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253A -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 Google Patents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253A
KR20010014253A KR1019997012360A KR19997012360A KR20010014253A KR 20010014253 A KR20010014253 A KR 20010014253A KR 1019997012360 A KR1019997012360 A KR 1019997012360A KR 19997012360 A KR19997012360 A KR 19997012360A KR 20010014253 A KR20010014253 A KR 2001001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ng member
attachments
connect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하르트 플리거
프레디 덜스터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1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4), 박스형 중간 영역(Z) 및 중간 영역(Z)으로부터 돌출된 접속 블레이드(10)를 가진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1)에 관한 것이다. 중간 영역(Z)에 두 개의 측벽(7,8)의 영역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부착물(23내지26)이 형성된다. 이 부착물은 중간 영역의 횡단면과 보다 큰 접속 챔버(34)의 횡단면(B) 사이의 차이로 그 크기가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접속 부재는 프로세싱 툴에 의해 동일 피치로 제작될 수 있으며 플러깅 요구 사항의 측면에서 접속 챔버와 병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FLAT PLUG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S}
이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는 다양한 플러그-인 커넥터, 예를 들면, 모터 차량용 플러그-인 커넥터에 사용된다. 플러그-인 접속의 경우, 통상적으로 스프링-로딩된 소켓 접속을 주로 사용하고 예를 들면 암(female) 멀티포인트 커넥터와 같은 절연 하우징의 접속 챔버에 상당히 큰 갯수로 고정된다. 여러가지 이유로, 예를 들면, 추가 오버스프링과 접속하는 스프링-로딩된 소켓 접속의 설계 및/또는 기술에 의존하는 다른 특성 때문에 다른 크기의 평판 커텍터 및 소켓 접속이 수용되기 위해서는, 각각 사용된 접속 부재의 크기에 적합한 접속 챔버를 가진 절연 하우징과 동일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부재의 일단부에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를 가지며,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 다음에 벤딩되어 두개의 측벽, 측벽에 접속된 하부벽과 상부벽을 가진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를 형성하는 중간 영역을 가지며, 접속 부재의 타단부에 중간 영역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영역보다 두꺼우며 두개의 반쪽으로 구성된 접속 블레이드를 가지는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인 접속용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에 관한것이다.
도 1 내지 3 은 각각 금속 시트 스트립의 평면, 측면, 밑면을 도시한다.
도 4 는 접속 부재의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도시한다.
도 5 는 펑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실제적이거나 임의의 추가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미리 제공된 소켓으로 삽입할 수 있고 큰 접속 부재에 사용될 수 있는 전술한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중간 영역에 두개의 측벽의 영역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부착물이 형성되며, 이 부착물의 크기는 중간 영역의 횡단면과 중간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공간의 횡단면 사이의 차이에 따라 적용되며, 상기 공간의 횡단면은 적어도 중간 영역의 측벽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중간 영역에 대응되는 횡단면보다 크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는 통상적인 소켓 접속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이며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 형태를 가진다. 그러므로, 만일 단면이 일치한다면, 소켓 접속용으로 사용된 기존의 절연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단면 크기를 가진 경우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즉, 기존 수용 공간의 단면이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중간 영역의 단면보다 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중간 영역에 측면 부착물이 형성된다. 이는 이미 넓은 소켓 접속용으로 사용된 하우징의 접속 챔버와 같은 기존 수용 공간에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부착물에 의해, 박스 형태의 중간 영역은 큰 챔버, 즉, 큰 단면을 가진 소켓용에 필요한 구조(폭)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는 기존의 접속 챔버와 병합되며, - 챔버의 단면에 일치하는 중간 영역의 높이에 있어서 - 상기 접속 챔버로 삽입시, 세개의 포인트 접속으로 챔버의 측면 부착물과 상부벽에 의해 가이드된다. 중간 영역에서 측면 부착물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형성에 의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제작된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는 기존의 기계 툴로 제작될 수 있고 기존의 하우징의 기존 접속 챔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피치의 변경을 피하고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수용하는 새로운 프로세싱 툴과 새로운 하우징의 제작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소켓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가이드에 관한 유익한 대칭 구조는 만일 두개의 부착물이 각각의 측벽에 각각 돌축되고 일 측벽의 부착물이 다른 측벽의 부착물의 반대쪽에 각각 배치될때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켓의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안정한 구조는 만일 부착물이 중간 영역의 하부벽으로부터 측벽으로 꺽이는 영역에 제공된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부착물은 접속 부재의 하부 영역의 코너에 배치되고 큰 챔버의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엘리멘트들은 즉, 부착물과 상부벽은 서로 반대편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는 -도 5 에 가장 잘 나타난 금속 시트 스트립(18)으로부터 전개된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의 전개도에서- 일단부에 터미널 영역(A), 터미널 영역 다음의 중간 영역(Z), 다른 일단부에 상기 중간 영역에서 돌출된 접속 영역(K)을 가진 예를 들면 고 도전성 구리 합금과 같은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2)으로 제작된다.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은 대략 0.3mm 에서 0.4mm 의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터미널 영역(A)에서,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는 크림핑 또는 절연-천공 엘리멘트(4)로 설계되며 벤딩으로 형성된다. 터미널 영역(A)의 측면 절개부(5) 다음의 중간 영역(Z)은 하부벽(6), 두개의 측벽(7,8), 측벽중 하나에 부착된 상부벽(9)을 가지며, 구부러진 상태에서 폐쇄되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박스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의 접속 영역(K)에 제공된 접속 엘리멘트는 두개의 반쪽(10a,10b)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 상태에서 예를 들면 0.63mm 또는 0.8mm의 두배의 재료 두께를 가진 접속 블레이드(10)로 형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접속 부재의 전개도에서, 예를 들면 2.8 또는 5.2mm의 폭을 가진 접속 블레이드(10)의 제 1 반쪽(10a)은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에 결합된다. 블레이드 반쪽(10a)은 하부벽에 일직선으로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며 일단부에서 경사면(11)이 형성된다. 블레이드 반쪽(10b)은 제 1 블레이드 반쪽(10a)과 동일 길이이며,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확장되며 중간 영역(Z)의 상부벽(9)에 결합된다. 접속 부재가 하우징의 접속 챔버에 배치되었을 때, 스냅-인 결합 또는 일차 고정을 위해 상부벽(9)에 컷팅에 의해 탄성있는 스넵-인 후크(22)가 형성된다.
완성된 접속 블레이드(10)의 제조와 박스형 중간 영역(Z)의 최종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벤딩 라인(Ba,B2,B3)에서 측벽(7,8)과 상부벽(9)을 서로 접음으로써, 중간 영역(Z)의 박스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동작시, 블레이드 반쪽(10a,10b)은 끝에 형성된 경사면(11)의 재료 두께가 두배가 되는 접속 블레이드(10)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 옆면에서 포개진다. 이 상태에서, 중간 영역(Z)은 단면이 직사각형 박스형이며, 이 영역에서 완전히 포개진 접속 블레이드(10)는 중간 영역의 높이(h)의 중심으로 대략 90°의 오프셋(12)에 의해 돌출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넵-인 후크(22)는 가능한 큰 스넵-인 후크의 스프링 길이(유연한 영역)를 얻기 위해 오프셋(12)을 통하여 접속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도 1 내지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포개진 상태에서, 두 개의 블레이드 반쪽(10a, 10b)은 또한 추가적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후, 접속 블레이드(10)의 두 개의 단부 영역에서, 예를 들면 접속 블레이드의 중심축의 영역에서 한 개의 임프레션(28)과 두 개의 임프레션(29,30) 또는 접속 블레이드(10)의 중심축에 대해 소위 측면이면서 경상 반대인 클린치 접속에 의해 두 개의 위치(28)에서 편리하게 접속 될 수 있다. 대신, 블레이드 반쪽(10a,10b)은 두 개의 단부 영역의 웰딩 스폿(33)에 의해 측면 에지에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지, 블레이드 반쪽은 접속 블레이드의 접속 영역의 외부에서 접속된다.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의 중간 영역(Z)에 두 개의 측벽(7,8) 영역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부착물(23 내지 26)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부착물(23,24 와 25,26)은 각각 측벽(7과8)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벽(7)의 부착물(23,24)은 다른 측벽(8)의 부착물(25,26)과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부착물(23내지26)은 탭형태의 설계이며 접속 블레이드 방향으로 경사면(27)이 제공되어 있다.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가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으로부터 제작되기 때문에, 탭형 부착물(23내지26)은 컷들을 분리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측벽(7,8)에서 제공된다. 부착물(23내지26)과 그에 따라 대응되는 분리된 컷들은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으로부터 측벽(7,8)으로 변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이는 특히 도 2,3,5 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하부벽(6)의 영역에서, 부착물(23내지26)은 도 4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영역(Z)의 횡단면과 접속 챔버(34)의 횡단면 사이의 차이에 의해 측벽(7,8)에 가로 방향으로 중간 영역(Z)의 실제 길이(b)는 증가된다. 접속 챔버(34)의 횡단면은 두껍게 대쉬-도팅된 라인으로 윤곽이 나타나고 그 횡단면(폭이 B)은 적어도 측벽(7,8)에 가로 방향으로 중간 영역의 대응되는 횡단면(폭이 b)보다 폭이 크다. 상부벽(9)과 하부벽(6)에 가로 방향외에, 중간 영역(Z)의 횡단면 즉, 그 높이(h)는 접속 챔버(34)의 횡단면과 정확히 일치하며, 동일 크기의 접속 챔버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챔버(34)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동일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를 위한 수용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 하우징은 또한 접속 챔버(34)에 정확히 일치하는 횡단면의 스프링-로딩된 소켓 접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는 접속 챔버(34)에서 플러깅에 필요한 방법에 의해 측면 부착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면 부착물(23내지26)에 의해 가이드되며 접속 챔버(34)의 중간 영역(Z)의 하부벽(6)과 부착물(23내지26)의 반대쪽 상부벽(9)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내지 3 과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영역(Z)의 양 측벽(7,8)은 길이 방향 에지(13,14)에 각각 탭(15,16)이 형성된다. 이 탭들은 90°로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하우징으로부터 접속 부재가 제거되는 동안 스넵-인 후크(22)의 과도한 구부러짐을 보호하는 역할로서 박스의 내부로 확장된다. 또한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의 외부에는 접속 부재(1)의 플러깅 방향으로 확장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V 형태로 외부로 절삭되지만 측면에서 보면 컷팅에 의한 폴러라이징 웹(21)이 형성되어 있다. 폴러라이징 웹(21)은 접속 부재(1)가 도 4 의 접속 챔버(34)에 부정확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측벽(7,8)의 뒤쪽 에지(19)와 상부벽(9)의 뒤쪽 에지(20)는 접속 부재가 하우징에 배치되었을 때 제 2 고정을 위해 베어링 접속을 형성한다. 또한, 기술적 제조 이유로 벤딩 라인(B)과 탭(16)의 측면으로 측벽(8)의 길이 방향 에지(14)에 가늘고 긴 절단부(17)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면 높은 전류 전송 용량을 가진 평판 커넥터부, 제 1 고정용 스넵-인 후크를 가지며 절연 하우징에서의 스넵-인 결합부, 제 2 고정용 베어링-접속 표면과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폴러라이징 수단, 스넵-인 후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접속 부재로 충족되는 모든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며 또한 플러깅 요구 사항의 측면에서 기존 하우징의 넓은 접속에 사용되는 기존 접속 챔버와 병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적 플러그-인 접속용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로서, 접속 부재(1)의 일단부에는 라인 터미널 엘리멘트(4)를 가지며, 상기 라인 터미널 엘레멘트 다음으로 두 개의 측벽(7,8)과 측벽(7,8)에 연결된 하부벽(6) 및 상부벽(9)을 가진 단면이 직사각형 박스 형태인 중간 영역(Z)을 가지며, 접속 부재(1)의 타단부에는 중간 영역(Z)에서 돌출되고 다른 영역보다 두꺼우며 두 개의 반쪽(10a,10b)으로 구성된 접속 블레이드(10)를 가지는 스탬핑되고/구부러진 부분(2)을 포함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1)에 있어서,
    중간 영역(Z)에는 두 개의 측벽(7,8) 영역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부착물들(23내지26)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물들의 크기는 중간 영역(Z)의 횡단면과 중간 영역(Z)을 수용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횡단면 사이의 차이에 따라 적용되며,
    상기 공간의 횡단면은 적어도 중간 영역(Z)의 측벽(7,8)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는 중간 영역에 대응되는 횡단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착물들(23,24 및 25,26)은 각각의 측벽(7,8)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벽(7)의 부착물들(23,24)은 다른 측벽(8)의 부착물(25,26)들과 각각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들(23내지26)은 탭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들(23내지26)에는 접속 블레이드(10) 방향으로 경사면(2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23내지26)은 적어도 측벽(7,8)의 컷들을 분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불(23 내지 26)은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으로부터 측벽(7,8)으로 꺽이는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 반쪽(10a)은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확장되며 하부벽(6)에 결합되고, 다른 블레이드 반쪽(10b)은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며 상부벽(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의 상부벽(9)에는 컷팅되어 있으며 탄성 있는 스넵-인 후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중간 영역(Z)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7 또는 8)에는 90°로 내부로 구부러지고 스넵-인 후크(22)의 영역까지 이르는 과도한 벤딩을 방지하기 위한 탭 각각(15 및 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Z)의 하부벽(6)으로부터 접속 부재(1)의 플러깅 방향으로 뻗어있는 폴러라이징(polarizing) 웹(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플러그-인 접속 부재.
KR1019997012360A 1997-06-26 1998-06-17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KR20010014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7266.5 1997-06-26
DE19727266 1997-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253A true KR20010014253A (ko) 2001-02-26

Family

ID=783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360A KR20010014253A (ko) 1997-06-26 1998-06-17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92082B1 (ko)
JP (1) JP2002506559A (ko)
KR (1) KR20010014253A (ko)
DE (1) DE59807255D1 (ko)
WO (1) WO1999000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748B1 (en) 1998-05-21 2004-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network and packet data network interoperability
DE10138755A1 (de) * 2001-08-07 2003-02-20 Bosch Gmbh Robert Kontakt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3052A (en) * 1970-01-27 1971-10-12 Amp Inc Electrical locking pin terminal
DE3310939A1 (de) * 1983-03-25 1984-09-27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Steckkontakt und gehaeusekammer dafuer
US5207603A (en) * 1992-06-02 1993-05-04 Molex Incorporated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7255D1 (de) 2003-03-27
JP2002506559A (ja) 2002-02-26
EP0992082A1 (de) 2000-04-12
EP0992082B1 (de) 2003-02-19
WO1999000875A1 (de) 199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2874B1 (en)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US4992062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3979476B2 (ja) 電気端子
CN100580995C (zh) 接头连接器块
JP4058770B2 (ja) 電気コネクタ
CN112600002B (zh) 电连接器
US6238252B1 (en) Flat plug-i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plug-in connections
KR20000035015A (ko) 전기 커넥터
CN112563774B (zh) 连接器
JPS5929948B2 (ja) 電気コネクタ
US5695352A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4520874B2 (ja) 雌端子及びコネクタ
US6416366B2 (en) Terminal metal fitting
AU664926B2 (en) Female terminal
US6086403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14253A (ko) 플러그형 커넥터용 평판 플러그 접속 부재
JPH0332060Y2 (ko)
JP3523030B2 (ja) 端子構造
US4909762A (en) Electric connector
JP3784450B2 (ja) リセプタクル型端子
JPH09106845A (ja) 電気コンタクト
US6383038B2 (en) Connector
EP0891124A2 (en) Three-dimensio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JPH0644495B2 (ja) 分割式コネクタ
JP2006172732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