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12A -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 Google Patents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12A
KR20010012412A KR1019997010365A KR19997010365A KR20010012412A KR 20010012412 A KR20010012412 A KR 20010012412A KR 1019997010365 A KR1019997010365 A KR 1019997010365A KR 19997010365 A KR19997010365 A KR 19997010365A KR 20010012412 A KR20010012412 A KR 2001001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gate
folic acid
carrier
antagonist
mt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940B1 (ko
Inventor
한스외르크 진
한스-헤르만 슈렝크
볼프강 마이어-보르스트
에파 프라이
게르트 슈텔레
Original Assignee
하. 쭈어 하우젠 ; 요트. 후프타
도이체스 크렙스포르슝스첸트룸 슈티프퉁 데스 외펜틀리헨 레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 쭈어 하우젠 ; 요트. 후프타, 도이체스 크렙스포르슝스첸트룸 슈티프퉁 데스 외펜틀리헨 레히츠 filed Critical 하. 쭈어 하우젠 ; 요트. 후프타
Publication of KR2001001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3Albumins, e.g. HSA, BSA, ovalbumin or a Keyhole Limpet Hemocyanin [KH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1Carrier - bound or immobilized peptides or protein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e.g. biological cell or cell fragment as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1Carrier - bound or immobilized peptides or protein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e.g. biological cell or cell fragment as carrier
    • Y10S530/812Peptides or proteins is immobiliz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Y10S530/815Carrier is a synthetic polymer
    • Y10S530/816Attached to the carrier via a bridging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컨쥬게이트의 제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CONJUGATE COMPRISING A FOLIC ACID ANTAGONIST AND A CARRIER}
엽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화합물로서, 세포내에서 메틸기의 전이 및 그에 따른 세포의 성장에 중요하다. 엽산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글루탐산의 CH 기는 비대칭 C 원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엽산은 두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즉 D- 및 L-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중에서 단지 L-거울상 이성질체만이 세포내에서 발견되며, 따라서 D-거울상 이성질체가 아닌 상기 L-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만이 엽산의 활성에 관여한다. 그 이유는, 엽산은 세포내에서 엽산염 수용체에 의해 흡수되는데, 상기 수용체는 단지 엽산의 L-거울상 이성질체만을 흡수할 뿐 D-거울상 이성질체는 흡수하지 않기 때문이다.
엽산 길항제는 엽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나 표적영역, 즉 세포내에서 엽산에 대해 길항작용한다. 따라서, 엽산 길항제는 D-거울상 이성질체가 아닌 L-거울상 이성질체로서 존재한다.
엽산 길항제의 예로는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 및 아메토프테린 (ametopterin)이 있으며, 상기 아메토프테린은 또한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라고 한다.
메토트렉세이트, 즉 아메토프테린의 L-거울상 이성질체는 종양 및 염증의 치료를 위해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대해 중요한 부작용이 밝혀졌으며, 이는 메토트렉세이트가 또한 건강한 조직에 의해 흡수되어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DE-A-41 22 210.5 가 건강한 세포보다 종양 세포에 의해 보다 더 잘 흡수되며, 따라서 보다 덜 독성인 메토트렉세이트와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를 기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휠씬 약한 부작용을 갖는 약제에 대한 커다란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그러한 컨쥬게이트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환이 있는 조직, 특히 종양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부작용을 최소화한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의 목적물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물은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이다.
본 발명은 담체를 지닌 컨쥬게이트내의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가 질환이 있는 조직, 특히 종양 세포에 의해 바람직하게 흡수되며, 그 안에서 질환의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에 대한 출원인의 통찰에 기초한다. 또한, 출원인은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 단독으로는, 즉 본 발명에 의한 컨쥬게이트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강한 조직에 대해 아무런 부작용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컨쥬게이트"는 엽산과 담체가 예를들어 아미드 및/또는 에스테르 및/또는 링커를 통해 공유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는 엽산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의 일종을 포함하고, 엽산 길항제로서 작용하며 D-거울상 이성질체로서 존재한다. 구성성분으로서,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는 프테리딘(pteridine), 특히 프테린(pterine), P-아미노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및 D-아미노산, 특히 D-글루탐산 등을 포함하며, 이는 엽산내의 구성 성분에 따라 화학적으로 변경(alteration), 즉 수정(modification)된다. 그러한 변경은, 예를들어 C1-C4알킬기, 특히 메틸기, F, Cl, Br, I 와 같은 할로겐 원자, OH- 및 NH2- 기에 의한 H 원자의 치환, 알킬기, NH2- 기, H- 및 할로겐 원자에 의한 OH- 기의 치환 및 알킬기, OH- 기, H- 및 할로겐 원자에 의한 NH2- 기의 치환이다. 또한, 글루탐산의 산 기(acid group)의 하나 또는 두개 모두가, 예를들어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와 같은 산 기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변경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엽산 길항제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엽산 길항제 D-아메토프테린(이하, D-메토트레세이트라 함)
D-아미노프테린
및 D-e, t-FMTX(글루탐산(Glu)이 D-에리트로(D-erythro), 트레오-4-플루오로 -Glu(threo-4-fluoro-Glu)에 의해 교체된 메토트레세이트 유사체).
하나 이상의 엽산 길항제가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에 존재한다. 만약 여러개가 존재한다면,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담체(carrier)"는 질환이 있는 조직, 예를들어 종양 또는 염증 포커스에서 컨쥬게이트를 축적하기에 적합한 화합물의 일종이다. 그러한 담체의 예로는 체내에서 외래인자로 인식되지 않는 단백질 및 폴리에테르이다.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천연형태로 존재한다. 천연형태에서, 단백질은 내부- 및/또는 분자간 가교(cross-linking)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100,000 달톤까지이며, 특히 30,000 내지 100,000 달톤이다. 또한, 단백질이 인간의 단백질인 경우에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단백질의 예로는 알부민(albumin), 피브리노겐(fibrinogen), 트란스페린(transferrin), 이뮤노글로불린(immunoglobulin) 및 지질단백질(lipoprotein)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알부민이다. 상기 단백질의 단편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및/또는 상기의 단편은 상기 단백질 및/또는 그의 단편의 공지의 서열과 비교할 때,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의 변경을 가질 수 있다.
폴리에테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특히 분자량이 100 내지 20,000 달톤인 것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C1-C12알킬기, 특히 메틸기와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하나 이상, 특히 두개의 상기 담체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여러개의 담체가 존재한다면, 이들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만약 여러개의 폴리에테르가 존재한다면, 바람직하게는 모든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의 합이 약 20,000 달톤 이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에 있어서, 엽산 길항제는 담체와 직접 공유결합되거나, 또는 링커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담체 및 엽산 길항제 사이에 존재한다. 엽산 길항제와 담체를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링커로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커는 세포내에서 절단될 수 있다. "세포"란 개별 세포 및 세포 집단을 포함한다. 전자의 예로는 집단으로 존재하지 않는 내재 세포가 있다. 세포 집단은 조직, 기관 및 종양을 포함한다.
상기한 유형의 링커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당업자는 또한, 예를들어 세포내에서 화학결합의 절단을 야기하는 효소와 같은 요소를 알고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세포내에서 절단될 수 있는 링커를 구성할 수 있다. 링커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Y-R-N=N-
상기식에서,
R은 유기 기(organic group)이고, 바람직하게는 방향기(aromatic)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렌(phenylene) 또는 상기의 유도체이다. Y는 C(O), S(O)2, P(O)OH 및 As(O)OH 기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바람직한 링커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내의 링커의 구조와 일치한다. 또한, 상기 구조는, 적어도 R이 페닐렌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경우에, 종양,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 특히 적합한 활성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링커의 절단 및 링커에 여전히 결합된 단백질의 선택적인 변성 후에 완전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엽산 길항제와 담체 및 선택적으로 링커와의 공유결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대해 적합한 방법 및 필수적인 물질은 당업자에게 공지이다.
엽산 길항제가 예를들어 글루탐산을 통해 존재하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에는,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및 히드록시숙신이미드 (hydroxysuccinimide)를 지닌 엽산 길항제를 반응성의 숙신이미딜 에스테르로 전환시키고, 이를 담체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컨쥬게이트가 제조될 수 있다. 여러개의 엽산 길항제를 지닌 컨쥬게이트의 경우에는, 숙신이미딜 에스테르가 연관되어 또는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 및 히드록시숙신이미드를 지닌 엽산 길항제의 전환은 극성 비양성자성(aprotic) 용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내에서 발생한다. 엽산 길항제 : 카르보디이미드 : 히드록시숙신이미드의 몰 비는 1 : 1.5 : 10 이다. 다음, 형성된 숙신이미드 에스테르는 수성 완충용액, 바람직하게는 NaHCO3내에서 알부민과 같은 담체와 결합한다. 상기 담체의 농도는 약 10 내지 70 ㎎/㎖ 에 이른다. 다음, 이러한 방법으로 활성화된 상기 카르복실기는 담체의 OH- 및 NH- 기와 반응하고 그에 따라 산 아미드 또는 산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가 수득된다. 상기 컨쥬게이트는 예를들어 한외여과 (ultrafiltration)에 의해 수차례 정제되고, 최종적으로 살균여과되므로써 적용에 대해 준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장시간에 걸쳐 환자의 순환계에서 잔존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상기 컨쥬게이트는 질환이 있는 조직, 특히 종양 및 염증 포커스에 축적된다. 또한, 상기 컨쥬게이트는 질환이 있는 조직, 특히 종양 및 염증 포커스에 대한 작용이 유지되는 동안에 DE-A-41 22 210.5 에서 알려진 L-엽산 길항제 보다 훨씬 약한 부작용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예를들어 만성의 다발관절염 또는 건선과 같은 류마티스성 형태 및 자가 면역질환과 같은, 혈액학적(hematological) 종양 및 고형 종양(solid tumor)과 같은 종양, 염증의 치료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D-메토트렉세이트 및 인간 혈청 알부민의 컨쥬게이트 제조방법.
D-메톡트렉세이트(D-MTX)를 DMF에 20 ㎎/㎖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5 배 몰량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및 약 10 배 몰량의 히드록시숙신이미드를 맑은 노란색 용액에 첨가하였다. 12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숙신이미드 에스테르(D-MTX-HSIE)로의 전환을 종결시켰으며, 이는 디-시클로헥실우레아(di-cyclohexylurea)(DCU)의 침전량으로 검정하였다. 반응의 분석적인 조절은 TLC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플레이트: 형광 지시제를 지닌 실리카 겔 60,
러닝 약제(running agent): 에틸 아세테이트/MeOH: 75/25,
Rf값 : D-MTX 0.0
D-MTX-HSIE 0.35 - 0.38
DMF내의 D-MTX-HSIE의 맑은 노란색의 용액을 단백질 용액(0.17 M NaHCO3, pH 8.5 내의 인간의 혈청 알부민 50-70㎎)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계속하여 교반하였다. DMF내에서 반응되지 않은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및 아직 용해되지 않는 DCU로 구성된 클라우드를 수 시간후에 형성하였다. 30분 이상 반응시킨 후에, 클라우드를 살균 필터(0.22 ㎛)을 통해 분리하고, DMF를 적절한 막 필터(YM30; Amicon)를 사용하는 한외여과로 분리하였다.
HPLC를 사용하여 순도를 조절하였다.
예비 컬럼: 50 × 4 ㎜ 조르박스 디올(Zorbax Diol)
컬럼 : 1차 조르박스 GF 450
2차 조르박스 GF 250
러닝 약제: 0.2 M 인산염 완충액, pH 7.4
유속 : 1.0 ㎖/min
압력 : 약 65 바(bar)
본 발명에 따른 D-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 및 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D-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 및 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 사이의 독성에 대한 비교
상기 실험을 위해, 실시예 1의 본 발명에 따른 D-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의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D-MTX-HSA)를 사용하였다. 또한, DE-A-41 22 210.5 에 개시된 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 혈청 알부민(MTX-HSA)과의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였다.
각각 5 마리의 건강한 Spraque-Dawley 래트(rat)에 D-MTX-HSA 또는 MTX-HSA를 주입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체중량 ㎏ 단위당 4 ㎎의 컨쥬게이트(컨쥬게이트의 MTX 또는 D-MTX를 기준으로)를 2일 간격으로 주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3일 후에 MTX-HSA 및 D-MTX-HSA에 대한 독성 확인의 결과
투여량/㎏ MI DI SC WL 치사
MTX-HSA 2 × 4 ㎎ 5 5 5 5 5
D-MTX-HSA 2 × 4 ㎎ 0 0 0 0 0
약어 : MI: 점막 염증(mucus membrane inflammation); DI: 설사; SC: 사기 피복(shaggy coat); WL: 질량 손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트는 MTX-HSA 투여 3 일후부터 심한 부작용을 겪기 시작하였다. 4 일째에, 2 마리의 래트가 우리 속에서 사망한 것을 발견하였다. 다른 3 마리의 래트는 매우 심한 부작용을 겪었기 때문에 안락사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D-MTX_HSA 컨쥬게이트로 처리한 래트중 부작용을 보인 것은 하나도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약한 부작용을 갖는다.
실시예 3: 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와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D-메토트렉세이트와 인간 혈청 알부민과의 컨쥬게이트를 사용한 종양의 치료
본 실험을 위해,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로서 워커-256(walker-256) 암육종(carcinosarcoma)이 있는 래트를 사용하였다. 종양 이식 6 일째에 치료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종양의 부피는 1,000 내지 2,500 ㎣(종양의 직경은 1×1 내지 1×2 ㎝)이었다. 5 마리의 래트에 MTX-HSA를 주입하였다(2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하였고, 주사량은 피험체 중량 1㎏당 MTX-HSA 2㎎ (MTX를 기준으로) 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 D-MTX-HSA를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두배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상기 용량을 사용한 경우에, MTX-HSA에서는 이미 상당한 정도의 부작용이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 D-MTX-HSA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실시예 2와 비교).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MTX-HSA 컨쥬게이트 및 본 발명에 따른 D-MTX-HSA 컨쥬게이트를 사용한 종양 치료의 결과
투여량/㎏ 경감 재발 부작용(SE) 치사(death)
MTX-HSA 3 × 2 ㎎ 3 2 3 2
D-MTX-HSA 3 × 4 ㎎ 5 0 0 0
약어: SE: 부작용(side-effect); death: 종양 재발로 인한 사망
표 2에서의 결과는 MTX-HSA 그룹중 3 마리의 래트(remission)에서 종양이 퇴행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그룹에서, 2 마리의 래트는 종양이 재발되어 안락사 시켜야 했다. 3 마리의 래트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D-MTX-HSA 컨쥬게이트로 처리한 래트에서는 MTX-HSA와 비교하면 두배의 용량이 사용되었으나, 모든 동물의 종양이 치유되었으며 그에 의한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가장 약한 부작용을 가지며, 그 결과 상기 컨쥬게이트를 사용하므로써 우수한 종양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엽산 길항제의 D-거울상 이성질체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엽산 길항제가 하나 이상의 프테리딘, p-아미노벤조산 및 D-아미노산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D-아미노산이 글루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엽산 길항제는 D-아메토프테린 또는 D-아미노프테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쥬게이트는 여러개의 엽산 길항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가 체내에서 이질적인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천연 단백질 또는 폴리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7. 제 6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혈청 알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8. 제 6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담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커가 엽산 길항제 및 담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링커가 세포내에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링커가 아조기(azo grou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13. 엽산 길항제, 담체 및 선택적으로 링커를 공유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쥬게이트의 제조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쥬게이트의 종양 질환, 염증 및/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용도.
KR1019997010365A 1997-05-09 1998-05-08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KR100596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07657A EP0879604B1 (de) 1997-05-09 1997-05-09 Konjugat, umfassend einen Folsäureantagonisten und einen Träger
EP97107657.5 1997-05-09
PCT/EP1998/002701 WO1998051349A1 (de) 1997-05-09 1998-05-08 Konjugat, umfassend einen folsäureantagonisten und einen 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12A true KR20010012412A (ko) 2001-02-15
KR100596940B1 KR100596940B1 (ko) 2006-07-07

Family

ID=822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365A KR100596940B1 (ko) 1997-05-09 1998-05-08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20304B1 (ko)
EP (1) EP0879604B1 (ko)
JP (1) JP2002501512A (ko)
KR (1) KR100596940B1 (ko)
CN (1) CN1260725A (ko)
AT (1) ATE236657T1 (ko)
AU (1) AU733885B2 (ko)
BR (1) BR9808770A (ko)
CA (1) CA2289448A1 (ko)
DE (1) DE59709788D1 (ko)
DK (1) DK0879604T3 (ko)
ES (1) ES2197265T3 (ko)
RU (1) RU2205662C2 (ko)
WO (1) WO1998051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9557B2 (ja) * 1999-03-17 2012-06-13 ノヴォ ノルディスク アー/エス ペプチドのアシル化方法及び新規アシル化剤
US7273921B2 (en) * 2002-09-25 2007-09-25 Novo Nordisk A/S Method for producing acylated peptides
RU2324701C2 (ru) * 2003-03-20 2008-05-20 Ниппон Каяку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Мицеллярный пре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малорастворимый в воде противораковый агент, содержащее его противораковое средство и новый блок-сополимер
DE102004016355A1 (de) * 2004-04-02 2005-11-03 Rösner Research GmbH & Co.KG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Konjugats Methotrexat-Albumin als Mittel zur Immunosuppression bei GVHD
ES2410591T3 (es) 2004-09-22 2013-07-0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uevo copolímero en bloque, preparación micelar y agente antineoplásico que lo contiene como principio activo
DE102004057196A1 (de) * 2004-11-26 2006-06-01 Rösner Research GmbH & Co.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bumin-Konjugaten mit Nicht-steroidalen Antirheumatika (NSAR)
CA2652656A1 (en) * 2006-05-18 2007-11-29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High-molecular weight conjugate of podophyllotoxins
JP5548364B2 (ja) * 2006-10-03 2014-07-16 日本化薬株式会社 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の高分子結合体
WO2008056596A1 (en) * 2006-11-06 2008-05-1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olymeric derivative of nucleic acid metabolic antagonist
CN101808651B (zh) * 2007-09-28 2013-03-27 日本化药株式会社 类固醇类的高分子结合物
WO2009116509A1 (ja) * 2008-03-18 2009-09-24 日本化薬株式会社 生理活性物質の高分子結合体
US9149540B2 (en) * 2008-05-08 2015-10-06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olymer conjugate of folic acid or folic acid derivative
WO2010085717A1 (en) * 2009-01-24 2010-07-29 Syntrix Biosystem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acemic aminopterin
JP5544357B2 (ja) 2009-05-15 2014-07-09 日本化薬株式会社 水酸基を有する生理活性物質の高分子結合体
CN102802617B (zh) 2009-12-18 2016-05-11 埃克索多斯生命科学有限合伙公司 用于稳定的液体药物制剂的方法和组合物
CN102451301A (zh) * 2010-10-22 2012-05-16 王京姝 一种治疗牛皮癣的外用膏剂
JP5856069B2 (ja) 2010-11-17 2016-02-09 日本化薬株式会社 新規なシチジン系代謝拮抗剤の高分子誘導体
AU2012305405B2 (en) 2011-09-11 2016-01-14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block copolymer
RU2497825C1 (ru) * 2012-07-03 2013-1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Физики Имени Б.И. Степанова Национальн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Беларуси" Конъюгат фолие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DE102017204850A1 (de) * 2017-03-22 2018-09-27 Michael Denck HSA-Konjuga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6979B (en) * 1982-02-25 1985-05-15 Ward Page Faulk Conjugates of proteins with anti-tumour agents
CA1330378C (en) * 1986-05-08 1994-06-21 Daniel J. Coughlin Amine derivatives of folic acid analogs
DE4122210C2 (de) * 1991-07-04 1999-04-01 Deutsches Krebsforsch Konjugate aus tumoraktiver Verbindung und Serumalbumi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U3665293A (en) * 1992-02-14 1993-09-03 Merck & Co., Inc. Chimeric toxins binding to the GnRH receptor
DE4433890C2 (de) * 1994-09-22 1999-02-18 Deutsches Krebsforsch Konjugat aus einem Wirkstoff und einem nicht als körperfremd angesehenen, nativen Prot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9604A1 (de) 1998-11-25
AU733885B2 (en) 2001-05-31
RU2205662C2 (ru) 2003-06-10
AU7910998A (en) 1998-12-08
BR9808770A (pt) 2001-10-30
CN1260725A (zh) 2000-07-19
JP2002501512A (ja) 2002-01-15
EP0879604B1 (de) 2003-04-09
ES2197265T3 (es) 2004-01-01
ATE236657T1 (de) 2003-04-15
WO1998051349A1 (de) 1998-11-19
DE59709788D1 (de) 2003-05-15
CA2289448A1 (en) 1998-11-19
KR100596940B1 (ko) 2006-07-07
DK0879604T3 (da) 2003-08-04
US6720304B1 (en)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940B1 (ko) 엽산 길항제 및 담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EP0730470B1 (en) Improved interferon polymer conjugates
US7201897B2 (en) Interferon conjugates
US5066590A (en) Superoxide dismutase combined with a poly(alkylene oxide)
US5574018A (en) Conjugates of vitamin B12 and proteins
CZ298579B6 (cs) Konjugát polyolu a interferonu-beta
US8372422B2 (en) Hydroxyapatite-targeting poly(ethylene glycol) and related polymers
EP0305967A2 (de) Konjugate von Interferon alpha mit Immunglobulinen
US4376765A (en) Medicaments,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H07508727A (ja) 生体分子と結合したポリオキシメチレン−オキシエチレン共重合体
JPH0770195A (ja) 糖修飾インターフェロン
DE19926475A1 (de) Träger-Pharmaka-Konjugate
JP2004522712A (ja) ヒドロキシアパタイト標的化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および関連重合体
JP2515389B2 (ja) ス―パ―オキサイドディスムタ―ゼ結合体
KR0184858B1 (ko) 폴리믹신 복합체
US20030103934A1 (en) Drugs having long-term retention in target tissue
US20060286657A1 (en) Novel bioconjugation reactions for acylating polyethylene glycol reagents
US6150327A (en) Conjugate of an active agent, a polyether and possibly a native protein regarded as acceptable by the body
JPH1160499A (ja) 抗腫瘍剤
MXPA99010278A (en) Conjugate comprising a folic acid antagonist and a carrier
JP2008512385A (ja) アルブミンの内因的に形成された結合体
EA006368B1 (ru) Химическ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е конъюгаты прогенипоэтина
RU2556378C2 (ru) Конъюгат гликопротеина, обладающего активностью эритропоэтина, с производными n-оксида поли-1,4-этиленпиперазина (вариант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ъюгата
JP2002338599A (ja) 血中滞留性が向上した生理活性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