과 측벽 사이의 단순한 기계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영역의 측벽에 세개의 탭이 제공된다면, 두개의 외부 탭은 각각 상부벽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중간 탭은 상부벽의 바깥쪽 윗면을 클램핑하도록 각각 제공된다.
도 1 에서 4 에 도시된 접속 부재(1)는 예를 들면 고 도전성 Cu 합금과 같은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으로 제작되며, 도 5 에 도시된 시트-금속 스트립(18)과 연결된 두개의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의 전개도를 살펴보면, 접속 부재(1)는 일단부의 터미널 영역(A), 터미널 영역 다음의 중간 영역(Z), 중간 영역에서 뻗어나온 다른 일단부의 접촉 영역(K)을 포함한다.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은 대략 0.3mm에서 0.4mm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터미널 영역(A)에서, 크림핑 엘리멘트(4)로 설계되었지만, 적어도 하나의 절연-관통 엘리멘트를 포함하는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는 벤딩 방법으로 형성된다. 터미널 영역(A)의 측면 절개부(5) 다음의 중간 영역(Z)은 하부벽(6), 두개의 측벽(7,8)을 가지며, 이 측벽은 상부벽(9)과 마찬가지로 먼저 U 형 단면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벤딩 라인(B1,B2)에서 벤딩된다. 이 상부벽은 중간 영역(Z)이 폐쇄되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플랫 플러그 인 접속 부재이며 접촉 영역(K)에 제공된 접촉 엘리멘트는 접속 블레이드(10)에 의해 형성된다. 이 블레이드(10)는 두개의 반쪽(10a,10b)을 포함하며,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종 상태에서 두께가 두배인 예를 들면 0.63mm 또는 0.8mm의 두께를 가진다. 도 5 에 도시된 접속 부재의 전개도에서, 접속 부재(10)의 제 1 반쪽(10a)은 예를 들면 2.8 또는 5,2mm의 폭을 가진 짧은 제 1 중간 부분(3a)에 의해 중간 영역(Z)의 하부벽(6)과 결합된다. 블레이드 반쪽(10a)은 블레이드 반쪽의 측면 에지가 사선(11)으로 형성되는 벤딩 또는 폴딩 라인(B3)으로 길이 방향으로 펼쳐있다. 제 1 블레이드 반쪽(10a)은 측면 에지의 벤딩 라인(B3)으로부터 펼쳐진 제 2 블레이드 반쪽(10b)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서로 결합된다.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은 제 1 블레이드 반쪽(10a)과 마찬가지로 사선(11)을 따라 벤딩 라인(B3)에 대해서 서로 경상 반대 형태이다.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은 당연히 제 1 블레이드 반쪽(10a)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중간 영역(Z)의 상부벽(9)의 제 1 중간 조각(3a)의 길이와 일치하는 제 2 중간 조각(3b)이 서로 인접해 있다. 이 상부벽(9)은 블레이드 반쪽(10a,10b)보다 다소 넓으며, 접속 부재가 하우징에 배치되었을 때 스넵-인 결합 또는 주로 고정을 위해 컷팅에 의해 자유스러운 탄성의 스넵-인 후크(22)가 형성된다.
완성된 접속 블레이드(10)의 제작뿐 아니라 박스 형태의 중간 영역(Z)의 최종 구성이 후술될 것이다. 우선, 제 1 블레이드 반쪽은 제 1 중간 조각(3a)의 오프셋(12)에 의해 하부벽(6)으로부터 구부러진다. 완성된 접속 블레이드(10)는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10a,10b)의 접속 위치, 즉, 블레이드 반쪽의 길이 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벤딩 라인(B3)에서 형성되며, 제 1 블레이드 반쪽(10a)에 180°인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이 구부려져 형성된다. 즉,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10a,10b)은 블레이드의 팁이 형성되는 사선(11)에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서로 접혀진다.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을 구부리는 동안, 상부벽(9)은 중간 영역(Z)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제 2 중간 조각(3b)의 오프셋(12)에 의해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이 구부러진다. 이 결과로, 상부벽(9)은 중간 영역(Z)의 두개의 측벽(7,8) 사이에 놓여지며, 이에 따라, 측벽의 상부의 자유단부인 길이 방향의 에지(13,14) 영역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중간 영역(Z)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 형태를 가지며, 이 영역에서 완전히 접혀진 접속 블레이드(10)는 중간 조각(3a,3b)의 길이가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중간 영역의 높이(h)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하여 돌출된다.
측벽(7,8) 사이에서 상부벽(9)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측벽과 기계접속이 가능하도록 두개의 측벽은 - 도 5 에 분명히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 각각 탭(15,16)을 가진 측벽의 자유 단부의 길이 방향 에지(13,14)에서 형성된다. 이 탭(15,16)은 틈새(17)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세개의 탭(15a,15b,15c 및 16a,16b,16c)이 제공되며, 두개의 외부탭(15a,15b 및 16a,16b)은 상부벽(9)의 안쪽을 지지하기 위해 각각 제공되며 각각의 중간탭(15b,16b)은 상부벽(9)의 바깥쪽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스넵-인 후크(22)의 측면에 위치한 상부벽 부분(9a,9b)은 각각 오목한 부분(9c,9d)을 가지며 측벽(7,8)의 중간탭(15b,16b)의 영역에서 각각 형성된다. 필수 저항이 상기 접속 부재에 생성되고 보다 나은 전류 전송 특성을 얻기위해, 상부벽(9)은 높은 전류 전송 용량과 높은 기계적 안정성으로 가능한 폐쇄된 박스 형태를 획득하기 위해 중간 영역(Z)의 측벽(7,8)의 지지 탭(15a,15c,16a,16c)의 영역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예를 들면, 용접으로 편리하게 접속된다. 또한, 지지탭의 적어도 하나, 도 2에서 예를 들면 탭(15c)이 스냅-인 후크(22)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은 편리하다. 따라서, 이 지지탭은 스냅-인 후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완성을 위해, 중간 영역(Z)은 90°로 하부벽(6)을 구멍낸 폴러라이징웹(21;poalrizing web)으로 형성되며, 그 측벽(7,8)은 안으로 경사진 탭(33)의 전방 에지에 제공된다. 상부벽(9)의 후방 에지(20)와 측벽(7,8)의 후방 에지(19)는 접속 부재가 하우징에 배치되었을 때 제 2 고정을 위해 맞물려서 접촉이 형성된다.
도 2 와 3 의 완전히 접혀진 상태의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10a,10b)은 기계적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접속 블레이드(10)의 두개 단부 영역의 두개 위치(24,25)에서 예를 들면, 접속 블레이드(10)의 중심축의 영역에서 서로 90°방향으로 두개의 임프레션 또는 소위 클린치 접속에 의해 편리하게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는 가능한 작은 피치로 중간 영역에서 완전히 폐쇄된 안정된 박스 형태로 평판 커넥터를 형성하며, 높은 전류 전송 용량, 주고정용 스냅-인 후크, 절연 하우징의 스냅-인 맞물림, 제 2 고정용 지지 접촉 표면,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폴러라이징 수단, 스넵-인 후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는 공세적인 동작 환경에서 상기 접속 부재가 일반적으로 접하게 되는 모든 요구를 유리한 방식으로 만족시킨다.

Claims (11)

  1. 전기 플러그-인 접속용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로서
    접속 부재의 일단부에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4)를 가지며,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 다음에 벤딩되어 두개의 측벽(7,8), 측벽에 연결된 하부벽(6)과 상부벽(9)으로 구성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를 형성하는 중간 영역(Z)을 가지며,
    접속 부재(1)의 타단부에 중간 영역(Z)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영역보다 두꺼운 두개의 반쪽(10a,10b) 블레이드로 구성된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인 접속용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에 있어서,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의 전개도로 보면,
    제 1 블레이드 반쪽(10a)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에 결합되며,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제 1 블레이드 반쪽(10a)과 결합되며,
    상부벽(9)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에 결합되며,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을 블레이드 반쪽들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직각 방향으로 접음에 의해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이 두 블레이드 반쪽(10a,10b)의 결합 위치에서 제 1 블레이드 반쪽(10a) 위로 180°구부러져서 접힌 상태에서 두께가 두배인 접속 블레이드(10)가 형성되며,
    상부벽(9)은 두개의 측벽(7,8) 사이에 놓여서 박스형 중간 영역(Z)을 형성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레이드 반쪽(10a)은 중간 조각(3a)에 의해 하부벽(6)에 결합되고 상부벽(9)은 중간 조각(3b)에 의해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에 결합되며, 블레이드의 길이는 제 1 중간 조각(3a)이 하부벽(6)에서 오프셋되고 제 2 중간 조각(3b)이 제 2 블레이드 반쪽(10b)에서 오프셋(12)된 후 완전히 포개진 접속 블레이드(10)가 박스형 중간 영역(Z)의 높이(h)에 대해 중간에 위치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속 블레이드(10)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10a,10b)들이 부가적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접속 블레이드(10)의 두개 단부의 영역에서 상기 두개의 블레이드 반쪽(10a,10b)의 결합부(24,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의 두개의 측벽(7,8)에는 길이 방향 에지(13,14)의 바깥쪽에 상부벽(9)을 지지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탭들(15a-15c 및 16a-16c)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의 측벽(7,8)에는 각각 세개의 탭(15a,15b,15c 및 16a,16b,16c)이 제공되며, 두개의 바깥쪽 탭들(15a,15c 및 16a,16c)은 상부벽(9)의 아랫면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며, 각각의 중간 탭(15b,16b)은 상부벽(9)의 바깥쪽 윗면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탭(15a,15c 및 16a,16c)의 영역에서 상기 상부벽(9)은 중간 영역(Z)의 측벽(7,8)과 분리될 수 없도록, 예를 들어 용접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 영역(Z)의 측벽(7,8)의 중간탭(15b,16b)의 영역에서, 상기 상부벽 부분들(9a,9b)은 중간탭과 클램핑하기 위해 오목한 부분(9c,9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의 상부벽(9)에는 컷팅에 의해 자유스러운 탄성있는 스넵-인 후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벽(9)을 지지하는 탭 가운데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15c)는 스넵-인 후크(22)의 영역에 도달하도록 설계되어 스넵-인 후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은 90°로 하부벽(6)에서 90°로 절개된 폴러라이징 웹(21;polarizing we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KR1019997012296A 1997-06-24 1998-06-17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KR20010014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6857.9 1997-06-24
DE19726857 1997-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213A true KR20010014213A (ko) 2001-02-26

Family

ID=783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296A KR20010014213A (ko) 1997-06-24 1998-06-17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8252B1 (ko)
EP (1) EP0992081B1 (ko)
JP (1) JP2002505031A (ko)
KR (1) KR20010014213A (ko)
DE (1) DE59803864D1 (ko)
WO (1) WO1998059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2618B2 (ja) * 2000-09-08 2008-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のタブ
JP2002110275A (ja) * 2000-10-04 2002-04-12 Yazaki Corp 雄型端子
DE20110131U1 (de) * 2001-06-19 2002-10-24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3801889B2 (ja) * 2001-09-07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349539B3 (de) * 2003-10-22 2005-06-16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Elektrisches Kontaktelement
FR2893495B1 (fr) 2005-11-18 2008-02-15 Georgia Pacific France Soc En Distributeur de papier
DE102007031194B4 (de) * 2007-07-04 2019-06-1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Federklemme, Anordnung aus Federklemmen und Verfahren zur Montage von Federklemmen an einem Bauelement
WO2010014394A1 (en) * 2008-07-28 2010-02-04 Illinois Tool Works Inc. Tab-form terminal with reduc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JP5253192B2 (ja) * 2009-01-14 2013-07-31 東洋技研株式会社 集合端子台の短絡部材
CN102151764A (zh) * 2010-12-25 2011-08-17 苏辉 一种电源插头用插片的制作工艺
US11831118B2 (en) * 2019-08-29 2023-11-28 J.S.T. Corporation Electrical male terminal
US11043766B2 (en) * 2019-08-29 2021-06-22 J.S.T. Corporation Electrical male terminal, and methods for connecting thereof
US11626671B2 (en) * 2019-08-29 2023-04-11 J.S.T. Corporation Electrical ma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450A (en) 1976-11-03 1977-09-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with retracted latch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ame
US5083944A (en) * 1989-09-20 1992-01-28 Self Jr Daines M Wire to wire electrical connector with blade contact
US5207603A (en) * 1992-06-02 1993-05-04 Molex Incorporated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JP2861743B2 (ja) * 1993-07-16 1999-02-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ジョイント構造
JPH0734563U (ja) * 1993-12-08 1995-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型端子金具
GB2298530A (en) * 1995-02-28 1996-09-04 Zierick Mfg Corp Surface mount electrical contacts
DE19513590C2 (de) * 1995-04-10 2002-01-24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Flachstecker
JP3202561B2 (ja) * 1995-11-17 2001-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雄型端子金具
JP3478010B2 (ja) * 1996-07-26 2003-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8252B1 (en) 2001-05-29
EP0992081B1 (de) 2002-04-17
DE59803864D1 (de) 2002-05-23
WO1998059394A1 (de) 1998-12-30
JP2002505031A (ja) 2002-02-12
EP0992081A1 (de) 200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2062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O2011001821A1 (ja) 雌端子
CN100580995C (zh) 接头连接器块
KR20010014213A (ko) 전기 접속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KR20010072198A (ko) 부싱 접촉자
ZA200209282B (en) Fuse.
US7014515B2 (en)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JP2001210416A (ja) 端子金具
EP1146597B1 (en) Contact spring
JPH10509551A (ja) 電気コンタクト
JP3304686B2 (ja) 相互接続用端子
JP2005529470A (ja) 補強移行部分を有する一体形雌電気接触端子
JPH1055834A (ja) 圧接端子
US7059921B2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JP3620786B2 (ja) 端子金具
US6080005A (en) Terminal fitting
EP0736930B1 (en) Contact having an independently supported inner contact arm
US6383038B2 (en) Connector
JP2000164301A (ja) 2つのシ―ルド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2954839B2 (ja) 連鎖型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7572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JPH05251143A (ja) 雄端子結合用中継端子
JP3226211B2 (ja) バスバー配線板
KR20010014253A (ko)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JP3473447B2 (ja) 電気接続箱用中継端子及びその電気接続箱用中継端子を用いた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